KR20080084122A -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122A
KR20080084122A KR1020070025352A KR20070025352A KR20080084122A KR 20080084122 A KR20080084122 A KR 20080084122A KR 1020070025352 A KR1020070025352 A KR 1020070025352A KR 20070025352 A KR20070025352 A KR 20070025352A KR 20080084122 A KR20080084122 A KR 20080084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rvice
available
display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유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122A/ko
Publication of KR2008008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되어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최근의 매번 검색 정보(Frequently searched information)에 따라 화면 상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표시해 주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한 채 이동하여 어떤 장소에 위치하더라도 그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로컬 지역을 여행할 때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 정보를 통해 날씨나 교통, 통신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 블루투스, GSM, CDMA, WAP, HSDPA, RAN, MSC

Description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owing available service/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이동 단말기 주변의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신호 세기를 화면 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수신한 날씨 서비스의 내용을 표시한 대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이동 속도 서비스의 내용을 표시한 대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신 시스템 110 : 이동 단말기
120 : 이동 통신망 130 : WAP 게이트웨이
140 : 인터넷 150 : 서버
160 : 블루투스 장치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제어부
240 : 메모리 250 : 표시부
260 : 블루투스 모듈부
본 발명은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대기 화면(Idle Screen) 상에 무선 네트워크(Radio Network)의 상태, 예컨대, 메시지의 수신, 배터리 레벨, 시간, 날짜 등의 정보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가 단순히 전화(Phone) 기능보다 다용도 정보 장치(Versatile Information Device)로 드러나는 다른 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전술한 정보는 사용자가 더 원하는 정보로서 유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로컬 지역을 여행할 때 날씨나 교통 경보(Traffic Alerts), 이웃한 블루투스 장치(Bluetooth Device), 사용자의 속도(Speed of users) 등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휴대용 단말기를 요구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되어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최근의 자주 검색된 정보(Frequently searched information)에 따라 화면 상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표시해 주도록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또는 서비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는 날씨나 교통, 단말기의 이동 속도, 숙박 시설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표시하거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는,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출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또는 서비스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날씨나 교통, 숙박 시설을 안내하는 서비스나,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표시해 주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상기 표시부 상의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상기 표시부 상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상기 표시부 상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이동 통신망(120),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Gateway)(130), 인터넷(140), 서버(150) 및 블루투스 장치(16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120)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방식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호 를 이루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표시하거나, 서버(150)를 통해 날씨나 교통 정보 등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있는지를 표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는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가 존재하는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10)는 블루투스 장치(16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동 통신망(120)은 이동 단말기(110)가 서버(15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고, 또한 이동 단말기(110)와 다른 이동 단말기 간에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120)은 무선 접속망(RAN:Radio Access Network)과 이동 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을 포함한다.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WAP 게이트웨이(130)는 이동 통신망(120)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를 인터넷(140) 망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인터넷(140) 망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120)에서 이용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WAP 게이트웨이(130)는 WAP 프락시(Proxy)라고도 하며, 인터넷 상의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이진(Binary) 코드 구조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13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의 WAP 프로토콜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요청받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서버(150)로 전송한다. 반대로, 서버(150)로부터의 TCP/IP 프 로토콜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인터넷(140)은 이동 단말기(110)가 서버(150)에 접속하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서버(150)는 접속된 이동 단말기(110)에게 실시간 또는 선택적으로 날씨나 교통 등의 정보를 서비스해 준다. 따라서, 서버(150)는 날씨나 교통 등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제어부(230), 메모리(240), 표시부(250) 및 블루투스 모듈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120)을 통해 다른 단말기와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120)을 통해 서버(150)로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서버(150)로부터 인터넷(140)과 이동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날씨나 교통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여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예컨대, 입력부(220)는 서버(150)로의 접속을 실행하는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동 단말기(110)가 새로운 지역에 위치하여 이동 통신망(120)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할 때, 주변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있는지를 표시부(250)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로부터 날씨나 교통 등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표시부(250)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주변에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가 있는지를 표시부(250)를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부(260)를 통해 블루투스 장치(160)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메모리(240)는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통신부(210) 또는 블루투스 모듈부(26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250)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50)는 단말기 주변의 유효한 네트워크나 유효한 서비스를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 상에 표시한다.
블루투스 모듈부(260)는 CLDC(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를 기반으로 한 이동 정보 장치 프로토콜(Mobile Information Device Protocol; 이하 MIDP)을 통해 블루투스 기능이 가능한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블루투스 장치(160)와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 새로운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새로운 지역을 관할하는 이동 통신망(120)의 기지국으로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새로운 지역에 있는 이동 통신망(120)의 기지국으로 위치 등록을 완료한 이후에, 새로운 지역에서 각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302).
여기서,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230)는 블루투스 통신에 따라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160)가 존재하는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날씨나 교통 등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지, 이동 통신을 통해 로밍(Roaming)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블루투스 통신의 경우, 제어부(230)는 블루투스 모듈부(260)에 설정되어 있는 일반 접속 프로파일(GAP:Generic Access Profile)과 서비스 발견 어플리케이션(Service Discovery Application, 이하 SDA)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160)와 통신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SDA 프로파일에 따라 장치의 존재에 관한 질의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 접속 프로파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에서 접근 가능한 장치 파라미터들에 대한 공통적인 형식들을 요구한다. 또한, SDA 프로파일은 질의 스 캔(Inquiry Scan)의 사용과 다른 장치들이 무선 통신 영역 안으로 진입했을 때 블루투스 장치(160)를 발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관장한다. 또한, SDA 프로파일은 LIAC(Limited Inquiry Access Code)를 사용하여 스캔하고, 이 코드를 사용하여 질의(Inquiry)하는 장치에 의해서만 발견되는 제한적 발견이 가능하다. 또한, SDA 프로파일은 GIAC(General Inquiry Access Code)에 의해 스캔이 되고, 이 코드를 사용하여 질의하는 장치에 의해서만 발견되는 일반적 발견이 가능하다.
한편, 블루투스 장치(160)는 블루투스에 관한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10)는 블루투스에 관한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블루투스 장치(160)로부터 질의 메시지에 대한 각각의 응답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S304).
제어부(230)는 각 블루투스 장치(16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각 블루투스 장치들의 신호 세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50)의 대기 화면에 문자로 표시(410)하거나,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에 아이콘(Icon; 420)으로 표시한다(S306).
도 4는 이동 단말기 주변의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신호 세기를 화면 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주변의 각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근거하여 얻은 신호 세기를 표시부(250)로 표시함과 더불어, 그 중에 접속이 가능한(Possible to attach) 블루투스 장치를 표시해 준다. 도 4에서, 제1 블루투스 장치(#1)는 신호 세기가 9/10, 제2 블루투스 장치(#2)는 신호 세기가 2/10, 제3 블루투스 장치(#3)는 신호 세기가 6/10임을 알 수 있고, 이 중에 접속이 가능한 것은 제3 블루투스 장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사용 가능 장치(Available Device)로 블루투스 장치를 표시할 때 문자 뿐만 아니라 문자와 도형(430) 및 그림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인터넷 통신의 경우, 제어부(230)는 W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120)과 인터넷(140)을 경유해 서버(150)에 접속하고, FSI(Frequently searched information)를 통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의 날씨나 교통, 숙박 시설 등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검색하도록 서버(150)에게 요청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이동 통신망(120)으로 위치 등록할 때 얻은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서버(150)로 제공하여 각 서비스의 검색을 요청한다.
서버(15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의 서비스 검색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위치에서 가능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고, 가능 서비스를 검색한 경우에 가능 서비스 목록 또는 해당 서비스 내용을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다.
이동 단말기(110)는 통신부(210)를 통해 가능 서비스 목록 또는 해당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고, 제어부(230)는 수신한 해당 서비스 내용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표시한다.
도 5는 수신한 날씨 서비스의 내용을 표시한 대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수신한 날씨 서비스의 내용(510)을 대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10)가 서버(150)로부터 가능 서비스 목록을 수신한 경우에, 각각의 가능 서비스에 해당하는 아이콘(Icon; 520)을 각각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가능 서비스 목록 중에 날씨에 관한 서비스는 날씨를 나타내는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의 아이콘(520)으로 표시할 수 있고, 교통에 관한 서비스는 교통을 나타내는 문자나 도형, 그림 등의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50)로 날씨에 관한 서비스를 표시할 때,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날씨 서비스의 내용을 문자 형태로 표시할 수 있고, 도형이나 그림 형태(530)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10)는 내부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구비하고, GPS 모듈을 통해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자신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10)의 이동 속도를 표시부(250)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이동 속도 서비스의 내용을 표시한 대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이동 단말기(110)의 이동 속도의 내용(610)을 대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이동 속도 서비스를 표시하는 아이콘(62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전술한 서비스를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설정에 의해 날씨 서비스에서 교통 서비스로 전 환하거나, 날씨 서비스에서 이동 속도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한 후 일정 시간 간격마다 자동으로 다른 서비스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GSM 방식이나 CDMA 방식의 이동 통신의 경우, 이동 단말기(110)가 현재 타국의 어느 지역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현재 위치한 지역을 관할하는 이동 통신망(120)으로 단말기 정보를 송신하여 로밍(Roaming)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GSM 방식의 이동 통신망(120)에서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정보와 위치 정보를 근거로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나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Visitor Location Register)를 통해 로밍 서비스의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로밍 서비스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10)는 로밍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표시부(250)를 통해 로밍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 상으로 표시하거나, 인디케이터 영역에 로밍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가 GSM 방식과 CDMA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고,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의 통신도 가능한 경우에, 제어부(230)는 이동 통신망(120)으로부터 HSDPA 통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표시부(250)를 통해 HSDPA 네트워크의 통신이 가능함을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표시하거나, 인디케이터 영역에 HSDPA 네트워크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50)의 대기 화면이나 메인 화면 또는 인디케이터 영역을 통해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표시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임의의 서비스나 네트워크가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다(S308).
제어부(230)는 화면 상에 표시된 서비스나 네트워크 중 임의의 서비스나 네트워크가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50)의 화면 상에 선택된 서비스나 네트워크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S310).
도 7은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10)에서 표시부(250)를 통해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통해 날씨 서비스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제어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루투스 장치(160)의 신호 세기를 도표나 그림 등으로 표시하고(710), 신호 세기를 표시한 블루투스 장치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블루투스 장치를 표시(720)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3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날씨 서비스나 교통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250)를 통해 도표나 그림 등으로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이나 이동 통신에 관한 네 트워크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250)를 통해 도표나 그림 등으로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하여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최근의 자주 검색된 정보(FSI)에 따라 화면 상으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표시해 주도록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한 채 이동하여 어떤 장소에 위치하더라도 그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로컬 지역을 여행할 때 사용 가 능한 서비스나 네트워크 정보를 통해 날씨나 교통, 통신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또는 서비스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는 날씨나 교통, 단말기의 이동 속도, 숙박 시설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나 네트워크를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8.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출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검색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또는 서비스를 상기 표시부로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날씨나 교통, 숙박 시설을 안내하는 서비스나,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표시해 주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상기 표시부 상의 대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상기 표시부 상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를 상기 표시부 상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장치.
KR1020070025352A 2007-03-15 2007-03-15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80084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52A KR20080084122A (ko) 2007-03-15 2007-03-15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52A KR20080084122A (ko) 2007-03-15 2007-03-15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22A true KR20080084122A (ko) 2008-09-19

Family

ID=4002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352A KR20080084122A (ko) 2007-03-15 2007-03-15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41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424B1 (ko) 멀티 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 로밍 인디케이터
CN101002484B (zh) 在移动终端中使用授权无线技术确定未授权无线技术的操作参数的系统和方法
KR101719365B1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EP14141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a user about a WLAN accessibility
JP2009542060A (ja) ホットスポット位置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そのようなシステムで用いるための移動端末、及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生成し、保守し、更新するための方法
WO2006099335A2 (en) A mobile device, a network element and a method of adjusting a setting associates with a mobile device
KR20110093962A (ko) 무선 송수신 유닛과 그 무선 송수신에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3247140A1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EP1855500B1 (en) Roaming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oaming control method
CN102843745A (zh) 移动热点的接入方法及移动终端
CN103096279A (zh) 实现一号通业务的呼叫方法、装置、系统、及平台设备
KR10206438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및 장치
CN101686429A (zh) 移动终端移动位置服务系统及其位置查询方法
KR101555470B1 (ko) 웹브라우징이 개선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967270B1 (ko) 무선통신 시스템
KR101710107B1 (ko) 위치공유 기능을 이용하는 지도결합문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지도결합문자 관리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20120071957A (ko)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39224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KR100723674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맵 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제공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시스템
CN102761822A (zh) 一种消息发送方法和移动终端
KR20080084122A (ko) 유효 서비스/네트워크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839538B1 (ko) 콜센터와 연동되어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60023483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54457B1 (ko) 아이콘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및 시스템
KR10117783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접속 방법 및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