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447A - 분배전반용 캐비넷 - Google Patents

분배전반용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447A
KR20060124447A KR1020050046378A KR20050046378A KR20060124447A KR 20060124447 A KR20060124447 A KR 20060124447A KR 1020050046378 A KR1020050046378 A KR 1020050046378A KR 20050046378 A KR20050046378 A KR 20050046378A KR 20060124447 A KR20060124447 A KR 2006012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roof
body frame
distribu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0528B1 (ko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제일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피앤피 filed Critical (주)제일피앤피
Priority to KR102005004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5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전반용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본체프레임의 각 면이 별도로 개폐되도록 한 분배전반용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분전반과 배전반 및 변압기 등의 각종 전력장비가 내장되고, 외측면에 도어가 결합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평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모서리변 기둥에는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양 측에 힌지가 2개 이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캐비넷의 내부에 분전반과 배전반 및 변압기 등의 각종 장비의 설치와 유지 및 보수가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분배전반용 캐비넷{a cabinet for all elements integral type high power suppl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붕패널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기구커버의 종단면도.
도 5는 종래 분배전반용 캐비넷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프레임
11 : 환기구 12 : 걸림턱
20 : 도어
21 : 투명창 22 : 힌지
30 : 지붕
31 : 지붕패널 311 : 돌기
312 : 홈 32 : 배기구
40 : 배기구커버
41 : 지지프레임 42 : 관통공
100 : 분배전반
본 발명은 분배전반용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본체프레임의 각 면이 별도로 개폐되도록 한 분배전반용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의 전류를 저압의 전류로 변환하여 각종 건물 등에 공급하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다수의 장치가 하나의 전원에 연결되어 한 곳에서 전원 공급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위치가 결합된 분전반과 배전반 및 변압기와 전력감시제어기 등의 각종 전력장비가 소요된다.
이러한 전력장비들은 고압의 전류가 흐름에 따라 사람이 접촉될 경우 감전사고 등이 발생하게 되어,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고자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캐비넷은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200)의 일측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3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00)의 내측에 각종 전력장비(400)가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력장비(400)와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안전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종 전력장비의 유지 및 관리와 보수를 위해서는 상술한 도어를 열고 그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거나 공구 등을 집어넣어 전력장비를 관리하게 되는 것 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캐비넷은 직육면체의 통체로 형성됨에 따라 도어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전력장비는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아 관리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캐비넷은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패널로 형성됨에 따라, 캐비넷이 옥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캐비넷의 상면에 빗물이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빗물이 각종 틈새를 통해 캐비넷의 내측으로 흘러들어 합선이나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본체프레임의 각 면이 별도로 개폐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이 다수의 패널로 분해 조립 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면서 지붕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캐비넷 내부를 확인할 수 있 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분전반과 배전반 및 변압기 등의 각종 전력장비가 내장되고, 외측면에 도어가 결합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평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모서리변 기둥에는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양 측에 힌지가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면에 본체프레임과 대응되는 다각뿔형의 지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붕은 각 면이 분리되는 지붕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패널의 양 측 모서리에 서로 인접한 지붕패널와 결합되도록 돌기와 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붕의 상부 끝단에 배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구의 상부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배기구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에 투명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배전반용 캐비넷의 몸체를 이루고 분전반과 배전반 및 변압기 등의 각종 전력 장비(100)들이 내장되며 상면과 하면이 폐쇄된 본체프레임(10)을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각 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20)를 구비하여 본체프레임(10)의 내부에 각종 장비를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각각의 모서리에 기둥을 형성하여 그 평면이 직육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분배전반을 구성하는 각종 장비들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각각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각 측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도어(20)의 개폐에 따라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 및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각각의 모서리변 기둥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양 측에 통상적인 경첩 등으로 형성된 힌지(22)가 두 개 이상 형성되어, 본체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된 각종 장비들의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프레임(10)의 각각의 면이 힌지(22)를 기준으로 별도로 개방되도록 하여 본체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된 장비의 위치에 따라 인접한 도어(20)를 열고 장비를 보수하거나, 추가적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분배전반의 관리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부측 또는 도어(20)의 하부측에 캐비넷의 내측으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환기구(11)를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캐비넷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분배전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원활하게 배출되면서, 캐비넷 내부의 습도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도어(20)에는 캐비넷의 외측에서 그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21)을 구비하여 도어(20)를 열지 않고서도 각종 장비들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배전반의 관리가 더욱 편리해지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측으로는 본체프레임(10)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뿔형의 지붕(30)을 형성하여 분배전반용 캐비넷이 실외에 설치될 때 빗물이 캐비넷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지붕(3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붕패널(31)의 확대사시도로서, 상기 지붕(30)은 본체프레임(10)이 육각형으로 이루어 질 경우에 육각뿔형으로 형성되고, 본체프레임(10)의 팔각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팔각뿔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다각형 뿔을 이루는 각각의 면이 서로 분리 결합되는 다수의 지붕패널(31)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분배전반의 설치 시에 각각의 지붕패널(31a)(31b)을 결합하여 하나의 지붕(30)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붕패널(31a)(31b)의 양 측 모서리에는 인접한 지붕패널(31a)과 서로 대응되는 돌기(311)와 홈(312)을 각각 형성하여 각각의 지붕패널(31a)(31b)이 돌기(311)와 홈(312)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접이나 나사체결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치 않고서도 지붕(30)이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측에는 상기 지붕패널(31a)(31b)의 하부 모서리가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12) 등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체결 수단이 없어도 지붕(30)이 본체프레임(10)에 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붕(30)의 상부 끝단에는 각종 전력장비(100)들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열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본체프레임(10)의 내측과 연통되는 배기구(32)를 형성하여 각종 장비들이 고온의 상태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른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 온도가 상승에 따라 각종 기기의 작동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캐비넷의 상부측에 배기구(3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술한 환기구(11)를 통해 유입된 낮은 온도의 공기가 각종 장비들의 온도를 저하시킨 후에 고온의 상태로 배기구(3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어, 더욱 원활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배기구(32)의 상부측에는 배기구커버(40)를 형성하여 분배전반용 캐비넷이 실외에 설치될 때, 배기구(32)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배기구커버(40)의 종단면도로서, 상술한 배기구커버(40)는 측면에 관통공(42)이 형성된 지지프레임(41)에 의해 배기구(32)의 상부측에 고정되어지고, 배기구(32)의 면적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하여 배기구(32)의 상부측에서 낙하되는 빗물이 배기구커버(40)의 상면에 떨어진 후 지붕(30)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분배전반용 캐비넷이 옥외에 설치되더라도 배기구(32)를 통해 열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뿐만 아니라, 빗물이 배기구(32)를 통해 캐비넷의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빗물에 의한 합선이나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본체프레임의 각 측면에 도어를 구비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된 본체프레임의 각 면이 별도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캐비넷의 내부에 분전반과 배전반 및 변압기 등의 각종 장비의 설치와 유지 및 보수가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각뿔형의 지붕을 형성하여 캐비넷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캐비넷의 상부측에 빗물이 떨어지더라도 빗물이 상면에 고이지 않고 흘러내리게 될 뿐만 아니라, 빗물에 의한 합선 및 누전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을 돌기와 홈이 형성된 다수의 지붕패널로 구성하여 지붕이 다수의 조각으로 분해 조립 되도록 함으로서, 지붕의 설치가 더욱 간편해 지면서도 빗물을 원활히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를 형성하여 캐비넷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캐비넷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화재가 발생하거나 각종 장비들의 작동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커버를 구비하여 캐비넷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 부로 원활히 배출되면서 지붕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분전반과 배전반 및 각종 전력장비들이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투명창을 형성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캐비넷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각종 장비들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때 일일이 도어를 개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6)

  1. 본체프레임(10)의 내측에 분전반과 배전반 및 변압기 등의 각종 전력장비(100)가 내장되고, 외측면에 도어(20)가 결합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은 평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모서리변 기둥에는 도어(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양 측에 힌지(22)가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면에 본체프레임(10)의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뿔형의 지붕(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30)은 각 면이 분리되는 지붕패널(31)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패널(31)의 양 측 모서리에 서로 인접한 지붕패널(31)와 결합되도록 돌기(311)와 홈(31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30)의 상부 끝단에 배기구(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32)의 상부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배기구커버(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에 투명창(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20050046378A 2005-05-31 2005-05-31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066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78A KR100660528B1 (ko) 2005-05-31 2005-05-31 분배전반용 캐비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78A KR100660528B1 (ko) 2005-05-31 2005-05-31 분배전반용 캐비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47A true KR20060124447A (ko) 2006-12-05
KR100660528B1 KR100660528B1 (ko) 2006-12-22

Family

ID=3772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78A KR100660528B1 (ko) 2005-05-31 2005-05-31 분배전반용 캐비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1096A (zh) * 2016-08-30 2017-02-22 苏州市普金电力成套设备有限公司 具有双层布线面板的配电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23B1 (ko) 2008-10-21 2009-01-07 김점주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0908681B1 (ko) 2009-04-16 2009-07-29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배전용 인입전선 연결단자
KR20160002615U (ko) 2015-01-16 2016-07-26 이상경 탄력수단이 구비된 분배전반용 경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1096A (zh) * 2016-08-30 2017-02-22 苏州市普金电力成套设备有限公司 具有双层布线面板的配电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0528B1 (ko) 200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1963Y1 (ko) 배전반의 방열장치
US20050092588A1 (en) Enclosure
KR100660528B1 (ko) 분배전반용 캐비넷
US10461510B2 (en) Modular distributing panel including a transformer
TW201731368A (zh) 貨櫃式儲能系統
US20190045644A1 (en) Ventilation cover apparatus for an electrical enclosure including water-resistant and arc-resistant features
KR101177918B1 (ko) 공동주택 단지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KR102153257B1 (ko) 자연배기가 가능한 옥외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KR20170003322A (ko) 배전반
KR102159030B1 (ko) 복합패널로 형성하는 접속반의 몸통구조
KR20150117400A (ko)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KR101334322B1 (ko) 수밀형 분배전반
KR20190104841A (ko)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KR20180025497A (ko)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KR20190090586A (ko) 수배전반의 온도상승 방지구조
KR100887420B1 (ko) 양문형 수배전반
KR102390776B1 (ko) 기류 방열기능을 갖는 전기외함
GB2551131A (en) A louvre assembly
KR101362736B1 (ko)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CN212366605U (zh) 一种新型的正压除尘散热直流屏
KR20200117150A (ko) 배전반의 상부 덮개
KR101958222B1 (ko) 탑형 배전반의 모듈형 커버 구조
JP6182446B2 (ja) 地上設置型電気機器
RU2282923C1 (ru) Шкаф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электроаппаратуры (варианты)
KR100805884B1 (ko) 워크인 배전반용 지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