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400A -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400A
KR20150117400A KR1020140042795A KR20140042795A KR20150117400A KR 20150117400 A KR20150117400 A KR 20150117400A KR 1020140042795 A KR1020140042795 A KR 1020140042795A KR 20140042795 A KR20140042795 A KR 20140042795A KR 20150117400 A KR20150117400 A KR 2015011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resent
distribution board
front side
boar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희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장준희
김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희, 김재철 filed Critical 장준희
Priority to KR102014004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400A/ko
Publication of KR2015011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1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ainly consisting of a frame onto which plates are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되는 부품이 단순하고 모듈화되어 비숙련 작업자들도 손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여 조립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중량이 작게 나가고, 모듈화된 부품을 설치 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어 부품 형태로 이송이 가능하여 운송비가 적게 소요되며, 전면부 측에 모난 부분을 없애 지나는 사람들의 부상 위험이 제거되고 견고하며, 또 변경되는 설계 사양에 즉시 대응하여 생산하는 체계가 가능한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는 전후면 사이로 연장되는 ㄴ 자 단면 형상의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전후 양측 코너에 각기 베이스부의 경계부위를 넘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ㄴ 자 형상을 이루는 전후방측 끼움부재로 구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재와;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전방측 결합부재와, 상기 측판부의 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후방측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케이스의 4개의 측면부를 구성하게 되는 4개의 측판 프레임부재와; 상기 측판프레임부재의 후방측 결합부재의 안쪽에 형성되는 후면판삽입홈과; 사방의 테두리 부위가 상기 후면판삽입홈 내에 끼워져 조립되는 후면판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전후방측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 각기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나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Modular prefabricated cabinet panel case}
본 발명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캐비넷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전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재들을 용접함이 없이 간단히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는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배전반으로부터 소정의 전력공급을 받아 전등, 전열, 동력부하 등 각종 부하에 맞게 전력을 배분하여 주는 장치로서, 일반주택에 사용되는 주택용 분전반과 빌딩, 공장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분전반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분전반 및 배전반은 각종 차단기 및 개폐기를 케이스(함체) 내에 장착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끌어 배분하는 동시에 전력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분전반은 선로가 외부에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전 및 각종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특히 분전반 및 배전반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주 전원을 각 전기 부하로 분산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부하 발생 시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전기 안전을 달성하기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다. 이 차단기는 주 입력 터미널에 연결되는 주 차단기와 전기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분전함 케이스와, 상기 분전함 케이스의 공간부에 삽입 설치되고 일 측면에는 저압 분기 차단기가 배열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분전함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에는 상기 저압 분기 차단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시킬 수 있게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전반은 건축물의 바닥 구조물 공사 후 벽체 공사시 분전반을 벽면에 매립 설치한 다음 배관, 배선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처럼 분전반 케이스는 통상 철재를 사용하여 캐비넷 형상으로 제작되는 데, 이 같은 캐비넷 형상의 분전반 케이스의 일예로는 한국 등록특허 10-09333287호에 개시된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을 예를 들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상기 선행 공지 기술인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을 도시한 것으로, 건물 벽면에 나사, 볼트, 못,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장착되고 전면에는 다수개의 보강 결합홈(16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강판(160)이 장착되는 사각형 형상의 고정패널(2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패널(20)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원형 형상의 장착홈(3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사각 고정바(30)를 나사 또는 볼트(B)를 이용해서 각각 결합하며, 상기 상하의 사각 고정바(30)와 사각 고정바(30) 사이의 수직공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하 끝단에 상기 사각 고정바(30)와 결합돌기에 의해 끼움 장착되는 수직연결 고정바(40)를 장착하고, 상기 수평의 사각 고정바(30)와 사각 고정바(30) 사이의 수평공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하 끝단에 상기 사각 고정바(30) 에 같은 방식으로 접속하는 수평연결 고정바(50)를 장착하며, 상기 사각 고정바(30)와 수직연결 고정바(40) 및 수평연결 고정바(50)의 외면, 즉 사방의 측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테두리 패널(60)을 장착하고, 전면에는 회동 개폐가 가능한 도어(70)를 장착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캐비넷 형상의 분전반 케이스의 또 다른 예로는 한국등록실용 20-0377311호에 개시된 조립식 통합 분전함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캐비넷형 분전반 케이스들의 공통점은 구조가 복잡하고 부재의 소요가 많으며, 소재의 절단, 절곡 가공과 용접 및 연마 사상 작업 등이 필요하여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면 제작이 어렵거나 생산성이 극히 낮으며, 현장 시공 후 전방에 돌출한 전면부의 코너 부위가 예리하게 각이 져 있어 분전함 케이스가 설치된 벽면 근처를 지나는 사람들이 각진 모서리에 접촉하여 부상을 입을 수 있고, 또 통상 철재로 만들고 있어 중량이 많이 나가 공장에서 완성품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이송하는 작업에 애로점이 있으며, 특히 공장에서 캐비넷 형태로 제작하여 설치현장으로 이송하게 될 때 제품의 부피로 인해 차량에 많은 양을 탑재하는 데 한계가 있어 수송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배면은 문제가 없으나 케이스의 사방 측 벽면들이 얇은 두께의 철판으로 형성되어 견고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또 다른 문제점으로 건물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 분전반케이스의 크기에 변화가 있을 수 있으나, 종래의 분전반케이스들의 경우 모듈화되어 있지 않아 변경된 설계 사양에 즉시 대응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33287호 한국등록특허 10-1306347호 한국등록특허 10-0907504호 한국실용신안 실1995-0003213호 한국등록실용 20-0377311호 한국등록특허 10-136023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사용되는 부품이 단순하고 모듈화되어 비숙련 작업자들도 손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여 조립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중량이 작게 나가고, 모듈화된 부품을 설치 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어 부품 형태로 이송이 가능하여 운송비가 적게 소요되며, 전면부 측에 모난 부분을 없애 지나는 사람들의 부상 위험이 제거되고 견고하며, 또 변경되는 설계 사양에 즉시 대응하여 생산하는 체계가 가능한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는 전후면 사이로 연장되는 ㄴ 자 단면 형상의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전후 양측 코너에 각기 베이스부의 경계부위를 넘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ㄴ 자 형상을 이루는 전후방측 끼움부재로 구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재와;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전방측 결합부재와, 상기 측판부의 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후방측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케이스의 4개의 측면부를 구성하게 되는 4개의 측판 프레임부재와; 상기 측판프레임부재의 후방측 결합부재의 안쪽에 형성되는 후면판삽입홈과; 사방의 테두리 부위가 상기 후면판삽입홈 내에 끼워져 조립되는 후면판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전후방측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 각기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나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후방측 제1 및 제2돌출부는 계단형 또는 ㄷ 자형 단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에는 덧살보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서리부재의 전방 측 코너 부분과 모서리 및 상기 측판프레임부재의 전방 측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고 부재의 소요가 적으며, 각 부품들이 모듈화되어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일정 단면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압출되어 케이스의 크기에 따라 알맞은 길이로 절단하여 누구라도 간단히 조립할 수 있어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조립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별한 장비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부품 형태로 작업현장에 이송시켜 작업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송 시 가볍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 운송비를 낮출 수 있으며, 또 분전반 케이스의 모서리부재의 전방 측 코너 부분과 상기 측판프레임부재의 전방 측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라운딩 처리되도록 압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현장 시공 후 전방에 돌출한 전면부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에 의해 분전함 케이스가 설치된 벽면 근처를 지나는 사람들이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없으며, 특히 분전반 케이스의 모서리부재가 전후 양측 코너 사이를 카바하도록 복잡한 단면의 단면계수가 큰 압출물로 구성되고, 사방 측 벽면들 역시 프레임부재로 형성되므로 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견고성이 증대되며,더욱이 건물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 분전반케이스의 크기에 수시로 변화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부품들이 모듈화되어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어서 변경된 설계 사양에 즉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전반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화된 분전반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 개폐 도어를 장착하지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전반 케이스의 모듈화된 부품들을 조립 위치에 배열시켜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부품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전반 케이스의 모듈화된 부품들을 조립 위치에 배열시켜 나타낸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측판 프레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후면판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의한 후면판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에 있어서 전체를 부호 1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10)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후면(12,14) 사이로 연장되는 ㄴ 자 단면 형상의 베이스부(16)와, 그 베이스부(16)의 전후 양측 코너부위, 즉 전후면(12,14)에 접하여 각기 베이스부(16)의 경계부위를 넘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18a,20a)와 제2돌출부(18b,20b)가 서로 ㄴ 자 형상을 이루는 전후방측 끼움부재(18,20)로 구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재(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모서리부재(22)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직육면체의 각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 마다에 위치되며, 이 모서리부재(22) 사이를 도 11에 도시하는 구조의 측판프레임부재(24)가 접속연결하게 된다.
상기 모서리부재(22)의 전면(12) 코너부위, 즉 3개의 모서리선이 만나는 꼭지 부분을 포함한 모서리선들은 둥글게 라운딩(52) 처리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18a,20a)(18b,20b)는 각기 계단식 단면 또는 ㄷ 자 단면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 같은 단면 구조는 강도를 크게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추후 설명하는 측판프레임부재(24)와 끼워 맞춤 결합 시 소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18a,20a)(18b,20b) 마다에는 상기 측판프레임부재(24)를 고정시키기 위한 피스체결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ㄴ 자 단면 형상의 베이스부(16)에는 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덧살보강부(28)를 형성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처럼 상기 측판프레임부재(24)는 일정한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도록 알루미늄이나 그의 합금을 사용하여 길게 압출 제작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1개의 분전반 케이스(10) 제작에 4개가 사용되는 데, 그의 측판부(30)의 일측, 즉 도시하지 아니한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전방측 끼움부재(18)의 제1 또는 제2돌출부(18a,18b)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32)를 가지는, 측면에서 보아서 대략 입구자 형상의 전방측 결합부재(34)와, 상기 측판부(30)의 타측, 즉 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후방측 끼움부재(20)의 제1 또는 제2돌출부(20a,20b)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36)를 가지는 측면에서 보아서 대략 입구자 형상의 후방측 끼움부재(38)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전후방측 결합부재(34,38)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 단부에는 상기 피스체결공(26)에 일치하는 피스체결공(4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방측 결합부재(34)의 내측에는 45°경사면(42)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의 스토퍼판(4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전방 측에 개폐 도어가 장착될 때 닫힌 도어가 케이스의 내측으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스토퍼판(44)에 밀착하여 지지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프레임부재(24)의 후방측 끼움부재(38)의 안쪽에는 ㄷ 자 형상의 단면 구조에 의해 일측을 향해 개방되게 후면판삽입홈(46)이 마련되어 있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마치 함체처럼 생긴 후면판부재(48)의 사방의 테두리 부위인 플랜지(50)가 상기 후면판삽입홈(46) 내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서리부재(22)의 전방 측 코너 부분뿐 아니라, 이 라운딩(52) 부분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상기 측판프레임부재(24)의 전방 측 모서리 부분 역시 날카롭고 뾰족한 부분에 의해 사람들이 다치는 일이 없도록 둥글게 라운딩(54) 처리하고 있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각 부재(22,24,48)들을 배치한 상태에서 전후방 측 제1 및 제2돌출부(18a, 20a)(18b,20b)를 전후방측 결합부재(34,38)의 공간부(32,36)에 끼워 맞춤한 후 고정나사(54)들을 사용하여 피스체결공(40)(26)에 강제로 힘을 가해 조여 붙이게 되면 피스체결공(40)(26)에 나사가 형성되면서 나사 체결되어 양측 부재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도 3과 같이 분전반 케이스(1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며, 이 같은 조립에 용접이나 별도의 후처리 가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숙련자들도 생산성 높게 조립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분전반 케이스 12 : 전면
14 : 후면 16 : 베이스부
18 : 전방 측 끼움부재 18a : 제1돌출부(전방 측)
18b : 제2돌출부(전방 측) 20 : 끼움부재(후방 측)
20a : 제1돌출부(후방 측) 20b : 제2돌출부(후방 측)
22 : 모서리부재 24 : 측판프레임부재
26 : 피스 체결공 28 : 덧살보강부
30 : 측판부 32 : 공간부
34 : 전방측 결합부재 36 : 공간부
38 : 후방측 결합부재 40 : 피스 체결공
42 : 경사면 44 : 스토퍼판
46 : 후면판삽입홈 48 : 후면판부재
50 : 플랜지 52 : 라운딩
54 : 라운딩 56 : 고정나사

Claims (4)

  1. 분전반 케이스의 전후면 사이로 연장되는 ㄴ 자 단면 형상의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의 전후 양측 코너에 각기 베이스부의 경계부위를 넘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ㄴ 자 형상을 이루는 전후방측 끼움부재로 구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재와;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전방측 결합부재와, 상기 측판부의 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후방측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케이스의 4개의 측면부를 구성하게 되는 4개의 측판 프레임부재와; 상기 측판프레임부재의 후방측 결합부재의 안쪽에 형성되는 후면판삽입홈과; 사방의 테두리 부위가 상기 후면판삽입홈 내에 끼워져 조립되는 후면판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전후방측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 각기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나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제1 및 제2돌출부는 계단형 또는 ㄷ 자형 단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부재는 상기 후면판삽입홈 내에 끼워지는 플랜지를 사방에 구비한 함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재의 전방 측 코너 부분과 모서리 및 상기 측판프레임부재의 전방 측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KR1020140042795A 2014-04-10 2014-04-10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KR20150117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95A KR20150117400A (ko) 2014-04-10 2014-04-10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95A KR20150117400A (ko) 2014-04-10 2014-04-10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00A true KR20150117400A (ko) 2015-10-20

Family

ID=5439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795A KR20150117400A (ko) 2014-04-10 2014-04-10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40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00B1 (ko) 2018-06-22 2019-05-28 김요숙 조립식 분전함
CN111864575A (zh) * 2020-08-28 2020-10-30 简得林 一种电力配电柜整体精确安装设备
KR102180694B1 (ko) * 2020-06-25 2020-11-19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KR102201219B1 (ko) * 2020-08-21 2021-01-1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CN113161908A (zh) * 2021-04-26 2021-07-23 李德鲁 一种便于监测部件装卸检修的户外配电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00B1 (ko) 2018-06-22 2019-05-28 김요숙 조립식 분전함
KR102180694B1 (ko) * 2020-06-25 2020-11-19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KR102201219B1 (ko) * 2020-08-21 2021-01-1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CN111864575A (zh) * 2020-08-28 2020-10-30 简得林 一种电力配电柜整体精确安装设备
CN113161908A (zh) * 2021-04-26 2021-07-23 李德鲁 一种便于监测部件装卸检修的户外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7400A (ko)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
CA3005317C (en) Split connector and modular frame comprising such a split connector
KR101524233B1 (ko)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JP2015194062A (ja) フェンス及び安全柵
KR101617876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수배전반
KR102159030B1 (ko) 복합패널로 형성하는 접속반의 몸통구조
KR100880625B1 (ko) 분배전반용 배전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전함
US3146298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101648911B1 (ko) 벽체 매입형 통합분전반용 박스
KR101074961B1 (ko)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KR100750390B1 (ko) 건축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AU2009251100B2 (en) Weatherproof Frame Sealing Arrangement
KR101495868B1 (ko)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KR101751651B1 (ko) 이중 및 대칭구조 3축 코너편을 적용한 볼팅구조 내진 배전반
EP1897465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etal cabinets
KR20060124447A (ko)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1610455B1 (ko) 분전반의 부스바 고정클립
KR20130137276A (ko) 투명 배전함
KR20180028828A (ko) 원터치 연결구가 구비되는 조립식 분전반 함체
KR20120041495A (ko) 조립식 컨트롤 박스
KR101716246B1 (ko)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구조
DE202010011402U1 (de) Anordnung zur Abdeckung eines Kaltgangs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AU2009251102B2 (en) A Gland Plate Conn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