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841A -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 Google Patents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841A
KR20190104841A KR1020180032169A KR20180032169A KR20190104841A KR 20190104841 A KR20190104841 A KR 20190104841A KR 1020180032169 A KR1020180032169 A KR 1020180032169A KR 20180032169 A KR20180032169 A KR 20180032169A KR 20190104841 A KR20190104841 A KR 20190104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enclosure
panel
main body
condensa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건희
Original Assignee
오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건희 filed Critical 오건희
Publication of KR2019010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부품과 전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함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물방울이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전자 부품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하는 결로 방지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커버하는 판넬과, 상기 판넬에 구비되어 습기를 흡수하는 제1흡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판넬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1흡습부재가 착탈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판넬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1흡습부재가 착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a box for preventing dr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부품과 전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함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물방울이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전자 부품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하는 결로 방지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거나 전기통신용으로 사용되는 함체는 분전반, 배전반, 변압반 등으로 불리우는데, 이러한 함체는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중에서 대표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되는 배전반 같은 것의 경우, 종종 집중호우시에 도로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침수되기도 하고, 차량이 충돌하여 파손되기도 한다.
그리고, 전술한 문제는 배전반의 설치 위치에 따른 문제지만, 습기로 인한 문제는 배전반과 같은 함체의 설치 위치와 무관 하게 공통적으로 발생된다.
즉, 함체의 내부 공기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함체의 내부면에 결로가 쉽게 발생되며, 이러한 결로 현상 때문에 습기에 취약한 각종 전기, 전자 부품들은 오작동을 일으키기도 하고 누전으로 인해 파손되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85889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박스홈바닥부와 상기 박스홈바닥부와 협조하여 요형의 박스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홈둘레벽부를 갖도록 건물외벽체의 실내표면에 형성된 박스홈에 설치되는 전기부품박스에 있어서, 관형태의 외함체측면부와 상기 외함체측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의 함체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함체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외함체후면부를 가지고, 상기 외함체후면부가 상기 박스홈바닥부를 향하도록 상기 박스홈에 설치되는 외함체와; 관형태의 내함체측면부와 상기 내함체측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의 전선인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함체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내함체후면부와 상기 내함체후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내함체측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일영역에 설치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내함체전면부를 가지고, 상기 설치개구가 실내공간에 노출되고 상기 내함체 후면부가 상기 외함체후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함체공간에 설치되는 내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858893호에 기재된 기술은 내함체 후면부가 외함체 후면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내함체가 외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전선 인입 공간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함체의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이에 의해 내벽면을 따라 결로가 발생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고 그에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다른 전기전자 부품이 수분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5889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160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전기전자부품 및 전선이 구비되는 함체의 내측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흡습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함체 내부의 습도를 낮게 유지하여 결로현상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함체의 내벽을 따라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한 물방울을 흡수하도록 하여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전자부품과 수분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판넬에 흡습부재를 구비하되, 판넬의 상면에는 결로에 의해 발생하는 물방울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로를 형성하고, 배수로의 단부가 흡습부재와 연결되도록 하여 흡습부재를 통하여 수분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부재의 하부에는 판넬을 상하 관통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어 흡습부재로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넘을 경우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흡습부재의 내부 공극을 통하여 흡수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과 수분이 접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커버하는 판넬과, 상기 판넬의 상부에 구비되어 습기를 흡수하는 제1흡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판넬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1흡습부재가 착탈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판넬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1흡습부재가 착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흡습부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의 하면에는 제2흡습부재의 상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넬의 상면에는 상기 제2흡습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에는 판넬을 상하 관통하는 배수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과 제2흡습부재 사이에는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의 단부는 상기 안착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수로는 안착홈 방향이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서브랙이 설치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는 본체의 양측면과 접하도록 제1방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랙의 양측에는 제2방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방열판의 측면에는 상기 제1방열판의 요부에 삽입되도록 방열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랙의 상부 양측 또는 하부 양측에는 본체의 측면과 접하도록 제3방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브랙의 상면과 본체 사이, 또는 서브랙의 하면과 본체 사이에는 제3방열판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랙의 상면 또는 에는 상기 제3방열판의 요부에 삽입되는 열전달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전기전자부품 및 전선이 구비되는 함체의 내측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흡습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함체 내부의 습도를 낮게 유지하여 결로현상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함체의 내벽을 따라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한 물방울을 흡수하도록 하여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전자부품과 수분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함체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판넬에 흡습부재를 구비하되, 판넬의 상면에는 결로에 의해 발생하는 물방울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로를 형성하고, 배수로의 단부가 흡습부재와 연결되도록 하여 흡습부재를 통하여 수분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부재의 하부에는 판넬을 상하 관통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어 흡습부재로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을 넘을 경우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흡습부재의 내부 공극을 통하여 흡수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과 수분이 접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판넬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에 서브랙이 설치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방열판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1방열판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2방열판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3방열판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제2방열판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7 실시 예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서브랙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에 서브랙이 설치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방열판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판넬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에 서브랙이 설치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방열판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1방열판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2방열판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3방열판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제2방열판의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7 실시 예에 따른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서브랙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부에 서브랙이 설치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의 방열판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구(120)를 커버하는 판넬(200)과 상기 판넬(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흡습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도어(110)가 구비되어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 및 전선을 설치하게 되며, 하부에는 판넬(200)에 의해 커버되는 개방구(120)가 형성되어 전선 및 단자를 용이하게 본체(100)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구(120)의 측부에는 판넬 고정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판넬(200)을 나사 결합 등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판넬(200)과 판넬 고정부(130) 사이에는 패킹(140)이 구비되어 밀폐력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20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전선이나 단자가 설치되는데, 판넬(200)의 상면 일측에는 지지부재(400)가 구비되어 상기 제1흡습부재(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판넬(200)의 상면에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410)와 'C'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흡습부재(300)가 착탈되는 결합부(420)와 상기 결합부(420)와 고정부재(410)를 연결하는 지지대(43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제1흡습부재(300)를 착탈할 수 있어, 수명이 다한 제1흡습부재(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흡습부재(3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알갱이 형태의 흡습재(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케이스(310)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부호 미도시)이 형성되어 함체 내부의 습기가 상기 흡습재(320)와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습재(320)는 다수의 미세 기공이 형성되는 제올라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통하여 유입된 함체 내부의 습기를 다량 흡수하여 함체 내부의 습기를 저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0)의 일측은 개방되게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는 케이스 커버(312)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흡습재(320)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전술한 바처럼 수명이 다한 흡습재(320)를 교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판넬(200)의 상면 일측에는 안착홈(2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홈(220)에는 사각 바 형상의 제2흡습부재(500)의 하부가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220)은 상기 지지부재(4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부(410)의 하부에는 상기 제2흡습부재(500)의 상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412)이 형성되어, 상기 제2흡습부재(50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흡습부재(500)는 제올라이트 분말과 물을 혼합한 반죽을 금형에 주입하여 외형을 성형한 후, 이를 소성 가공하여 형성하거나, 금형의 내부에 제올라이트 분말을 주입한 후 적정 온도에서 소결 가공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흡습부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극이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2흡습부재(500)가 다량의 수분을 흡수할 경우, 내부에 형성되는 공극에 의해 수분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흡습부재(500)가 안착되는 안착홈(220)에는 판넬(200)을 상하 관통하도록 배수공(222)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흡습부재(500)가 한계치의 수분을 흡수할 경우, 공극을 통하여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고, 이렇게 배출되는 수분은 상기 배수공(2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제2흡습부재(500)는 함체 내부의 수분이나 결로 현상에 의한 수분을 흡수할 때, 한계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상기 배수공(222)을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과 수분이 접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판넬(200)의 상면에는 배수로(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로(230)의 단부는 상기 안착홈(220)과 연결되어, 함체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본체(100)의 내벽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물방울이 판넬(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수로(230)를 통하여 안착홈(220)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결로에 의한 수분이 함체 내부에 위치하는 전기전자 부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로(230)는 판넬(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안착홈(220)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수로(230)는 상기 안착홈(2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홈(220)쪽으로 갈수록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된 물방울이 상기 배수로(230)를 통하여 안착부(220)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결로 현상이 발생할 경우, 배수로(230)에 의해 안착홈(220)에 설치된 제2흡습부재(500)에서 흡수하게 되어, 결로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물방울이 상기 판넬(200)에 구비되는 각종 단자나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전자 부품과 접촉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측에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모듈부재가 슬롯타입으로 착탈되는 서브랙(8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서브랙(8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90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900)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910)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랙(800)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810)가 삽입되어, 서브랙(8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900)의 사이에는 제1방열판(61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방열판(610)은 본체(100)의 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900)의 하면과 본체(100)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900)의 상면에는 각각 결합홈(9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940)에는 상기 제1방열판(610)을 본체(100)의 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방열판 고정바(93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방열판 고정바(930)는 제1방열판(610)을 형성하는 요부와 철부 중에서 요부에 삽입되어 제1방열판(610)이 본체(100)의 측면과 완전히 밀착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서브랙(800)에 설치된 모듈부재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제1방열판(610)을 통하여 신속하게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랙(800)의 양측에는 열전달판(6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열전달판(640)의 측면에는 제1방열판(610)을 형성하는 요부와 철부 중에서 요부에 삽입되도록 열전달핀(642)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900)에는 상기 열전달판(640)을 서브랙(800)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밀착부재(9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밀착부재(920)는 국재공개특허(WO 88/08661)에서 이미 공개된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제1방열판(610)과 서브랙(800) 사이에는 열전달핀(642)이 형성된 열전달판(640)이 구비됨으로서, 열전달판(640)과 제1방열판(610)을 통하여 서브랙(80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보다 신속하게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판(640)의 상부와 하부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644)가 구비되어 열전달판(640)을 측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900)에 각각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볼트(644)를 고정할 때, 상기 열전달판(64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재(920)을 통하여 상기 열전달판(64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서브랙(800)의 측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브랙(8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가 개방되어, 서브랙(800)에 설치되는 모듈부재가 상기 열전달판(640)과 직접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인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브랙(800)의 양측면이 상기 열전달판(64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랙(800)의 상부 양측,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랙(800)의 하부 양측에는 제2방열판(62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2방열판(620)은 본체(100)의 내부 양측면뿐만 아니라 상면 또는 하면과 동시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서브랙(80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본체(100)의 상면과 측면을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랙(8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가이드부(8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820)에 형성되는 체결부(822)에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830)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830)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지지볼트(835)가 나사 결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볼트(835)의 단부는 측부에 위치하는 제2방열판(620)을 본체(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2방열판(620)이 본체(100)의 측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특허는 기본적으로는 전봇대에 설치되어 사용하게 되므로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여 상부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지만, 변압기나 별도로 구비되는 함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랙(800)이 상하 반전된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제2방열판(620)은 다수개의 방열판(622)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방열판 사이에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좋은 열전도판(6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방열판(620)은 본체(100)의 측면뿐만 아니라 상면 또는 하면과도 밀착하게 되므로, 서브랙(800)에서 발생된 열기를 본체(100)의 측면뿐만 아니라 상면 또는 하면으로 배출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열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2방열판(620)은 요부와 철부가 번갈아가며 이루어지는데, 상기 철부 또는 요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 아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와 접하는 부분이 많아지게 되고 파형에 의해 공기가 부딪힘에 따라 와류가 형성되어 공기가 접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열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방열판(620)을 형성하는 방열판(622)은 파형으로 형성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특허의 함체가 설치되는 위치가 전봇대와 같이 외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가 측방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외부가 아닌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눈의 유입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622)에 상하로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랙(800)의 상부와 본체(100) 사이,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랙(800)의 하부와 본체(100) 사이에는 제3방열판(63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서브랙(80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열전달핀(840)이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방열판(630)을 형성하는 요부와 철부 중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부에 상기 열전달핀(840)이 삽입되어, 서브랙(800)에서 발생된 열기가 열전달핀(840)을 통하여 제3방열판(630)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렇게 전달된 열기는 본체(100)의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1,2,3방열판(610,620,630)을 통하여 본체(100)의 상면, 양측면, 하면을 통하여 열기를 배출하게 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본체(100)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서브랙(800)에 설치된 모듈부재가 열기에 의해 오작동을 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부품과 전선이 내부에 구비되는 함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물방울이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전자 부품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하는 결로 방지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도어
120 : 개방구 130 : 판넬 고정부
200 : 판넬 210 : 관통공
220 : 안착홈 222 : 제1걸림턱
224 : 배수공 230 : 배수로
300 : 제1흡습부재 310 : 몸체
320 : 제2걸림턱 330 : 돌출부
400 : 고정부재 410,410' : 가압부
420,420' : 고정부 500 : 제2흡습부재
610 : 제1방열판 620 : 제2방열판
630 : 제3방열판 800 : 서브랙
900 : 가이드부재

Claims (13)

  1.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커버하는 판넬과,
    상기 판넬의 상부에 구비되어 습기를 흡수하는 제1흡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1흡습부재가 착탈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판넬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1흡습부재가 착찰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습부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에는 제2흡습부재의 상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넬의 상면에는 상기 제2흡습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판넬을 상하 관통하는 배수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제2흡습부재 사이에는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의 단부는 상기 안착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안착홈 방향이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서브랙이 설치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사이에는 본체의 양측면과 접하도록 제1방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랙의 양측에는 열전달판이 구비되고, 상기 열전달판의 측면에는 상기 제1방열판의 요부에 삽입되도록 열전달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랙의 상부 양측 또는 하부 양측에는 본체의 측면과 접하도록 제2방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랙의 상부 양측 또는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제2방열판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삽입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지지볼트가 좌우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방열판을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랙의 상면과 본체 사이, 또는 서브랙의 하면과 본체 사이에는 제3방열판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랙의 상면 또는 에는 상기 제3방열판의 요부에 삽입되는 열전달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이 구비된 결로 방지용 함체.
KR1020180032169A 2018-03-02 2018-03-20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KR20190104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25003 2018-03-02
KR1020180025003 2018-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841A true KR20190104841A (ko) 2019-09-11

Family

ID=6794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69A KR20190104841A (ko) 2018-03-02 2018-03-20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48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019B1 (ko) * 2019-09-19 2020-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한전 입찰식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 공유기
KR102089016B1 (ko) * 2019-09-20 2020-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KR102118316B1 (ko) * 2020-01-21 2020-06-04 김응석 접속반의 온도 조절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93B1 (ko) 2007-12-24 2008-09-17 김종오 외벽체용 전기부품박스
KR101716089B1 (ko) 2016-05-23 2017-03-14 김상조 습기 및 결로 방지가 가능한 배전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93B1 (ko) 2007-12-24 2008-09-17 김종오 외벽체용 전기부품박스
KR101716089B1 (ko) 2016-05-23 2017-03-14 김상조 습기 및 결로 방지가 가능한 배전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019B1 (ko) * 2019-09-19 2020-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한전 입찰식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 공유기
KR102089016B1 (ko) * 2019-09-20 2020-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KR102118316B1 (ko) * 2020-01-21 2020-06-04 김응석 접속반의 온도 조절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4841A (ko)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US8758061B2 (en) Supply module and drive module
KR101486292B1 (ko) 엘이디 터널등기구
BR102012029449A2 (pt) Módulo de montagem de componente eletrônico, e, aparelho de conversão de energia
JP2009054861A (ja) 電子装置
EP1422983B1 (de) Trittfestes, wärmeableitendes und -abstrahlendes Kunststoffgehäuse mit Kühl-/Tragrippen und umspritztem Kühlkörper und Verfahren zu dessen Fertigung
CA2231214A1 (en) Heat dissipating box
KR101744145B1 (ko) 옥외 등주용 진공 이중 배전반
KR200408966Y1 (ko) 에어벤트가 마련된 분전반
KR20180025497A (ko)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KR100660528B1 (ko)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2006798B1 (ko) 옥외용 전기기기 함체
KR20150110939A (ko) 방열과 방수 기능을 갖는 케이스
KR102390776B1 (ko) 기류 방열기능을 갖는 전기외함
KR200431611Y1 (ko) 수냉식 버스바 구조 및 수냉식 버스바가 장착된 정션박스
KR102064520B1 (ko) 배전반 방열구 커버장치
KR100918832B1 (ko) 무선통신 중계기
KR20190021026A (ko) 방열 트레이가 구비되는 결로 방지를 위한 ami용 dcu 함체
US20180199467A1 (en) Door cooler
KR100915094B1 (ko)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의 냉각장치
JP3705751B2 (ja) 防水インバータ
CN219678307U (zh) 一种防尘电源模块结构
KR101786635B1 (ko) 전자 제어 장치
CN214192129U (zh) 一种智能ard单相停电自动救援装置
CN210608076U (zh) 一种组合式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