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016B1 -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 Google Patents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016B1
KR102089016B1 KR1020190115769A KR20190115769A KR102089016B1 KR 102089016 B1 KR102089016 B1 KR 102089016B1 KR 1020190115769 A KR1020190115769 A KR 1020190115769A KR 20190115769 A KR20190115769 A KR 20190115769A KR 102089016 B1 KR102089016 B1 KR 102089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heat
communication cable
heat dissipation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1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5Cooling of active equipments, e.g. air 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6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11)의 우측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배출홀(11a)을 갖추며, 전측이 개구된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가이드패널(12a)과,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으로부터 이격되며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패널(12b)을 갖추고서, 상하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패널(12)과;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가이드패널(12) 중 가장 하방에 위치한 가이드패널(12)의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가이드패널(13)과; 상하로 개구된 발열부삽입홀(14a)과, 단열부재(14)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유입홀(14b)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14)와; 케이스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본체(11)를 개폐하는 커버(15)와; 케이스본체(11)에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잭(16)으로 구성된 케이스(10)와:
연결잭(16)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와:
커버(15)의 표면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0)와:
제1,2가이드패널(12a,12b)의 전측이 맞닿는 다수의 접촉부(21)를 구비하고, 접촉부(21)를 회피하여 중계기용모듈(MD)이 배치되며, 커버(15)의 내부 후측에 설치되는 마더보드(20)와:
흡열부(31a)가 상측에 구비되고 발열부(31b)가 하측에 구비되되, 흡열부(31a)가 케이스본체(11) 내부로 노출되고, 발열부(31b)가 단열부재(14)의 발열부삽입홀(14a)에 삽입설치되는 열전소자부재(31)와; 냉각유로(32a)가 방열부재(32) 내부에 구비되되, 냉각유로(32a)의 일측이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과 연통되고, 냉각유로(32a)의 타측이 방열부재(32) 외부로 개구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이 케이스본체(11)를 관통하여 케이스본체(11) 외부로 노출되는 방열부재(32)와; 상면이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상면 전후측에 가이드부(33a)가 각각 구비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흡열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열전도 재질의 냉각열전도부재(33);를 갖춘 열전냉각기(30)와: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패널부(81)와; 통기홀(82a)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열전냉각기(30)를 기준으로 제1지지패널부(8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지지패널부(82)와; 제1,2지지패널부(81,82)의 하측에 구비되어 방열부재(3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바닥패널부(83);를 갖춘 지지기구(80)와:
상방으로 개구된 수분흡수체수용홈(91a)을 구비하여, 바닥패널부(8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응결수수용부재(91)와; 응결수수용부재(91)의 수분흡수체수용홈(91a)에 설치되며,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로부터의 응결수를 흡수하는 수분흡수체(92);를 갖춘 응결수수용기구(90)와: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습도감지센서(110)와: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며, 습도감지센서(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2지지패널부(82)의 통기홀(82a)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기(120)와:
케이스본체(11)의 좌측 하부에 설치되어 우방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흡입팬(40)과:
케이스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50)와: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 디스플레이(100), 열전소자부재(31), 흡입팬(40), 온도센서(5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Communication Repeater}
본 발명은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와이파이, LTE와 같은 인터넷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증가에 따라, 중계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계기의 냉각을 위해 최근에는 냉각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중계기는 내부 기기의 발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고, 내부 열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지 못해 중계기의 내부 기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냉각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해, 중계기 주변의 고온 열이 중계기에 이웃하는 기기에 악영향을 주었다.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내부에 습기가 발생할 시 이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어려웠으며, 바닥에 직립할 시 안정적으로 세우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중계기 주변이 다습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중계기에 연결되는 통신라인(예를 들어 원거리 송출을 위한 통신 케이블)의 접속 상태 또는 접속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69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중계기 내부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중계기용 모듈이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하고, 중계기 내부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중계기용 모듈의 손상을 방지하며, 중계기 외부로의 열 발산을 줄일 수 있고, 중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중계기로부터 배출되는 응결수를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중계기에 연결되는 통신라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중계기 하방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11)의 우측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배출홀(11a)을 갖추며, 전측이 개구된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가이드패널(12a)과,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으로부터 이격되며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패널(12b)을 갖추고서, 상하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패널(12)과;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가이드패널(12) 중 가장 하방에 위치한 가이드패널(12)의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가이드패널(13)과; 상하로 개구된 발열부삽입홀(14a)과, 단열부재(14)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유입홀(14b)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14)와; 케이스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본체(11)를 개폐하는 커버(15)와; 케이스본체(11)에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잭(16)으로 구성된 케이스(10)와:
연결잭(16)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와:
커버(15)의 표면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0)와:
제1,2가이드패널(12a,12b)의 전측이 맞닿는 다수의 접촉부(21)를 구비하고, 접촉부(21)를 회피하여 중계기용모듈(MD)이 배치되며, 커버(15)의 내부 후측에 설치되는 마더보드(20)와:
흡열부(31a)가 상측에 구비되고 발열부(31b)가 하측에 구비되되, 흡열부(31a)가 케이스본체(11) 내부로 노출되고, 발열부(31b)가 단열부재(14)의 발열부삽입홀(14a)에 삽입설치되는 열전소자부재(31)와; 냉각유로(32a)가 방열부재(32) 내부에 구비되되, 냉각유로(32a)의 일측이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과 연통되고, 냉각유로(32a)의 타측이 방열부재(32) 외부로 개구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이 케이스본체(11)를 관통하여 케이스본체(11) 외부로 노출되는 방열부재(32)와; 상면이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상면 전후측에 가이드부(33a)가 각각 구비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흡열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열전도 재질의 냉각열전도부재(33);를 갖춘 열전냉각기(30)와: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패널부(81)와; 통기홀(82a)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열전냉각기(30)를 기준으로 제1지지패널부(8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지지패널부(82)와; 제1,2지지패널부(81,82)의 하측에 구비되어 방열부재(3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바닥패널부(83);를 갖춘 지지기구(80)와:
상방으로 개구된 수분흡수체수용홈(91a)을 구비하여, 바닥패널부(8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응결수수용부재(91)와; 응결수수용부재(91)의 수분흡수체수용홈(91a)에 설치되며,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로부터의 응결수를 흡수하는 수분흡수체(92);를 갖춘 응결수수용기구(90)와: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습도감지센서(110)와: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며, 습도감지센서(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2지지패널부(82)의 통기홀(82a)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기(120)와:
케이스본체(11)의 좌측 하부에 설치되어 우방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흡입팬(40)과:
케이스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50)와: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 디스플레이(100), 열전소자부재(31), 흡입팬(40), 온도센서(5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다수의 가이드패널(12)이 상하로 배치되어 지그재그 모양의 배출로(ER)가 형성됨으로써, 열전냉각기(30)에 의해 냉각된 냉각 공기가 배출로(ER)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본체(11)의 배출홀(11a)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패널(12)이 마더보드(20)의 접촉부(21)에 맞닿게 배치되고, 마더보드(20)에 설치되는 중계기용 모듈이 가이드패널(12)을 회피되게 배치되어, 배출로(ER)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을 통해 중계기용 모듈을 신속하고 고르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더보드(20)에 구비된 중계기용 모듈이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열전도부재(33)를 통과한 냉각 공기가 경사가이드패널(13)의 상면을 따라 상방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경사가이드패널(13)과 냉각열전도부재(33) 사이를 통과하여 경사가이드패널(13) 하방으로 유입된 냉각 공기가 경사가이드패널(13)의 하면을 따라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로 안정적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가이드패널(14)의 상방으로 이동한 냉각 공기가 중계기용 모듈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로 유입된 냉각 공기가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를 경유하여 배출됨으로써, 방열부재(32)를 통한 열전소자부재(31)의 발열부(31b)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소자부재(31)의 발열부(31b)가 단열부재(14)에 의해 감싸져, 발열부(31b)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케이스(10) 내부의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냉각 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열전소자부재(31)를 이용하는 데, 이로 인해 열전소자부재(31)의 상면에 응결수가 맺히기 쉽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열전소자부재(31)에 냉각열전도부재(33)를 설치하는 데, 냉각열전도부재(33)에는 가이드부(33a)가 구비되고, 냉각열전도부재(33)의 상면이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을 향해 경사져, 냉각열전도부재(33)의 상면에서 발생한 응결수가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로 안정적으로 유입되면서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전냉각기(30)를 통한 공기 냉각과 더불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습도를 낮춰, 습도에 의해 중계기용 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응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냉각유로(32a)를 통과하는 응결수가 방열부재(32)를 냉각시켜, 방열부재(32)를 통한 열전소자부재(31)의 발열부(31b)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구(80)를 통해 본 발명의 중계기를 안정적으로 직립배치시킬 수 있으며, 지지기구(80)의 케이스본체(11)에서 착탈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중계기를 직립할 때만 지지기구(80)를 케이스본체(11)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기의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설치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에서 배출되는 응결수를 응결수수용기구(90)에 수용할 수 있어, 응결수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이 어느 연결잭(16)에 접속되었는지를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또 다른 통신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여분의 연결잭(16)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통신케이블의 접속 위치 확인을 통해 통신케이블이 위치를 알 수 있어, 통신케이블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다수의 통신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결수를 응결수수용기구(90)에 수용할 시, 응결수를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중계기의 하부가 다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지지기구 및 응결수수용기구를 생략하여 케이스본체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지지기구 및 응결수수용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지지기구 및 응결수수용기구를 나타낸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지지기구 및 응결수수용기구를 생략하여 케이스본체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지지기구 및 응결수수용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지지기구 및 응결수수용기구를 나타낸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상에서 좌측 및 우측을 전방 및 후방으로 설명하고, 도 5 상에서 좌측 및 우측을 좌방 및 우방으로 설명하며, 이에 따라 나머지 방향성을 상대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케이스(10)와,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와, 디스플레이(100)와, 마더보드(20)와, 열전냉각기(30)와, 지지기구(80)와, 응결수수용기구(90)와, 습도감지센서(110)와, 송풍기(120)와, 흡입팬(40)과, 온도센서(50) 및, 제어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와, 연결잭(16)와, 경사가이드패널(13)과, 단열부재(14)와, 커버(15) 및, 연결잭(16)을 갖춘다.
상기 케이스본체(11)는, 케이스본체(11)의 우측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배출홀(11a)을 갖추며, 전측이 개구된다.
상기 가이드패널(12)은,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가이드패널(12a)과,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으로부터 이격되며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패널(12b)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패널(12)은 다수개가 상하로 설치되어, 흡입팬(4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홀(11a)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패널(12)은 케이스본체(11)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지만,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케이스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패널(13)은,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가이드패널(12) 중 가장 하방에 위치한 가이드패널(12)의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경사가이드패널(13)은 케이스본체(11)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지만,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케이스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가이드패널(13)과 다수의 가이드패널(12)의 상하 배치를 통해 지그재그 모양의 배출로(ER)가 형성되어, 흡입팬(4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지그재그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케이스본체(11)의 배출홀(11a)로 이동한다.
상기 단열부재(14)는, 상하로 개구된 발열부삽입홀(14a)과, 단열부재(14)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유입홀(14b)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홀(14b)은 단열부재(14)의 우측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1개 더 형성된다.
상기 커버(15)는 케이스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본체(11)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15)는 우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버(15)는 맞물림 체결(도 1,2 참조) 또는 볼팅 체결 등을 통해 케이스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잭(16)은 케이스본체(11)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잭(16)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다수의 중계기용모듈(MD; 중계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신케이블과 접속하는 입력측연결잭(16a)과, 원거리의 또 다른 중계기(또는 근거리의 공유기)의 통신케이블과 접속하는 출력측연결잭(16b)을 갖춘다.
상기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구비되어, 다수의 연결잭(16)에 각각 설치되며,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는 입력측연결잭(16a) 및 출력측연결잭(16b)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는 통신케이블을 감지할 수 있으면, 접촉 센서 또는 비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가 접촉 센서이고, 연결잭(16) 내부에 설치되면, 통신케이블의 선단이 연결잭(16)에 삽입될 시,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가 연결잭(16)과의 접촉을 감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에 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통신케이블이 각각의 연결잭(16)에 접속할 시, 제어유닛(60)이 해당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를 확인하여, 통신케이블의 접속 위치를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측연결잭(16b)에, 원거리의 또 다른 중계기와의 연결을 위한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이 접속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5)의 표면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유무를 표시한다.
상기 마더보드(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가이드패널(12a,12b)의 전측이 맞닿는 다수의 접촉부(21)를 구비하고, 접촉부(21)를 회피하여 중계기용모듈(MD)이 배치(설치)되며, 커버(15)의 내부 후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기용모듈(MD)은 중계기에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이 적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가이드패널(12a,12b)가 접촉부(21)에 맞닿지만, 제1,2가이드패널(12a,12b)가 접촉부(2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열전냉각기(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부재(31)와, 방열부재(32) 및, 냉각열전도부재(33)를 갖춘다.
상기 열전소자부재(31)는, 흡열부(31a)가 상측에 구비되고 발열부(31b)가 하측에 구비되되, 흡열부(31a)가 케이스본체(11) 내부로 노출되고, 발열부(31b)가 단열부재(14)의 발열부삽입홀(14a)에 삽입설치된다. 이러한 열전소자부재(31)는 제어유닛(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60)의 제어에 의해 흡열 및 발열이 이루어진다. 이때 열전소자부재(31)는 케이스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기(PW)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열전소자부재(31)는 열전 효과를 나타내는 통상의 열전소자가 적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기(PW)는 케이스본체(10) 내부 하측에 구비되지만, 그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재(32)는, 냉각유로(32a)가 방열부재(32) 내부에 구비되되, 냉각유로(32a)의 일측이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과 연통되고, 냉각유로(32a)의 타측이 방열부재(32) 외부로 개구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이 케이스본체(11)를 관통하여 케이스본체(11)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냉각유로(32a)는 방열부재(32) 내부를 경유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냉각유로(32a)는 폭이 큰 하나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폭이 좁게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부재(32)에는 다수개의 방열핀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열전도부재(33)는, 상면이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상면 전후측에 가이드부(33a)가 각각 구비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흡열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열전도부재(33)는 열전도 재질(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기구(80)는 도 1,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패널부(81)와, 제2지지패널부(82) 및, 바닥패널부(83)를 갖춘다.
상기 제1지지패널부(81)는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개구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제1지지패널부(81)의 상측이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지지패널부(82)는 통기홀(82a)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열전냉각기(30)를 기준으로 제1지지패널부(81)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개구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제2지지패널부(82)의 상측이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바닥패널부(83)는 제1,2지지패널부(81,82)의 하측에 구비되어 방열부재(32)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바닥패널부(83)는 본 발명의 중계기가 직립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응결수수용기구(90)는 도 1,2,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결수수용부재(91)와, 수분흡수체(92)를 갖춘다.
상기 응결수수용부재(91)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분흡수체수용홈(91a)을 구비하여, 바닥패널부(8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패널부(83)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슬라이드홈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에 응결수수용부재(9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응결수수용부재(91)는, 우단이 바닥패널부(83)의 우단보다 우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흡수체(92)는 응결수수용부재(91)의 수분흡수체수용홈(91a)에 설치되며,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로부터의 응결수를 흡수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분흡수체(92)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수분흡수체(92)의 상하 폭은 수분흡수체수용홈(91a)의 상하 폭 보다 작게 설계된다.
상기 습도감지센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어 주변 습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습도감지센서(110)는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송풍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며, 습도감지센서(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2지지패널부(82)의 통기홀(82a)을 향해 송풍한다.
상기 흡입팬(4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의 좌측 하부에 설치되어, 우방으로 바람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팬(40)은 제어유닛(6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전원공급기(PW)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팬(40)의 좌측에 필터(41)이 구비되어, 필터(41)를 통해 흡입 공기 내의 먼지가 제거된다.
상기 온도센서(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온도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센서(50)는 케이스본체(50)에 설치되지만, 마더보드(20)에 설치되어 마더보드(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 디스플레이(100), 열전소자부재(31), 흡입팬(40), 온도센서(50), 전원공급기(PW)를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60)은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지만, 마더보드(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60)은 온도센서(50)로부터 온도값을 수신하여, 케이스(10) 내부(또는 마더보드)가 기준(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전소자부재(31) 및 흡입팬(40)를 작동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60)은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연결잭(16)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의 접속을 디스플레이(100)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에 통신케이블의 접속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통신케이블의 접속 상태 및 접속 위치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관리자가 접속 가능한 여유 연결잭(16)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중계기를 직립되게 배치할 필요가 있을 시, 사용자는 응결수수용기구(90)가 설치된 지지기구(80)를 케이스본체(11)에 설치하여, 본 발명의 중계기가 바닥면에 직립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중계기는 지지기구(80)에 의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직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중계기는 연결잭(16)에 통신케이블이 접속되어, 중계기 기능을 한다.
이때, 제어유닛(60)은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연결잭(16)에 연결된 통신케이블의 접속을 디스플레이(100)에 나타낸다.
예를 들어, 출력측연결잭(16b)에, 원거리의 또 다른 중계기와의 연결을 위한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이 접속되면, 제어유닛(60)은 해당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이 어느 위치의 출력측연결잭(16b)에 연결되었는지는 인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계기 구동 중 케이스(10) 내부 온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여, 제어유닛(60)이 온도센서(50)로부터 온도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60)은 열전냉각기(30) 및 흡입팬(40)이 구동되도록 한다(이하 바람의 이동 방향은 도 7의 화살표 방향 참조).
그러면, 흡입팬(40)이 케이스(10) 외부 공기를 케이스(10) 내부로 흡입하고, 필터(41)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냉각기(30)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열전냉각기(30)를 통과한 냉각 공기중 일부는 경사가이드패널(13)의 상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 다른 일부는 경사가이드패널(13)과 냉각열전도부재(33) 사이를 통과하여 경사가이드패널(13)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경사가이드패널(13)의 하방으로 이동한 냉각 공기는 경사가이드패널(13)의 하면에 의해 좌측 하방으로 안내되어(도 7 참조),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를 통과한 후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로 유입된다. 이때 냉각유로(32a)로 유입된 냉각 공기는 방열부재(32) 내부를 냉각시키면서 방열부재(32)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방열부재(32)가 열전소자부재(31)의 발열부(31b)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가이드패널(13)의 상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 냉각 공기는, 제1가이드패널(12a)과 제2가이드패널(12b) 사이에 형성된 배출로(ER)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냉각 공기는 배출로(ER)를 통과하면서, 마더보드(20)에 설치되어 배출로(ER)로 노출된 중계기용모듈(MD, 도 1 참조)을 냉각한다. 따라서 상기 중계기용 모듈(MD)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계기용모듈(MD)을 냉각한 냉각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의 배출홀(11a)로 배출된다.
한편, 외부 공기가 다습할 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중계기용 모듈을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공기가 냉각열전도부재(33)를 통과하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다습한 습기가 응결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열전도부재(33)의 상면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응결된 응결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로 유입되어,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을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냉각유로(32a)를 경유하는 응결수는 방열부재(32)를 냉각한다.
여기서, 냉각유로(32a)로 배출되어 낙하하는 응결수는 응결수수용기구(90)의 수분흡수체(92)에 흡수된다. 이때 수분흡수체(92)에 흡수된 응결수는 일정시간 경과후 증발되어(수분흡수체가 방열부재의 하방에 위치하여 증발이 용이), 일정시간 경과후 응결수가 다시 발생하였을 경우 응결수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자가 일정 주기로 수분흡수체(92)를 교체함으로써, 응결수 처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분흡수체(92)의 수분이 증발하여 제1지지패널부(81) 및 제2지지패널부(82) 사이의 공간에 습도가 많을 시, 습도감지센서(110)가 이를 감지하고, 송풍기(120)가 일정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습도감지센서(110)로부터 수신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20)를 구동한다. 그러면 제1지지패널부(81) 및 제2지지패널부(82) 사이 공간의 공기가 신속하게 확산되면서 수분흡수체(92)의 건조를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중계기가 직립되게 설치되지만, 바닥에 누워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바닥에 누워지게 중계기가 배치될 경우에는 냉각열전도부재(33)를 열전소자부재(31)에서 분리하고, 지지기구(80) 및 응결수수용기구(90)를 중계기에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가이드패널(12)이 상하로 배치되어 지그재그 모양의 배출로(ER)가 형성됨으로써, 열전냉각기(30)에 의해 냉각된 냉각 공기가 배출로(ER)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본체(11)의 배출홀(11a)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패널(12)이 마더보드(20)의 접촉부(21)에 맞닿게 배치되고, 마더보드(20)에 설치되는 중계기용 모듈이 가이드패널(12)을 회피되게 배치되어, 배출로(ER)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을 통해 중계기용 모듈을 신속하고 고르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더보드(20)에 구비된 중계기용 모듈이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열전도부재(33)를 통과한 냉각 공기가 경사가이드패널(13)의 상면을 따라 상방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경사가이드패널(13)과 냉각열전도부재(33) 사이를 통과하여 경사가이드패널(13) 하방으로 유입된 냉각 공기가 경사가이드패널(13)의 하면을 따라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로 안정적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가이드패널(14)의 상방으로 이동한 냉각 공기가 중계기용 모듈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로 유입된 냉각 공기가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를 경유하여 배출됨으로써, 방열부재(32)를 통한 열전소자부재(31)의 발열부(31b)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소자부재(31)의 발열부(31b)가 단열부재(14)에 의해 감싸져, 발열부(31b)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케이스(10) 내부의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냉각 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열전소자부재(31)를 이용하는 데, 이로 인해 열전소자부재(31)의 상면에 응결수가 맺히기 쉽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열전소자부재(31)에 냉각열전도부재(33)를 설치하는 데, 냉각열전도부재(33)에는 가이드부(33a)가 구비되고, 냉각열전도부재(33)의 상면이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을 향해 경사져, 냉각열전도부재(33)의 상면에서 발생한 응결수가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로 안정적으로 유입되면서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전냉각기(30)를 통한 공기 냉각과 더불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습도를 낮춰, 습도에 의해 중계기용 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응결수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냉각유로(32a)를 통과하는 응결수가 방열부재(32)를 냉각시켜, 방열부재(32)를 통한 열전소자부재(31)의 발열부(31b)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구(80)를 통해 본 발명의 중계기를 안정적으로 직립배치시킬 수 있으며, 지지기구(80)의 케이스본체(11)에서 착탈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중계기를 직립할 때만 지지기구(80)를 케이스본체(11)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기의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설치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에서 배출되는 응결수를 응결수수용기구(90)에 수용할 수 있어, 응결수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이 어느 연결잭(16)에 접속되었는지를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또 다른 통신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여분의 연결잭(16)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통신케이블의 접속 위치 확인을 통해 통신케이블이 위치를 알 수 있어, 통신케이블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다수의 통신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결수를 응결수수용기구(90)에 수용할 시, 응결수를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중계기의 하부가 다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통신 중계기 기능을 함은 물론,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이 어느 연결잭(16)에 연결되는지를 확인하여, 원거리 송출 통신케이블의 접속 위치(또는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중계기'로 정의한다.
10; 케이스 20; 마더보드
30; 열전냉각기 40; 흡입팬
50; 온도센서 60; 제어유닛
70; 통신케이블감지센서 80; 지지기구
90; 응결수수용기구 100; 디스플레이
110; 습도감지센서 120; 송풍기

Claims (1)

  1. 케이스본체(11)의 우측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배출홀(11a)을 갖추며, 전측이 개구된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에 구비되며 우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가이드패널(12a)과,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구비되어 좌측이 케이스본체(11) 내부 좌측으로부터 이격되며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패널(12b)을 갖추고서, 상하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패널(12)과;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케이스본체(11) 내부 우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가이드패널(12) 중 가장 하방에 위치한 가이드패널(12)의 제1가이드패널(12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가이드패널(13)과; 상하로 개구된 발열부삽입홀(14a)과, 단열부재(14)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유입홀(14b)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단열부재(14)와; 케이스본체(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본체(11)를 개폐하는 커버(15)와; 케이스본체(11)에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잭(16)으로 구성된 케이스(10)와:
    연결잭(16)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와:
    커버(15)의 표면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의 연결잭(16) 접속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0)와:
    제1,2가이드패널(12a,12b)의 전측이 맞닿는 다수의 접촉부(21)를 구비하고, 접촉부(21)를 회피하여 중계기용모듈(MD)이 배치되며, 커버(15)의 내부 후측에 설치되는 마더보드(20)와:
    흡열부(31a)가 상측에 구비되고 발열부(31b)가 하측에 구비되되, 흡열부(31a)가 케이스본체(11) 내부로 노출되고, 발열부(31b)가 단열부재(14)의 발열부삽입홀(14a)에 삽입설치되는 열전소자부재(31)와; 냉각유로(32a)가 방열부재(32) 내부에 구비되되, 냉각유로(32a)의 일측이 단열부재(14)의 유입홀(14b)과 연통되고, 냉각유로(32a)의 타측이 방열부재(32) 외부로 개구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이 케이스본체(11)를 관통하여 케이스본체(11) 외부로 노출되는 방열부재(32)와; 상면이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상면 전후측에 가이드부(33a)가 각각 구비되어, 열전소자부재(31)의 흡열부(3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열전도 재질의 냉각열전도부재(33);를 갖춘 열전냉각기(30)와: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패널부(81)와; 통기홀(82a)을 구비하여 케이스본체(11)의 하측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열전냉각기(30)를 기준으로 제1지지패널부(8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지지패널부(82)와; 제1,2지지패널부(81,82)의 하측에 구비되어 방열부재(3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바닥패널부(83);를 갖춘 지지기구(80)와:
    상방으로 개구된 수분흡수체수용홈(91a)을 구비하여, 바닥패널부(8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응결수수용부재(91)와; 응결수수용부재(91)의 수분흡수체수용홈(91a)에 설치되며, 방열부재(32)의 냉각유로(32a)로부터의 응결수를 흡수하는 수분흡수체(92);를 갖춘 응결수수용기구(90)와: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어, 일정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습도감지센서(110)와:
    제1지지패널부(81)에 설치되며, 습도감지센서(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2지지패널부(82)의 통기홀(82a)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기(120)와:
    케이스본체(11)의 좌측 하부에 설치되어 우방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흡입팬(40)과:
    케이스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온도센서(50)와: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되어, 통신케이블감지센서(70), 디스플레이(100), 열전소자부재(31), 흡입팬(40), 온도센서(5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KR1020190115769A 2019-09-20 2019-09-20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KR102089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69A KR102089016B1 (ko) 2019-09-20 2019-09-20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69A KR102089016B1 (ko) 2019-09-20 2019-09-20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016B1 true KR102089016B1 (ko) 2020-03-13

Family

ID=69938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769A KR102089016B1 (ko) 2019-09-20 2019-09-20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46B1 (ko) * 2020-07-13 2020-11-1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KR102187778B1 (ko) * 2020-08-13 2020-12-0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옥내 통신케이블 접속식 커넥터의 이탈 방지용 스토퍼 장치
KR102187780B1 (ko) * 2020-08-12 2020-12-0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공건물의 옥내 utp 랜 회선 지지를 위한 통신선 고정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571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사라콤 통합 중계기
KR200456957Y1 (ko) 2010-02-03 2011-11-30 (주) 에이앤티에스 중계기
JP2015015008A (ja) * 2013-07-08 2015-01-2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排気ユニット、及びデータセンタ
KR20190040727A (ko) * 2017-10-01 2019-04-19 김건민 서버용 쿨링랙 장치
KR20190104841A (ko) * 2018-03-02 2019-09-11 오건희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571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사라콤 통합 중계기
KR200456957Y1 (ko) 2010-02-03 2011-11-30 (주) 에이앤티에스 중계기
JP2015015008A (ja) * 2013-07-08 2015-01-2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排気ユニット、及びデータセンタ
KR20190040727A (ko) * 2017-10-01 2019-04-19 김건민 서버용 쿨링랙 장치
KR20190104841A (ko) * 2018-03-02 2019-09-11 오건희 방열판이 구비되는 결로 방지용 함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46B1 (ko) * 2020-07-13 2020-11-1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KR102187780B1 (ko) * 2020-08-12 2020-12-0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공건물의 옥내 utp 랜 회선 지지를 위한 통신선 고정기구
KR102187778B1 (ko) * 2020-08-13 2020-12-0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옥내 통신케이블 접속식 커넥터의 이탈 방지용 스토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019B1 (ko) 한전 입찰식 통신망과 연결된 옥내 인터넷 통신 공유기
KR102089016B1 (ko)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KR200448105Y1 (ko)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 장치 구조
JP4633407B2 (ja) 電算機室用空調システム
JP4956288B2 (ja) 盤用熱交換器
US7236362B2 (en) Minimization of cooling air preheat for maximum packaging density
KR200900223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191687B2 (ja) 試料冷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オートサンプラ
CN101207981A (zh) 机柜
JP2014173985A (ja) 試料冷却装置
EP2946926B1 (en) Screen printer
JP5997207B2 (ja) 制御盤冷却装置
CN103796487A (zh) 用于电器的冷却装置
KR100898063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KR102089020B1 (ko) 선택형 접속 기능의 한전 발주식 lte 통신 접속형 utp 이더넷 중계기
US20130027887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20100032139A1 (en) Wind-guiding cover
JP2014207726A (ja) 閉鎖形配電盤
JPS5915519B2 (ja) 電子装置冷却方式
JP7031507B2 (ja) サンプル温調機能を備えた装置
JP2006324464A (ja) 電子機器冷却構造
CN102467199A (zh) 电子装置
CN106571593A (zh) 电力计量柜通风装置
KR20190102821A (ko) 의류 건조기
US20190078828A1 (en) Cooling device with an air guid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