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146B1 -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146B1
KR102179146B1 KR1020200086102A KR20200086102A KR102179146B1 KR 102179146 B1 KR102179146 B1 KR 102179146B1 KR 1020200086102 A KR1020200086102 A KR 1020200086102A KR 20200086102 A KR20200086102 A KR 20200086102A KR 102179146 B1 KR102179146 B1 KR 10217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eg
pest
unit
r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8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1Details of connexions between cable and distribu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6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8Pivotable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rd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제1본체(10), 회전체(20), 제2본체(30), 냉각체(40), 스펀지(50), 안테나(60), 지지체(70) 및 전등(80), 화재감지유닛(90), 해충박멸유닛(100), 송풍유닛(120) 및 제어유닛(110)을 포함하며,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습도를 제어유닛에서 판단하고, 제어유닛이 습도제거부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제1본체홀에 유입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습기에 의해 공유기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TELLEPHONE CABLE BOARD FIXATION DEVICE OF OFFICE STRUCTURES}
본 발명은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Wifi, LTE, 5G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달 및 증가에 따라, 중계기 또는 공유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지하철, 터널, 아파트 단지 등의 음영 지역에서도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음영 지역이라 함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전파통로가 단절된 지역을 의미하는데, 즉, 건물이나 지형에 의하여 전파가 도달되지 못하는 지역을 말한다. 이러한 음영지역의 해소를 위해서는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중계기를 이용해 무선 망을 설계하게 된다.
한편, 소규모 음영 지역에 사용되는 지역은 기지국을 추가건설 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과다 투자되는 점에 있어서, 중계기 또는 공유기로 해결하고 있다.
특히, 집안, 빌딩의 사무실, 지하 등의 소규모 음영지역의 경우 무선 공유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무선 공유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무선 공유기는 사용자들이 가급적 보이지 않는 영역에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주변의 습기가 많으면 공유기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해충이 발생되어 공유기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무선 공유기는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 시 공유기에 근접하는 화재에 의해 고장이 날 수 있고, 이에 대한 대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실내에서 사용되면, 전자기기이므로 열이 발생되는데 이를 식힐 수 없어, 화재의 유발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무선 공유기는 실내의 벽면 등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전자파가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내용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느낌을 발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3007호(서버랙용 냉방장치/2015.06.25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유기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비하여 송풍시켜 공유기에 증가되는 습도를 막을 수 있며, 공유기에 근접하는 해충을 감지하며, 이에 대비하여 해충을 박멸함으로써 공유기에 접근하는 해충을 막을 수 있는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유기에 근접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이에 대비하여 배선함에 수분을 분사함으로써 공유기에 접근하는 화재를 막을 수 있는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유기에 발생되는 열의 발산을 막을 수 있고,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공유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가 공유기의 존재를 인지할 수 없도록 하여 부정적인 느낌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는,
상단이 개방되고 공유기가 설치되는 제1몸체홀과, 제1몸체홀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1몸체부; 흠입구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 제1몸체부의 상단에서 양측 후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힌지;를 갖춘 제1본체,
일측이 제1힌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
회전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1몸체부의 상단에서 양측 전단에 설치되되 제1힌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힌지; 상단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2몸체홀을 구비하고 회전체를 매개로 회전하여 제1본체에 안착과 분리되는 제2몸체부;를 갖추되, 제2몸체부는 제2힌지가 내측에 설치되고 제1힌지와 회전체가 삽입되도록 하단 양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회전홀과, 제2몸체홀의 하측에서 제2몸체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제2몸체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수용홈과, 제2몸체부에 하단 양측의 후단에서 하방이 개구되고 내면 하단에는 턱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다리홀과, 다리홀과 연통하도록 제2몸체부의 측방으로 개구된 다리고정홀을 구비한 제2본체,
수용홈 및 제2몸체홀의 경계에 고정되도록 수용홈에 삽입되어 공유기의 상면에 접촉하여 열전하고, 일측이 개구된 제1개구홀을 지닌 서버냉각판; 서버냉각판의 상면에 돌출되는 서버방열핀;을 갖춘 냉각체,
냉각체와 접하도록 제2몸체홀에 삽입설치되고, 공유기로부터 전도된 냉각체의 열을 받아 증발하도록 수분을 흡수해 저수하는 스펀지,
제2몸체부에 설치되고, 공유기와 연결되는 안테나,
다리홀에 종방향으로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2본체가 제1본체로부터 분리시 자중에 의해 다리홀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되어 제2본체를 지지하고, 다리고정홀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지지홀을 지닌 다리몸체부; 다리몸체부가 다리홀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다리홀의 턱에 걸리는 다리돌출부; 다리고정홀 및 지지홀에 삽입되어서 다리몸체부를 고정시키는 다리고정부;를 갖춘 지지체, 및
제1개구홀을 관통해서 상단이 스펀지 상방으로 돌출되게 입설되고, 내부에 전선이 배선되는 전구지지부; 전구지지부가 관통된 제1개구홀을 방수하도록 보강되는 고무패킹; 전구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과 통전하여 점등되는 전구;를 갖춘 전등, 및
제2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제2몸체부와 스펀지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급수관과, 제2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회전홀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내설되고 급수관과 연통되며 급수관에 유입되는 수분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급수대와, 제2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급수대에 연결되어 수분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기를 구비하는 분사부;를 갖춘 화재감지유닛,
제2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해충을 감지하는 해충감지센서; 제2몸체홀의 내측에서 스펀지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내설되며 내부에 해충을 유입시키되 유입된 해충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포획부재와, 포획부재의 내부하단에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끈끈이가 설치되어 포획부재에 유입된 해충을 유도하는 해충저장관을 구비하는 포획본체부; 포획본체부의 내부상단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충발열기과, 해충발열기의 상단에 설치되어 해충이 포획부재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해충유도기을 구비하는 해충유도부; 포획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산하여 제2본체의 상단에 근접하는 해충을 외부로 쫓아내는 초음파발생기와, 초음파발생기와 연결되고 포획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증폭시키는 초음파증폭기를 구비하는 초음파스피커부;를 갖추되, 상기 포획본체부는 초음파스피커부로부터 쫓겨나거나 사각지대에 접근하는 해충을 포획하도록 구비된 해충박멸유닛,
제1본체부의 제1본체홀에 설치되어 제1본체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감지센서; 제1본체부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제1본체홀에 발생된 습도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습도제거부;를 갖춘 송풍유닛,
화재감지센서에서 신호를 받고, 다수의 분사기를 구동하거나, 해충감지센서에서 신호를 받고, 해충유도부 및 초음파스피커부를 구동하거나, 습도감지센서에서 신호를 받고, 습도제거부를 구동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습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습도를 제어유닛에서 판단하고, 제어유닛이 습도제거부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제1본체홀에 유입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습기에 의해 공유기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스피커부에서 발산되는 초음파로 해충을 쫓아낼 수 있으며, 초음파스피커부에 닿지 않는 부분을 해충유도기로 유도하면서 해충저장관에 설치된 끈끈이로 해충을 잡을 수 있게 됨으로써, 해충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에서 본 발명의 배선함에 근접하는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센서가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가 신호를 받아 다수의 분사기를 구동함으로써, 공유기 및 배선함을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본체에 유입된 수분이 스펀지에 저장되고, 냉각체의 하측에 접촉되는 공유기의 사용으로 생성되는 열이 스펀지에 저장된 수분으로 식혀지면서, 공유기에서 생성된 열을 매개로 냉각체의 상측에 유입된 수분을 증발시키며, 증발되는 수분이 외부로 분산되는 가습기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냉각판의 일측에 삽입된 전구기지부에 고무가 설치되며, 냉각체의 상측에 수분이 유입되되 공유기가 설치된 제1몸체홀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수분으로부터 공유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본체가 회전체를 매개로 손쉽게 제1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2본체에 설치된 지지체를 매개로 지지됨으로써, 제2본체에 유입된 스펀지 및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제2본체를 분리시켜 공유기를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접속기기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A-A'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도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 접속기기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A-A'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본체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공유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신케이블 접속기기는 제1본체(10), 회전체(20), 제2본체(30), 냉각체(40), 스펀지(50), 안테나(60), 지지체(70), 전등(80), 화재감지유닛(90), 해충박멸유닛(100), 송풍유닛(120) 및 제어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0)는 제1몸체부(11)와 날개(12) 및 제1힌지(13)를 갖춘다.
상기 제1몸체부(11)는 상단이 개방되고 공유기(R)가 설치되는 제1몸체홀(11a)과, 제1몸체홀(11a)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흡입구(11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1몸체부(11)와 후술할 제2몸체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공유기 고정기구 형태를 구성한다.
상기 날개(12)는 흠입구(11b)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날개(12)는 흠입구(11b)의 상단에 설치되어 흠입구(11b)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 등을 차단시킨다.
한 쌍의 상기 제1힌지(13)는 제1몸체부(11)의 상단에서 양측 후단에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1힌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12)가 설치된 제1몸체부(11)의 상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날개(12)가 설치되지 않은 제1몸체부(11)의 상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회전체(20)는 일측이 제1힌지(13)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회전체(20)는 일측에 제1힌지(13)와 타측에 후술할 제2힌지(31)와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회전기구 형태를 구성한다.
상기 제2본체(30)는 제2힌지(31)와 제2몸체부(32)를 갖춘다.
한쌍의 상기 제2힌지(31)는 회전체(20)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1몸체부(11)의 상단에서 양측 전단에 설치되되 제1힌지(13)와 대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2힌지(31)는 후술할 회전홀(32a)에 설치되며, 회전홀(32a)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제2몸체부(32)가 회전체(2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몸체부(32)는 상단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2몸체홀(32b)을 구비하고 회전체(20)를 매개로 회전하여 제1본체(10)에 안착과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32)는 제2힌지(31)가 내측에 설치되고 제1힌지(13)와 회전체(20)가 삽입되도록 하단 양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회전홀(32a)과, 제2몸체홀(32b)의 하측에서 제2몸체홀(32b)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제2몸체홀(32b)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수용홈(32c)과, 제2몸체부(32)에 하단 양측의 후단에서 하방이 개구되고 내면 하단에는 턱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다리홀(32d)과, 다리홀(32d)과 연통하도록 제2몸체부(32)의 측방으로 개구된 다리고정홀(32e)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공유기(R)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3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어 사용자가 전자파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상기 회전홀(32a)은 제2몸체부(32)의 하측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써 제1힌지(13), 회전체(20) 및 제2힌지(31)가 수용된다. 또한, 회전홀(32a)은 직육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몸체홀(32b)은 제2몸체부(32)가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수용공간이며, 후술할 스펀지(50)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32c)은 제2몸체홀(32b)의 하측에 제2몸체홀(32b)보다 상대적으로 너비가 크게 형성되며, 후술할 냉각체(40)가 제2몸체홀(32b)과의 경계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다리홀(32d)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본체(30)가 제1본체(10)로부터 분리되면, 후술할 지지체(70)가 제2본체(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뤄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홀(32d)은 어느 한쪽면에 홈이 구비되되 하측에 형성되는 턱의 상단에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고정홀(32e)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각체(40)는 서버냉각판(41)와 서버방열핀(42)을 갖춘다.
상기 서버냉각판(41)은 수용홈(32c) 및 제2몸체홀(32b)의 경계에 고정되도록 수용홈(32c)에 삽입되어 공유기(R)의 상면에 접촉하여 열전하고, 일측이 개구된 제1개구홀(41a)을 지닌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서버냉각판(41)은 제2몸체홀(32b)에 수분(W)이 유입될 때 수분(W)이 공유기(R)에 유입되지 않도록 제2몸체홀(32b)의 너비보다 크며 수용홈(32c)의 너비과 동일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냉각판(41)은 제2몸체홀(32b)과 수용홈(32c)의 경계지점에 실리콘으로 형성된 물체를 매개로 작업자가 제2몸체부(32)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된다.
다수개의 상기 서버방열핀(42)은 서버냉각판(41)의 상면에 돌출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서버방열핀(42)은 복수의 판을 이루면서 제2몸체부(32)에 돌출되며, 후술할 스펀지(50)에 유입되는 수분(W)과의 접촉량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되며, 서버냉각판(41)과 함께 공유기(R)의 열을 냉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냉각판(41)은 제1개구홀(41a)에 후술할 전등(80)이 삽입설치된다.
상기 스펀지(50)는 냉각체(40)와 접하도록 제2몸체홀(32b)에 삽입설치되고, 공유기(R)로부터 전도된 냉각체(40)의 열을 받아 증발하도록 수분(W)을 흡수해 저수한다.
본 발명은 제2본체(30)에 유입된 수분(W)이 스펀지(50)에 저장되고, 냉각체(40)의 하측에 접촉되는 공유기(R)에서 생성되는 열이 스펀지(50)에 저장된 수분(W)으로 식혀지면서도, 냉각체(40)의 상측에 유입된 수분(W)을 공유기(R)에서 생성된 열을 매개로 증발시키며, 증발되는 수분(W)이 외부로 분산되는 가습기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테나(60)는 제2몸체부(32)에 설치되고, 공유기(R)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안테나(6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유기(R)와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의 통신을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상기 지지체(70)는 다리몸체부(71), 다리돌출부(72) 및 다리고정부(73)를 갖춘다.
상기 다리몸체부(71)는 다리홀(32d)에 종방향으로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2본체(30)가 제1본체(10)로부터 분리시 자중에 의해 다리홀(32d)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되어 제2본체를 지지하고, 다리고정홀(31e)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지지홀(71a)을 지닌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다리몸체부(71)는 직육면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작업자가 사전에 다리홀(32d)의 내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홀(71a)은 다리몸체부(71)가 제2본체(30)의 하부로 배출되거나, 제2본체(30)의 내부에 고정될 때 후술할 다리고정부(7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홀(71a)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리돌출부(72)는 다리몸체부(71)가 다리홀(32d)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다리홀(32d)의 턱에 걸린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다리돌출부(7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홀(31d)에 형성된 홈에 구비되며, 다리몸체부(71)의 상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고정부(73)는 다리고정홀(31e) 및 지지홀(71a)에 삽입되어 다리몸체부(71)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다리고정부(73)는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등(80)은 전구지지부(81), 고무(82) 및 전구(83)를 갖춘다.
상기 전구지지부(81)는 제1개구홀(41a)을 관통해서 상단이 스펀지(50) 상방으로 돌출되게 입설되고, 내부에 전선이 배선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전구지지부(8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에 전선을 지니고 제1몸체부(11)에 설치된 전선에 콘센트(미도시)가 구비되어 전원선의 전압으로 ON/OFF 할 수 있는 기능이 제1몸체홀(11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구지지부(81)는 내부에 전선을 지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외부에서 전선이 설치되어도 가능하다.
상기 고무패킹(82)은 전구지지부(81)가 관통된 제1개구홀(41a)을 방수하도록 보강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고무패킹(82)은 재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도꼭지 마개로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지지부(81)가 서버냉각판(41)의 상면에 삽입되면 전구지지부(81)를 서버냉각판(41)에 밀착시키도록 형성되어 제2몸체(30)의 상측에 유입된 수분(W)이 제1몸체홀(11a)에 삽입되지 않는다.
상기 전구(83)는 전구지지부(8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과 통전하여 점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전구(8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로 사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서버냉각판(41)의 일측에 삽입된 전구기지부(81)에 고무(82)가 설치되며, 냉각체(40)의 상측에 수분(W)이 유입되되 공유기(R)가 설치된 제1몸체홀(11a)에 수분(W)이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수분(W)으로부터 공유기(R)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재감지유닛(90)은 화재감지센서(91)와 분사부(92) 및 제어유닛(110)을 갖춘다.
상기 화재감지센서(91)는 제2본체(30)의 상단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화재감지센서(91)는 제2본체(30)의 상단에 설치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제1본체(10) 또는 제2본체(3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분사부(92)는 급수관(92a)과, 급수대(92b)와 분시가(92c)를 구비한다.
다수의 상기 급수관(92a)은 제2몸체부(32)와 스펀지(5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급수관(92a)은 스펀지(50)에서 사용자가 수분(W)을 공급 시 공급되는 수분(W)의 일부가 후술할 급수대(92b)에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급수대(92b)는 제2몸체부(32)의 내부에 설치되되 회전홀(32a)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내설되고 급수관(92a)과 연통되며 급수관(92a)에 유입되는 수분(W)을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급수대(92b)는 급수관(92a)에서 유입되는 수분(W)을 받고 이를 저장한다. 또한, 급수대(92b)는 저장된 수분(W)이 평시에 증발되여 스펀지(50)와 동일한 가습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수의 상기 분사기(92c)는 제2본체(30)의 측면에 설치되고 급수대(92b)에 연결되어 수분(W)을 분사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분사기(92c)는 측면에 각각 2개씩 설치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다수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분사기(92c)는 급수대(92b)의 하단에 연통되며, 후술할 제어유닛(110)에서 구동신호를 받으면 수분(W)을 분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사기(92c)는 기존의 분사기와 동일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91)에서 본 발명의 배선함에 근접하는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센서(91)가 제어유닛(11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유닛(110)이 신호를 받아 다수의 분사기(92b)를 구동함으로써, 공유기(R) 및 배선함을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해충박멸유닛(100)은 해충감지센서(101), 포획본체부(102), 해충유도부(103), 초음파스피커부(104)를 갖춘다.
상기 해충감지센서(101)는 제2본체(30)의 상단에 설치되어 해충(F)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해충감지센서(101)는 화재감지센서(91)는 제2본체(30)의 상단에 설치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제1본체(10) 또는 제2본체(3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포획본체부(102)는 포획부재(102a) 및 해충저장관(102b)을 구비하며, 후술할 초음파스피커부(104)로부터 쫓겨나거나 사각지대에 접근하는 해충(F)을 포획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포획부재(102a)는 제2몸체홀(32b)의 내측에서 스펀지(50)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내설되며 내부에 해충(F)을 유입시키되 유입된 해충(F)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포획부재(102a)는 외부에서 유입된 해충(F)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바(미인출)가 설치된다. 또한, 포획부재(102a)는 하단에 후술할 해충저장관(102b)이 삽탈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면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공간범위가 줄어들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저장관(102b)은 포획부재(102a)의 내부하단에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끈끈이가 설치되어 포획부재(102a)에 유입된 해충(F)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해충저장관(102b)은 포획부재(102a)에서 유입된 해충(F)을 끈끈이를 매개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삽탈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해충저장관(102b)의 내부에 설치된 끈끈이(미인출)는 일반적으로 해충(F)이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일반적인 끈끈이로써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해충유도부(103)는 해충발열기(103a) 및 해충유도기(103b)를 구비한다.
상기 해충발열기(103a)는 포획본체부(102)의 내부상단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해충발열기(103a)는 후술할 해충유도기(103b)를 지지하면서 가열하여 약제를 발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해충유도기(103b)는 해충발열기(103a)의 상단에 설치되어 해충(F)이 포획부재(102a)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해충유도기(103b)는 해충(F)이 좋아하는 향을 발산하여 포획부재(102a)에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초음파스피커부(104)는 초음파발생기(104a) 및 초음파증폭기(104b)를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발생기(104a)는 포획부재(102a)의 내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산하여 제2본체(30)의 상단에 근접하는 해충(F)을 외부로 쫓아낸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초음파발생기(104a)는 해충(F)이 싫어하는 초음파를 발산한다.
상기 초음파증폭기(104b)는 초음파발생기(104a)와 연결되고 포획부재(102a)의 일측에 설치되어 초음파발생기(104a)에서 생성된 초음파를 증폭시킨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초음파증폭기(104b)는 일반적으로 음파를 증폭시키는 증폭기로써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스피커부(104)에서 발산되는 초음파로 해충(F)을 쫓아낼 수 있으며, 초음파스피커부(104)에 닿지 않는 부분을 해충유도기(103b)로 유도하면서 해충저장관(102b)에 설치된 끈끈이로 해충(F)을 잡을 수 있게 됨으로써, 해충(F)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송풍유닛(120)은 습도감지센서(121) 및 습도제거부(122)를 갖춘다.
상기 습도감지센서(121)는 제1본체부(11)의 제1본체홀(11a)에 설치되어 제1본체홀(11a)의 습도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습도감지센서(121)는 제1몸체부(11)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제2본체(30) 및 서버냉각판(41)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 쌍의 상기 습도제거부(122)는 제1본체부(11)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흡입구(11b)로 유입되는 공기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제1본체홀(11a)에 발생된 습도를 외부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습도제거부(122)는 흡입구(11b)로 유입되는 공기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제1본체홀(11a)을 통해 외부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습도제거부(122)의 세부구성은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임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본 발명은 습도감지센서(121)에서 감지된 습도를 제어유닛(110)에서 판단하고, 제어유닛(110)이 습도제거부(122)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제1본체홀(11a)에 유입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습기에 의해 공유기(R)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유닛(110)은 화재감지센서(91)에서 신호를 받고, 다수의 분사기(92b)를 구동하거나, 해충감지센서(101)에서 신호를 받고, 해충유도부(103) 및 초음파스피커부(104)를 구동하거나, 습도감지센서(121)에서 신호를 받고, 습도제거부(122)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어유닛(110)은 제1몸체홀(11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설치된 제2몸체부(32)의 제2몸체홀(32b)에 수분(W)을 삽입한다. 이때, 제2몸체홀(32b)은 내부에 스펀지(50)가 설치되어 있고, 스펀지(50)의 하측에는 서버냉각판(41)과 다수개의 서버방열핀(42)에 설치되어 있다. 이후, 본 발명은 스펀지(50)의 하측에 수분(W)이 채워지며, 서버냉각판(41)이 제1본체(10)에 수분(W)이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있다. 이후, 본 발명은 공유기(R)의 사용으로 열이 발생되면, 발생된 열이 서버냉각판(41)에 전도된다. 이때, 본 발명은 스펀지(50)에 유입된 수분(W)이 열을 냉각시키면서 증발되어 제2몸체부(32)의 외부로 분사되어 가습기 역할까지 수행한다.
본 발명은 제2본체(30)에 유입된 수분(W)이 스펀지(50)에 저장되고, 냉각체(40)의 하측에 접촉되는 공유기(R)에서 생성되는 열이 스펀지(50)에 저장된 수분(W)으로 식혀지면서도, 냉각체(40)의 상측에 유입된 수분(W)을 공유기(R)에서 생성된 열을 매개로 증발시키며, 증발되는 수분(W)이 외부로 분산되는 가습기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공유기(R)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계기로써 고장이 날 수 있다. 또한, 공유기(R)는 일반적으로 비밀번호가 기록되어있고, 사용자가 공유기(R)의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2본체(30)가 내부에 유입된 수분(W)이 있고, 단순히 분리하면 공유기(R)에 수분(W)이 유입되어 공유기(R)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유기(R)를 제1본체(10) 및 제2본체(30)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하면서도, 제2본체(30)의 설치구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설치된 공유기(R)를 제1본체(10)로부터 꺼내고자 할 때, 제2본체(30)를 후방으로 회전시킨다.(도 11(a) 참조) 다음으로, 회전체(20)는 제1힌지(13)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2본체(30)와 같이 회전된다(도 11(b), 도 11(c) 참조). 이때, 회전체(20)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다리몸체부(71)를 제2본체(30)로부터 분리하여 제2본체(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도 11(d) 참조).
또한, 사용자는 다리몸체부(71)를 제2본체(30)로부터 분리시킬 때 다리고정홀(31e) 및 다리몸체부(71)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홀(71a)에 삽입된 다리고정부(73)를 분리시킨다(도 12(a) 참조). 이때, 다리몸체부(71)는 제2본체(30)의 하방으로 내려간다. 또한, 다리몸체부(71)의 일측에 설치된 다리돌출부(72)는 다리홀(32d)의 하방에 형성된 턱에 걸린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2본체(30)에서 하방으로 내려간 다리몸체부(71)를 고정시키도록, 다리고정홀(31e) 및 다리몸체부(71)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홀(71a)에 다리고정부(73)를 삽입시킨다(도 12(b) 참조).
그러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본체(30)를 다리몸체부(71)를 매개로 지지함으로써, 제2본체(30)에 유입된 수분(W)이 배출되지 않도록 위치를 유지시키면서도 제1본체(10)와 제2본체(30)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공유기(R)를 꺼내서 수리 또는 공유기(R)에 기록된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본체(30)가 회전체(20)를 매개로 손쉽게 제1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2본체(30)에 설치된 지지체(70)를 매개로 지지됨으로써, 제2본체(30)에 유입된 스펀지(50) 및 수분(W)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제2본체(30)를 분리시켜 공유기(R)를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공유기(R)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계기로써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가 접근하면 고장이 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본체(10) 및 제2본체(30)에 설치된 공유기(R)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재감지유닛(90)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91)가 외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한다.(도 13(a) 참조) 이때, 화재감지센서(91)는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11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어유닛(110)은 화재감지센서(91)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받으면 급수대(92b)에 저장된 수분(W)을 다수의 분사기(92c)를 매개로 외부에 수분(W)을 분사한다(도 13(b) 참조). 이때, 본 발명은, 도 13(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대(92b)에 수분(W)이 넘쳐 급수관(92a) 일부에도 수분(W)이 저장되는 것으로 수분(W)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감지유닛(90)을 매개로 외부로부터 발생된 화재가 접근하지 않도록 물을 분사할 수 있어, 제1본체(10), 제2본체(30) 및 공유기(R)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91)에서 본 발명의 배선함에 근접하는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센서(91)가 제어유닛(11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유닛(110)이 신호를 받아 다수의 분사기(92b)를 구동함으로써, 공유기(R) 및 배선함을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본체(30)는 공유기(R)의 냉각, 또는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입된 수분에 의해 해충(F)이 꼬일 위험성이 커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분을 매개로 해충(F)이 증가되면, 증가된 해충(F)으로 본 발명의 구조가 망가질 수 있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충(F)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충박멸유닛(100)에 설치된 해충감지센서(101)가 외부에서 접근하는 해충(F)을 감지한다.(도 14(a) 참조) 이때, 해충감지센서(101)는 외부에서 접근하는 해충(F)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11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어유닛(110)은 해충감지센서(101)로부터 해충감지신호를 받으면 초음파스피커부(104)를 구동시켜 해충을 쫓아낸다(도 14(b) 참조). 이후, 제어유닛(110)은 해충유도부(103)를 구동시켜 초음파스피커부(104)에 닿지 않는 해충(F)을 포획부재(102a)로 유입되도록 유도시킨다(도 14(c) 참조). 이때, 포획부재(102a)에 유입된 해충(F)은 해충저장관(102a)에 설치된 끈끈이에 달라붙는다. 이후, 사용자는해충저장관(102b)에 설치된 손잡이를 매개로 해충저장관(102b)을 오픈하고, 포획부재(102a)에 갖힌 해충(F)을 박멸하며, 해충저장관(102b)에 설치된 끈끈이를 교체할 수도 있다(도 14(d) 참조).
그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충박멸유닛(100)을 매개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충(F)을 쫓아내거나 해충저장관(102b)에 설치된 끈끈이로 해충(F)을 박멸할 수 있어, 제1본체(10), 제2본체(30) 및 공유기(R)를 해충(F)D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스피커부(104)에서 발산되는 초음파로 해충(F)을 쫓아낼 수 있으며, 초음파스피커부(104)에 닿지 않는 부분을 해충유도기(103b)로 유도하면서 해충저장관(102b)에 설치된 끈끈이로 해충(F)을 잡을 수 있게 됨으로써, 해충(F)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공유기(R)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계기로써 제1본체홀(11a)에 설치되어 있는데, 흡입구(11b)에 유입되는 습기를 매개로 고장이 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본체(10) 및 제2본체(30)에 설치된 공유기(R)를 습기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송풍유닛(120)에 설치된 습도감지센서(121)가 제1본체홀(11a) 내부의 습도를 감지한다(도 15(a) 참조). 이때, 습도감지센서(121)는 내부에서 감지된 습도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유닛(11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어유닛(110)은 습도감지센서(121)로부터 습도감지신호를 받고, 일정퍼센트 이상의 습도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습도제거부(122)를 구동시킨다(도 15(b) 참조). 다음으로, 습도제거부(122)는 제어유닛(12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며, 제1본체홀(11a)에 배출력을 제공하여 내부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도 15(c) 참조). 이때, 제어유닛(120)은 습도감지신호가 일정퍼센트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습도제거부(122)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몸체홀(11a)에 유입된 습기가 공유기(R)의 고장을 유발하지 않도록 송풍유닛(120)을 매개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공유기(R)를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습도감지센서(121)에서 감지된 습도를 제어유닛(110)에서 판단하고, 제어유닛(110)이 습도제거부(122)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제1본체홀(11a)에 유입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습기에 의해 공유기(R)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습도감지센서(121)에서 감지된 습도를 제어유닛(110)에서 판단하고, 제어유닛(110)이 습도제거부(122)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제1본체홀(11a)에 유입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습기에 의해 공유기(R)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스피커부(104)에서 발산되는 초음파로 해충(F)을 쫓아낼 수 있으며, 초음파스피커부(104)에 닿지 않는 부분을 해충유도기(103b)로 유도하면서 해충저장관(102b)에 설치된 끈끈이로 해충(F)을 잡을 수 있게 됨으로써, 해충(F)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91)에서 본 발명의 배선함에 근접하는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센서(91)가 제어유닛(11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유닛(110)이 신호를 받아 다수의 분사기(92b)를 구동함으로써, 공유기(R) 및 배선함을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본체(30)에 유입된 수분(W)이 스펀지(50)에 저장되고, 냉각체(40)의 하측에 접촉되는 공유기(R)에서 생성되는 열이 스펀지(50)에 저장된 수분(W)으로 식혀지면서도, 냉각체(40)의 상측에 유입된 수분(W)을 공유기(R)에서 생성된 열을 매개로 증발시키며, 증발되는 수분(W)이 외부로 분산되는 가습기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냉각판(41)의 일측에 삽입된 전구기지부(81)에 고무(82)가 설치되며, 냉각체(40)의 상측에 수분(W)이 유입되되 공유기(R)가 설치된 제1몸체홀(11a)에 수분(W)이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수분(W)으로부터 공유기(R)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본체(30)가 회전체(20)를 매개로 손쉽게 제1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제2본체(30)에 설치된 지지체(70)를 매개로 지지됨으로써, 제2본체(30)에 유입된 스펀지(50) 및 수분(W)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제2본체(30)를 분리시켜 공유기(R)를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본체 20: 회전체
30: 제2본체 40: 냉각체
50: 스펀지 60: 안테나
70: 지지체 80: 전등
90: 화재감지유닛 100: 해충박멸유닛
110: 제어유닛 120: 송풍유닛

Claims (1)

  1. 상단이 개방되고 공유기(R)가 설치되는 제1몸체홀(11a)과, 제1몸체홀(11a)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흡입구(11b)가 형성되는 제1몸체부(11); 흠입구(11b)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날개(12); 제1몸체부(11)의 상단에서 양측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힌지(13);를 갖춘 제1본체(10),
    일측이 제1힌지(13)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20),
    회전체(20)의 타측에 설치되고 제1몸체부(11)의 상단에서 양측 전단에 설치되되 제1힌지(13)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힌지(31); 상단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제2몸체홀(32b)을 구비하고 회전체(20)를 매개로 회전하여 제1본체(10)에 안착과 분리되는 제2몸체부(32);를 갖추되, 제2몸체부(32)는 제2힌지(31)가 내측에 설치되고 제1힌지(13)와 회전체(20)가 삽입되도록 하단 양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회전홀(32a)과, 제2몸체홀(32b)의 하측에서 제2몸체홀(32b)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제2몸체홀(32b)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수용홈(32c)과, 제2몸체부(32)에 하단 양측의 후단에서 하방이 개구되고 내면 하단에는 턱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다리홀(32d)과, 다리홀(32d)과 연통하도록 제2몸체부(32)의 측방으로 개구된 다리고정홀(32e)을 구비한 제2본체(30),
    수용홈(32c) 및 제2몸체홀(32b)의 경계에 고정되도록 수용홈(32c)에 삽입되어 공유기(R)의 상면에 접촉하여 열전하고, 일측이 개구된 제1개구홀(41a)을 지닌 서버냉각판(41); 서버냉각판(41)의 상면에 돌출되는 서버방열핀(42);을 갖춘 냉각체(40),
    냉각체(40)와 접하도록 제2몸체홀(32b)에 삽입설치되고, 공유기(R)로부터 전도된 냉각체(40)의 열을 받아 증발하도록 수분(W)을 흡수해 저수하는 스펀지(50),
    제2몸체부(32)에 설치되고, 공유기(R)와 연결되는 안테나(60),
    다리홀(32d)에 종방향으로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2본체(30)가 제1본체(10)로부터 분리시 자중에 의해 다리홀(32d)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되어 제2본체를 지지하고, 다리고정홀(31e)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지지홀(71a)을 지닌 다리몸체부(71); 다리몸체부(71)가 다리홀(32d)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다리홀(32d)의 턱에 걸리는 다리돌출부(72); 다리고정홀(31e) 및 지지홀(71a)에 삽입되어서 다리몸체부(71)를 고정시키는 다리고정부(73);를 갖춘 지지체(70),
    제1개구홀(41a)을 관통해서 상단이 스펀지(50) 상방으로 돌출되게 입설되고, 내부에 전선이 배선되는 전구지지부(81); 전구지지부(81)가 관통된 제1개구홀(41a)을 방수하도록 보강되는 고무패킹(82); 전구지지부(8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과 통전하여 점등되는 전구(83);를 갖춘 전등(80),
    제2본체(30)의 상단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91); 제2몸체부(32)와 스펀지(50)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급수관(92a)과, 제2몸체부(32)의 내부에 설치되되 회전홀(32a)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내설되고 급수관(92a)과 연통되며 급수관(92a)에 유입되는 수분(W)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급수대(92b)와, 제2본체(30)의 측면에 설치되고 급수대(92b)에 연결되어 수분(W)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기(92c)를 구비하는 분사부(92);를 갖춘 화재감지유닛(90),
    제2본체(30)의 상단에 설치되어 해충(F)을 감지하는 해충감지센서(101); 제2몸체홀(32b)의 내측에서 스펀지(50)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내설되며 내부에 해충(F)을 유입시키되 유입된 해충(F)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포획부재(102a)와, 포획부재(102a)의 내부하단에 삽탈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끈끈이가 설치되어 포획부재(102a)에 유입된 해충(F)을 유도하는 해충저장관(102a)을 구비하는 포획본체부(102); 포획본체부(102)의 내부상단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충발열기(103a)과, 해충발열기(103a)의 상단에 설치되어 해충(F)이 포획부재(102a)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해충유도기(103b)을 구비하는 해충유도부(103); 포획부재(102a)의 내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산하여 제2본체(30)의 상단에 근접하는 해충(F)을 외부로 쫓아내는 초음파발생기(104a)와, 초음파발생기(104a)와 연결되고 포획부재(102a)의 일측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증폭시키는 초음파증폭기(104b)를 구비하는 초음파스피커부(104);를 갖추되, 상기 포획본체부(102)는 초음파스피커부(104)로부터 쫓겨나거나 사각지대에 접근하는 해충(F)을 포획하도록 구비된 해충박멸유닛(100),
    제1본체부(11)의 제1본체홀(11a)에 설치되어 제1본체홀(11a)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감지센서(121); 제1본체부(11)의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흡입구(11b)로 유입되는 공기에 송풍압력을 제공하여 제1본체홀(11a)에 발생된 습도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습도제거부(122);를 갖춘 송풍유닛(120), 및
    화재감지센서(91)에서 신호를 받고, 다수의 분사기(92b)를 구동하거나, 해충감지센서(101)에서 신호를 받고, 해충유도부(103) 및 초음파스피커부(104)를 구동하거나, 습도감지센서(121)에서 신호를 받고, 습도제거부(122)를 구동하는 제어유닛(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KR1020200086102A 2020-07-13 2020-07-13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KR10217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02A KR102179146B1 (ko) 2020-07-13 2020-07-13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02A KR102179146B1 (ko) 2020-07-13 2020-07-13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46B1 true KR102179146B1 (ko) 2020-11-17

Family

ID=7364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02A KR102179146B1 (ko) 2020-07-13 2020-07-13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1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37U (ko) * 2008-04-02 2009-10-07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댁내형 중계기
KR20110087138A (ko) * 2010-01-25 2011-08-02 한라공조주식회사 응축수를 이용한 이중관 열교환 장치
KR20140077512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KR20150061958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쏠리드 옥내형 무선 중계기
KR101533007B1 (ko) 2013-12-11 2015-07-09 (주)한경아이넷 서버랙용 냉방장치
KR102089016B1 (ko) * 2019-09-20 2020-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37U (ko) * 2008-04-02 2009-10-07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댁내형 중계기
KR20110087138A (ko) * 2010-01-25 2011-08-02 한라공조주식회사 응축수를 이용한 이중관 열교환 장치
KR20140077512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KR20150061958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쏠리드 옥내형 무선 중계기
KR101533007B1 (ko) 2013-12-11 2015-07-09 (주)한경아이넷 서버랙용 냉방장치
KR102089016B1 (ko) * 2019-09-20 2020-03-13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원거리 송출 전용 통신케이블의 위치 인식형 통신중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122B1 (en) Mosquito killing apparatus and mosquito trapping apparatus
US6568124B1 (en) Mosquito killing system
US8112900B2 (en) Hearing aid dryer
US8693855B2 (en) Infra-red heater assembly
US5968401A (en) Microwave radiation insect exterminator
WO2018023941A1 (zh) 一种具有灭蚊功能的无叶风扇
KR102179146B1 (ko)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KR100990679B1 (ko)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102179143B1 (ko) 옥내 통신케이블 접속기기
KR102179140B1 (ko) 공공주택의 전화케이블 배선함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JP5590687B2 (ja) 害獣侵入防止装置
KR101613974B1 (ko) 매립형 드레스룸 제습기
JP2014043756A (ja) 虫除け網戸
CN104823944A (zh) 一种新型捕虫机上机箱
KR101892871B1 (ko) 위생적 유지관리가 가능하고 이물질 유입차단으로 고장을 예방하는 고효율 바닥상치형 환기장치
JP2006211923A (ja) 排気口
KR102098823B1 (ko) 방충망 구조체
JP2581228Y2 (ja) 環境試験装置
KR101963346B1 (ko) 해충퇴치기
CN204733797U (zh) 一种捕虫机防火防虫容纳装置
JP2014504883A (ja) ベイトステーション{baitstation}
JP2017158481A (ja) 虫侵入抑制システム
KR102179138B1 (ko) 공공건물의 옥내 utp 랜 회선 고정기구
CN204969057U (zh) 一种适用于自动捕虫机具备防虫性的上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