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346B1 - 해충퇴치기 - Google Patents

해충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346B1
KR101963346B1 KR1020180088311A KR20180088311A KR101963346B1 KR 101963346 B1 KR101963346 B1 KR 101963346B1 KR 1020180088311 A KR1020180088311 A KR 1020180088311A KR 20180088311 A KR20180088311 A KR 20180088311A KR 101963346 B1 KR101963346 B1 KR 10196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amp
harmful insects
ligh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 진 박
Original Assignee
박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진 filed Critical 박우진
Priority to KR102018008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의 불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한 후, 불빛을 통해 유인된 해충이 사람의 체취와 비슷한 환경으로 이루어진 끈끈이에 자연스럽게 달라붙도록 한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해충이 달라붙도록 끈끈이가 장착되어 있고, 덮개의 하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도록 램프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의 측면에는 램프의 불빛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외부로 관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해충퇴치기는 램프를 통한 불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살충된 해충의 사체는 끈끈이에 포집되기 때문에 청소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충퇴치기{Apparatus for exterminating hamful insect}
본 발명은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의 불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한 후, 불빛을 통해 유인된 해충이 사람의 체취와 비슷한 환경으로 이루어진 끈끈이에 자연스럽게 달라붙도록 한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모기, 파리, 나방 및 하루살이 같은 해충은 전염병을 옮김과 더불어 여름밤에 충분한 숙면을 취하게 하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기기는 여러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해충퇴치기의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26496호에 (a) 외주면의 소정영역에는 세로 방향으로 투명창이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세로로 긴 원통형의 몸체와, 내경이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큰 상부 덮개와, 내경이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크고 저부의 소정영역에 개구부가 있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여 외장이 이루어지되, (b) 상기 투명창이 형성된 영역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덮개의 내주면 사이에 흡입구로서의 소정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덮개의 내주면이 밀착되며, 상기 상부 덮개의 내면 상측과 상기 몸체의 상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와 상기 상부 덮개가 체결되고, (c) 상기 투명창이 형성된 영역의 하측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 덮개의 내주면 사이에 배출구로서의 소정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창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하측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 덮개의 내주면이 밀착되며, 상기 하부 덮개의 내면 하측과 상기 몸체의 하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와 상기 하부 덮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과; 상기 투명창을 통하여 빛이 방사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유인등과; 상기 몸체 내부를 상기 유인등이 설치된 영역과 상기 유인등이 설치되지 않으며 공기의 유로가 되는 영역으로 분리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칸막이와 상기 팬 사이에 위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칼날이 구비되는 해충 퇴치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53672호에 유인된 해충을 흡입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발광부의 상부에 덮어지게 배치되고 본체와의 사이에 해충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흡입구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과; 흡입력을 중앙으로 모아주어 해충의 살충을 용이하게 하는 깔때기와;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통과; 정제형 이산화탄소 알약을 이용해 가수분해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부와; 상기 부품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은나노 코팅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기가 공개되어 있다.
열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해충퇴치기는 대부분 해충을 유인한 후, 팬을 이용하여 해충을 없애는 것으로, 팬 구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며, 또한 팬에 해충 사체가 묻게 되므로 매우 지저분하며 지속적으로 해충 사체가 팬에 묻어 쌓이게 되면 팬을 통한 해충퇴치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매우 비위생적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청소 및 관리가 요구된다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팬으로 해충을 살충하지 않기 때문에 팬 구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해충 사체는 끈끈이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서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해충퇴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해충퇴치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해충이 달라붙도록 끈끈이가 장착되어 있고, 덮개의 하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도록 램프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의 측면에는 램프의 불빛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외부로 관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해충퇴치기는 램프를 통한 불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살충된 해충의 사체는 끈끈이에 포집되기 때문에 청소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단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안치대가 탈착된 단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안착대 단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사시도.
도 5, 도 6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단면 개요도.
본 발명 해충퇴치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10)에는 해충이 달라붙도록 끈끈이(140)가 장착되어 있고, 덮개(120)의 하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도록 램프(130)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110)의 측면에는 램프(130)의 불빛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외부로 관통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끈끈이(140)는 해충이 달라붙는 점성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안치대(150)에 안치되고, 본체(110)의 측면에는 개폐수단의 도어(170)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도어(170)를 통해 안치대(150)와 함께 끈끈이(140)를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6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60)에는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된 끈끈이(140)를 향하도록 이동관(161)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되, 상기 케이싱(160)에는 해충을 후각으로 유인하도록 유인물질이 내장되어 있어, 케이싱(160)의 내부에 내장된 유인물질이 이동관(161)을 통해 끈끈이(140)이 측으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램프(130)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인된 해충이 끈끈이(140)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인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해충퇴치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단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안치대가 탈착된 단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안착대 단면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램프의 불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한 후, 불빛을 통해 유인된 해충이 사람의 체취와 비슷한 환경으로 이루어진 끈끈이에 자연스럽게 달라붙도록 한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 해충퇴치기(1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10)에는 해충이 달라붙도록 끈끈이(140)가 장착되어 있고, 덮개(120)의 하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도록 램프(13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는 램프(130)의 불빛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외부로 관통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램프(130)는 UV램프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끈끈이(140)는 해충이 달라붙는 점성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안치대(150)에 안치되고, 본체(110)의 측면에는 개폐수단의 도어(170)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도어(170)를 통해 안치대(150)와 함께 끈끈이(140)를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70)에는 손잡이(171)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도어(170)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110)의 좌우 내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안내레일(112)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도록 상기 안치대(150)의 외부측 좌우 측면에는 레일홈(151)을 형성하여 안치대(150)를 본체(110)에 안치시킬 때 슬라이딩방식으로 안치시키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안치대(150)의 내부에는 가열수단(152)을 내장하여 가열수단(152)에 의해 안치대(150)의 안치되어 있는 끈끈이(140)의 주변을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해충 중 특히 모기가 더욱 쉽게 유인되도록 하였다.
이는 취침시 램프(130)가 소등되더라도 사람과 유산한 체취를 통해 모기를 유인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안내레일(112)과 이에 대응하는 레일홈(151) 중 어느 한 쌍은 도전이 가능하도록 접지단자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접지단자의 구성과 이로 인해 가열수단(152)을 가열하는 것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으로 구성가능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6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60)에는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된 끈끈이(140)를 향하도록 이동관(161)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60)에는 해충을 후각으로 유인하도록 유인물질이 내장되어 있어, 케이싱(160)의 내부에 내장된 유인물질이 이동관(161)을 통해 끈끈이(140)이 측으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램프(130)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인된 해충이 끈끈이(140)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인되도록 하였다.
상기 유인물질은 사람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물질을 인위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싱(160)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및 수분을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일 실시로서 상기 끈끈이(140)에는 젖산을 도포하고, 케이싱(160)의 내부에는 식초 또는 묽은 염산을 저수한 후, 젖산과 소다를 투여하게 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면서 젖산의 향도 이산화탄소와 함께 이동관(1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체(110) 내에 수분을 공급 및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하기와 같이 가습수단(180)을 장착할 수도 있다.
도 5, 도 6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 해충퇴치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단면 개요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는 가습수단을 통해 본체(110)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가습수단을 통해 본체(110) 외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가습수단을 통해 본체(110)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가습수단을 통해 본체(110) 외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단(180)을 장착하여 해충퇴치기(110)의 본체(110) 내의 습도를 조절하거나 또 다르게는 가습기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가습수단(180)은 네브라이저 등 무화 및 전기·전자부품이 내부에 내설되어 있는 하우징(180)과, 상기 하우징(180)의 네버라이저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181)과 상기 하우징(180)의 네버라이저를 통해 무화된 물입자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관(18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토출관(183)의 끝단부에는 본체(110)의 내부로 무화된 물입자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동관(161)과의 체결수단 및 통로로서의 조인트(184)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가습수단(180)을 오로지 가습의 용도로 사용할 때에는 조인트(184)를 외부를 향하도록 회전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무화는 액체를 미립화하여 기체 중에 안개모양으로 분무하는 것을 의미하며, 네브라이저는 액체를 무화시키는 관용의 장치이다.
한편, 가습수단(180)에서 물통(181)과의 결합관계를 위해 하우징(181)은 본체(110)의 측면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130)의 점등과 소등에 관련된 구성을 포함한 전기·전자적인 구성은 관용의 수단으로 장착가능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해충퇴치기는 램프를 통한 불빛으로 해충을 유인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살충된 해충의 사체는 끈끈이에 포집되기 때문에 청소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해충퇴치기
110. 본체 111. 유입구 112. 안내레일
120. 덮개
130. 램프
140. 끈끈이
150. 안치대 151. 레일홈 152. 가열수단
160. 케이싱 161. 이동관
170. 도어 171. 손잡이
180. 가습수단 181. 하우징 182. 물통
183. 토출관 184. 조인트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10)에는 해충이 달라붙도록 끈끈이(140)가 장착되어 있고, 덮개(120)의 하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도록 램프(130)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110)의 측면에는 램프(130)의 불빛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외부로 관통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6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160)에는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된 끈끈이(140)를 향하도록 이동관(161)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되, 상기 케이싱(160)에는 해충을 후각으로 유인하도록 유인물질이 내장되어 있어, 케이싱(160)의 내부에 내장된 유인물질이 이동관(161)을 통해 끈끈이(140)이 측으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램프(130)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유인된 해충이 끈끈이(140)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인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해충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끈이(140)는 해충이 달라붙는 점성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안치대(150)에 안치되고, 본체(110)의 측면에는 개폐수단의 도어(170)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도어(170)를 통해 안치대(150)와 함께 끈끈이(140)를 본체(110)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 특징인 해충퇴치기.
  3. 삭제
KR1020180088311A 2018-07-30 2018-07-30 해충퇴치기 KR10196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11A KR101963346B1 (ko) 2018-07-30 2018-07-30 해충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11A KR101963346B1 (ko) 2018-07-30 2018-07-30 해충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346B1 true KR101963346B1 (ko) 2019-03-28

Family

ID=6590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311A KR101963346B1 (ko) 2018-07-30 2018-07-30 해충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725B1 (ko) * 2019-06-05 2020-01-29 박우진 해충퇴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424A (ko) * 2008-03-05 2009-09-09 김종현 광촉매 전자 포충기
KR20120132880A (ko) * 2011-05-30 2012-12-10 김수삼 해충포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424A (ko) * 2008-03-05 2009-09-09 김종현 광촉매 전자 포충기
KR20120132880A (ko) * 2011-05-30 2012-12-10 김수삼 해충포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725B1 (ko) * 2019-06-05 2020-01-29 박우진 해충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6993B2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US6675528B2 (en) Mosquito incinerator
US6568125B2 (en) Pest control device
US7712249B1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JP7315593B2 (ja) 飛翔害虫捕獲装置及び捕獲昆虫の計数方法
US20110226868A1 (en)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US20080141578A1 (en) Mosquito trap mediated by filtrated visible light emitting diode and mosquito bait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20130139531A (ko) 해충 포획장치
KR101681748B1 (ko) 해충 포획 장치
KR101963346B1 (ko) 해충퇴치기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JP2006051016A (ja) 虫類捕獲装置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20160002012A (ko) 해충 포획기
KR20070000600U (ko) 해충 박멸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JP2008118865A (ja) 虫類捕獲装置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CA2861794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KR102396188B1 (ko) 해충 포획장치
JP2006333852A (ja) 害虫吸い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