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424A - 광촉매 전자 포충기 - Google Patents

광촉매 전자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424A
KR20090095424A KR1020080021205A KR20080021205A KR20090095424A KR 20090095424 A KR20090095424 A KR 20090095424A KR 1020080021205 A KR1020080021205 A KR 1020080021205A KR 20080021205 A KR20080021205 A KR 20080021205A KR 20090095424 A KR20090095424 A KR 20090095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atalyst
lamp
main body
repeller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08002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5424A/ko
Publication of KR2009009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품은 자외선램프로 하여금 파리, 모기, 날파리 등(이하"날벌레"라 통칭함)을 유인하여 끈끈이트랩으로 포획하는 포충기로 제품에 광촉매코팅을 하였다
종래에도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포충기가 있으나 이는 자외선유인램프만을 이용하여 날벌레들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으로 포획된 날벌레들로 하여금 냄새나 세균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품은 제품에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에서도 광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광촉매코팅을 하여 포획된 날벌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냄새나 세균 등을 없애 주고 실내공기중의 유해물질들을 분해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분해과정 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이산화탄소(CO2)로 하여금 모기들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효과를 증가 시켰다.
자외선램프, 날벌레, 끈끈이트랩, 포충기, 가시광선, 자외선, 광촉매코팅, 광화학반응, 이산화탄소

Description

광촉매 전자 포충기{omitted}
본 발명은 날벌레들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포충기로서 제품에 광촉매코팅을 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모기의 유인효과를 증대하였다.
종래에는 날벌레들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농약이나 살충제를 수동식 또는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살포하는 화학적방제법이 많이 사용되어왔고 근래에는 자외선유인램프를 이용한 고전압살충기와 끈끈이포충기들을 사용하고 있다.
고전압살충기는 유인램프에 의하여 유인된 날벌레들을 고전압을 이용하여 태워 죽이는 방식이고 끈끈이포충기는 유인램프에 의하여 유인된 날벌레들을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포획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방식 중 농약이나 살충제를 이용한 화학적방제법은 해충은 물론 익충까지도 죽일 수 있어 주변 환경을 해칠 수 있고 실내에 살포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고전압을 이용한 살충기는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하고 유인된 날벌레를 감전시 킬 때 소리와 악취가 발생하고 감전의 위험이 있어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끈끈이를 이용한 포충기는 주변의 환경을 해치지 않아 실내용으로 적합하다 하겠으나 포획된 날벌레가 장시간 방치될 경우 죽은 사체에서 냄새와 세균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겠다.
본 발명품은 날벌레들을 유인하는 자외선파장 315nm∼400nm의 파장대를 갖는 자외선램프를 사용하여 유인된 날파리들을 끈끈이트랩에 포획할 수 있게 하였고 제품의 내, 외부에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에서도 광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광촉매코팅을 하였다.
광촉매란 나노(nano; 10-9m)크기의 미세한 입자로 이 입자가 빛을 받으면 입자표면에서 강력한 산화물질(OH 라디칼, 슈퍼옥사이드)이 발생하게 되어, 공기 중에 유해물질을 무해한 물질(H2O, CO2, O2)로 분해하는 것을 말하는데 촉매제로는 셀렌화카드늄(CdSe), 티탄산스트론튬(SrTio3),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늄(CdS)등이 있지만 이들은 모두 수용성, 중금속물질이라 인체에 해롭고 화학적, 물리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이라 사용하기 어려워 인체에 안전한 이산화티타늄(TiO2)을 사용하였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식품의 첨가제로 사용할 만큼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이를 광촉매제로 사용하면 강력한 항균탈취, 대기 및 수질정화, 오염방지효과가 탁 월하다.
본 발명품은 날벌레들을 유인할 수 있는 자외선램프를 사용하였기에 실내에 날아든 날벌레들을 유인할 수 있고, 유인된 날벌레들을 발명품 안에 설치된 끈끈이트랩에 포획할 수 있으며, 발명품의 내, 외부에 자외선뿐만 아니라 형광등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에도 광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광촉매코팅이 되어있어 포획된 날벌레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냄새와 세균을 없앨 수가 있고, 실내의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유기물질이 본 발명품에 닿게 되면 이를 물(H2O)과 이산화탄소로(CO2)로 분해시켜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이산화탄소는 모기를 유인하는 효과를 증대시킨다.
모기가 인간에게 달려드는 이유 중에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체취와 열, 그리고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품이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날벌레들을 유인하는 자외선파장 315nm∼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유인램프와 유인된 날벌레들을 포충기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유입구와, 유입된 날벌레들을 포획하는 다수의 끈끈이트랩과, 이 끈끈이트랩을 고정시켜주고 포획된 날벌레들이 보이지 않게 해주는 ㄷ자모양의 끈끈이설치대와, 포획된 날벌레와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와 세균 등을 없애 주고 모기들의 유인효과를 높인 광촉매코팅과, 자외선램프에 필요한 안 정기와, 이를 연결하는 전선과 소켓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1은 본 발명품의 외관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품을 열었을 때의 내부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품내부에 들어가는 끈끈이트랩의 원래모양과 점선 따라 접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품인 광촉매포충기는 덮개(10)와 본체(20)가 있고 덮개(10)의 전면(10a)에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모기의 유인효과를 증대시킨 광촉매코팅이 되어있고 다수의 날벌레 유입구(10a-1)가 있다.
덮개(10)의 뒷면(10b)에는 유인된 날벌레들을 포획하는 끈끈이트랩을 설치할 수 있는 다수의 끈끈이트랩설치대(10b-1, 10b-2)가 뒷면의 바닥으로부터 약90°각도로 세워져있어 끈끈이트랩을 설치하기에 용이하게 하면서 전면에서 제품을 바라보았을 때 포획된 날벌레가 보이지 않게 하였다.
끈끈이트랩은 끈끈이트랩설치대(10b-1, 10b-2)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원형태의 끈끈이트랩(90)에서 양옆을 점선 따라 접은 ㄷ자 형태의 끈끈이트랩(100)이 될 수 있게 하였다.
본체의 바닥면(20b)에도 ㄷ자형태의 끈끈이트랩(100)을 옆으로 돌려
Figure 112008501210911-PAT00004
모양으로 설치한다.
뒷면(10b)에는 바닥에서 90°각도의 약간의 테두리(10a-2)가 있어 덮개(10)를 닫았을 때, 본체(20)를 덮을 수 있게 하였다.
본체(20)에는 날벌레를 유인하는 자외선램프(60)가 있고, 이 자외선램프를 끼울 수 있는 소켓(50)이 양 측면에 있고, 램프의 과열을 예방하는 안정기를 내장하는 안정기케이스(40)를 바닥면에 설치하였고, 안정기와 소켓을 연결하는 전선을 내장시킨 전선케이스(30)를 양 측면에 설치하였으나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서 안정기케이스(40)에 전선을 내장시키고 전선케이스(30)에 안정기를 내장시킬 수도 있다.
본체(20)의 후면(20a)에는 끈끈이트랩에 포획된 날벌레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냄새와 세균을 없앨 수 있도록 광촉매코팅이 되어있고 날벌레가 너무 많아 끈끈이트랩설치가 더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예비용 끈끈이트랩설치대(20a-1)를 설치하였다.
예비용 끈끈이트랩설치대(20a-1)에 부착될 끈끈이트랩은 원형태의 끈끈이트랩(90)을 부착할 수 있다.
본체의 우측상단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연결시켜주는 연결선(80)이 있다.
포충기 내부에 끈끈이트랩을 교체하거나 자외선램프를 교체하거나 기타 수리가 용이하도록 덮개를 본체로부터 열 때 덮개와 본체를 연결시키는 경첩(70)이 있다.
.

Claims (5)

  1. 본체(20)를 완전히 덮으며 다수의 날벌레유입구((10a-1)를 갖고 전면(10a)에는 광촉매코팅으로 이루어지고 뒷면(10b)에는 끈끈이트랩(100)을 부착시킬 수 있게 기다란 ㄷ자모양의 끈끈이트랩설치대(10b-1, 10b-2)를 갖고 있는 덮개(10)와, 날벌레들을 유인하는 자외선램프(60)가 있고 자외선램프를 끼울 수 있는 소켓(50)을 고정시켜주며 안정기와 소켓으로 이어지는 전선을 내장시키는 양측면의 전선케이스(30)를 가지고 있고 안정기를 내장시킨 안정기케이스(40)를 가지고 있으며 광촉매코팅을 한 후면(20a)을 가지고 있는 본체(20)로 구성되어진 광촉매포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315nm-400nm의 자외선파장을 갖는 자외선램프를 사용하는 광촉매 전자 포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광촉매코팅은 자외선뿐만 아니라 형광등의 가시광선에서도 광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기능을 갖는 광촉매 전자 포충기
  4. 제1항에 있어서 광촉매코팅은 이산화티타늄(TlO2)을 촉매제로 사용하는 광촉매 전자 포충기
  5. 제1항에 있어서 끈끈이설치대(10b-1, 10b-2)는 본 발명품을 전면에서 바라볼 때, 끈끈이트랩(100)에 포획된 날벌레가 보이질 않도록 덮개의 뒷면(10b)바닥에서 약90°∼120°의 각도로 세워져있는 광촉매 전자 포충기
KR1020080021205A 2008-03-05 2008-03-05 광촉매 전자 포충기 KR20090095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05A KR20090095424A (ko) 2008-03-05 2008-03-05 광촉매 전자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205A KR20090095424A (ko) 2008-03-05 2008-03-05 광촉매 전자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424A true KR20090095424A (ko) 2009-09-09

Family

ID=4129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205A KR20090095424A (ko) 2008-03-05 2008-03-05 광촉매 전자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54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7830A (zh) * 2018-11-19 2019-01-15 昆山驭崴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捕虫防虫系统
KR101963346B1 (ko) * 2018-07-30 2019-03-28 박우진 해충퇴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46B1 (ko) * 2018-07-30 2019-03-28 박우진 해충퇴치기
CN109197830A (zh) * 2018-11-19 2019-01-15 昆山驭崴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捕虫防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267B1 (ko) 포충기
KR100491737B1 (ko)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KR101649123B1 (ko)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CN110831437B (zh) 捕虫器
EP3430899B1 (en) Insect trap
KR20130139531A (ko) 해충 포획장치
US11154044B2 (en) Insect trap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20020021466A (ko)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CN106035283A (zh) 一种风力诱捕虫装置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CN107182968B (zh) 捕虫器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CN202218574U (zh) 多功能电子蚊虫捕杀器
KR20090095424A (ko) 광촉매 전자 포충기
KR101266861B1 (ko) 해충 박멸장치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KR200347665Y1 (ko) 모기 유인 퇴치기
CN108244070A (zh) 捕虫器
KR101076259B1 (ko) 해충 포획장치
CN207948656U (zh) 捕虫器
KR102616208B1 (ko) 포충기
KR200426538Y1 (ko) 모기 포획 장치
KR102212441B1 (ko)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