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512A -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512A
KR20140077512A KR1020120146415A KR20120146415A KR20140077512A KR 20140077512 A KR20140077512 A KR 20140077512A KR 1020120146415 A KR1020120146415 A KR 1020120146415A KR 20120146415 A KR20120146415 A KR 20120146415A KR 20140077512 A KR20140077512 A KR 20140077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frequency
unit
greenhouse
ventila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동
김규형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512A/ko
Priority to US13/940,764 priority patent/US20140169138A1/en
Publication of KR2014007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창에 의해 개폐되는 온실에 설치된 장치에서의 해충 퇴치 방법으로, 상기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해충의 퇴치를 위한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유인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Vermin in Green House}
본 발명은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실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 분야에서 온실 작물 재배, 특히 파프리카와 같은 온실 작물 재배는 경제성이 매우 높고 대량 재배가 가능하여 농가 소득에 매우 유리하다. 이를 위해 해충 퇴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해충 퇴치를 위한 현재까지의 방식은 농약을 무분별하게 대량 살포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인하여 먹거리의 오염과 환경 교란 문제가 경제적/사회적 문제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기술적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즉, 식물 재배의 생산성을 높이고, 작물 및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는 친생태적 해충 관리 기법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특히, 최대한 농약 살포를 자제하고 효율적인 해충 종합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상 작물에 존재하는 해충의 정확한 분포와 밀도 예측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해충 밀도나 개체수를 계수하고자 하는 경우는 사람에 의하여 실시되므로, 정확한 밀도 파악이 어렵고 또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온실 내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여, 인식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충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초음파나, 해충이 좋아하는 유인광을 발생시켜 해충들을 외부로 인도함으로써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실의 환기창의 개폐를 제어하여 해충 퇴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기창에 의해 개폐되는 온실에 설치된 장치에서의 해충 퇴치 방법으로, 상기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해충의 퇴치를 위한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유인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온실 해충 퇴치 장치로, 환기창에 의해 개폐되는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는 해충 인식부와,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광을 발생시키는 발생부와, 상기 해충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주파수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유인광이 상기 발생부를 통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온실 내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여, 인식된 해충에 적합한 퇴치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해충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식된 해충에 적합한 스트레스 초음파 또는 유인광을 발생시켜 해충을 퇴치함으로써, 농약 사용에 따른 먹거리 오염 및 환경 파괴등을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실의 환기창의 개폐에 따라 초음파 또는 유인광의 발생 빈도들 증가시키거나, 초음파 또는 유인광 발생시 환기창의 개폐를 조절하므로 해충 퇴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실 해충 퇴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인식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실 해충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실 해충 퇴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해충 인식부(100), 발생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해충 인식부(100)는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해충을 인식함에 있어 비전 인식, 사용자 입력 및 환경 상태 기반 예측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된다. 이러한 해충 인식부(100)의 상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발생부(200)는 해충 퇴치를 위한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 또는 광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발생부(200)는 해충이 싫어하는 특정 주파수 음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210) 또는 해충이 좋아하는 특정 주파수의 유인광을 외부로 발사하는 유인광 발생부(220) 중 하나이거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210)는 환기창(400)을 향해 진행하는 초음파 커텐이 형성되어 온실 내부에 침입한 해충이 환기창(400)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부(210)는 환기창(400) 주변의 온실 외부에 설치되어, 해충이 환기창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부(210)는 하나의 초음파발생기를 제어하여 다양한 음역의 초음파를 자유자재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초음파 발생부(210)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복수 개의 초음파 발생부(210)가 동시에 다양한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며 각 초음파의 진폭을 조절하여 이들이 중첩을 일으켜서 온실의 특정 공간에 초음파 분포가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인광 발생부(220)는 온실의 하나 이상의 환기창(40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는데,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해충 인식부(100)에 의해 인식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유인광이 발생부(300)를 통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해충 인식부(100)에 의해 인식된 해충에 유해한 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주파수가 초음파 발생부(210)를 통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스트레스 주파수 모델부(500)로부터 인식된 해충에 매핑되는 스트레스 주파수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한다.
스트레스 주파수 모델부(500)는 해충들 각각이 싫어하는 스트레스 주파수가 매핑된 정보를 포함한다. 즉, 다양한 해충들 각각에 부여한 ID와, 각 ID 별로 스트레스 주파수 정보가 매핑된 형태의 테이블일 수 있다. 여기서, 각 ID별 스트레스 주파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해충 인식부(100)에 의해 인식된 해충이 선호하는 주파수의 유인광을 유인광 발생부(220)를 통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유인광 DB(600)로부터 인식된 해충에 매핑되는 유인광 주파수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한다.
유인광 DB(600)는 해충들 각각이 좋아하는 유인광 주파수가 매핑된 정보를 포함한다. 즉, 다양한 해충들 각각에 부여한 ID와, 각 ID 별로 유인광 주파수 정보가 매핑된 형태의 테이블일 수 있다. 여기서, 각 ID별 유인광 주파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또는 유인광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거나, 동시에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의 상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온실에는 하나 이상의 환기창들(40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환기창들(400)은 구동부(410)에 의해 자동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410)는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환기창(400)의 개폐를 조작한다. 또한, 구동부(410)는 제어부(300)에 환기창(400)의 개폐 상태를 전달한다.
제어부(200)는 환기창(40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온실 해충 퇴치 동작을 활성화시키거나, 온실 해충 퇴치 동작이 활성화됨에 따라 환기창(400)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충 인식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충 인식부(100)는 비전 인식부(110), 사용자 입력 인식부(120) 및 환경 상태 기반 예측부(130) 중 적어도 하나와, 해충 정보 DB(140) 및 식별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전 인식부(110)는 비전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온실 내에 존재하는 해충을 인식해낸다. 여기서, 비전 인식 기술이란, 영상에서 국소적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들을 분석하여 영상 안에 존재하는 개별 물체들을 추정해내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전 인식부(110)는 카메라로 온실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안에 존재하는 해충들을 추정해낸다. 이때, 영상 내에 존재하는 특징점들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충들의 특징점의 일치율에 따라, 해충이 추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식부(120)는 온실 내부 또는 외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해충의 명칭 또는 모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온실 내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해낸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 인식부(12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거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경 상태 기반 예측부(130)는 습도 또는 일사량을 포함하는 환경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센서들에 의해 센싱된 환경 상태 정보에 따라, 온실 내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예측한다. 이때,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환경 상태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충들의 서식 환경 상태와의 일치율에 따라, 해충이 추정될 수 있다.
해충 정보 DB(140)는 각 해충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부(150)는 비전 인식부(110), 사용자 입력 인식부(120) 및 환경 상태 기반 예측부(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출력된 인식 결과에 따른 해충 ID를 해충 정보 DB(140)로부터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해충 ID는 둘 이상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초음파 결정부(310) 및 유인광 결정부(320) 중 적어도 하나와, 환기창 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초음파 결정부(310)는 해충 인식부(100)로부터 입력된 해충 ID에 매핑되어 있는 주파수를 스트레스 주파수 모델부(200)로부터 검출해내고, 초음파 발생부(210)가 검출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입력된 해충 ID가 둘 이상일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해충 ID에 대해서도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초음파 결정부(310)는 초음파 발생 시간 또는 주기 정보도 결정하여 해충의 초음파 내성이 생기지 않으면서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해충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되 해충의 초음파 면역 또는 내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주파수가 둘 이상일 경우, 둘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들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초음파 발생부들(310)이 있으므로, 다양한 모드의 초음파 발생을 구현할 수 있다.
유인광 결정부(320)는 해충 인식부(100)로부터 입력된 해충 ID에 매핑되어 있는 주파수를 유인광 DB(600)로부터 검출해내고, 유인광 발생부(220)가 검출된 주파수를 가진 유인광이 발생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입력된 해충 ID가 둘 이상일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해충 ID에 대해서도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유인광 결정부(320)는 초음파 발생 시간 또는 주기 정보도 결정하여 유인광 발생부(220)에 전달한다. 이때, 주파수가 둘 이상일 경우, 둘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유인광들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환기창 조절부(330)는 환기창(40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온실 해충 퇴치 동작의 활성화를 조절하거나, 온실 해충 퇴치 동작이 활성화됨에 따라 환기창(4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구동부(410)로부터 환기창 개방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충이 온실 내로 침입할 가능성이 크므로, 환기창 조절부(330)는 초음파 주파수 결정부(310) 또는 유인광 결정부(320)를 구동시키거나, 초음파 또는 유인광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또한, 초음파 결정부(310) 및 유인광 결정부(320)가 동작됨에 따라, 환기창 조절부(330)는 구동부(410)에 환기창(400)을 개방하라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스트레스를 받거나, 유인광이 발사된 장소로 이동하려는 해충이 환기창(400)을 통해 온실 외부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실 해충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온실 해충 퇴치 방법은 크게 상기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S430)와, 인식된 해충의 퇴치를 위한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S440)와, 검출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유인광을 발생시키는 단계(S44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환기창을 제어하는 단계(S450, S460)를 더 포함한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환기창 개방 또는 구동 요청을 포함하는 온실 해충 퇴치 동작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410). 판단 결과 온실 해충 퇴치 동작 구동 이벤트가 발생되면, 온실 해충 퇴치 동작이 구동된다(S420). 즉, 환기창이 개방됨에 따라, 해충이 온실 내로 침입할 가능성이 크므로, 온실 해충 퇴치 동작이 구동되거나, 초음파 또는 유인광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한다(S430). 해충을 인식함에 있어 비전 인식(S431), 사용자 입력(S432) 및 환경 상태 기반 예측(S433)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된다.
비전 인식 단계(S431)에서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카메라로 온실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안에 존재하는 해충들을 추정해낸다. 이때, 영상 내에 존재하는 특징점들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충들의 특징점의 일치율에 따라, 해충이 추정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단계(S432)에서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온실 내부 또는 외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해충의 명칭 또는 모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온실 내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는 해충을 인식해낸다.
환경 상태 기반 예측 단계(S433)에서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습도 또는 일사량을 포함하는 환경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된 환경 상태에서 존재하거나 침입할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예측한다. 이때,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환경 상태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충들의 서식 환경 상태와의 일치율에 따라, 해충이 추정될 수 있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비전 인식(S431), 사용자 입력(S432) 및 예측(S43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출력된 인식 결과에 따른 해충 ID를 검출한다(S431). 이때, 검출되는 해충 ID는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해충 퇴치를 위한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 또는 광을 발생시킨다(S440).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해충이 싫어하는 특정 주파수 음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거나(S441 내지 S443), 해충이 좋아하는 특정 주파수의 유인광을 외부로 발생(S444 내지 S446)시킬 수 있고,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초음파로 해충 퇴치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441). 판단 결과 초음파로 해충 퇴치할 경우 S442 및 S443을 수행한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검출된 해충 ID에 매핑되어 있는 주파수를 스트레스 주파수 모델부(200)로부터 검출해내고, 초음파 발생 시간을 결정한다(S442). 이때, 입력된 해충 ID가 둘 이상일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해충 ID에 대해서도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주파수가 둘 이상일 경우, 둘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들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초음파 발생부들이 있으므로, 다양한 모드의 초음파 발생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해충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되 해충의 초음파 면역 또는 내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주기 정보도 결정할 수 있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검출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생시킨다(S443).
반면, S441의 판단 결과 초음파로 해충 퇴치하지 않을 경우,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유인광으로 해충 퇴치할지를 판단하고(S441), 판단 결과 유인광으로 해충 퇴치할 경우 S445 및 S446을 수행한다.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검출된 해충 ID에 매핑되어 있는 주파수를 유인광 주파수 DB(200)로부터 검출하고, 발생 시간을 결정한다(S444), 이때, 입력된 해충 ID가 둘 이상일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해충 ID에 대해서도 둘 이상의 주파수들이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초음파 발생 시간 또는 주기 정보도 결정한다. 온실 해충 퇴지 장치는 검출된 주파수를 가진 유인광이 발생시킨다. 이때, 주파수가 둘 이상일 경우, 둘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유인광들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반면, S444 판단 결과, 유인광으로 해충 퇴치하지 않을 경우, S450 단계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초음파 또는 유인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발생됨에 따라,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환기창을 폐쇄 상태를 판단한다(S450)
S450 단계의 판단 결과 환기창이 폐쇄되어 있을 경우, 온실 해충 퇴치 장치는 환기창을 개방한다(S460). 이로써, 스트레스를 받거나, 유인광이 발사된 장소로 이동하려는 해충이 환기창(400)을 통해 온실 외부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환기창에 의해 개폐되는 온실에 설치된 장치에서의 해충 퇴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해충의 퇴치를 위한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유인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는
    온실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온실 내부에 존재하는 해충을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는
    온실 내부 또는 외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해충의 이름 또는 모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해충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는
    습도 또는 일사량을 포함하는 환경 상태에 따라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상기 인식된 해충에 유해한 스트레스 초음파 주파수 또는 상기 인식된 해충이 선호하는 유인광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을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온실에 환기창을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 결과 환기창이 개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해충을 인식하는 빈도 또는 상기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빈도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또는 유인광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환기창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환기창이 폐쇄되어 있을 경우, 상기 환기창을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방법.
  8. 환기창에 의해 개폐되는 온실 내부에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인식하는 해충 인식부와,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광을 발생시키는 발생부와,
    상기 해충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주파수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또는 유인광이 상기 발생부를 통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인식부는
    온실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온실 내부에 존재하는 해충을 추정하는 비전 인식부와,
    상기 비전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정보에 상응하는 해충의 식별자를 검출하는 식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인식부는
    온실 내부 또는 외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해충의 이름 또는 모양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인식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상응하는 해충의 식별자를 검출하는 식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인식부는
    습도 또는 일사량을 포함하는 환경 상태에 따라 존재하거나 침입 가능성이 있는 해충을 예측하는 환경 상태 기반 예측부와,
    상기 환경 상태 기반 예측를 통해 예측된 해충 정보에 상응하는 해충의 식별자를 검출하는 식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는
    특정 주파수 음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또는 특정 주파수의 유인광을 외부로 발사하는 유인광 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해충에 유해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인식된 해충이 선호하는 주파수의 유인광을 상기 유인광 발생부를 통해 발사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해충별 스트레스 주파수 정보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주파수 모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주파수 모델부로부터 상기 인식된 해충에 매핑되는 스트레스 주파수 정보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창을 개폐 상태를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환기창이 개방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충을 인식하는 빈도 또는 상기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빈도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창을 개폐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발생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에 환기창을 개방 제어 신호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해충 퇴치 장치.
KR1020120146415A 2012-12-14 2012-12-14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KR20140077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415A KR20140077512A (ko) 2012-12-14 2012-12-14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US13/940,764 US20140169138A1 (en) 2012-12-14 2013-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lling pests in green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415A KR20140077512A (ko) 2012-12-14 2012-12-14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512A true KR20140077512A (ko) 2014-06-24

Family

ID=5093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415A KR20140077512A (ko) 2012-12-14 2012-12-14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69138A1 (ko)
KR (1) KR201400775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54A (ko) *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면상 광원 장치
KR102179146B1 (ko) * 2020-07-13 2020-11-1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KR102179143B1 (ko) * 2020-07-13 2020-11-1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옥내 통신케이블 접속기기
KR20210000698A (ko) * 2018-12-05 2021-01-05 (주)투비시스템 음파 및 IoT 기반의 농작물 생장 제어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20220099049A (ko)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인공지능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8653B2 (ja) * 2012-05-11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害虫防除照明システム
EP3099161B1 (en) * 2014-01-29 2019-11-20 Signify Holding B.V. Lighting system for insect control
CN105137840A (zh) * 2015-08-19 2015-12-09 方中元 设施温室内作物病虫害自动监测与智能施药防控系统
USD818559S1 (en) 2016-05-20 2018-05-22 Ecolab Usa Inc. Insect trap
US10966420B2 (en) * 2016-06-09 2021-04-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sect trap
US10271533B2 (en) * 2017-01-23 2019-04-30 Lighting Science Group Corporation Smart mosquito trap
US10932418B2 (en) 2017-06-14 2021-03-02 Grow Solutions 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waves in an assembly line grow pod
US10772317B2 (en) * 2018-02-15 2020-09-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ring pests from gas turbine inlet air filtration units
CN109362677A (zh) * 2018-11-06 2019-02-22 六安市叶集区绿叶果木种植专业合作社 一种葡萄种植用防虫驱鸟装置
US20220192171A1 (en) * 2020-12-17 2022-06-23 OTS INVESTCO INC. (Ontario Corporation No 00243119) Pes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552A (en) * 1989-07-17 1990-10-23 Price Charles S Electronic animal repellant apparatus
KR20050059833A (ko) * 2003-12-15 2005-06-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는 해충 퇴치방법
US9730397B2 (en) * 2006-06-29 2017-08-15 Houweling Nurseries Oxnard, Inc.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784215B2 (en) * 2006-11-09 2010-08-31 Lee William Cohnstaedt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ed light traps
US8737170B2 (en) * 2011-09-26 2014-05-27 LaDean Ray Kasper Ultrasonic grasshopper and pest deterrent
WO2013069059A1 (en) * 2011-11-09 2013-05-16 Feugier Francois Gabriel Pest control system, pest control method and pest control progra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54A (ko) *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면상 광원 장치
KR20210000698A (ko) * 2018-12-05 2021-01-05 (주)투비시스템 음파 및 IoT 기반의 농작물 생장 제어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KR102179146B1 (ko) * 2020-07-13 2020-11-1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실내 인입 통신케이블 보호기구
KR102179143B1 (ko) * 2020-07-13 2020-11-1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옥내 통신케이블 접속기기
KR20220099049A (ko) *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인공지능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69138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7512A (ko) 온실 해충 퇴치 장치 및 방법
US11241002B2 (en) Remote insec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11726986B (zh) 系统与方法
US11039607B2 (en) Machine for capturing, counting and monitoring insects
US202002053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flying insects
US70209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detecting trapped insects
KR102276944B1 (ko) 음파 및 IoT 기반의 농작물 생장 제어 및 병해충 방제 시스템
WO2014037936A1 (en) System for automatic trapping and counting of flying insects
KR100825091B1 (ko) 형상 인식형 조수 퇴치시스템
CN106070133A (zh) 飞行灭蚊器控制方法及装置
IT201900002249A1 (it) Sistema e metodo di predizione del rischio di attacco di insetti
KR101867985B1 (ko) 양봉용 관제 시스템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JP2006280287A (ja) 物理・機械的作用による誘引と忌避を利用した害虫捕集・検出装置
WO2020055383A1 (en) Microdispenser treatment for honeybees
KR100688243B1 (ko) 야생동물 원격 포획시스템
KR102446572B1 (ko) IoT 방식의 스마트 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13799A (ko) 소형 포유류 안전 포획장치
KR101966898B1 (ko) 자율 방범 시스템
Andres et al. Development of Modulated Audible Frequency and Electric Shock Repellent for Rock Dove and Pigeon with Monitoring System
Sheela et al. Design of Rat Trap based on Ultrasonic Waves using Bluetooth Technology
Eliopoulos et al. Automated detection and monitoring of grain beetles using a" smart" pitfall trap.
JP7458089B2 (ja) 虫同定用画像データの生成方法及び虫同定システム
KR20230169695A (ko) 유해동물 퇴치 시스템 및 퇴치 방법
Mehta et al. Intelligent Technique for Smart Locust Swarm Detection and Prevention Shield for Agricultural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