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072A -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 Google Patents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072A
KR20060122072A KR1020050044035A KR20050044035A KR20060122072A KR 20060122072 A KR20060122072 A KR 20060122072A KR 1020050044035 A KR1020050044035 A KR 1020050044035A KR 20050044035 A KR20050044035 A KR 20050044035A KR 20060122072 A KR20060122072 A KR 2006012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
terminal
unit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240B1 (ko
Inventor
신호균
최성혜
Original Assignee
(주)실비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실비토스 filed Critical (주)실비토스
Priority to KR102005004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24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84Arrangements monitoring consumption of a utility or use of an appliance which consumes a utility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metering of water, gas or electricity, use of taps, toilet flush, gas stove or electric kett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에서 수집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주자를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으로: (a) 상기 관리서버가 기준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이 수집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단말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c) 상기 관리서버가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d) 상기 관리서버가 인증된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e) 상기 관리서버가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경우에 기저장된 설문메세지를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된 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g)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받은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관리서버가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발생기키는 단계와, (i) 상기 관리서버가 경고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거주자 관리서비스, 세대단말, 관리서버

Description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Method for providing resident management service, system for using resident management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세대단말 및 관리서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준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거주자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세대단말 112: 활동정보수집부
114: 단말정보저장부 116: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
122: 설문메세지수신부 124: 설문메세지출력부
132: 응답신호입력부 134: 응답신호전송부
200: 관리서버 212: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
222: 단말정보저장부 224: 단말인증부
232: 기준값설정부 234: 기준값저장부
242: 데이타비교부 252: 설문메세지저장부
254: 설문메세지전송부 262: 응답신호수신부
264: 응답신호분석부 272: 경고메세지발생부
274: 경고메세지표시부
본 발명은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게하게는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분석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독거노인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단위세대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독거노인뿐만 아니라 환자 등과 같이 관리자의 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람도 가능하다.
고령화, 핵가족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는 혼자서 거주하는 독거노인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독거노인을 위한 주거시설로 실버타운이 건설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실버타운에는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가 상주하게 된다.
그러나 소수의 관리자가 다수의 독거노인을 완벽하게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에게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관리자의 대응이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주자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에서 수집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주자를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으로: (a) 상기 관리서버가 기준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이 수집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단말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c) 상기 관리서버가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d) 상기 관리서버가 인증된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e) 상기 관리서버가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경우에 기저장된 설문메세지를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된 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g)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받은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관리서버가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발생기키는 단계와, (i) 상기 관리서버가 경고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동정보는, 거주자의 활동량과, 용변횟수, 세면횟수, 식사횟수이고, 상기 세대단말은 상기 활동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거주자가 출입문 또는 창문을 개폐하는 횟수와, 거주자가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 거주자가 화장실문을 개폐하는 횟수, 거주자가 변기레버 또는 세면대레버를 조작하는 횟수, 거주자가 냉장고도어를 개폐하는 횟수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a1) 상기 관리서버가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세대단말에 수집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단말코드를 포함하는 세대단말의 단말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a2) 상기 관리서버가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a3) 상기 관리서버가 인증된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분석하여 기준값 을 설정하는 단계와, (a4) 상기 관리서버가 설정된 기준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단계는, (e1)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 거주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1설문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e2)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에 의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과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상기 활동정보에 관하여 거주자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2설문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에서 수집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주자를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상기 세대단말은,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정보수집부와, 세대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가 저장되는 단말정보저장부와, 상기 활동정보와 세대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설문메세지는 수신받는 설문메세지수신부와, 상기 설문메세지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설문메세지를 출력하는 설문메세지출력부와, 상기 설문메세지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설문메세지에 따른 거주자의 응답신호를 입력받는 응답신호입력부와, 상기 응답신호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응답신호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동정보수집부에는, 단위세대의 출입문 및 창문에 설치되어 출입문 또는 창문의 개폐회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실내에 설치되어 거주자의 활동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화장실 및 욕실에 설치되어 화장실문 또는 욕실문의 개폐횟수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변기에 설치되어 변기레버의 동작횟수를 감지하는 제4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세면대에 설치되어 세면대레버의 동작횟수를 감지하는 제5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냉장고에 설치되어 냉장고도어의 개폐횟수를 감지하는 제6감지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에서 수집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주자를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세대단말에 수집된 거주자의 활동정보 및 단말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수신받는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와, 상기 세대단말에 관한 단말정보가 저장되는 단말정보저장부와, 상기 단말정보저장부에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받은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을 인증하는 단말인증부와,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활동정보를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부와, 상기 기준값설정부에서 설정된 기준값을 저장하는 기준값저장부와,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되는 활동정보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활동정보와 기준값을 편차를 계산하는 데이타비교부와,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되는 설문메세지가 저장되는 설문메세지저장부와, 상기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가 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경우에 상기 설문메세지저장부에 저장된 설문메세지를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하는 설문메세지전송부와, 상기 세대단말에 입력된 상기 설문메세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응답신호수신부와, 상기 응답신호수신부에 수신된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답신호분석부와,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발생시키는 경고메세지발생부와, 상기 경고메세지발생부에서 발생된 경고메세지를 표시하는 경고메세지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문메세지저장부에 저장되는 설문메세지는, 거주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1설문메세지와, 상기 제1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에 의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과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상기 활동정보에 관하여 거주자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2설문메세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의하면, 거주자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세대단말 및 관리서버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준값을 설정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거주자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각 단위세대에는 세대단말(10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세대단말(100)은 관리서버(200)에 연결되는데, 상기 세대단말(100)은 실버타운을 구성하는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내부통신망에 의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연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대단말(100)은 활동정보수집부(112)와, 단말정보저장부(114),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116), 설문메세지수신부(122), 설문메세지출력부(124), 응답신호입력부(132), 그리고 응답신호전송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에는 독거노인의 활동정보, 예를 들면, 독거노인의 활동량, 용변횟수, 세면횟수, 식사횟수 등을 수집하기 위한 다수개의 감지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에 수집된 독거노인의 활동정보는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타 및 독거노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값에 비교되는 데이타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독거노인의 활동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감지센서로는 단위세대의 출입문 및 창문에 설치되어 출입문 또는 창문의 개폐횟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실내에 설치되어 독거노인의 활동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회장실 및 욕실에 설치되어 화장실문 또는 욕실문의 개폐횟수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변기에 설치되어 변기레버의 동작횟수를 감지하는 제4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세면대에 설치되어 세면대레버의 동작횟수를 감지하는 제5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냉장고에 설치되어 냉장고도어의 개폐횟수를 감지하는 제6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정보저장부(114)에는 단말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각종 단말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116)는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에 수집된 활동정보와 상기 단말정보저장부(114)에 저장된 단말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설문메세지수신부(122)는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설문메세지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문메세지출력부(124)는 상기 설문메세지수신부(122)에 수신된 설문메세지를 독거노인이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응답신호입력부(132)는 상기 설문메세지출력부(124)에서 출력된 설문메세지에 따른 독거노인의 응답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응답신호전송부 (134)는 상기 응답신호입력부(132)에 입력된 응답신호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200)는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212)와, 단말정보저장부(222), 단말인증부(224), 기준값설정부(232), 기준값저장부(234), 데이타비교부(242), 설문메세지저장부(252), 설문메세지전송부(254), 응답신호수신부(262), 응답신호분석부(264), 경고메세지발생부(272), 그리고 경고메세지표시부(2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212)는 상기 세대단말(1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116)에서 전송된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는 수신한다. 상기 단말정보저장부(222)에는 단말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세대단말(100)에 관한 단말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단말인증부(224)는 상기 단말정보저장부(222)에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212)에 수신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100)을 인증한다.
상기 기준값설정부(232)는 상기 세대단말(100)에서 전송된 독거노인의 활동정보를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준값저장부(234)에는 상기 기준값설정부(232)에서 설정된 기준값이 저장된다. 상기 데이타비교부(242)는 상기 세대단말(1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116)에서 전송되는 독거노인의 활동정보와 상기 기준값저장부(234)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문메세지저장부(252)에는 상기 세대단말(100)의 설문메세지수신부 (122)에 전송되는 설문메세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설문메세지전송부(254)는 상기 데이타비교부(242)에서 계산된 상기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가 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경우에 상기 설문메세지저장부(252)에 저장된 설문메세지를 상기 세대단말(100)의 설문메세지수신부(122)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문메세지저장부(252)에 저장되는 설문메세지는 독거노인의 전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1설문메세지와, 상기 제1설문메세지에 대한 독거노인의 응답신호에 의하여 독거노인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독거노인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2설문메세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설문메세지로는 "불편하신데가 있습니까?", "생활에 불편한 점이 있습니까?",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계십니까?" 등과 같이 독거노인에게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묻는 설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설문메세지는 상기 기준값과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상기 활동정보에 관하여 독거노인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의 제1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출입문의 개폐횟수가 기준값과 기설정된 편차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설문메세지는 "외출을 하지 못할 만큼 불편하십니까?"와 같은 설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의 제1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창문의 개폐횟수가 기준값과 기설정된 편차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설문메세지는 "환기를 시키지 못할 만큼 불편하십니까?"와 같은 설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의 제2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독거노인 의 활동시간이나 활동반경이 기준값과 기설정된 편차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설문메세지는 "이동하시기가 불편하십니까?" 또는 "다리가 불편하십니까?" 등과 같은 설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의 제3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화장실문 또는 욕실문의 개폐횟수가 기준값과 기설정된 편차이상이거나, 제4감지센서 또는 제5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변기레버의 동작횟수 또는 세면대레버의 동작횟수가 기준값과 기설정된 편차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설문메세지는 "배변하시기가 불편하십니까?", "세면하시는데 문제가 있습니까?"와 같은 설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의 제6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냉장고도어의 개폐횟수가 기준값과 기설정된 편차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설문메세지는 "식사를 제대로 하고 계십니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계십니까?"와 같은 설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응답신호수신부(262)는 상기 설문메세지에 따라서 독거노인이 상기 세대단말(100)의 응답신호입력부(132)에 입력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응답신호분석부(264)는 상기 응답신호수신부(262)에 수신된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독거노인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고메세지발생부(272)는 상기 응답신호분석부(264)에서 독거노인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메세지표시부(274)는 상기 경고메세지발생부(272)에서 발생된 경고메세지를 외부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비상사대의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을 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대단말(100)의 활동정보수집부(112)를 초기화한 다음에,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감지센서가 독거노인의 활동정보를 수집한다.(S1)(S2) 이때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에 구비되는 감지센서에 의한 독거노인의 활동정보수집은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독거노인의 활동에 대한 평균값이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기간, 예를 들면, 1주일이나 1개월 또는 몇 개월 동안 진행된다.(S3)
이와 같이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가 독거노인의 활동정보를 수집하면, 상기 세대단말(100)은 단말정보저장부(114)에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한다.(S4) 그리고 상기 세대단말(1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116)가 활동정보와 단말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212)에 전송하게 된다.(S5)
상기 관리서버(2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212)에 활동정보와 단말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서버(200)는 단말정보저장부(222)에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한다.(S6)(S7)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200)의 단말인증부(224)가 이를 상기 세대단말(100)에서 전송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세대단말(100)을 인증하게 된다.(S9)
한편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세대단말(100)이 인증되면, 상기 관리서 버(200)의 기준값설정부(232)가 활동정보를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한다.(S10)(S11) 그리고 상기 기준값설정부(232)에서 설정된 기준값은 상기 관리서버(200)의 기준값저장부(234)에 저장된다.(S12)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대단말(100)의 활동정보수집부(112)에서 독거노인의 활동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수집한다.(S13)(S14) 이때 상기 활동정보수집부(112)가 활동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은 상술한 기준값의 설정을 위하여 활동정보를 수집하는 시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대단말(100)은 단말정보저장부(114)에 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세대단말(1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116)가 활동정보와 단말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5)(S16)
상기 관리서버(2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212)는 상기 세대단말(100)에서 전송된 활동정보와 단말정보를 수신한다.(S17)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200)의 단말인증부(224)는 관리서버(200)의 단말정보저장부(222)에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100)에서 전송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세대단말(100)을 인증한다.(S18)(S19)
이와 같이 상기 세대단말(100)의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서버(200)의 데이타비교부(242)가 상기 관리서버(200)의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212)에 수신된 독거노인의 활동정보와 상기 기준값저장부(234)에 저장된 기준값을 독출하여 활동정보와 기준값을 비교한다.(S21)(S22)
그리고 상기 데이타비교부(242)에서 활동정보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양자의 편차가 기설정된 값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설문메세지저장부(252)에 저장된 설문메세지를 독출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의 설문메세지전송부(254)가 이를 상기 세대단말(100)에 전송한다.(S23)(S24)(S25)
상기 세대단말(100)의 설문메세지수신부(122)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설문메세지전송부(254)에서 전송된 설문메세지를 수신한다.(S26) 그리고 상기 세대단말(100)의 설문메세지출력부(124)는 상기 설문메세지수신부(122)에 수신된 설문메세지를 외부로 출력하여 독거노인이 설문메세지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S27)
그리고 상기 세대단말(100)의 응답신호입력부(132)에는 상기 설문메세지출력부(124)에서 출력된 설문메세지에 대한 독거노인의 응답신호를 입력받는다.(S28) 이와 같이 상기 응답신호입력부(132)에 입력된 독거노인의 응답신호는 상기 세대단말(100)의 응답신호전송부(134)에서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된다.(S29)
상기 관리서버(200)의 응답신호수신부(262)는 상기 세대단말(100)의 응답신호전송부(134)에서 전송된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30)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200)의 응답신호분석부(264)는 상기 응답신호수신부(262)에 수신된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독거노인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S32)
이때 상기 관리서버(200)는 먼저 독거노인의 전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1설문메세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하여 상기 세대단말(100)에 입력되는 독거노인의 응답신호에 의하여 독거노인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다시 독거노인의 구체적 상태를 확인하는 제2설문메세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설문메세지는 상기 데이타비교부(242)에서 비교하여 기설정된 기준값과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의 편차를 보이는 활동정보와 관련된 설문이 된다.
상기 응답신호분석부(264)에 의하여 독거노인에게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서버(200)의 경고메세지발생부(272)에서 경고메세지가 발생된다.(S33)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200)의 경고메세지표시부(274)는 상기 경고메세지발생부(272)에서 발생된 경고메세지를 외부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독거노인에게 이상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34)
상기 경고메세지발생부(272)에서 발생된 경고메세지는 독거노인의 가족이나 보호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고메세지의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인 전화나 메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음성저장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매체로는 광디스크와 같이 공지된 어떠한 기록매체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 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다수개의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기설정된 기준값과 소정의 값이상의 편차를 보이는 경우에 거주자에게 설문메세지를 전송하고, 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을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의 관리자에 의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거주자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Claims (9)

  1.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에서 수집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주자를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으로:
    (a) 상기 관리서버가 기준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이 수집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단말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c) 상기 관리서버가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d) 상기 관리서버가 인증된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e) 상기 관리서버가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경우에 기저장된 설문메세지를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된 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를 전송받는 단계와,
    (g)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받은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관리서버가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발생기 키는 단계와,
    (i) 상기 관리서버가 경고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정보는, 거주자의 활동량과, 용변횟수, 세면횟수, 식사횟수이고,
    상기 세대단말은 상기 활동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거주자가 출입문 또는 창문을 개폐하는 횟수와, 거주자가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 거주자가 화장실문을 개폐하는 횟수, 거주자가 변기레버 또는 세면대레버를 조작하는 횟수, 거주자가 냉장고도어를 개폐하는 횟수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관리서버가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세대단말에 수집된 거주자의 활동정보와 단말코드를 포함하는 세대단말의 단말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a2) 상기 관리서버가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을 인증하는 단계와,
    (a3) 상기 관리서버가 인증된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a4) 상기 관리서버가 설정된 기준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e1)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세대단말에 거주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1설문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e2)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에 의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과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상기 활동정보에 관하여 거주자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2설문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5.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에서 수집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주자를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상기 세대단말은,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정보수집부와,
    세대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가 저장되는 단말정보저장부와,
    상기 활동정보와 세대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전송부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설문메세지는 수신받는 설문메세지수신부와,
    상기 설문메세지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설문메세지를 출력하는 설문메세지출력부와,
    상기 설문메세지출력부에서 출력된 상기 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를 입력받는 응답신호입력부와,
    상기 응답신호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응답신호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정보수집부에는,
    단위세대의 출입문 및 창문에 설치되어 출입문 또는 창문의 개폐회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실내에 설치되어 거주자의 활동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화장실 및 욕실에 설치되어 화장실문 또는 욕실문의 개폐횟수를 감지하는 제3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변기에 설치되어 변기레버의 동작횟수를 감지하는 제4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세면대에 설치되어 세면대레버의 동작횟수를 감지하는 제5감지센서와,
    단위세대의 냉장고에 설치되어 냉장고도어의 개폐횟수를 감지하는 제6감지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7. 단위세대에 설치되는 세대단말에서 수집되는 거주자의 활동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된 거주자의 활동정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거주자를 관리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세대단말에 수집된 거주자의 활동정보 및 단말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정보를 수신받는 활동정보 및 단말정보수신부와,
    상기 세대단말에 관한 단말정보가 저장되는 단말정보저장부와,
    상기 단말정보저장부에 기저장된 단말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받은 단말정보와 비교하여 세대단말을 인증하는 단말인증부와,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된 활동정보를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부와,
    상기 기준값설정부에서 설정된 기준값을 저장하는 기준값저장부와,
    상기 세대단말에서 전송되는 활동정보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활동정보와 기준값을 편차를 계산하는 데이타비교부와,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되는 설문메세지가 저장되는 설문메세지저장부와,
    상기 활동정보와 기준값의 편차가 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경우에 상기 설문메세지저장부에 저장된 설문메세지를 상기 세대단말에 전송하는 설문메세지전송부와,
    상기 세대단말에 입력된 상기 설문메세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응답신호수신부와,
    상기 응답신호수신부에 수신된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답신호분석부와,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경고메세지를 발생시키는 경고메세지발생부와,
    상기 경고메세지발생부에서 발생된 경고메세지를 표시하는 경고메세지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메세지저장부에 저장되는 설문메세지는,
    거주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1설문메세지와,
    상기 제1설문메세지에 대한 거주자의 응답신호에 의하여 거주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과의 편차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이상인 상기 활동정보에 관하여 거주자의 구체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제2설문메세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자 관리서비스에 사용되는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50044035A 2005-05-25 2005-05-25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KR10071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35A KR100719240B1 (ko) 2005-05-25 2005-05-25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35A KR100719240B1 (ko) 2005-05-25 2005-05-25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072A true KR20060122072A (ko) 2006-11-30
KR100719240B1 KR100719240B1 (ko) 2007-05-17

Family

ID=3770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035A KR100719240B1 (ko) 2005-05-25 2005-05-25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2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605B1 (ko) * 2007-09-07 2009-09-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상행위의 이상 징후 감지 방법 및 시스템
US7843323B2 (en) 2007-08-20 2010-1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daily activities using sensors
KR101116691B1 (ko) * 2011-07-14 2012-02-22 홍성진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1513A (ko) * 2018-10-12 2020-04-22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임대주택의 불법전대 모니터링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904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방송 시청기록 분석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8294B2 (en) * 2001-03-15 2005-1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person requiring care and his/her caretaker
KR20020083732A (ko) * 2001-04-30 2002-11-04 주식회사 아토스 열감지센서를 이용한 건강 이상 예측 및 전달시스템
KR20030043178A (ko) * 2001-11-27 2003-06-02 바이오인포메틱스 주식회사 무선통신을 이용한 실버타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60458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노인 안부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525623B1 (ko) * 2003-03-04 2005-11-15 (주)실비토스 독거노인 관리 서비스 방법
KR20050090947A (ko) * 2004-03-10 2005-09-14 이상로 실버텔 운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3323B2 (en) 2007-08-20 2010-11-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daily activities using sensors
KR100917605B1 (ko) * 2007-09-07 2009-09-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상행위의 이상 징후 감지 방법 및 시스템
US7847682B2 (en) 2007-09-07 2010-12-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sensing abnormal signs in daily activities
KR101116691B1 (ko) * 2011-07-14 2012-02-22 홍성진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1513A (ko) * 2018-10-12 2020-04-22 온동네피엠씨 주식회사 임대주택의 불법전대 모니터링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6904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방송 시청기록 분석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240B1 (ko)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3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ecurity questions via connected security system
DK2353153T3 (en) SYSTEM FOR TRACKING PERSON'S PRESENCE IN A BUILDING, PROCEDUR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176705B1 (en) Audio monitoring and sound identification process for remote alarms
JP7265995B2 (ja) 監視及びコンシェルジェサービス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なシステム及び方法
US6825761B2 (en) System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persons in a domestic environment
WO2019054949A9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cleaning
EP1713036A1 (en) System for detecting incorrectly functioning sensors in a visitor counting system
US20070176760A1 (en) Monitoring movement of an entity in an environment
KR100719240B1 (ko)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JP2002092767A (ja) 家人ケアシステム、家人ケア用サーバー、ホーム端末、家人ケア方法、家人ケ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及び家電機器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CN11096951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租房安防方法和系统
US20090254408A1 (en) Facilities monitoring system with telephone interface and automatic problem verification
JP4943079B2 (ja) センサ情報変換装置、センサ情報変換方法、及びセンサ情報通知方法
JP2019198695A (ja) 通知システム、通知装置、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242569A (ja) 安否確認装置
KR101758711B1 (ko) 홈 게이트웨이 장치, 외부 서버, 안전망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84298B1 (ko) Iptv를 통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4716723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
EP1482464B1 (fr) Capteur de présence bi-fonctionnel, système et procédé de gestion mettant en oeuvre de tels capteurs
KR20170082301A (ko)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방법
JP4104953B2 (ja) 冷蔵庫、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410650B1 (ko) 비대면 종합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WO2019151857A1 (en) A monitor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40185697A1 (en) Premises monitoring using acoustic models of premises
WO2023058154A1 (ja) 行動監視システムおよび行動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