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691B1 -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691B1
KR101116691B1 KR1020110069695A KR20110069695A KR101116691B1 KR 101116691 B1 KR101116691 B1 KR 101116691B1 KR 1020110069695 A KR1020110069695 A KR 1020110069695A KR 20110069695 A KR20110069695 A KR 20110069695A KR 101116691 B1 KR101116691 B1 KR 10111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io
information
age
stored
p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홍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진 filed Critical 홍성진
Priority to KR102011006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설문조사 참여자에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신뢰성 있는 여론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론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1저장부; 제1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여론조사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선택항목 제공부; 여론조사 참여자에 의해 선택항목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부; 카운터부를 통해 카운팅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 제2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참여자가 접속할 때마다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돼서 참여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설문조사 수치에 참여자의 특성(성별, 거주 지역, 연령 등의 참여자 정보)을 반영함으로써 해당 이슈를 선택한 단순한 참여자의 절대 수가 아니라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비율을 반영한 상대적인 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여론조사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Survey and pol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와, 세계화 시대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방대한 양의 자료를 쉽게 열람하거나 원하는 자료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연구자가 연구 대상의 자료를 얼마만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느냐가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국내 인터넷 사용자수가 이미 3천 9백만명,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수는 20억에 달하고, 컴퓨터 보급률과 인터넷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인터넷을 학문분야에 접목시키려는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전반적인 추세에 의해 통계학의 한 분류인 표본론의 여론조사 방법도 기존의 면접조사, 우편조사, 전화조사, 직접조사 등의 방법과 더불어 인터넷 여론조사라는 새로운 조사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 여론 조사는 전 세계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시간이나 장소의 제한에서 벗어나 신속하게 많은 응답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국내 유관기관 및 여론 조사 기관에서 인터넷 여론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37432호 등에 개시된 종래의 여론조사 방법은 설문조사 참여자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거나 설문을 조사한 뒤, 참여자로부터 취득한 정보와 설문 내용을 기초로 여론조사 결과를 수치나 그래프 등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여론조사 방법은 참여자가 각 설문조사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참여자가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사람의 특성(성별, 거주지역, 연령)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람의 수로만 설문 항목을 분석함으로써 조사결과에 신뢰성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설문 및 설문조사 참여자에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신뢰성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1저장부; 제1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여론조사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선택항목 제공부; 여론조사 참여자에 의해 선택항목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부; 카운터부를 통해 카운팅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 제2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정부는 제2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한다.
또한, 보정부는 제2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정보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선택항목의 개수에 누적하여 다른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다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한다.
또한, 기준 정보는 제1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공인집계 비율이다.
또한, 제1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는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 또는 거주 지역을 포함한다.
또한,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3저장부에 저장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인터넷의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3저장부에 저장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가 여론조사 참여자 또는 시스템 접속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회될 수 있도록 하는 조회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저장부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는 소셜 폴(Social Poll) 또는 위키 폴(Wiky Pol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여론조사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하고; 여론조사 참여자에 의해 선택 항목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따라 분류하고;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 수단을 통해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것은,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것은, 저장된 기준 정보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선택항목의 개수에 누적하여 다른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다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보정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온라인 상에 있는 접속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참여자가 접속할 때마다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돼서 참여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 수치에 참여자의 특성(성별, 거주 지역, 연령 등의 사용자 정보)을 반영함으로써 해당 이슈를 선택한 단순한 참여자의 절대 수가 아니라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비율을 반영한 상대적인 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여론조사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을 통해 산출한 결과를 도시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의 구체적 단계를 도시한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1)은 인터넷(3)을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5)(이하 SNS라고 한다)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7)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신뢰도 높은 여론조사 결과를 산출한다.
여기서 SNS는 웹상에서 이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현재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소셜 미디어는 소셜 폴(Social Poll) 또는 위키 폴(Wiky Poll)을 포함한다.
여론/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기관, 단체, 개인, 서비스제공업체 등의 닫힌 공간에서의 조사를 넘어서서 여론/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용자간의 정보 및 의견교류를 원활히 하는 서비스로 접근이 쉬워 누구나 조사에 참여할 수 있으며, 결과를 언제 어디서라도 조회할 수 있는 열린 여론/설문조사 환경을 의미한다.
위키 폴은 여론/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기관, 단체, 서비스제공업체 등에 의하여 작성된 여론/설문조사와 더불어 시민들 개인이 직접 여론/설문조사를 작성하여 배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열린 여론/설문조사 환경을 통하여 참여자 수집에 제한이 없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1)은 제1저장부(10), 제2저장부(20), 제3저장부(30), 선택항목 제공부(40), 카운터부(50), 분류부(60), 보정부(70)를 포함한다.
제1저장부(10)는 인터넷(3)을 기반으로 하여 SNS(5) 또는 소셜 미디어(7)로부터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하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는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 또는 거주 지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1저장부(10)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때,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제2저장부(20)는 제1저장부(10)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2저장부(20)에 저장되는 기준 정보는 제1저장부(10)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공인집계 비율이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공인집계 비율은 정부 공식집계 비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저장부(10)에 저장되는 참여자의 정보가 성별인 경우에는 제2저장부(20)에 저장되는 기준 정보는 정부 공식집계 성비가 될 수 있다. 또한, 참여자의 정보가 연령인 경우에는 제2저장부(20)에 저장되는 기준 정보는 정부 공식집계 연령비가 될 수 있다. 또한, 참여자의 정보가 거주 지역인 경우에는 제2저장부(20)에 저장되는 기준 정보는 정부 공식집계 지역비가 될 수 있다.
선택항목 제공부(40)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한다. 즉, 인터넷(3)을 통해 온라인으로 여론조사에 참여한 자에게 인터넷 웹 페이지 상으로 두 개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카운터부(50)는 여론조사 참여자에 의해 선택항목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즉, 여론조사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선택항목 제공부(40)를 통해 선택항목을 제공한 뒤, 참여자의 선택이 있을 때 마다 선택된 항목의 선택 개수를 누적하여 1씩 증가시킨다.
분류부(60)는 카운터부(50)를 통해 카운팅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따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가 성별, 연령, 거주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카운터부(50)를 통해 카운팅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성별, 연령별, 거주 지역별로 각각 분류한다.
다음으로, 보정부(70)는 제2저장부(20)에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부(60)를 통해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한다.
또한, 보정부(70)는 제2저장부(20)에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분류부(60)에 의해 분류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한다.
또한, 보정부(70)는 제2저장부(20)에 저장된 기준 정보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선택항목의 개수가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선택항목의 개수에 누적하여 다른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다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할 수 있다.
제3저장부(30)는 보정부(70)에 의해 보정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저장한다.
표시부(80)는 제3저장부(30)에 저장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인터넷의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한다. 표시부(80)는 다양한 형태로 보정된 선택항목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시스템을 통해 산출한 결과를 도시한 막대그래프이다.
조회부(90)는 제3저장부(30)에 저장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가 여론조사 참여자 또는 시스템 접속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회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에 대해 도 3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SNS 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100). 다음으로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110). 다음으로 여론조사 참여자의 여론조사 참여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0). 만약 참여자의 참여 요청이 없으면 다시 참여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120으로 돌아간다.
만약 여론조사 참여자의 참여 요청이 있으면 해당 여론조사의 선택항목을 하나 이상 제공한다(130). 선택항목을 하나 이상 제공한 후에는 해당 여론조사의 선택항목 중에서 참여자가 선택한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40). 만약 참여자가 선택한 항목이 없으면 다시 선택항목을 참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유지한다(단계 130으로 복귀). 만약 참여자가 선택한 항목이 있으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한다(150).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한 후에는 각 선택항목의 선택 개수를 참여자 정보에 따라 분류한다(160). 분류한 다음에는 저장된 기준 정보를 기초로 각 항목의 선택 개수를 보정한다(170). 각 항목의 선택 개수를 보정한 후에는 보정된 각 항목의 개수를 여론조사의 결과로 온라인 상에 있는 접속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18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에 대해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SNS 또는 Social Media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연령, 거주 지역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한다(200).
다음으로 저장된 참여자의 성별, 연령, 거주 지역에 각각 대응하는 정부 공식집계 비를 저장한다(210). 저장 후에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20). 만약 요청이 없으면 계속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20으로 복귀한다. 만약 요청이 있으면 하나 이상의 여론조사 선택항목을 제공한다(230). 선택항목을 제공한 후에는 제공된 선택항목을 참여자가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40). 만약 참여자의 선택이 없으면 계속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상태를 유지한다(단계 230으로 복귀).
만약 참여자의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한다(250). 여론조사가 완료되면 각 항목의 선택 개수를 참여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에 따라 분류한다(260). 그 다음 정부 공식집계 성별비를 이용하여 분류된 각 항목의 선택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보정된 선택개수를 산정한다(제1보정값)(272). 그 다음 정부 공식집계 연령비를 반영하여 제1보정값을 다시 보정한다(제2보정값)(274). 정부 공식집계 거주 지역비를 반영하여 제2보정값을 다시 보정한다(최종 보정값)(276). 마지막으로 최종 보정값을 온라인 상에 있는 여론조사 참여자 또는 접속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28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론조사 방법의 구체적 단계를 도시한 표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여론조사 참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할 때, 만약 1번 선택항목을 5000명이 선택하고 그 중에서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참여자의 수가 1500명인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또한, 여기서 수집, 저장되는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는 참여자의 성, 연령, 거주 지역 등을 포함하고,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정보는 정부 공식집계 성비, 연령비, 지역비 등을 포함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0명 중에서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500명을 연령에 따라 구분하고(표의 첫 번째 세로 열의 값), 다시 성별에 따라 구분한다(표의 두 번째 세로 열의 값).
다음으로 성별에 따라 구분된 남자, 여자 투표자 수를 여자를 기준으로 하여 비율을 산정한다(세 번째 세로 열의 값). 그런 다음 미리 저장된 정부 공식집계 성비를 세 번째 세로 열의 값과 비교하여 성비에 따른 가중치를 산정한다. 이렇게 산정된 가중치를 투표수에 곱하여 성비 보정후의 투표수(제1보정값)를 산정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성비 보정후의 투표수는 실제로 투표한 수와 차이가 있다. 즉 실제로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남자와 여자의 성비가 여론조사의 성비에 반영된 것이고, 성비별로 인구수는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를 반영하여 보다 신뢰성이 있는 투표자 수를 산정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 성비 보정후의 투표수를 기초로 투표자의 연령에 따른 보정 과정을 수행한다. 즉, 도 5에서와 유사하게 제1보정값을 기본값으로 하면서 투표자의 연령비를 20세 미만인 구간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그 후 미리 저장된 정부 공인집계 연령비를 반영하여 연령에 따른 가중치를 산정한다. 이렇게 산정된 가중치를 제1보정값에 곱하여 성비 및 연령비 보정후의 투표수를 산정한다. 산정된 투표수를 모두 합하면 성비 및 연령비 보정후의 총투표수(제2보정값)가 산정된다. 즉, 연령대별로 분포하는 인구수는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를 반영하여 보다 신뢰성이 있는 투표자 수를 산정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 성비 및 연령비 보정후의 총투표수(제2보정값)에 대하여 투표자의 거주 지역에 따른 보정 과정을 수행한다.
도 6에서와 유사하게 제2보정값을 기본값으로 하는데, 여기서 위에서 산정된 제2보정값은 투표자의 지역이 서울/경기 지역인 경우의 투표자 수를 고려하였으므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지역의 투표자 수를 산정한다.
각 지역에 대한 투표자 수를 산정한 후에는 서울/경기 지역을 기준으로 정하고 미리 저장된 정부 공인집계 지역비를 반영하여 거주 지역에 따른 가중치를 산정한다. 이렇게 산정된 가중치를 제2보정값에 곱하여 최종적으로 가중치 적용 후의 투표수를 산정한다. 도 6에서 보듯이, 여론조사의 1번 항목을 선택한 사람은 실제로는 5000명이었으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요소를 반영한 후에는 2372명이 된다. 즉,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율을 반영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높은 여론조사를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만약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여론 및 설문조사에 참여한다면, 정부공식집계 인구통계비율과 일치하여 보정 전/후의 조사 결과 수치가 동일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이상에서 살펴본 각 과정은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고, 성별/연령/지역 외에도 다른 요소를 반영하여 투표자수를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여론조사 시스템 3 : 인터넷
5 : SNS 7 : Social Media
10 : 제1저장부 20 : 제2저장부
30 : 제3저장부 40 : 선택항목 제공부
50 : 카운터부 60 : 분류부
70 : 보정부

Claims (14)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1저장부;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 또는 거주 지역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정부공인집계 성비 및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하는 선택항목 제공부;
    상기 선택항목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부;
    상기 카운터부를 통해 카운팅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정부공인집계 성비 또는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 각 선택항목의 개수에 상기 정부공인집계 성비 또는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보정부;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정보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선택항목의 개수에 누적하여 다른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다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저장하는 제3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저장부에 저장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인터넷의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저장부에 저장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가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 또는 시스템 접속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회될 수 있도록 하는 조회부를 더 포함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미디어는 소셜 폴(Social Poll) 또는 위키 폴(Wiky Poll)을 포함하는 여론조사 시스템.
  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통해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 또는 거주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성별 또는 연령 또는 거주 지역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정부공인집계 성비 또는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여론조사 참여자에게 하나 이상의 선택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 항목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상기 저장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로 분류하고;
    상기 저장된 정부공인집계 성비 또는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분류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 각 선택항목의 개수에 상기 정부공인집계 성비 또는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정부공인집계 성비 또는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분류된 여론조사 참여자의 정보별 각 선택항목의 개수에 상기 정부공인집계 성비 또는 연령비 또는 거주 지역 인구비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보정하는 것은,
    상기 저장된 기준 정보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선택항목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선택항목의 개수에 누적하여 다른 하나의 기준 정보에 따라 다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하는 것인 여론조사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각 선택항목의 개수를 온라인 상에 있는 접속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여론조사 방법.
KR1020110069695A 2011-07-14 2011-07-14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95A KR101116691B1 (ko) 2011-07-14 2011-07-14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95A KR101116691B1 (ko) 2011-07-14 2011-07-14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691B1 true KR101116691B1 (ko) 2012-02-22

Family

ID=4584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695A KR101116691B1 (ko) 2011-07-14 2011-07-14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6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0351A1 (en) * 2013-05-24 2014-11-27 Gold Zara Arianne System of poll initiation and data collection through a global computer/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s thereof
KR20170001899A (ko) * 2015-06-26 2017-01-05 주식회사 레이니스트 쟁점법안 의견 일치도를 바탕으로 한 지역구 국회의원 평가 방법, 장치,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909541A (zh) * 2015-12-23 2017-06-30 神州数码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跨领域公共舆情的自动识别、分类与上报的系统
KR101820938B1 (ko) * 2017-06-02 2018-01-22 주식회사 코리아주얼리허브 클라우드 기반의 온라인 보석 감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84A (ko) * 2000-09-09 2002-03-15 맹진기 인터넷 설문조사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122072A (ko) * 2005-05-25 2006-11-30 (주)실비토스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84A (ko) * 2000-09-09 2002-03-15 맹진기 인터넷 설문조사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122072A (ko) * 2005-05-25 2006-11-30 (주)실비토스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거주자 관리서비스에사용되는 시스템 및 거주자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0351A1 (en) * 2013-05-24 2014-11-27 Gold Zara Arianne System of poll initiation and data collection through a global computer/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s thereof
KR20170001899A (ko) * 2015-06-26 2017-01-05 주식회사 레이니스트 쟁점법안 의견 일치도를 바탕으로 한 지역구 국회의원 평가 방법, 장치,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23801B1 (ko) * 2015-06-26 2017-04-07 주식회사 레이니스트 쟁점법안 의견 일치도를 바탕으로 한 지역구 국회의원 평가 방법, 장치,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909541A (zh) * 2015-12-23 2017-06-30 神州数码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跨领域公共舆情的自动识别、分类与上报的系统
KR101820938B1 (ko) * 2017-06-02 2018-01-22 주식회사 코리아주얼리허브 클라우드 기반의 온라인 보석 감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gesten et al. A typology of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How citizens used Twitter to mobilize during the 2015 British general elections
Halberstam et al. Homophily, group size, and the diffusion of political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s: Evidence from Twitter
Kim et al. Corporate boards' political ideology diversity and firm performance
Sturgis et al. Report of the inquiry into the 2015 British general election opinion polls
Peytchev et al. Not all survey effort is equal: Reduction of nonresponse bias and nonresponse error
Druckman et al. Timeless strategy meets new medium: Going negative on congressional campaign web sites, 2002–2006
Van de Walle et al. Institutional quality, corruption, and impartiality: The role of process and outcome for citizen trust in public administration in 173 European regions
Chae et al.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examining main and moderating effects
US2013017336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opularity and influence indicators and commercial incentives based on object-related social network referrals
Liu et al. Sport equity: benchmarking the performance of English public sport facilities
Williams Explaining cross-national variations in the commonality of informal sector entrepreneurship: an exploratory analysis of 38 emerging economies
Whelan et al. Measuring material deprivation with EU-SILC: Lessons from the Irish survey
Cagé Media competit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errittella The effect of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on shadow economy: A cross-country analysis
Mousavi et al. The impact of twitter adoption on lawmakers’ voting orientations
Lacombe et al. Bayesian estimation of the spatial Durbin error model with an application to voter turnout in the 2004 presidential election
Hiaeshutter-Rice et al. Understanding audience engagement with mainstream and alternative news posts on Facebook
Guillaud et al. Preferences for employment protection and the insider–outsider divide: Evidence from France
Wei et al. Network size and content generation on social media platforms
KR101116691B1 (ko)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Schoenmueller et al. Frontiers: Polarized america: From political polarization to preference polarization
Schuessler et al. Mapping public support for the varieties of differentiated integration
Grabiński et al. The impact of catholic religion on earnings management: A case of Poland
Lee The effect of import competition on educational attainment at the postsecondary level: Evidence from NAFTA
Hellwig et al. Does the economy matter? Economic perceptions and the vote in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