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753A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0753A KR20060120753A KR1020050042889A KR20050042889A KR20060120753A KR 20060120753 A KR20060120753 A KR 20060120753A KR 1020050042889 A KR1020050042889 A KR 1020050042889A KR 20050042889 A KR20050042889 A KR 20050042889A KR 20060120753 A KR20060120753 A KR 200601207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bent
- support
- unit
- plywo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와 기둥의 거푸집 설치 또는 해체시 거푸집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 등의 갈라짐을 방지시키도록 한 벽체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하므로써 벽체 거푸집의 해체시 고정구(예:대못)를 분리하게 되면 수평조절구 및 층고조정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 등이 갈라지고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각재 및 합판은 물론이거니와 받침대도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의 능률 향상 및 경제적인 효과가 크다.
거푸집, 받침대, 각재, 합판, 수평, 층고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1... 받침부 13a... 제1 절곡부 13b... 제2 절곡부
14a... 볼트 14b... 밀착구 15... 고정구
17... 고정공 19... 고정부 100... 받침대
210... 각재 220... 합판 300... 거푸집
310... 벽체부
본 발명은 벽체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 거푸집 설치 또는 해체시 거푸집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 등의 갈라짐을 방지시키도록 한 벽체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시 바닥 콘크리트 타설 후에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기위하여 거푸집 하부에 수평 및 층고 조절구(각재, 합판 등)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부에 슬라브 거푸집 구조물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벽체 거푸집은 주로 유로폼과 같은 기능성 판넬이 사용되며, 이러한 벽체 거푸집은 바닥면에 설치될 때에 수평한 자세를 갖도록 별도의 수평조절구의 상측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수평조절구는 주로 각재나 합판이 사용되고, 수평조절뿐만 아니라 층고의 조정을 하는 역할을 하며, 벽체 거푸집이 바닥면의 불규칙한 표면영역이나 경사진 영역들에 의해 경사진 자세로 셋팅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바닥면과 상기 벽체 거푸집사이에 각재나 합판들을 끼워서 상기 벽체 거푸집이 수평한 자세를 갖도록 가셋팅 한 후 못과 같은 고정부재로 바닥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바닥면의 수평조절과 아울러 층고를 조정하는 역할을 행한다.
이때, 상기 수평 및 층고 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이 못 등으로 바닥에 고정되어 벽체 거푸집을 해체시 각재 및 합판에서 못을 분리시킬 때 각재나 합판이 갈라지고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한번 사용한 각재 및 합판은 폐기처분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의 추가부담은 물론이거니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나 합판 등이 거푸집 해체시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는 바닥면과 수평하게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는 받침부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는 제1 절곡부와 길이가 다른 상기 받침부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부의 일단에는 고정구로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부의 중앙에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의 일단에 밀착구가 구비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 등에 못을 박아 고정시키지 않고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고정공에 고정부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거푸집의 해체시 받침대의 고정부재를 제거하게되면 각재나 합판에 갈라짐 등의 파손 없이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바닥면과 수평하게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는 받침부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는 제1 절곡부와 길이가 다른 상기 받침부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부의 일단에는 고정구로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부의 중앙에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의 일단에 밀착구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사시도 및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는 바닥면(B)과 수평하게 받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1)의 일측에는 받침부(11)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1)의 타측에는 제1 절곡부와 길이가 다른 상기 받침부(11)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13b)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부(13b)의 일단에는 고정구(15)로 바닥면(B)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17)이 형성된 고정부(1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부(13b)의 중앙에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14a)가 체결되고, 상기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14a)의 일단에 밀착구(14b)가 구비된다.
이때,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210) 및 합판(220)은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의 받침부(11)에 셋팅되므로 벽체 거푸집(300)의 해체시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의 고정부(19)에 박힌 고정구(15)를 제거하게 되면 각재(210) 및 합판(220)을 파손됨이 없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벽체 거푸집(300)이 벽체부(310)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벽체 거푸집(300)이 설치되는 하부영역에 대응하여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가 바닥면(B)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00)의 고정부(19)는 벽체 거푸집(300)의 외측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받침부(11)에 설치되는 각재(210) 및 합판(220)은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14a)와 상기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14a)의 일단에 구비된 밀착구(14b)에 의해 제1 절곡부(13a)에 밀착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B)에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가 고정구(15)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의 받침부(11)에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합판(220)이 안착되며, 상기 합판(220)의 상단에 벽체 거푸집(300)이 셋팅되게 된다. 즉, 전체적인 거푸집 시공 구조는 벽체 거푸집(300), 합판(220), 받침대(100)의 순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거푸집(300)이 받침대(100)의 제1 절곡부(13a)와 제2 절곡부(13b)에 의해 고정되므로 별도로 고정구를 사용하여 거푸집(100)을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바닥면(B)에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가 고정구(15)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의 받침부(11)에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210) 및 다수개의 합판(220)이 안착되며, 상기 각재(210)의 상단에 벽체 거푸집(300)이 위치하여 고정구(15)에 의해 각재(210)와 고정된다. 즉, 전체적인 거푸집 시공 구조는 벽체 거푸집(300), 각재(210), 합판 (220), 받침대(100)의 순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상기 각재(210) 및 합판(220)은 수평조절 뿐만 아니라 층고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하므로써 벽체 거푸집의 해체시 고정구(예:대못)를 분리하게 되면 수평조절구 및 층고조정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 등이 갈라지고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각재 및 합판은 물론이거니와 받침대도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에 따를 경우 각재 및 합판의 파손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의 추가부담 및 건축 폐자재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벽체 거푸집을 바닥면에서 수평하게 조절하는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있어서,바닥면(B)과 수평하게 받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1)의 일측에는 받침부(11)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13a)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1)의 타측에는 제1 절곡부와 길이가 다른 상기 받침부(11)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13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부(13b)의 일단에는 고정구(15)로 바닥면(B)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17)이 형성된 고정부(19)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절곡부(13b)의 중앙에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14a)가 체결되고, 상기 레버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14a)의 일단에 밀착구(14b)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평조절구(210, 220)에 2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되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2889A KR100714650B1 (ko) | 2005-05-23 | 2005-05-23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2889A KR100714650B1 (ko) | 2005-05-23 | 2005-05-23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4449U Division KR200392038Y1 (ko) | 2005-05-23 | 2005-05-23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0753A true KR20060120753A (ko) | 2006-11-28 |
KR100714650B1 KR100714650B1 (ko) | 2007-05-04 |
Family
ID=3770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2889A KR100714650B1 (ko) | 2005-05-23 | 2005-05-23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465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00942A (ja) * | 2019-10-11 | 2020-01-09 | サミー株式会社 | 弾球遊技機 |
JP2023003682A (ja) * | 2021-06-24 | 2023-01-17 |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 車載装置、駐車支援システム、駐車位置決定方法および駐車位置決定プログラム |
-
2005
- 2005-05-23 KR KR1020050042889A patent/KR1007146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4650B1 (ko) | 2007-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67738B2 (en) | Floor drain | |
CA2958631C (en) | Peripheral stabilizing system for elevated flooring surface | |
KR20160129037A (ko) | 거푸집 지지 구조체를 위한 어댑터 | |
KR200392038Y1 (ko)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
KR100714650B1 (ko)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
KR100667161B1 (ko)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
KR100959984B1 (ko)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
JPH1144084A (ja) | 床板材の敷設構造 | |
KR20180107394A (ko) | 슬라브패널 고정용 소피드 렝스구조 | |
KR100485262B1 (ko) |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 |
KR200219541Y1 (ko) | 건축용 거푸집 받침대 | |
KR200412757Y1 (ko)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
KR100737995B1 (ko) |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 |
KR100595374B1 (ko) | 마루판 받침대 | |
KR200394597Y1 (ko) | 높낮이 조절형 유로폼 받침대 | |
JP5965690B2 (ja) | 支柱立設具 | |
JP2593767B2 (ja) | 後付手摺の支柱ホルダー固定装置 | |
KR200156465Y1 (ko) | 레벨링 거푸집 | |
KR200260689Y1 (ko) | 거푸집 패널의 수평 고정장치 | |
KR200205908Y1 (ko) |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구조 | |
KR200303810Y1 (ko) |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수평 규준틀 | |
JPH0726503U (ja) | ジャッキ付き敷桟 | |
FI123059B (fi) | Menetelmä ontelolaatan reunan viereisen vapaan tilan valamiseksi sekä reunakaukalo | |
JPH062403A (ja) | 笠木付手摺の固定装置 | |
JP2593767B6 (ja) | 後付手摺の支柱ホルダー固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