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285A -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285A
KR20060120285A KR1020067019751A KR20067019751A KR20060120285A KR 20060120285 A KR20060120285 A KR 20060120285A KR 1020067019751 A KR1020067019751 A KR 1020067019751A KR 20067019751 A KR20067019751 A KR 20067019751A KR 20060120285 A KR20060120285 A KR 2006012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quence
reproduction
transmitt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419B1 (ko
Inventor
다까히로 기모또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27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with deferred 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near-video-on-deman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수신 단말기에 대하여 화상이나 음성이나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이용 환경에서 재생까지의 지연 없이, 항상 적절한 배신을 실현한다. 서비스 대상으로 되는 후보 프로그램을 한정하는 정보(1000)가 수신 단말기(10)에 입력되면, 송신기(20)가 수신 단말기(10)에 후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시퀀스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 군(1004)을 비리얼타임으로 배신하고, 수신 단말기(10)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 군을 기억부(100)에 저장하고, 이용자가 후보 프로그램 중에서 실제로 시청하는 재생 시퀀스를 선택하는 정보(1100)를 입력하면, 송신기가 수신 단말기에 재생 시퀀스의 후속 시퀀스 데이터(1202)를 리얼타임으로 배신하고, 수신 단말기가, 후속 시퀀스 데이터가 재생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은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 표시하고, 그 후에는 후속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 표시로 절환된다.
수신 단말기, 송신기, 중계 장치, 기억부,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 리퀘스트 송신부, 시퀀스 선택부, 버퍼, 절환기, 디코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 환경 정보, 출력 화상

Description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 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INFORMATION DISTRIBUTING SYSTEM AND METHOD, INFORMATION DISTRIBUTING APPARATUS THEREFOR, RECEIVER TERMINAL, AND INFORMATION REL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상이나 음성이나 데이터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이한 접속 환경 혹은 재생 성능을 갖는 수신 단말기에 대하여 리얼타임 배신을 행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및 그것을 구성하는 송신 장치와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이나 음성이나 데이터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서비스는, 여러 가지 접속 환경 및 재생 성능을 갖는 수신 단말기로 확대되고 있다. 접속 환경에서는, 유선의 이더넷(제록스 주식회사의 등록상표), 유선 전화나 휴대 전화라는 공중 교환망, 무선 접속 기술, 케이블 전송, 위성 및 지상파에 의한 디지ㅇ이용되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형 컴퓨터, 텔레비전에 접속된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라고 불리는 휴대 정보 단말기, 휴대 전화 단말기가 있다. 서버는, 각각의 접속 환경 및 재생 성능에 알맞은 비트 레이트나 해상도로 압축 부호화된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각각의 환경에 알맞은 데이터 형식으로 단말기에 배신한다.
현재의 정보 배신 서비스에서는, 배신되는 개개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서버가 단말기의 환경과 배신 타이밍을 완전하게 관리하고 있다. 수신 단말기는 서버와 인증 처리를 행한 후, 접속 환경과 재생 성능을 서버에 통지한다. 서버는 단말기의 환경에 알맞은 데이터 형식으로 정보 배신을 행한다. 시청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배신하는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나서 실제로 재생될 때까지의 사이에 지연이 발생한다.
한편, 시청하는 환경이 다양화되고, 프로그램의 수가 증대함에 따라, 유저의 시청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3가지 구체예를 든다. 첫째로, 네트워크상의 정보 검색에 의해 시청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른 프로그램 군을 확인하고, 그 프로그램 군을 시청한다고 하는 것이다. 시청자의 기호에 한정해서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시청하는 형태이다. 둘째로, 배신되는 콘텐츠 중 특정 기간 및 특정의 채널의 것을 가정의 홈 컴퓨터나 단말기 케이스에 축적해 놓고, 옥외로부터 이동체 단말기 등을 통해 그 내용을 시청한다고 하는 것이다. 특정 시간이나 지역에 한정된 가운데에서 배신된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시청하는 형태이다. 셋째로, 회사나 학교가 지정한 교육 방향의 프로그램을, 시청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시청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용자가 속하는 공동체에 한정된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시청하는 형태이다.
이들 구체예에 공통되는 것은,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청하기 전단계에, 시청자가 한 번의 시청 기회에서 연속 재생할 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의 집합인 후보 프로그램 군을 한정하는 처리가 시작된다고 하는 것, 이 한정 처리와 실제의 프로그램 시청이 연속해서 행해진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 시청자는 한정된 후보 프로그램 군에 대해서는 임의의 접속 환경 및 재생 환경에서의 지연이 없는 재생을 바라고 있다라고 하는 것이다. 특히 제3 공통점에 대해서, 내장되는 하드디스크나 기억부라는 로컬 미디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구별 없이 재생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요구는 높다고 생각된다. 후보 프로그램 군의 전부를 단말기의 기억부에 저장하면 요구를 만족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쓸 수 있는 기억부 용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보 프로그램 군의 수가 증가하면 실현 불가능하게 된다.
재생 지연을 시청자에게 느끼게 하지 않고 연속 재생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지연 발생시에 재생될 데이터를 서버가 수신 단말기에 미리 배신해 두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1은 종래의 정보 배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이용하여, 연속 재생을 행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송신기(20)는 재생 지연 발생시에 재생될 예정의 시퀀스 데이터(1004)를 미리 수신 단말기(10)에 배신해 둔다. 이 시퀀스 데이터(1004)는 수신 단말기(10)의 접속 환경 및 재생 환경에 알맞은 데이터 형식을 갖고 있고 수신 단말기(10)의 기억부(100)에 저장된다. 배신 서비스시에, 송신기(10)에서 송신 시퀀스 선택부(203)는, 다음에 배신되는 시퀀스 데이터(1201)를 기억부(200)로부터 판독하여, 송신 버퍼(204)를 통해 수신 단말기(10)에 송신한다. 또한 그에 앞서,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 중에서 이 배신시의 지연 시간 내에 재생하는 시퀀스 데이터의 식별 정보(1203)를 수신 단말기(10)에 통지한다.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는 시퀀스 데이터의 식별 정 보(1203)에 대응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부(100)로부터 판독하여, 절환기(106)에 보낸다. 절환기(106)는 송신기(10)로부터 데이터가 배신될 때까지는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가 기억부(100)로부터 판독한 시퀀스 데이터(1104)를 디코더에 출력한다. 수신 버퍼(105)가 시퀀스 데이터(1204)를 출력하면 절환기(106)는 그 데이터를 디코더에 출력한다.
이 종래의 방법에서는, 미리 정한 콘텐츠의 순으로, 절환 타이밍에서 연속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억부(100)에 미리 저장되는 데이터는 모두 송신기가 지정한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상에 계층적으로 배치된 서버에 스트림 데이터를 축적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배신하는 방법에서,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스트림 데이터의 선두 부분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가장 가까운 서버에 캐쉬되고, 하류 서버에 축적되는 선두 부분의 데이터량을, 적어도 상류 서버로부터의 전송 시간의 사이에는 계속해서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량으로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1 :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344399호
특허 문헌2 :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167813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프로그램으로부터 프로그램으로의 재생 절환 혹은 프로그램 내의 시퀀스로부터 시퀀스로의 재생 절환을 서버가 관리하고 있다. 또 한, 이 미리읽기 처리는 단일의 재생 환경에 특화한 것이다. 상이한 수신 단말기에서 배신 서비스를 받을 때마다, 혹은 재생 환경이 상이할 때마다, 이용자는 그 단말기에 시퀀스 데이터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임의의 단말기에 축적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이용자는 기다리지 않고 프로그램의 연속 재생을 행할 수 있지만, 그것은 다음에 절환되는 프로그램이나 재생 환경이 한정된 이후이다. 이용자가 임의의 재생 환경에서 후보 프로그램 군에 대하여 임의의 타이밍에서 재생을 절환하여, 마치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갖고 다니고 있는 것 같은 이용을 실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 단말기에 대하여 화상이나 음성이나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이용 환경에서 재생까지의 지연 없이, 항상 적합한 배신을 실현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 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신 단말기가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앞서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수신 데이터 기억부의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하고, 송신기로부터 후속 데이터가 배신된 시점에서 재생 데이터를 절환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송신기에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에 저장하는 수단과, 재생 시퀀스를 특정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상기 송신기에 송신함과 함께, 재생하는 시퀀스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리퀘스트 송신부와, 재생 요구한 시퀀스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재생 시퀀스 선택부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와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절환하는 절환기와, 이 절환기로부터의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의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후보 프로그램의 선두 데이터 군을 판독해서 상기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와,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재생 요구된 시퀀스의 시퀀스 데이터 중, 미리 상기 수신 단말기에 보내져 있던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후속 부분을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그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배신하는 송신 시퀀스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중, 선두 시퀀스 데이터는, 재생 대상으로 되는 시퀀스의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분의 선두 씬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선두 시퀀스 데이터는, 수신 단말기가 재생을 요구하고 나서 송신기가 후속 시퀀스를 배신해서 재생이 개시될 때까지의 재생 지연 분의 길이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선두 시퀀스 데이터는, 수신 단말기가 재생을 요구하고 나서 송신기가 후속 시퀀스를 배신해서 재생이 개시될 때까지의 재생 지연에 미리 정한 비배신 시간을 가산한 분의 길이의 데이터로서, 수신 단말기가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고 나서 비배신 시간 이내에 새롭게 다른 시퀀스의 재생을 행하면, 송신기로부터의 후속 시퀀스 데이터 배신이 행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배신 시스템은, 선두 시퀀스 데이터는, 배신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 중에 상기 관리 데이터에 의해 후속 시퀀스 데이터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배신 시스템은,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 상황에 따라서, 후속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 상황에 따라서, 후속 시퀀스 데이터의 배신 환경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배신 시스템은, 송신기가 배신할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시퀀스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가 기억부에 저장하고, 재생 시퀀스를 송신기에 요구하면 상기 재생 시퀀스에 대응하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송신기가 배신하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로서, 임의의 시퀀스의 통상적인 재생용 시퀀스 데이터 외에, 앞으로 감기 재생 혹은 슬로우 재생 혹은 되감기 재생이라는 특수 재생에 대응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구비한다.
혹은, 본 발명의 정보 배신 시스템은, 수신 단말기가, 복수의 재생 환경의 각각에 대해서 최적의 데이터 형식을 갖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부에 저장하고, 재생 시퀀스를 송신기에 요구한 시점에서 재생 환경에 적절한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생 환경으로서, 송신기와의 접속 상황, 수신 단말기의 연산 능력, 수신 단말기의 재생 품질을 고려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정보 배신 시스템은, 수신 단말기가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시간 내에, 송신기가 배신 대상으로 되는 시퀀스 중에서 수신 단말기가 요구하는 시퀀스 데이터를 선택해서 후속 시퀀스 데이터로서 배신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수신 단말기가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시간 내에, 송신기가 수신 단말기가 요구하는 시퀀스를 수신 단말기의 재생 환경에 가장 적절한 데이터 형식으로 가공해서 배신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송신기가, 복수의 수신 단말기의 재생 환경에 대응하는 각각의 데이터 형식으로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부에 저장하고 있고, 수신 단말기가 시퀀스를 재생하는 시점에서 그 수신 단말기의 재생 환경에 가장 알맞은 데이터 형식의 시퀀스 데이터를 배신하거나, 혹은, 수신 단말기가 시퀀스를 재생하는 시점에서, 송신기가 그 수신 단말기의 재생 환경에 가장 알맞은 데이터 형식으로 시퀀스 데이터를 변환해서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 중에 송신기에 시퀀스의 배신을 요구하여,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으로 절환함으로써, 이용자가 재생 지연을 느끼는 일없이, 상이한 재생 환경에서의 항상 적합한 배신을 실현한다.
배신 서비스에서, 이용자는 한 번의 시청 기회에서 동시에 시청하는 프로그램을 한정한 후에, 이들 후보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시청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보 프로그램에 대한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 자신, 혹은 수신 단말기와 폭주 없이 접속하고 있는 중계 장치가 가짐으로써, 이용자는 후보 프로그램내의 모든 시퀀스를 항상 적합한 조건에서 지연 없이 시청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 내의 기억부에 저장하는 선두 데이터는 시퀀스 데이터 전체에 비교해서 매우 미소하다. 본 발명은, 수신 단말기 내의 기억부에 후보 프로그램의 전체 시퀀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훨씬 많은 후보 프로그램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동등하게 위화감이 없는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두 시퀀스 데이터가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인증 등 프로그램 배신시에 발생하는 수속을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시에 행하거나, 혹은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을 프로그램 배신의 조건으로 함으로써, 이용자가 부담을 느끼는 일없이 배신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수신 단말기에서의 미리읽기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미리읽기 처리 시의 송신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수신 단말기에서의 재생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재생 처리 시의 송신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앞으로 감기 재생에 대응하는 선두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부호의 설명>
1O, 11 : 수신 단말기
20, 21 : 송신기
31 : 중계 장치
100, 101, 108, 200, 300, 301 : 기억부
102, 302 :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
103, 303 : 리퀘스트 송신부
104, 304 : 재생 시퀀스 선택부
105 : 수신 버퍼
106, 305 : 절환기
107 : 디코더
201 :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
203 : 송신 시퀀스 선택부
204 : 송신 버퍼
1000, 1300 : 후보 프로그램 정보
1003 :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
1004, 1005 :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
1100, 1301 : 재생 시퀀스 선택 정보
1101, 1302 : 환경 정보
1102, 1103, 1303 :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
1104, 1107, 1305 : 선두 시퀀스 데이터
1105 : 시퀀스 데이터
1106 : 출력 화상
1201, 1202, 1304 : 후속 시퀀스 데이터
다음에,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수신 단말기(10)는, 기억부(100 및 101),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102), 리퀘스트 송신부(103),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 수신 버퍼(105), 절환기(106), 디코더(107)로 이루어진다. 또한, 송신기(20)는, 기억부(200),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201), 송신 시퀀스 선택부(203), 송신 버퍼(20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동작은, 재생 처리와, 그에 앞서 행해지는 미리읽기 처리로 이루어진다. 미리읽기 처리는,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102)와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201)에 의해 행해지고, 사전에 임의의 환경에서 재생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 프로그램의 선두 몇초 분에 상당하는 선두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10)내의 기억부(100)에 축적하는 처리이다. 재생 처리는, 리퀘스트 송신부(103),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 수신 버퍼(105), 절환기(106), 디코더(107), 재생 시퀀스 선택부(203), 송신 버퍼(204)에 의해 행해지고, 수신 단말기(10)가 후보 프로그램으로부터 하나의 시퀀스를 선택해서 송신기(20)에 배신 요구를 내고, 송신기(20)로부터 배신된 데이터를 리얼타임으로 재생하는 처리이다.
우선, 미리읽기 처리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수신 단말기에서의 미리읽기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수신 단말기(10)는 후보 프로그램 정보(1000)를 입력으로서 수취한다(스텝 11). 후보 프로그램은 서비스 대상으로 되는 화상이나 음성이나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이용자가 단일의 기회에 임의로 재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의 집합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가 검색 등의 결과로부터 기호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선택한 결과나, 이용자가 속하는 공동체가 지정하는 프로그램 군이나, 특정 시간 범위나 채널에 한정한 프로그램 군이 생각된다. 기억부(101)는, 전체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102)는 기억부(101)를 참조하여, 송신기(20)에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1003)를 송신한다(스텝 12).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1003)는, 식별 정보와, 유저가 후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재생 환경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재생 환경이란, 수신 단말기와 송신기와의 접속 상황, 수신 단말기의 이용 가능한 연산 능력, 재생 품질에 관한 환경 중 하나 혹은 복수의 조합을 가리킨다. 접속 상황이란, 유선에 의한 인터넷 접속, 무선 통신시의 변조 방식 등 접속 방법의 종별과 그것에 기초하는 대역폭, 및 전송 오류의 발생 빈도, 전송 지연의 불균일 등을 나타낸다. 또한, 재생 품질에 관한 환경이란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나 동시 발색수, 혹은 스피커의 능력 등을 나타낸다.
도 4는, 송신기에서의 미리읽기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201)는,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1003)를 수신하면(스텝 21), 기억부(200)로부터 후보 프로그램의 선두 데이터 군을 판독해서 수신 단말기(10)에 송신한다(스텝 22). 하나의 프로그램은, 각 씬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퀀스로 이루어진다. 개개의 시퀀스는, 서비스 가능한 재생 환경의 각각에 적합한 복수의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송신기(20)가 취급할 수 있는 전체 프로그램에 대하여, 시퀀스의 총수를 N로 하고, 개개의 시퀀스가 J개의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고 하면, 기억부(200)에는 J×N개의 시퀀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후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시퀀스의 총수를 M,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재생 환경의 조합의 총수를 K로 하면, 판독되는 선두 데이터 군의 수는 K×M으로 된다. 선두 데이터로서 판독하는 데이터량 즉 선두 데이터의 재생 시간은, 수신 단말기가 송신기에 배신 요구하고 나서 실제로 재생이 이루어질 때까지 필요로하는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특히 지연의 최대 시간이 보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지연 최대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도중에 끊기는 경우가 없는 시퀀스의 재생을 최소한의 선두 데이터의 축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수신 단말기에서의 미리읽기 처리의 계속을 설명한다. 수신 단말기(10)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을 수신하여, 기억부(100)에 저장한다(스텝 13).
이상 설명한 미리읽기 처리는, 재생 처리에 앞서 행해진다. 재생 처리를 행하는 시점에서는, 기억부(100)에 후보 프로그램 모두의 선두 데이터 군이 저장되어 있다. 재생시에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 표시하고, 송신기(20)로부터 데이터가 배신된 시점에서 표시를 절환한다.
이하에, 재생 처리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수신 단말기에서의 재생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수신 단말기(10)는, 후보 프로그램 중 어느 프로그램의 어느 시퀀스를 재생할지를 지정하는 재생 시퀀스 선택 정보(1100)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스텝 31). 리퀘스트 송신부(103)는, 기억부(101)에 저장되어 있는 후보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와 시퀀스의 식별 정보 및, 현재의 재생 환경에 대한 환경 정보(1101)로 이루어지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102)를 송신기(20)에 송신한다(스텝 32). 또한,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102)는, 수신 단말기(10)의 수신 버퍼(105) 및 송신기(20)의 송신 버퍼(204)에 통지된다. 이들 버퍼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102)에 대응하는 시퀀스 데이터의 배신이 행해지는 타이밍에서 초기화된다.
또한, 리퀘스트 송신부(103)는 재생하는 시퀀스의 식별 정보(1103)를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에 송신한다.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는, 이용자가 재생 요구한 시퀀스로서 현재의 재생 환경에 가장 알맞은 데이터 형식을 갖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1104)를 기억부(100)로부터 판독하여, 절환기(106)에 보낸다(스텝 33). 절환기(106)는, 송신기(20)로부터 배신된 이용자가 재생 요구한 시퀀스의 후속 데이터를 수취할 때까지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디코더(107)에 보낸다. 디코더(107)는 절환기(106)가 출력하는 시퀀스 데이터(1105)를 복호하여, 출력 화상(1106)을 생성한다(스텝 34).
도 6은, 재생 처리시의 송신기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송신기(20)에서 송신 시퀀스 선택부(203)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102)를 수신하여(스텝 41), 이용자가 재생 요구한 시퀀스로서 현재의 재생 환경에 가장 알맞은 데이터 형식을 갖는 시퀀스 데이터 중, 미리 수신 단말기(10)에 보내져 있던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후속 부분을 기억부(200)로부터 판독한다. 후속 시퀀스 데이터(1201)는, 송신 버퍼(204)에 버퍼링되면서 수신 단말기(10)에 배신된다(스텝 42)
도 5로 되돌아가서, 수신 단말기에서의 재생 처리의 계속을 설명한다. 수신 버퍼(105)는 후속 시퀀스 데이터(1202)를 버퍼링하면서 절환기(106)에 보낸다. 절환기(106)는, 수신 버퍼(105)로부터 데이터가 보내지면(스텝 35), 디코더(107)로의 입력인 시퀀스 데이터(1105)를 이것으로 절환하여,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한다(스텝 36).
수신 단말기(10)는,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와 송신기(20)로부터 배신되는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절환함으로써, 임의의 후보 프로그램 내의 임의의 시퀀스에 대해서 대기 없이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 환경이 상이한 경우에도,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하고, 그동안 송신기(20)로부터 적절한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수취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한 번의 시청 기회에서 본다고 생각되는 후보 프로그램의 임의의 시퀀스에 대해서, 항상 적합한 상태에서 지연을 일으키는 일 없이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10)에 포함되는 기억부(100 및 101), 송신기(20)에 포함되는 기억부(200)는, 내부 기억 장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입 및 판독할 수 있는 외부 기억 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수신 단말기(10)에 포함되는 기억부(100 및 101)로서, 자유롭게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가 포함된다. 수신 단말기(10)가, 다른 수신 단말기를 통해 축적한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부(100)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송신기(20)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용자는 휴대 운반 가능한 기억부(100)를 접속함으로써, 임의의 환경에 있는 수신 단말기에서 항상 적합한 상태에서의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기가 하나의 시퀀스에 대해서 하나 혹은 복수의 데이터 형식으로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부(200)에 저장해 놓고,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102)를 수취하면, 재생 환경에 최적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배신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환경에 최적인 시퀀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로서, 재부호화, 데이터 구조의 재배열, 패킷의 재분할, 오류 검출 부호 혹은 오류 정정 부호의 부가가 있다. 또한, 시퀀스 데이터가 스케일러블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위치에서 데이터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비트 레이트, 공간 해상도, 시간 해상도, 샘플링 레이트가 상이한 시퀀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개개의 시퀀스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하면 앞으로 감기로 되도록 하는 코마 누락한 시퀀스 데이터를 아울러 사용함으 로써, 통상 재생과 앞으로 감기 재생을 대기 없이 절환할 수 있는 정보 배신 시스템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102)에 앞으로 감기 재생을 지정하는 플래그가 더 포함된다. 송신 시퀀스 선택부(203)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102)가 지정하는 시퀀스 데이터 중 앞으로 감기 재생 속도에 따라 프레임을 코마 누락하면서 단속적으로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 버퍼에 출력한다. 또한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는, 리퀘스트 송신부의 요구에 따라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로부터 앞으로 감기 재생에 필요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도 7은, 앞으로 감기 재생에 대응한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는, 도 7의 프레임F1 내지 F5와 같이 통상의 재생시에 필요한 프레임의 데이터에 계속하여 도 7의 프레임 F6, F7과 같이 앞으로 감기 재생시에 필요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배치하는 형태를 취한다. 통상 재생시에는, 프레임 F1, F2, F3, F4, F5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복호되어서 재생된 후, 송신기로부터 배신된 후속 시퀀스 데이터가 재생된다. 앞으로 감기 재생시에는, 프레임 F1, F3, F5, F6, F7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복호 되어서 재생된 후, 송신기로부터 배신된 앞으로 감기 재생용 후속 시퀀스 데이터가 재생된다. 또한, 앞으로 감기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시퀀스의 다른 구성으로서, 별도의 시퀀스 데이터를 준비하는, 스케일러블 부호화된 시퀀스 데이터에서 데이터 열의 일부를 잘라내서 재생한다라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슬로우 재생이나 역재생 등 다른 특수 재생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 가 유지함으로써, 재생 방식의 절환을 지연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의 재생 시간 길이를 재생 성능으로부터 정해지는 최대 재생 지연 시간보다도 길게 설정함으로써, 단시간에 재생 콘텐츠를 절환한 경우에 불필요하게 배신 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의 재생 시간 길이와 최대 재생 지연 시간의 차를 비배신 시간이라고 부른다. 텔레비전에서 채널을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절환하도록, 이용자가 비배신 시간 동안에 다음의 시퀀스의 재생을 요구한 경우, 송신기로부터는 후속 시퀀스 데이터는 배신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재생 환경에 따라 데이터 형식을 절환해서 시퀀스 데이터를 배신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기가 각각의 재생 환경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부에 가짐으로써, 임의의 재생 환경에서 지연이 없는 재생을 실현한다라고 하는 상황을 예로 들었다. 본 발명은, 수신 단말기에 따라 송신기가 배신하는 시퀀스를 한정하도록 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시퀀스의 한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시퀀스의 장르의 좁혀 들어감, 이용자의 인증, 재생된 광고에 따른 서비스 제공이 있다.
수신 단말기는, 배신 가능한 프로그램 중에서 재생 시퀀스의 배신을 요구하면,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 시퀀스에 대응하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한다. 선두 시퀀스 데이터는 내부에 관리 데이터를 갖고, 수신 단말기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면 관리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한다. 혹은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였다고 하는 플래그 정보를 송신기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인증을 행하여, 후속 시퀀스 데이터 배신의 가부를 결정한다. 혹은, 수신 단말기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에서 판명된 연산 능력이나 표시 능력을 송신기에 정보로서 전하고, 송신기는 후속 데이터의 최적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해서 시퀀스 데이터를 배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보 프로그램에 대해서 인증 등의 처리를 선두 시퀀스 데이터에 대응지음으로써, 이용자는 특별한 부담을 받지 않고 후보 프로그램 내의 임의의 시퀀스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후보 프로그램의 시청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후보 프로그램에 하나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대응지음으로써, 이용자는 한번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시청하면 후보 프로그램의 임의의 시퀀스를 시청할 수 있다고 하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 되는 수신 단말기로서, 가정에서 이용되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형 컴퓨터, 텔레비전에 접속된 단말기, PDA라고 불리는 휴대 정보 단말기, 휴대 전화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네트워크 등을 통해 배신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로봇도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송신기가 미리읽기 처리시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배신과 재생 처리시의 후속 시퀀스 데이터의 배신을 행하고 있지만, 이 두 개의 처리를 별도의 송신기가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수신 단말기가 미리읽기 처리시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축적과 재생 처리시의 후속 시퀀스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고 있지만, 이 두 개의 처리를 별도의 수신 단말기가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는 수신 단말기와 재생 처리를 행하는 수신 단말기가 접속되고, 전자의 수신 단말기를 통해 후자의 수신 단말기의 기억부에 선두 데이터가 축적됨으로써 실현된다. 혹은,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는 수신 단말기는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에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 기억 매체를 재생 처리를 행하는 수신 단말기에 새롭게 접속함으로써 실현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는, 수신 단말기(11), 송신기(21) 외에, 중계 장치(3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수신 단말기(11)는, 수신 버퍼(105), 디코더(107)로 이루어진다. 송신기(21)는, 기억부(200),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201), 송신 시퀀스 선택부(203), 송신 버퍼(204)로 이루어진다. 중계 장치(31)는, 기억부(300 및 301),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302), 리퀘스트 송신부(303), 재생 시퀀스 선택부(304), 절환기(305)로 이루어진다. 중계 장치(31) 내의 각 부위는, 각각 도 2에서의 기억부(100 및101),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102), 리퀘스트 송신부(103), 재생 시퀀스 선택부(104), 절환기(106)와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즉, 미리읽기 처리에서 기억부(300)에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이 축적되고, 재생 처리에서,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1303)에 기초하여 재생 시퀀스 선택부가 기억부(300)로부터 대응하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판독한다. 절환기(305)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1305)를 수신 단말기(11)에 보내고, 송신기(21)로부터 후속 시퀀스 데이터(1304)를 수취하면 수신 단말기에 배신하는 데이터를 절환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중계 장치(31)가 리퀘스트 송신부(303)를 내부에 갖고 있지만, 수신 단말기(11)가 도 2의 수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리퀘스트 송신부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중계 장치(31)가 절환기(305)를 내부에 갖고 있지만, 수신 단말기(11)가 도 2의 수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절환기를 갖고, 송신기가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에 직접 배신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 되는 중계 장치로서, 가정에서 이용되는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에 접속된 단말기, 홈 서버 혹은 홈 게이트웨이라고 불리는 가정 내의 네트워크 관리 서버,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공용 네트워크상의 중계 서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등을 통해 배신된 데이터를 재생 단말기에 재배신하는 기능을 갖는 로봇도 포함된다.

Claims (12)

  1. 수신 단말기가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앞서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수신 데이터 기억부의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하고, 송신기로부터 후속 데이터가 배신된 시점에서 재생 데이터를 절환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재생 시퀀스를 특정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상기 송신기에 송신함과 함께, 재생하는 시퀀스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리퀘스트 송신부와,
    재생 요구한 시퀀스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재생 시퀀스 선택부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와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절환하는 절환기와,
    상기 절환기로부터의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코더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재생 요구된 시퀀스의 시퀀스 데이터 중,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후속 부분을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그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배신하는 송신 시퀀스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송신기에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에 저장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의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후보 프로그램의 선두 데이터 군을 판독해서 상기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에, 현재의 수신 단말기의 재생 환경에 대한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시퀀스 선택부는,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할 때에, 현재의 재생 환경에 가장 알맞은 데이터 형식을 갖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가 배신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면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기는, 수신한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속 데이터의 최적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해서 시퀀스 데이터를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
  5. 수신 단말기가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앞서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수신 데이터 기억부의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하고, 송신기로부터 후속 데이터가 배신된 시점에서 재생 데이터를 절환하는 정보 배신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단말기가, 재생 시퀀스를 특정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상기 송신기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 단말기가, 재생 요구한 시퀀스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그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텝과,
    상기 송신기가, 상기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재생 요구한 시퀀스의 시퀀스 데이터 중,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후속 부분을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그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배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와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절환하는 스텝과,
    상기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송신기에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송신기가, 상기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후보 프로그램의 선두 데이터 군을 판독해서 상기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에 저장하는 스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에, 현재의 수신 단말기 의 재생 환경에 대한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할 때에, 현재의 재생 환경에 가장 알맞은 데이터 형식을 갖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가 배신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면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기는, 수신한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속 데이터의 최적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해서 시퀀스 데이터를 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방법.
  9. 수신 단말기가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앞서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수신 데이터 기억부의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하고, 송신기로부터 후속 데이터가 배신된 시점에서 재생 데이터를 절환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의 송신기로서,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의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후보 프로그램의 선두 데이터 군을 판독해서 상기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판독부와,
    상기 수신 단말기의 재생 시퀀스를 특정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재생 요구된 시퀀스의 시퀀스 데이터 중, 미리 상기 수신 단말기에 보내져 있던 선두 시퀀스 데이터의 후속 부분을 상기 송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그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기에 배신하는 송신 시퀀스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배신 장치.
  10. 수신 단말기가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앞서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수신 데이터 기억부의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하고, 송신기로부터 후속 데이터가 배신된 시점에서 재생 데이터를 절환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기로서,
    상기 송신기에 후보 프로그램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후보 프로그램 결정부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에 저장하는 수단과,
    재생 시퀀스를 특정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상기 송신기에 송신함과 함께, 재생하는 시퀀스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리퀘스트 송신부와,
    재생 요구한 시퀀스의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재생 시퀀스 선택부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선두 시퀀스 데이터와 후속 시퀀스 데이터를 절환하는 절환기와,
    상기 절환기로부터의 시퀀스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코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기.
  11. 수신 단말기가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앞서 미리읽기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후보 프로그램 선두 데이터 군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재생하고, 송신기로부터 후속 데이터가 배신된 시점에서 재생 데이터를 절환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의 정보 중계 장치로서,
    시퀀스의 선두 데이터인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수신 단말기의 재생 시퀀스를 특정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수취하고, 대응하는 선두 시퀀스 데이터를 상기 수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해서 상기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재생 시퀀스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중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의 재생 시퀀스를 특정하는 시퀀스 송신 리퀘스트를 생성해서 상기 송신기에 송신하는 리퀘스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중계 장치.
KR1020067019751A 2004-02-24 2005-02-24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 KR100840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7875 2004-02-24
JP2004047875 2004-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285A true KR20060120285A (ko) 2006-11-24
KR100840419B1 KR100840419B1 (ko) 2008-06-20

Family

ID=3487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751A KR100840419B1 (ko) 2004-02-24 2005-02-24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23635A1 (ko)
EP (1) EP1722566A4 (ko)
JP (1) JP4998775B2 (ko)
KR (1) KR100840419B1 (ko)
CN (1) CN1922880B (ko)
WO (1) WO20050815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99B1 (ko) * 2008-11-10 2012-03-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처리 디바이스, 동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311931B1 (ko) * 2007-02-14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 중인 파일에 대한실시간 재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7149A (ja) * 2006-07-05 2008-01-24 Canon Inc 再生装置、データ格納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US8711929B2 (en) 2006-11-01 2014-04-29 Skyfire Labs, Inc. Network-based dynamic encoding
US9247260B1 (en) 2006-11-01 2016-01-26 Opera Software Ireland Limited Hybrid bitmap-mode encoding
US8443398B2 (en) 2006-11-01 2013-05-14 Skyfire Labs, Inc. Architecture for delivery of video content responsive to remote interaction
US8630512B2 (en) 2007-01-25 2014-01-14 Skyfire Labs, Inc. Dynamic client-server video tiling streaming
WO2009104284A1 (ja) * 2008-02-19 2009-08-27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リーム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30395C (en) * 1993-12-09 1999-01-19 David G. Greenwood Multimedia distribution over wide area networks
JP3371186B2 (ja) * 1995-11-27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ビデオデータ受信装置
JPH11355756A (ja) * 1998-06-04 1999-12-24 Oki Electric Ind Co Ltd 動画データの蓄積および配信方法
JP2001008163A (ja) * 1999-06-24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積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2001051928A (ja) * 1999-08-11 2001-02-23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配信方法
EP1139590A3 (en) * 2000-03-01 2008-10-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reproduction programs with a high probability of being used for reproduction of audiovisual data
JP2002032273A (ja) * 2000-07-18 2002-01-31 Melco Inc 接続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接続サービス提供方法、接続サービスリクエスト装置、接続サービスリクエスト方法、接続サービスリクエスト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接続サービス代理リクエスト装置、接続サービス代理リクエスト方法および接続サービス代理リクエスト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2091863A (ja) * 2000-09-12 2002-03-29 Sony Corp 情報提供方法
JP2002091977A (ja) * 2000-09-20 2002-03-29 Kitagawa Ind Co Ltd コンピュータ、情報システム
JP2002290974A (ja) * 2000-12-07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伝送レート制御方法
US20020133830A1 (en) * 2001-01-08 2002-09-19 Artista Communications, Inc. Adaptive video on-demand system and method using tempo-differential file transfer
US6859840B2 (en) * 2001-01-29 2005-02-22 Kasenna, Inc. Prefix caching for media objects
JP2002271758A (ja) * 2001-03-13 2002-09-20 Sony Corp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JP2002359833A (ja) * 2001-03-27 2002-12-13 Hitachi Ltd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通信端末
JP2005537708A (ja) * 2002-08-21 2005-12-08 ディズニー エンタープライゼ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ジタルホームムービーライブラ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31B1 (ko) * 2007-02-14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 중인 파일에 대한실시간 재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125099B1 (ko) * 2008-11-10 2012-03-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화상 처리 디바이스, 동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419B1 (ko) 2008-06-20
EP1722566A1 (en) 2006-11-15
US20070223635A1 (en) 2007-09-27
WO2005081528A1 (ja) 2005-09-01
JP4998775B2 (ja) 2012-08-15
CN1922880B (zh) 2012-11-14
JPWO2005081528A1 (ja) 2008-01-17
EP1722566A4 (en) 2010-06-23
CN1922880A (zh)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8569B2 (en)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server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used in this content delivery system
US10244291B2 (en) Authoring system for IPTV network
RU26520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KR100840419B1 (ko)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
US8572670B2 (en) Video distribution device,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video distribution method
AU717680B2 (e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080024663A1 (en) Content receiver terminal device with zapping response improved in viewing multi-channel video content
CN112752115A (zh) 直播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03153254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7104679A (ja) Dmbサービス中におけるdmbデータの再生のためのdmb端末機及び方法
CN101779458B (zh) 视频配送装置以及视频配送程序
WO2004086765A1 (ja) データ送信装置
US200100219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units of a data stream
KR101541540B1 (ko) 컨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78023B1 (ko) Iptv의 채널탐색 시간을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00048492A (ko) 가변 버퍼링을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44551B1 (ko)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KR20060104539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방송 서비스 제공기능을 가지는 디엠비 단말기와 시스템 및 그 방법
JP3886892B2 (ja) 動画像蓄積装置
US20100031302A1 (en) Stream distribution system, stream receiving device, and stream reproduction method
EA004380B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ы цифрового вещания
KR20050074667A (ko) 다채널, 원격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가진 개인 휴대용 단말기용 무선 인터넷 실시간 멀티미디어 전송 서버/클라이언트
JP2004312713A (ja) データ送信装置
JP4271452B2 (ja) 動画像配信方法、動画像配信システム、利用側装置、配信側装置
KR100796777B1 (ko) Ftp를 이용한 차등펄스코드변조에 의해 압축된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