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551B1 -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551B1
KR101244551B1 KR1020110030161A KR20110030161A KR101244551B1 KR 101244551 B1 KR101244551 B1 KR 101244551B1 KR 1020110030161 A KR1020110030161 A KR 1020110030161A KR 20110030161 A KR20110030161 A KR 20110030161A KR 101244551 B1 KR101244551 B1 KR 10124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segment
segments
video content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593A (ko
Inventor
김상훈
전성호
경일수
박근수
이범구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11003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55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MB 방송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DMB 방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DMB 방송 서버는 비디오 컨텐츠를 서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비디오 컨텐츠를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을 DMB 단말기로 전송한다. DMB 단말기는 서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된 비디오 컨텐츠를 모두 수신한다. DMB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한다.

Description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BROADCASTING SYSTEM FOR HTTP STREAMING VIDEO SERVICE OVE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아래의 실시예들은 DMB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전송하는 DMB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즉,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음성과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서비스로, 일명 '손 안의 TV'라 불리고 있다. DMB는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기술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 뉴스, 위치 등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DMB 방송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이동수신이 가능하여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고음질과 고화질로 방송을 즐길 수 있다. DMB 데이터 방송은 DMB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이다. DMB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뉴스, 날씨, 교통정보, 증권 시황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DMB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은행 업무, 쇼핑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일측은 DMB에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일측은 DMB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고화질 비디오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일측에 따르면, DMB 방송 서버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여 상이한 비트율을 가지는 복수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기, 상기 각각의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복수의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분할기, 상기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세그먼트 정보 생성기 및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및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방송을 이용하여 DMB 단말기로 전송하는 DMB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들 중에서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이 선택되고, 선택된 세그먼트들은 상기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DMB 방송 서버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DMB 방송을 이용하여 DMB 방송 서버로부터 복수의 세그먼트 및 상기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DMB 수신부,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선택하는 세그먼트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부를 포함하는 DMB 단말기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일측에 따르면 DMB에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DMB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고화질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통계적 다중화를 적용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HTTP 스트리밍 비디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MPD 파일을 전송하는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인터넷 통신망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고화질 비디오를 전송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인터넷 통신망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고화질 비디오를 전송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전송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DMB 방송 서버(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DMB 방송 서버(100)는 부호화기(110), 분할기(120), DMB 전송부(130), 세그먼트 정보 생성기(140) 및 인터넷 전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기(110)는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여 상이한 비트율을 가지는 복수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일측에 따르면,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비트스트림으로서, 단지 비트율만이 상이한 비트스트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컨텐츠를 100kbps로 부호화하여 생성된 비트스트림이고, 제2 비트스트림은 동일한 비디오 컨텐츠를 500kbps로 부호화하여 생성된 비트스트림일 수 있다. 이 경우에, DMB 단말기는 제1 비트스트림 또는 제2 비트스트림 중에서 어느 하나의 비트스트림만을 수신해도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호화된 비디오 컨텐츠의 비트율은 비디오 컨텐츠의 화질에 비례한다. 즉, 비디오 컨텐츠의 비트율이 높다면, 비디오 컨텐츠의 화질은 향상된다. 따라서, 부호화기(110)는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를 화질을 달리하여 여러 번 부호화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은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비트스트림들일 수 있다. 즉, 부호화기(110)는 비디오 컨텐츠를 하나의 화질로 한 번 부호화하여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DMB 단말기는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을 모두 수신해야만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호화기(110)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SVC: Scalable Video Coding)기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기법은 하나의 컨텐츠를 서비스 형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포맷을 변환하는 방식이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기법을 이용하면 부호화기(110)는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과 추가화질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DMB 단말기는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낮은 비트율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DMB 단말기는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과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을 모두 수신하여 높은 비트율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분할기(120)는 각각의 비트 스트림들을 분할하여 복수의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세그먼트 정보 생성기(140)는 분할된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일측에 따르면,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는 각 세그먼트의 접근 주소, 비디오 컨텐츠 상에서의 시간, 각 세그먼트가 부호화된 비트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세그먼트의 접근 주소는 세그먼트의 URL을 의미할 수 있고, 비디오 컨텐츠 상에서의 시간은 해당 세그먼트가 비디오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시점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거나, 비디오 컨텐츠를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한 경우에, 해당 세그먼트가 속한 시간 구간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시점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일측에 따르면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DMB 전송부(130)가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방송을 이용하여 DMB 단말기(170)로 전송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MB 전송부(130)는 부호화기(110)가 생성한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현재 DMB 방송에서 비디오 컨텐츠 전송에 할당된 대역폭의 범위 내에서, 세그먼트들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한다. DMB 단말기(170)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수신한다. DMB 단말기는 MPD 파일에서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선택한다. DMB 단말기(170)는 선택된 세그먼트들을 사용하여 부호화기(110)가 부호화했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DMB 전송부(130)가 DMB 방송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들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MB 단말기(170)는 DMB 방송을 통해 수신한 세그먼트들을 DMB 단말기(17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고, 세그먼트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세그먼트들 중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사용할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세그먼트 제어 정보에서 세그먼트 URL은 DMB 단말기에서 해당 세그먼트가 위치한 로컬 저장소에 대한 경로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DMB 단말기(170)는 선택된 세그먼트를 DMB 방송 서버(100)에 요청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DMB 단말기(170)로부터 DMB 방송 서버(100)로의 피드백 채널이 없는 DMB 방송 시스템에서도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각각의 사각형은 비트스트림이 분할되어 생성된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세그먼트들 안에 기재된 숫자는 각 세그먼트가 부호화된 비트율을 나타낸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경우(210)에, http 비디오 인코더는 비디오 컨텐츠를 여러가지 화질로 부호화하고, 여러 가지 화질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서버에 저장한다. 단말기는 서버와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동일한 시점의 비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서버에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MB 방송 서버(100)는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MPD 파일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DMB 단말기(170)는 MPD 파일을 참고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확보한다. DMB 단말기는 MPD 파일을 참조하여 선택된 세그먼트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DMB 방송을 이용하여 고정 비트율(CBR, Constant Bit Rate)로 비디오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260)에, DMB 방송 서버(100)는 특정 비트율로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비디오 컨텐츠를 전송한다. 도 2에서는 400kbps로 부호화된 비디오 컨텐츠가 세그먼트 형태로 전송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DMB 방송을 이용하여 가변 비트율(VBR, Variable Bit Rate)로 비디오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280)에, DMB 방송 서버(100)는 화면의 특성에 따라서 변경되는 비트율로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비디오 컨텐츠를 세그먼트 형태로 전송한다.
도 3은 통계적 다중화를 적용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두 개의 비디오 인코더(310, 350)들이 각각 다른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을 부호화하고, DMB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각 비디오 인코더(310, 350)들은 가변 비트율로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할 수 있다.
제1 시간 구간(330)의 특정 시점에서 제1 비디오 인코더(310)는 비디오 컨텐츠를 300kbps로 부호화하고, 제2 비디오 인코더(350)는 비디오 컨텐츠를 400kbps로 부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시간 구간(330)의 다른 시점에서 제1 비디오 인코더(310)는 비디오 컨텐츠를 400kbps로 부호화하고, 제2 비디오 인코더(350)는 비디오 컨텐츠를 300kbps로 부호화할 수 있다. 각 비디오 인코더(310, 350)가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는 비트율은 각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 내용에 따른 인코딩 복잡도,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는 DMB 단말기에 대한 채널 상태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복수의 비디오 컨텐츠가 통계적 다중화에 의해 부호화되어 전송되면, 어느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의 비트율이 큰 경우에, 다른 비디오 컨텐츠의 비트율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DMB 방송 서버는 제한된 채널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복수의 비디오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MB 방송 서버(100)는 HTTP 스트리밍 비디오가 전송되고 있음을 DMB 단말기에게 알려주고, DMB 단말기는 이에 기반하여 HTTP 스트리밍 비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1)DMB 방송 서버(100)는 HTTP 스트리밍 비디오가 전송되고 있음을 FIC(Fast Information Channel)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DMB 단말기에게 알려주거나, 2)HTTP 스트리밍 비디오가 전송되고 있음을 방송 정보(EPG, Electr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DMB 단말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4는 HTTP 스트리밍 비디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HTTP 스트리밍 비디오가 전송되고 있음을 DMB 방송의 FIC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DMB 단말기에게 알려주는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FIC에서 전송되는 FIG0/13은 DMB에서 전송되는 응용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단말에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MB 방송 서버(100)는 FIG0/13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User Application Data Field) 정보에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식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DMB 전송부(130)는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들 및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MB 전송부(130)는 1)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방송의 FIC 데이터 채널(FIDC: FIC Data Channel)을 이용하여 DMB 단말기(170)로 전송하거나, 2)방송 정보(Electr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URL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하거나, 3)세그먼트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DMB 단말기(170)로 전송하거나, 4)세그먼트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DMB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MPD 파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DMB 방송의 FIC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단말기로 전송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프레임은 FIC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프레임이다. FIC 데이터 채널은 FIC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는 채널이다. 일측에 따르면, FIC 데이터 채널에서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MPD 파일을 전송하기 위하여 익스텐션(550, 570)을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FIC 데이터 채널에서 MPD를 전송하고 있음을 단말에 알려주도록 FIG 0/2의 DSCTy(Data Service Component Type)필드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FIC 데이터 채널에서 MPD를 전송하고 있음을 단말에 알려주도록 FIG 0/13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User Application Data Field)에 식별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DMB 방송 서버는 방송 정보(Electr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URL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DMB 단말기(170)는 URL을 참조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MPD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DMB 방송 서버는 세그먼트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DMB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비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들을 전송하는 채널은 프라이머리 서브채널(Primary Sub Channel),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PD 파일을 전송하는 채널은 세컨더리 서브채널(Secondary Sub Channel)에 해당한다.
일측에 따르면, 인터넷 전송부(150)는 복수의 세그먼트 및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DMB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DMB 단말기(170)는 DMB 방송 또는 인터넷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세그먼트 및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두 가지 경로로 수신한 세그먼트들 중에서 우수한 품질의 세그먼트를 선택하거나, 우수한 채널을 경유하여 수신한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인터넷 통신망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고화질 비디오를 전송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DMB 전송부(130)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들(610)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한다. 도 6에서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세그먼트들의 비트율은 400kbps이다. 인터넷 전송부(150)는 인터넷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들(620)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한다. 인터넷 전송망(160)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세그먼트들(620)의 비트율은 300kbps 내지 600kbps이다.
즉, DMB 전송부(130)는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낮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하고, 인터넷 전송부(150)는 높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인터넷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DMB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MB 단말기(170)는 DMB 방송망의 수신상태와 인터넷 통신망(160)의 수신상태를 비교하여 세그먼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인터넷 통신망(160)의 대역폭이 DMB 방송의 대역폭 보다 좁다면, DMB 단말기(170)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수신된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통신망(160)의 대역폭이 DMB 방송의 대역폭 보다 넓다면, DMB 단말기(170)는 인터넷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수신된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시간 구간(630) 동안에는 인터넷 통신망(160)의 대역폭이 DMB 방송의 대역폭보다 넓다. 따라서 DMB 단말기(170)는 인터넷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수신한 세그먼트 중에서 600kbps, 500kbps 등으로 부호화된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간 구간(640) 동안에는 DMB 방송의 대역폭이 인터넷 통신망(160)의 대역폭 보다 넓다. 따라서, 따라서 DMB 단말기(170)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수신한 세그먼트(400kbps)를 선택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인터넷 통신망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고화질 비디오를 전송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부호화기(110)가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SVC: Scalable Video Coding)기법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부호화기(110)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과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DMB 전송부(130)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710)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한다. DMB 단말기(170)는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710)을 수신하여 낮은 화질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전송부(150)는 인터넷 통신망(160)을 이용하여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720)을 DMB 단말기(170)로 전송한다. DMB 단말기(170)는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720)을 수신하여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과 결합하고, 결합된 비트스트림들을 이용하여 높은 화질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7의 각 세그먼트들 중에서 굵은 외곽선의 세그먼트들은 DMB 단말기(170)가 선택한 세그먼트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시간 구간(731)에서 DMB 단말기는 400kbps의 기본 화질 세그먼트와 400kbps의 추가 화질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제2 시간 구간(732)에서 DMB 단말기는 400kbps의 기본 화질 세그먼트와 400kbps의 추가 화질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DMB 방송의 대역폭은 일정하나, 인터넷 통신망(160)의 대역폭은 시간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만약 인터넷 통신망(160)의 대역폭이 감소한다면, DMB 단말기(170)는 300kbps, 200kbps, 100kbps 등으로 부호화된 추가 화질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DMB 단말기(800)는 DMB 수신부(810), 인터넷 수신부(820), 세그먼트 선택부(830) 및 비디오 재생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DMB 수신부(810)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DMB 방송 서버(850)로부터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수신한다. DMB 수신부(810)가 수신한 세그먼트들은 복수의 비트스트림을 각각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 중에서 DMB 대역폭에서 전송 가능하여 선택된 세그먼트들이다.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은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것이다.
일측에 따르면, 각 비트스트림들의 비트율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한 세그먼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선택한다. 일측에 따르면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복수의 수신 세그먼트들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고, 저장된 세그먼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세그먼트 선택부(830)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세그먼트들은 일정 시간 이후에 폐기될 수 있다.
DMB 단말기(800)는 DMB 방송을 통해 수신한 세그먼트들을 DMB 단말기(80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고, 세그먼트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세그먼트들 중에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사용할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세그먼트 제어 정보에서 세그먼트 URL은 DMB 단말기에서 해당 세그먼트가 위치한 로컬 저장소에 대한 경로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DMB 단말기(800)는 선택된 세그먼트를 DMB 방송 서버(850)에 요청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DMB 단말기(800)로부터 DMB 방송 서버(850)로의 피드백 채널이 없는 DMB 방송 시스템에서도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는 각 세그먼트의 접근 주소, 각 세그먼트의 비디오 컨텐츠 상에서의 시간, 각 세그먼트가 부호화된 비트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세그먼트의 접근 주소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UR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DMB 방송 서버(850)와 DMB 단말기(800)간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채널의 대역폭 보다 작은 비트율을 가지는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MB 수신부(810)는 1)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방송의 FIC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DMB 방송 서버(850)로부터 수신하거나, 2)방송 정보(Electr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URL을 DMB 방송 서버(850)로부터 수신하거나, 3)세그먼트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DMB 방송 서버(8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4)세그먼트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DMB 방송 서버(8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 수신부(820)는 복수의 세그먼트 및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860)을 이용하여 DMB 방송 서버(8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비디오 재생부(840)는 선택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한다.
일측에 따르면, DMB 수신부(810) 또는 인터넷 수신부(820)가 수신한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비트스트림으로서, 단지 비트율만이 상이한 비트스트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호화된 비디오 컨텐츠의 비트율은 비디오 컨텐츠의 화질에 비례한다. 즉, 비디오 컨텐츠의 비트율이 높다면, 비디오 컨텐츠의 화질은 향상된다. 이 경우에,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제1 비트스트림 또는 제2 비트스트림 중에서 어느 하나의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만을 선택하 수 있다. 비디오 재생부(840)는 선택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은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비트스트림들일 수 있다. 즉, DMB 방송 서버(850)는 비디오 컨텐츠를 하나의 화질로 한 번 부호화하여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복수의 비트스트림들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을 선택하고, 비디오 재생부(840)는 선택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MB 수신부(810)는 낮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수신하고, 인터넷 수신부(820)는 높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DMB 방송의 대역폭과 인터넷 통신망(860)의 대역폭을 비교하여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 방송의 대역폭이 인터넷 통신망(860)의 대역폭보다 더 넓은 경우에,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DMB 방송을 이용하여 수신된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통신망(860)의 대역폭이 DMB 방송의 대역폭보다 더 넓은 경우에,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인터넷 통신망(860)을 이용하여 수신된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그먼트 선택부(83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높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DMB 방송 서버(850)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SVC: Scalable Video Coding)기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DMB 방송 서버(850)는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과 추가화질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세그먼트 선택부(830)가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만을 선택한 경우에, 비디오 재생부(840)는 낮은 화질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세그먼트 선택부(830)가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과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을 모두 선택한 경우에, 비디오 재생부(840)는 높은 화질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DMB 단말기(900)는 DMB 수신부(910), 세그먼트 선택부(920), 비디오 재생부(930) 및 인터넷 통신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DMB 수신부(910), 세그먼트 선택부(920), 비디오 재생부(930)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DMB 수신부(810), 세그먼트 선택부(830), 비디오 재생부(84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터넷 통신부(940)는 DMB 단말기(900)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광고 서버(950)로 전송한다.
일측에 따르면 비디오 재생부(930)는 EPG 정보와 세그먼트에 대한 재생 정보를 참조하여 비디오 컨텐츠가 광고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광고를 포함하고 있다면 광고 시간을 판단한다.
광고 서버(950)는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택한다. 일측에 따르면 광고 서버(950)는 EPG 서버(960)로부터 광고 시간을 판단하고, 광고 시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부(940)는 광고 시간 동안에 광고 서버(95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비디오 컨텐츠의 종료 시점과 사용자 맞춤형 광고의 시작 시점, 또는, 사용자 맞춤형 광고의 종료 시점과 비디오 컨텐츠의 시작 시점이 일치하도록 세그먼트들이 생성되어 DMB 단말기(900)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DMB 단말기들이 DMB 방송 서버(970)로부터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에, 각 DMB 단말기들은 동일한 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각 DMB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광고 서버(9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전송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DMB 단말기가 DMB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비디오 컨텐츠는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대(1050)에서는 광고가 방송되고, 다른 시간대(1060)에서는 프로그램이 방송될 수 있다.
광고 시간대(1050)에, 일반 사용자들은 DMB 방송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일반 광고 방송의 세그먼트(1010)을 수신한다. 반면, DMB 방송 서비스에 가입한 다른 사용자들(가입자 A, 가입자 B, 가입자 C)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광고 방송의 세그먼트들(1020, 1030, 1040)을 각 DMB 단말기의 인터넷 통신망 상태에 따라 수신한다. 따라서, 광고 시간대(1050)에서는 각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광고가 방송될 수 있다.
프로그램 시간대(1060)에, 모든 사용자들은 DMB 방송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100: DMB 방송 서버
110: 부호화기
120: 분할기
130: DMB 전송부
140: 세그먼트 정보 생성기
150: 인터넷 전송부
160: 인터넷 통신망
170: DMB 단말기

Claims (14)

  1. DMB 방송 서버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를 부호화하여 상이한 비트율을 가지는 복수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기;
    상기 각각의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복수의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분할기;
    상기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세그먼트 정보 생성기; 및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및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방송을 이용하여 DMB 단말기로 전송하는 DMB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된 세그먼트들은 상기 DMB 단말기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세그먼트 제어 정보는 상기 세그먼트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세그먼트의 상기 로컬 저장소에서의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세그먼트들 중에서 일부 세그먼트들은 상기 로컬 저장소에서의 경로를 참조하여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세그먼트들은 상기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DMB 방송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상에서의 시간, 상기 각 세그먼트가 부호화된 비트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MB 방송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 전송부는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방송의 FIC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방송 정보(Electr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URL을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세그먼트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세그먼트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는 DMB 방송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및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넷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DMB 방송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높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넷 전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DMB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낮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전송하는 DMB 방송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전송부는 상기 인터넷 통신망의 대역폭이 상기 DMB 방송의 비트율보다 더 큰 값인 경우에 상기 세그먼트들을 전송하는 DMB 방송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 전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기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SVC: Scalable Video Coding)기법을 이용하여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과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DMB 전송부는 상기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을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전송부는 상기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세그먼트들을 상기 DMB 단말기로 전송하는 DMB 방송 서버.
  8. DMB 방송을 이용하여 DMB 방송 서버로부터 복수의 세그먼트 및 상기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DMB 수신부;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선택하는 세그먼트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세그먼트들은 로컬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세그먼트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세그먼트의 상기 로컬 저장소에서의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세그먼트들은 상기 로컬 저장소에서의 경로를 참고하여 상기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세그먼트들 중에서 선택되는 DMB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 상에서의 시간, 상기 각 세그먼트가 부호화된 비트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MB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MB 수신부는,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DMB 방송의 FIC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방송 정보(Electr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URL을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세그먼트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세그먼트와 상이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DMB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및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DMB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인터넷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DMB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인터넷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은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낮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이고,
    상기 인터넷 수신부는 인터넷 통신망의 대역폭이 상기 DMB 방송의 비트율보다 더 큰 값인 경우에 상기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높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추가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는 상기 높은 비트율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DMB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인터넷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들은 상기 비디오 컨텐츠를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SVC: Scalable Video Coding)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비트스트림들 중에서 기본 화질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기본 화질 세그먼트들이고,
    상기 인터넷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비트스트림들 중에서 추가 화질 비트스트림을 분할하여 생성된 추가 화질 세그먼트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는 상기 기본 화질 세그먼트들과 상기 추가화질 비트스트림을 결합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DMB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MB 단말기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광고 서버로 전송하는 인터넷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재생부는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비디오 컨텐츠의 광고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인터넷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상기 광고 시간 동안에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DMB 단말기.
KR1020110030161A 2011-04-01 2011-04-01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KR10124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61A KR101244551B1 (ko) 2011-04-01 2011-04-01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61A KR101244551B1 (ko) 2011-04-01 2011-04-01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93A KR20120111593A (ko) 2012-10-10
KR101244551B1 true KR101244551B1 (ko) 2013-03-18

Family

ID=4728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161A KR101244551B1 (ko) 2011-04-01 2011-04-01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4553A1 (en) * 2013-05-07 2014-11-13 Magnum Semiconductor, Inc.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a statistical multiplexer with bitrate smooth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75B1 (ko) 2004-07-2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통신 융합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 방송 다중화기 및역다중화기
KR100734141B1 (ko) * 2005-10-28 2007-06-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의 프레임을 참조하는 시간적 및 공간적 스케일러블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그 장치
KR20090018559A (ko) * 2007-08-17 2009-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터널링에 기반하여 로컬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dmb 방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로컬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83747A (ko) * 2011-01-18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75B1 (ko) 2004-07-2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통신 융합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 방송 다중화기 및역다중화기
KR100734141B1 (ko) * 2005-10-28 2007-06-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의 프레임을 참조하는 시간적 및 공간적 스케일러블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그 장치
KR20090018559A (ko) * 2007-08-17 2009-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터널링에 기반하여 로컬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dmb 방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로컬캐스팅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83747A (ko) * 2011-01-18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93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98B1 (ko) 미디어 컨텐트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6426259B2 (ja) 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を受信する方法
AU20122077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control message in a broadcast system
KR101377952B1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수신기
US8745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n SVC operation point, an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VC operation points
KR101356502B1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수신기
US20110043614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00037659A (ko) 디지털 방송에서 계층적인 전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791893B2 (ja) 以前の伝送データを用いた、ビデオ・コンテンツ及びサービスのブロードキャストの受信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9729939B2 (en) Distribution of MPEG-2 TS multiplexed multimedia stream with selection of elementary packets of the stream
KR20110123658A (ko) 3차원 방송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20200275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60 degree virtual reality broadcasting service
KR100840419B1 (ko) 정보 배신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정보 배신 장치, 수신단말기, 정보 중계 장치
CN105430510A (zh) 一种视频点播方法、网关、智能终端及视频点播系统
US9154854B1 (en) Notific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JP2011530907A (ja) チャネル切替のためのメディアストリームの分離
KR101244551B1 (ko) Dmb에서 http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KR20170130883A (ko) 하이브리드 망 기반의 가상 현실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656193B1 (ko) 이기종 망에서의 uhd 비디오 전송을 위한 mmt 기반 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6006659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H11150720A (ja) リアルタイムデータ再生装置及びシステム
KR20060104539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방송 서비스 제공기능을 가지는 디엠비 단말기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3846A (ko) 미디어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기
KR20080012377A (ko) 디지털 방송에서 계층적인 전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58541A (ko) 그룹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mpeg 미디어 전송 시스템에서의 패킷 생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