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811A -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 Google Patents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811A
KR20060119811A KR1020060044395A KR20060044395A KR20060119811A KR 20060119811 A KR20060119811 A KR 20060119811A KR 1020060044395 A KR1020060044395 A KR 1020060044395A KR 20060044395 A KR20060044395 A KR 20060044395A KR 20060119811 A KR20060119811 A KR 20060119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oupling
separating member
connecting element
plug typ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998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바우어
라이너 코흐
Original Assignee
라스무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스무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스무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1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두 개의 유체관들을 연결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은 수용관체(5)에 이어지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연결요소(2)와, 원주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잠금면을 형성하는 유지용 리브를 구비하여 수용관체(5)에 삽입되는 연결편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유지용 리브는 개구부를 향하여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잠금고리부(27)와 상호 작용한다. 분리부재(27)는 연결요소(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분리부재(27)는 커플링의 개구부 방향으로 다리부들(17,18)과 작용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Plug-type coupling}
도 1은 도 2의 Ⅰ-Ⅰ의 절단선을 따라 취한 횡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의 절단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연결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잠금고리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커플링 17,18: 다리부
2: 연결요소 19,20: 경사부
3: 단부면 21: 하우징
4: 개구부 22: 수용공간
5: 수용관체 23: 하우징 부분
6,8: 연결체 24: 환형벽
7,7': 연결편 26: 요부
9,9': 유지용 리브 27: 분리부재
10: 잠금면 30,31: 아암들
12: 실링부 32: 제1 돌출부
13: 실링링 33: 제2 돌출부
14: 지지링 34: 유지면
15: 잠금고리부 11,25,28,29,35,37: 경사면
16: 베이스
본 발명은 두 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커플링은 개구부와 이에 연장하는 수용관체를 구비하는 연결요소와, 원주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잠금면을 형성하는 유지용 리브를 구비하여 수용관체에 삽입되는 연결편을 구비한다. 유지용 리브는 개구부를 향하여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잠금고리부와 상호 작용한다.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은 두 개의 유체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연결요소는 일측 유체관에 부착되고, 연결편은 타측 유체관에 연결된다. 두 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편이 연결요소의 수용관체에 삽입된다.
연결요소는 연결된 관이 저절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잠금고리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커플링에 있어서 이와 같은 잠금고리부는 스프링 와이어에 의해 U 자 형상의 스프링 잠금고리부로 구성된다. 연결요소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하므로 잠금고리부는 대략 방사 방향으로 연결요소를 향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잠금고리부의 두 개의 다리부는 수용관체의 개방된 단면으로 약간 돌출된다. 연결편이 삽입되면 두 개의 다리부는 유지용 리브에 의해 벌어진다. 그리고 다리부들은 유지용 리브가 통과한 후에 유지용 리브의 후방에서 서로 맞닿는다. 따라서 연결편은 연결요소로부터 축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을 다시 분리하려면, 잠금고리부가 커플링 하우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분리되어 유지용 리브가 두 개의 다리부로부터 자유롭게 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다리부를 연결하는 잠금고리부의 베이스에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공구가 필요하다. 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두 개의 다리부의 어느 하나를 가압함으로써 두 개의 다리부가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커플링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질 정도까지 되어야 한다. 잠금지지부는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커플링이 저절로 개방될 수 있는 상당한 위험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절로 개방될 위험을 갖지 않으며 분리 가능한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형태의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에서 분리부재가 연결요소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분리부재는 커플링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다리부에 작용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연결요소 내에 잠금고리부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구가 배치된다. 커플링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분리부재의 외측으로부터 힘을 가하여 분리부재를 변위시키기만 하면 된다. 분리부재는 변위되는 중에 잠금고리부에 작용하여 다리부를 회전시키거나 구부린다. 이로 인해 다리부는 유지용 리브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연결편이 연결요소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은 커플링의 연결과 분리를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므로, 어떠한 부가적인 공구도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잠금고리부는 두 개의 다리부들과, 두 개의 다리부들을 연결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U 자 형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부재는 베이스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분리부재는 두 개의 다리부에 동시에 작용을 미친다. 분리부재의 변위 또는 이동은 두 개의 다리부를 벌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다리부들이 벌어지면 다리부들은 유지용 리브로부터 분리되어 연결편이 연결요소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분리부재에 압력을 가하기만 하면 된다. 보통 수조작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분리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공구가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부재는 다리부와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경사면은 벌어지게 하는 작용을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분리부재는 다리부 또는 다리부들이 이동하도록 하는 쐐기와 같이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다리부는 분리부재의 작용이 미치는 상측으로 향하는 경사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벌어지는 작용이 향상되므로, 커플링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부재가 이동하는 거리가 그리 크지 않아도 된다. 분리부재가 이동하는 거리가 작을수록 연결요소의 구조적 높이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과 다리부의 경사부와 분리부재의 이동방향의 사이에 45° 의 각도가 적용된다면, 커플링을 분리하기 위해 분리부재에 필요한 거리는 유지용 리브의 방사 방향 확장거리의 약 1.4배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거리는 몇 밀리미터이면 충분하다.
분리부재는 강제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요소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제적인 결합으로 인해 분리부재는 잠금고리부를 해제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잠금고리부는 분리부재가 연결요소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분리부재는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탄성 다리부 상에는 제1 돌출부가 배치된다. 제1 돌출부는 연결요소의 제2 돌출부와 상호 작용을 한다. 분리부재가 연결요소로 가압되면, 두 개의 돌출부들은 서로 분리되어 이동 방향으로 움직인다. 다리부의 탄성 작용은 외측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없어졌을 때 분리부재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그러나 외측으로 향하는 분리부재의 움직임은 두 개의 돌출부들이 서로 다시 접촉할 때에만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두 개의 돌출부의 각각은 이동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일측의 지지면과, 이동 방향을 향하는 타측의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분리부재를 연결요소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두 개의 경사면이 서로 슬라이딩하면, 제1 돌출부가 제2 돌출부를 지나칠 때까지 다리부가 방사방향의 내측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제1 돌출부가 제2 돌출부 뒤쪽에 결합된다. 두 개의 대향하는 다리부들이 분리부재에 사용되면, 상대적으로 강한 지지력이 발생하여 외측으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절대로 열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다리부가 배치되는 영역의 외측에 수용관체의 축 방향으로 아암이 배치된다. 따라서 다리부와 아암은 서로 부딪히지 않는다. 오히려 아암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다리부는 유지용 리브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방사방향의 외측을 향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부재는 연결요소로부터 연결요소의 외측 윤곽과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에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플링이 저절로 개방될 위험이 더욱 줄어든다. 연결요소의 외측에 작용하는 모든 힘들은 대부분 분리부재가 내측으로 가압될 위험 없이 연결요소에 의해 흡수된다.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은 오로지 특별한 방법으로 분리부재에만 작용하는 조작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고리부는 강제적인 결합 방식으로 연결요소에 설치된다. 연결요소는 잠금고리부가 분리부재의 개방력에 대항하는 충분한 저항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분리부재가 잠금고리부에 작용을 미칠 때 잠금고리부는 실질적으로 연결요소 내에서의 그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그 대신 다리부만이 유지용 리브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벌어진다.
이와 같은 연결 관계에서 연결요소는 잠금고리부를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잠금고리부가 분리부재의 반대측에서 하우징 부분에 의해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부분은 분리부재의 연결요소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잠금고리부가 밀리지 않도록 한다. 잠금고리부는 연결요소의 하우징 일부의 둘레에서 두 개의 다리부로 결합하기 때문에, 분리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잠금 고리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없다. 잠금고리부는 수용공간의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수용관체의 축 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잠금고리부가 연결요소에 일단 삽입되면 적당한 분해 절차에 의하지 않고는 연결요소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그러나 잠금고리부가 분리부재에 의해 충분히 확장됨으로써 연결편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잠금고리부를 제거하는 과정은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하우징 부분은 볼록하게 만곡된다. 여기에서 만곡부는 연결요소의 단부면에 접한다. 잠금고리부는 스프링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잠금고리부는 어느 정도까지 변형될 수 있다. 잠금고리부를 삽입하기 위해 잠금고리부의 베이스는 하우징 부분을 통과하며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잠금고리부의 베이스를 약간 구부림으로써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부리는 작용은 베이스가 원형으로 만곡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베이스는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와 하우징 부분의 밑에 위치하며 하우징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그 단부면이 하우징 부분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하우징 부분의 최대 확장부 영역에서 요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요부는 베이스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단부면에서의 확장부는 잠금고리부가 연결요소의 하우징에서 단부면 방향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유지용 리브는 잠금면을 향하는 측면에 경사면을 구비한다. 경사면은 잠금고리부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다리부나 두 개의 다리부들을 외측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다리부가 충분한 정도로 서로 벌어지면 연결편은 연결요소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다리부들은 다시 유지용 리브의 후면에서 복귀하고, 연결편은 연결요소 내에서 제거 가능한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연결편은 연결 고리부의 두 개의 다리부들이 분리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벌어지는 경우에만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해서는 커플링이 저절로 개방되는 실제적인 위험이 없도록 하기 위해 의도된 조작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부가적 또는 선택적 특징으로서, 개구부에 접하는 다리부의 측면이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경사면을 구비하지 않는 대신 예를 들어 사각 단면을 갖는 유지용 리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다리부들을 벌리는 데 필요한 하측 방향의 구동력은 다리부의 경사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잠금고리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부재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면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 크기는 작게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스프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금속은 보통 커플링의 분리를 위해 연결편에 작용하는 어떠한 보정력도 흡수하기에 충분할 만큼 단단하다. 커플링의 분리를 위해서는 작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잠금 기능을 위해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적은 마찰력으로 서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와 금속의 짝을 찾는 것은 어려움 없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신규한 다양한 특성들은 공개 내용의 일부를 이루도록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료하게 나타나 있다. 본 발명과, 작용·효과와, 본 발명의 용도에 의한 특별한 목적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표현하고 설명하는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1)의 횡 단면도를 도시한다. 커플링(1)은 단부면에 개구부(4)를 구비하는 연결요소(2)를 구비한다. 개구부(4)는 수용관체(5)에서 연장되어 위치한다.
연결요소(2)는 호스와 같은 유체관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되는 연결체(6)에 연결된다.
연결편(7)은 개구부(4)를 통해 수용관체(5)에 삽입된다. 연결편(7)은 연결요소(2)로부터 돌출하는 연결체(8)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호스 또는 다른 유체관이 연결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체(8)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냉각기와 같은 부품의 일 부분일 수도 있다.
연결편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체(8)에 접하는 측면에 잠금면(10)을 구비하는 유지용 리브(9)를 구비한다. 유지용 리브(9)는 원주 방향으로 절단될 수도 있다.
유지용 리브(9)는 잠금면(10)의 반대측면에 경사면(11)을 구비한다.
연결편(7)과 연결요소(2)의 사이에는 실링부(12)가 배치된다. 실링부(12)는 원형의 실링링(13)과 지지링(14)을 포함한다. 그러나 실링부(12)는 연결지점(10)과, 연결요소(2)와 연결편(7)에서 유체가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연결편(7)은 베이스(16)와 베이스(16)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을 포함하는 U 자 형상의 잠금고리부(15)에 의해 지지된다. 각 다리부들(17,18)은 그 단부에 경사부(19,20)를 포함한다. 잠금고리부(15) 는 스프링 와이어로 이루어지므로, 두 개의 다리부들(17,18)들은 베이스(16)에 대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정지 상태를 도시한다.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은 이와 같은 정지 상태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잠금고리부(15)는 연결요소(2)의 하우징(21)의 수용공간(22) 내에 배치된다. 수용공간(22)은 하우징 부분(23)에 의해 포위된다. 잠금고리부(15)는 하우징 부분(23)과 수용관체(5)를 둘러싸는 환형벽(24)의 사이에 베이스(16)가 배치되도록 삽입된다. 즉 잠금고리부(15)는 이동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다리부들(17,18)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미소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23)은 그 단부면에 경사면(25)을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분(23)은 볼록하게 만곡된다. 이를 통해 하우징 부분(23)은 단부면(3)을 향해 돌출된다. 하우징(21)은 그 단부면(3)에서 상측으로 하우징 부분(23)의 높이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단부면(3)은 하우징 부분(23)의 영역에 요부(26)를 구비한다. 연결요소(2) 내에 잠금고리부(15)를 설치하면 잠금고리부(15)의 베이스(16)는 약간 만곡되어 그 굴곡면이 하우징 부분(23)의 원호에 대응한다. 베이스(16)가 하우징 부분(23)을 통과하면 잠금고리부는 완화되어, 베이스(1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벽(24)과 하우징 부분(23)의 사이에 위치한다.
베이스(16)의 반대측에 접하는 측면에는 분리부재(27)가 하우징(21) 내에 위치한다. 분리부재(27)는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분리부재는 베이스(16)를 향하는 방향, 예를 들어 연결요소(2)의 하우징(21)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로 사용된다.
분리부재(27)는 잠금고리부(15)의 경사부(19,20)와 상호 작용하는 두 개의 경사면(28,29)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지 상태에서 두 개의 부분들(19,20)은 대응하는 경사면(28,29)에서 이동 방향에 대한 동일한 경사, 예를 들어 45도의 경사를 갖는다.
분리부재(27)가 잠금고리부(15)의 베이스(16)를 향하여 이동하면, 두 개의 경사면(28,29)은 두 개의 부분들(19,20)을 가압함으로써 잠금고리부(15)의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이 벌어지도록 한다. 두 개의 다리부들(17,28) 사이의 거리는 더 커진다. 수용공간(22)은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벌어지는 전체 과정은 하우징(21)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잠금고리부(15)의 어떤 부분도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분리부재(27)는 두 개의 아암들(30,31)을 구비한다. 두 개의 아암들(30,31)은 수용관체의 축 방향으로 잠금고리부(15)의 뒤쪽에 배치된다. 도 1에 서, 이와 같은 배치는 잠금고리부(15)의 우측에 해당한다. 따라서 아암들(30,31)은 잠금고리부(15)의 부분들(17,18)의 벌어지는 움직임에 대해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각각의 아암들(30,31)은 그 단부에 제1 돌출부(32)를 구비한다. 제1 돌출부(32)는 연결요소(2)의 하우징(21)의 제2 돌출부(33)와 상호 작용을 한다. 두개의 돌출부들(32,33)은 분리부재(27)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유지면에서 서로 대향하며 배치된다. 제1 돌출부(32)는 유지면(34)에 접하는 측면에 경사면(35)을 구비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돌출부(33)는 유지면(34)에 접하는 측면에 경사면을 구비한다. 분리부재(27)가 하우징(21) 내에 위치할 때에는 두 개의 아암들(30,31)은 내측을 향해 약간의 탄성적인 이동을 함으로써 제2 돌출부(33)의 뒤쪽 위치가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이를 때까지 제1 돌출부(32)는 제2 돌출부(33)를 지나며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분리부재(27)는 강제적으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연결요소(2)의 하우징(21) 내에 유지된다. 돌출부들(32,33)의 상호 작용은 분리부재(27)가 연결요소(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분리부재(27)의 가장 바깥쪽의 외곽 형상은 하우징(21)의 외곽 형상을 따른다.
연결편(7)이 연결요소(2) 내에 위치하면, 유지용 리브(9)의 경사면(11)이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을 벌어지게 함으로써 유지용 리브(9)는 잠금고리부를 지날 수 있다. 유지용 리브(9)가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을 통과하면,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은 복귀하여 잠금면(10)의 뒤쪽에 결합한다. 연결편(7)은 연결요소(2) 내에 분리되지 않는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연결요소(2)에서 연결편(7)을 다시 분리하기 위해, 분리부재(27)가 잠금고리부(15)의 베이스(16)를 향해 살짝 눌린다. 이로 인해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이 잠금면(10)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지용 리브(9)가 두 개의 다리부들(17,18) 사이에 돌출할 수 있을 정도로 분리부재(27)가 두 개의 다리부들(17,18)을 벌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편(7)은 연결요소(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부재(27)는 손가락 힘으로 하우징(21) 내측으로 간단하게 가압될 수 있다. 분리부재(27)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지면, 내측으로 탄성을 갖는 다리부 들(17,18)은 분리부재(27)를 다시 가압하여 도 2에 도시된 두 개의 돌출부들(32,33)이 서로 접촉하는 초기 위치로 위치시킨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용 리브(9)는 잠금고리부(15)의 다리부들(17,18)이 벌어지게 하기 위한 경사면(11)을 구비한다.
도 4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의 변형예의 두 개의 요소들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요소들에 대응하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프라임부호(') 붙인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연결편(7')은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는 유지용 리브(9')를 구비한다. 잠금고리부(15)의 다리부(17)는 이를 목적으로 경사면(37)을 구비하여 유지용 리브(9')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잠금고리부는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고리부(15)는 금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부재(27)는 금속 스프링과 적은 마찰로 상호 작용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커플링이 저절로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플링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법은 단순해졌다. 커플링의 무게는 작아졌다.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표현하고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을 다른 변형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잠금고리부는 금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부재는 금속 스프링과 적은 마찰로 상호 작용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커플링은 저절로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커플링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은 단순해졌으며, 커플링의 무게는 작아졌다.

Claims (16)

  1. 두 개의 유체관들을 연결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으로서,
    개구부와 여기에 연장하는 수용관체를 구비하는 연결요소와, 원주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잠금면을 형성하는 유지용 리브를 구비하여 수용관체에 삽입되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유지용 리브는 잠금고리부와 상호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고, 잠금고리부는 개구부에 평행하게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연결요소(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부재(27)를 더 구비하고, 분리부재(27)는 다리부(17,18)에 개방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고리부(15)는 두 개의 다리부들(17,18)과, 다리부들을 연결하는 베이스(16)를 구비하는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부재(27)는 베이스(16)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3.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부재(27)는 다리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8,29)을 구비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4. 제 1 항에 있어서,
    다리부(27,18)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9,20)를 구비하고, 외측 경사부는 분리부재(27)와 작용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5.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부재(27)는 연결요소(2)에 강제적인 잠금 결합으로 장착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6. 제 5 항에 있어서,
    분리부재(27)는 이동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30,31)를 구비하고, 탄성 다리부(30,31)는 연결요소(2) 상의 제2 돌출부(33)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제1 돌출부(32)를 구비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7.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는 일측에 이동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지지면을 각각 가지고, 각각의 돌출부들은 이동 방향에서 반대편에 위치한 측면 상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8.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부(30,31)는 다리부(30,31)가 위치하는 영역 외측에서 수용관체(5)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9. 제 5 항에 있어서,
    분리부재(27)는, 분리부재(27)가 연결요소(27)의 외측 윤곽과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까지 연결요소(27)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10.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고리부(15)는 연결요소(2)에 강제적인 연결로써 장착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2)는 잠금고리부(15)를 위한 수용공간(22)을 구비하고, 수용공간은 분리부재(27)의 반대쪽 측면에서 하우징 부분(23)에 의해 덮이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하우징 부분(23)은 볼록하게 만곡되고, 만곡부는 연결요소(2)의 단부면(3)을 향하여 배향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우징(21)은 단부면(3)에서 하우징 부분(23)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하우징은 하우징 부분(23)의 최대 연장부 영역에서 요부(26)를 구비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14.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용 리브(9)는 잠금면(1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경사면(11)을 구비하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15. 제 1 항에 있어서,
    다리부(17)는 개구부에 접하는 측면 상에서 경사지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16.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고리부(15)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분리부재(27)는 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KR1020060044395A 2005-05-18 2006-05-17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KR100769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3583A DE102005023583B4 (de) 2005-05-18 2005-05-18 Steckkupplung
DE102005023583.2 2005-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811A true KR20060119811A (ko) 2006-11-24
KR100769998B1 KR100769998B1 (ko) 2007-10-25

Family

ID=3669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395A KR100769998B1 (ko) 2005-05-18 2006-05-17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50699B2 (ko)
EP (1) EP1724510B1 (ko)
JP (1) JP4304522B2 (ko)
KR (1) KR100769998B1 (ko)
DE (1) DE102005023583B4 (ko)
ES (1) ES231477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12B1 (ko) * 2015-06-25 2016-11-09 고득출 세탁기의 급수호스 연결용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510A1 (en) * 2007-06-11 2008-12-18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S. Quick connector element
DE202009000328U1 (de) * 2009-01-08 2009-03-19 Norma Germany Gmbh Kupplungseinrichtung
CN103180650B (zh) 2010-05-04 2016-05-11 诺玛美国控股有限责任公司 连接器组件
WO2012043024A1 (ja) * 2010-09-30 2012-04-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5844231B2 (ja) * 2011-09-29 2016-01-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コネクタ
AT512397B1 (de) * 2012-05-07 2013-08-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unter Druck gesetzte Flüssigkeiten oder Gase
FR2993630B1 (fr) * 2012-07-23 2014-07-11 Raymond A & Cie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avec une bague reductrice d'effort de montage
JP5939541B2 (ja) * 2012-09-26 2016-06-2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US9751176B2 (en) 2014-05-30 2017-09-05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accessory attachment system
US9845908B2 (en) * 2015-03-31 2017-12-19 Ap Couplings, Inc. Lightweight quick connector system
US10458583B2 (en) * 2015-08-31 2019-10-29 A. Raymond Et Cie Unlocking tool for a quick connector assembly
DE102016015301A1 (de) 2016-12-22 2018-06-28 Daimler Ag Lei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7489840B (zh) * 2016-12-23 2020-09-18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管路接头、压力管、发动机和车辆
CN115279979A (zh) 2020-03-16 2022-11-01 科勒公司 用于马桶的快速联接机构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3710A (en) * 1924-01-28 1924-10-28 Autoyre Company Separable fastener
US2023428A (en) * 1934-07-06 1935-12-10 Frederick C Liebhardt Coupling
US2203428A (en) * 1934-12-19 1940-06-04 Leon Ladislaus Von Kramolin Method of coupling a sound generating system to a sound generating diaphragm
US3428340A (en) * 1967-03-20 1969-02-18 Harry L Pelton Hose coupling
DE2444245B2 (de) * 1974-09-16 1976-09-30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5290 Wipperfürth Schlauchkupplung
DE2824943C2 (de) * 1978-06-07 1986-07-31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5272 Wipperfürth Anschlußvorrichtung für Bremsleitungen
AU9093182A (en) * 1981-11-26 1983-06-02 Sabco Ltd. Quick release hose coupling
US4561682A (en) * 1982-09-03 1985-12-31 Rain Bird Consumer Products Mfg. Corp. Quick connect coupling
US4884829A (en) * 1986-09-16 1989-12-05 Johannes Schaefer Vorm. Stettiner Schraubenwerke Gmbh & Co. Kg Plug-in connection for connecting tube and host lines in particular for use in tube-line systems of motor vehicles
US4991880A (en) * 1989-08-28 1991-02-12 Handy And Harman Automotive Group,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twist release
JP2508215Y2 (ja) * 1992-06-02 1996-08-21 川重防災工業株式会社 管体の接続装置
JPH07105601B2 (ja) 1992-12-18 1995-11-13 イビデン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DE4300037C1 (de) * 1993-01-02 1994-04-21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JP4068378B2 (ja) * 2002-04-04 2008-03-26 株式会社Inax 迅速管継手
JP4299014B2 (ja) * 2002-07-31 2009-07-22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管継手
FR2847647B1 (fr) * 2002-11-25 2007-10-05 Raccord a securite augmentee
US7128347B2 (en) * 2004-11-18 2006-10-3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912B1 (ko) * 2015-06-25 2016-11-09 고득출 세탁기의 급수호스 연결용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4510A3 (de) 2007-05-09
US7950699B2 (en) 2011-05-31
EP1724510A2 (de) 2006-11-22
US20060273578A1 (en) 2006-12-07
EP1724510B1 (de) 2008-10-08
JP4304522B2 (ja) 2009-07-29
DE102005023583A1 (de) 2006-11-30
DE102005023583B4 (de) 2011-01-27
ES2314773T3 (es) 2009-03-16
KR100769998B1 (ko) 2007-10-25
JP2006322615A (ja)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998B1 (ko) 플러그 유형의 커플링
US20230248122A1 (en) Magnetic buckling assembly
JP4510086B2 (ja) 結合装置
JP4926239B2 (ja) 流体パイプカップリング
US6520546B2 (en)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US6173998B1 (en)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fluid conduits
JP5306868B2 (ja) パイプ連結用コネクタ
EP0397942A1 (en) Releasable quick connect coupling
KR101001229B1 (ko) 파이프용 신속 작동 커플링
JP2006504911A (ja) 接続エレメント
JP3436370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EP0375674A1 (en) QUICK COUPLING TO CONNECT TWO HIGH PRESSURE PIPES.
US5238221A (en) Plug-in coupling for hoses
KR101295969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JP2006086090A (ja) コネクタ
CN211852024U (zh) 进气系统的连接结构和进气系统
CN210459421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TW202010606A (zh) 快脫套接工具
JP2002039472A (ja) 管継手の抜止め具及び抜止め具を備えた管継手
JPS632717Y2 (ko)
JP4467289B2 (ja) 差込み式の雌型金具
JP7138469B2 (ja) シャワーフック
CN113047989A (zh) 进气系统的连接结构和进气系统
JPS6229747Y2 (ko)
JPS63308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