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607A -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 Google Patents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607A
KR20060119607A KR1020050042744A KR20050042744A KR20060119607A KR 20060119607 A KR20060119607 A KR 20060119607A KR 1020050042744 A KR1020050042744 A KR 1020050042744A KR 20050042744 A KR20050042744 A KR 20050042744A KR 20060119607 A KR20060119607 A KR 20060119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fucoidase
fat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현
Original Assignee
심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현 filed Critical 심종현
Priority to KR102005004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607A/ko
Publication of KR20060119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김치 및 젓갈(새우, 오징어 등)의 바실러스유산균(Lactobacillus brevis)을 이용한 허리뱃살화장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산균을 김치나 젓갈에서 추출 및 배양하여, 미역, 다시마의 푸코이딘과 효소 반응시킨 후, 여기에 녹차잎, 솔잎, 쑥, 마늘, 된장, 미더덕껍질 등의 보조성분을 혼합하여 기능성물질을 함유하는 허리뱃살 화장품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허리뱃살화장품은 지방의 제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실러스 유산균

Description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method of preparation cosmetics bodylotionusing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김치나 젓갈을 이용하여 허리뱃살 탄력 유지 화장품 개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만 현상은 성인은 물론 유아에 이르기까지 연령에 구분없이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제주대 의대 홍성철 교수가 제주도내 초. 중. 고. 대학생 1431명(남자 716명. 여자 715명)을 대상으로 도내 청소년의 비만실태 및 요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 나타났다. 체지방률이 30%가 넘는 비만 여학생은 초. 중. 고. 대학생이 각각 11%, 27%, 32%, 38%로 나타났으며, 체지방률이 25%가 넘는 비만 남학생은 초. 중. 고. 대학생이 각각 33%, 23%, 7.6%, 8.2%로 나타났다. 특히 여고생과 여대생 10명 중 3~4명이 체지방이 과다 분포된 비만으로 나타나, 비만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방은 포도당과 지방산을 재료로 하여 지방세포에서 만들어지고, 그 일부가 몸에 축적된다. 지방세포에서는 지방의 합성뿐 아니라 분해도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지방의 분해가 활발해지면 몸 속에 저장되었던 지방의 양은 줄어들게 되고 지방분 해가 저하되면 저장지방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몸 속에 머물러 있는 여분의 지방을 줄이기 위해서는 식사제한 등에 의해 지방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운동 등에 의해 지방의 분해를 높이는 일이 필요하다. 분해되어진 지방은 글리세롤(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 되고, 지방세포의 밖으로 운반되어져 일부는 에너지원이 되어 이용된다.
저장지방의 분해 메카니즘
신체운동 등의 자극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부산피질자극 호르몬등의 호르몬 분비
지방세포내에 있는 유적 표면의 문을 개방
리파아제와 유적의 접촉
지방분해효소의 작용으로 유적내의 지방을 분해
지방산 방출
↓ ↓
적근 에너지원
↓ ↓
간장 중성지방 재합성
지방세포는 세포막과 세포질로 되어 있다. 세포질은 액체이고 그것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세포질의 주위를 세포막이 둘러쳐져 있다. 세포질 속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유적(油適) 등이 포함되어 있다. 지방세포가 다른 세포와 다른 점은 세포질의 대부분이 유적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는 것이다. 지방은 이 유적 속에 모아지는 것이다. 소포체의 막에는 리파아제효소가 들어 있는데 리파아제는「지방분해효소」라고 말하며, 몸 속에 있는 지방을 분해하는 작용이 있다. 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해서는 리파아제와 유적이 접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적의 표면에는 리파아제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없도록 대문이 설치되어 있는데 리파아제의 작용에 의해 지방을 분해시키기 위해서는 이 대문을 열지 않으면 안된다. 이 열쇠로서의 작용을 하는 것이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등의 호르몬이다. 이러한 호르몬이 분비되면 유적 표면의 단백질과 결합한 인지질에 작용하여 대문을 열어 리파아제가 유적과 접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지방 분해에는 리파아제와 유적이 접촉할 수 있도록 노르아드레날린과 같은 호르몬이 분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비만의 해소에 대해서는 주로 식품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건강기능성 식품들로서 다시마액기스, 분말, 환이라든가 효소제, 비타민제,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물, 바닷물, 황토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의 분비가 필수적이므로 리파아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 효소를 이용한 신물질의 개발만으로 지방 분해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한편, 혈액은 정상적인 혈관 안에서는 액체(fluid) 상태로 있어야 하고, 혈관의 상처부위 (nonecdothelial)에서는 빨리 응고하여 손상된 혈관으로부터의 혈액손실을 중단케하여 한다. 또한 혈관내 혈전(thrombus), 즉 활동중인 심혈관계 안에서 형랙이 응고하여 형성된 혈액응고괴가 생기면 혈전용해 작용이 활성화되어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고 유동성을 회복시키는 기전이 중요하다. 그러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이러한 기전에 이상이 생겨 정상지혈(normal hemostasis) 기전의 병리적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혈전증(thrombosis)이라 한다. 혈전은 혈류를 감소시키거나 혈류를 막음으로써 조직이나 장기에 허혈성 손상을 일으키거고, 혈관에서 떨어져 나와 색전(embolus)이 되고, 이것이 혈류를 타고 멀리 운반된다. 색전이란 혈관을 폐색하는 덩어리(고체, 액체 및 기체 포함)를 통칭하는 용어이나 대부분 혈전에서 유래한다. 경색(infarct)은 일반적으로 혈관내의 혈전색전성 폐쇄 때문에 생긴다. 심장, 폐 그리고 뇌의 경색증에 의한 사망률이 여러 종류의 암과 감염성 질환에 의한 사망률보다 더 높다.
푸코이딘과 같은 고분자물질을 분해해서 각종 유익한 성분을 만들어내도록 하는 것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교토대학의 무라다 교수는 자기 몸의 반이나 되는 알긴산 분자를 삼키는 세균을 발견하였고, 해수로부터 알긴산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탐색과 분리에 대한 논문발표(강경금 외 식품과학회)가 있었다. 또한 일본 종산성의 관련기관인 공업기술연구원의 홋카이도 공업기술 연구소에서는 알긴산을 먹이로 세균을 배양한 사례도 있다.
김치의 유산균을 락토바실러스 유산균이라고 하며, 이것은 김치를 담근 지 2 내지 3일 후부터 증식하기 시작한다. 담근 지 20일이 경과된 김치는 1g 당 8억 개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다.
푸코이딘은 갈조류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다당류이다. 갈조류를 묽은 황산으로 씻어 묽은 알칼리성의 더운 물에서 추출한 액을 산성으로 만들 때 생기는 침전물로 생성된다. 푸코이딘은 디-매누로닉산(D-mannuronic acid)과 엘-구루로닉산(L-guluronic acid)로 구성된 선상의 글리큐로난(glycuronan) 고분자로서 (C6H8O)n의 화학식을 갖는 분자량 20,000 내지 200,000정도의 무미, 무취 및 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의 분말상으로 존재한다.
보조성분으로 사용되는 녹차잎, 솔잎, 쑥, 마늘, 된장, 미더덕껍질의 효능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겠다.
녹차잎 추출물(CUMC6335)은 혈압을 낮추어 주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대한고혈압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조선의대 임동균 교수는 녹차잎 추출물(CUMC6335)을 흰쥐의 대동맥에 투여한 결과 혈관이완작용이 나타났음을 밝힌 바 있다.
마늘은 알리신이라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알리신은 황원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효소들의 티올기와 반응하여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콜레스테롤의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 가운데 티올기가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들이 있는데, 이것이 알리신에 의해 활성이 억제되므로 콜레스테롤의 합성이 줄어들고,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솔잎은 성인에게 필요한 8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쑥은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되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한데, 베타카로틴은 인체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저항력과 관계되는 물질이다. 또한 쑥에는 항암효과가 있는 복합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된장의 성분인 콩은 항암효과와 더불어 혈관속의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뿐만 아니라, 혈관벽의 콜레스테롤을 녹여내는 작용을 한다. 콩을 발효 시킨 메주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라는 미생물이 있는데, 이것은 단백질 및 다당류 등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다.
미더덕껍질은 경남 통영을 중심으로 남해안 연안에 버려지던 것을 최근에 피부미용과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추출하면서부터 각광받게 되었다. 미더덕껍질은 탄수화물의 일종인 콘드로이틴황산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은 끈적거리는 액체형태로 피부, 근육, 장기 등 생체의 각 조직에 수분과 영양분을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것은 동맥경화 억제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푸코이딘에 대해 살펴보겠다. 푸코이딘이란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탈수축 중합된 중합도 3 내지 10(분자량(300 내지 2000)의 소당류이다. 푸코이딘은 아직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개발은 되지 않았으나 잠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은 김치에서 추출된 유산균을 이용해서 푸코이딘을 분해하고 그결과 생산되는 효소등 기능성 물질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김치나 젓갈 속의 바실러스 유산균을 푸코이딘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 여 푸코이딘효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푸코이딘분해효소 생산균주는 김치 및 젓갈 등의 바실러스 유산균이다. 이것을 배양액에 접종하여 진탕배양한다.
실시예
(1) 재료의 준비
담은지 2~3일이 경과된 김치 1/4포기, 새우젓 3스푼 및 다시마분말 20g을 준비하였다. 다시마분말은 증류수에 용해시켜 10분간 두었다가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제거에는 회전진공증발기(EYELA)를 이용한 진공감압 농축법을 사용하였다.
(2)푸코이딘 분해효소 생산 균주배양
1l의 해수에 표 2와 같은 성분 및 조성으로 pH 7.5의 기본배지를 제조하였다.
성분 해수 비율
NACL 23.4g KCL 0.7g MgCl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1
.6H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2
O 10.60g CaCl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3
1.10g Na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4
SO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5
3.90g NaHCO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6
0.20g NH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7
NO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8
1.00g K
Figure 112005026680045-PAT00009
HPO
Figure 112005026680045-PAT00010
0.01g Tris-base 6.05g yeast extract 3.00g 황토분말, 다시마분말(알긴산) 각각 3.00g Distilled water 1.00L
상기 기본배지에 1.5%중량비의 푸코이딘용액(용질: 다시마분말, 용매: 에탄올)을 반고체 상태가 될 때까지 첨가하여 반고체평판배지를 제작하였다. 상기 반고체평판배지 ( 20 )mL에 바실러스유산균 ( 5 )ml를 접종하여 푸코이딘분해효소 생산 균주를 제작하였다. 상기 분해효소 생산 균주 ( 5 )mL를 기본배지 20mL에 접종하고 25℃, 180rpm의 조건으로 15시간 진탕배양하였다.
(3) 푸코이딘분해효소의 분리
분해효소 생산균주의 배양액을 7,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그리고 한외여과기(Millipore, PREP/Scale-TFF 카트리지 7, e, 30kDa)를 이용하여 상기 상층액으로부터 효소를 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24시간 동결 건조하여 분해효소 분말을 회수하였다.
(4) 푸코이딘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물질의 제조
분해효소 분말은 10mM 인산나트륨 pH 7.8 완충용액에 재용해 시킨 후,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4℃에서 24시간 투석하여 염을 제거한 분해효소를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기능성물질의 제조를 위해 천연해수 5L에 다시마분말 500g을 용해시킨 후, 상기 푸코이딘분해효소 20g 을 첨가하였다. 이것을 온도 25℃, pH 7.5의 환경에서 검은천으로 가려 음처리하되, 통기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여 48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이때 2~3 시간마다 용액을 저어주었다.
(5) 기능성물질의 회수
기능성물질의 제조용액을 1마이크로미터 여과지에 여과시켜 잔여물을 제거한 상층액을 획득하였다. 상기 상층액을 75~80℃로 유지시킨 항온수조(EYELA SB-650)와 회전진공증발기(EYELA)를 이용하여 진공감압 농축하였다. 이것을 분말로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24시간 여과한 후, 80℃로 오븐에서 1시간 건조시켜 기능성물질을 회수하였다.
(6) 보조성분의 혼합
믹서기에 증류수 1리터와 녹차잎, 마늘, 솔잎분말, 쑥분말, 된장, 미더덕껍질을 각각 1스푼씩 넣고 교반하고, 약 24시간 음건상태에서 두어 우러나게 한 뒤 찌꺼기는 버리고 추출액만 수집하였다. 그리고 해수 100ml, 황토 2스푼을 첨가하였다. 이때 온도는 45℃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15℃에서 24시간 동안 저온저장하였다.
상기 보조성분 100ml에 기능성물질10g을 혼합하는 것으로 기능성물질과 보조성분을 혼합하였다.
실험예
(1) 기능성물질의 분석
상기 실시예 (5)에서 수득된 기능성물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TCL(thin layer chromatography,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NMR(nuclear magnetization resonance, 핵자기공명분광법) 및 페놀-설포릭 산(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였다. TLC는 기능성물질의 구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전개판은 실리카 겔 F254 유리판, 전개액은 n-부탄올:아세틱:증류수(1.8:1:1부피비) 용액을 사용하였다. 전개 후 전개판을 에탄올:황산(11.5:3) 용액으로 헹군 후 110℃에서 15분간 건조시켰다.
NMR은 기능성물질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물질 50mg을 중수(D2O)에 용해시켜 NMR샘플 튜브에 넣은 후 400MHz FT-NMR(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osonance Spectroscopy, 푸리에변환핵자기공명분광기) 스펙트럼을 이용한 수소원자-NMR 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해석하였다.
페놀-설포릭 산(phenol-sulfuric acid)법은 반응중의 기능성물질의 전당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물질 제조용액 0.2ml을 테스트 튜브에 취하여 5%(부피) 페놀용액 0.2ml와 황산원액 1.0ml를 첨가하여 10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분석된 데이타로부터 푸코이딘분해효소의 효소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기능성물질은 β-D-갈락토스와 3,6-언하이드로-L-갈락토스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기능성물질의 효과 실험
제조된 기능성물질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실험대상으로 피험자는 신체결함이 없고 건강한 20~40세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처치전, 처치 1주후, 및 처치 4주후로 구분하였으며, 4주동안 신체 구성성분과 혈액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① 체격측정
체격의 측정을 위해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신장은 마틴(Martin)식 생체계측기를 이용하여 cm 단위로 측정하였고, 체중은 전자체중계를 이용하여 Kg 단위로 기록하였다.
② 신체구성 성분 측정
피험자들의 체지방율을 알기위해 체지방분석기(body fat analize TBF-105)를 사용하여 생체전기저항법(bioelectrical mpedence)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였다.
③ 피지후계(skinfold caliper)에 의한 피하지방 두께 측정
피험자들의 신체부위별 피하지방 두께를 알기 위해 피지후계(동화 과학사 DT-skinfold caliper)를 이용하여 왼손엄지와 검지로 피부와 피하지방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집기한 다음 손끝에서 1cm 정도 떨어진 부위를 피지후계로 바르게 집어 0.1mm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을 3회 반복하여 일정한 값이 유지되었을 때를 측정치로 인정하였으며, 측정부위로는 상완, 복부, 대퇴의 3부위를 측정하였다. (상완: 우측 상완부후면의 어깨와 팔꿈치 중간부위, 복부: 배꼽의 우측 2cm 부위, 대퇴: 우측 전면의 대퇴와 무릎 관절의 중간부위)
④ 혈액성분분석
혈액채취는 1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상완 정맥에서 20cc를 채혈하여 원심분리 시켜 혈청과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액 1.5cc는 EDTA로 처리한 후 자동혈구계산기(ABBOT, Cell-Dyn 1300)로 적혈구용적비(Hematocrit, HCT), WBC, RBC, 헤모글로빈(Hemoglobin), 혈소판(Platelet), MCV, MCH, MCHC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과 혈장의 효소 ALP, AST, ALT, BUN, 크레아틴(CREATIN), 요산(Uric acid), GGT, LDH, CHOL, HDL, LDL, TRIG, RISK, TBIL; 혈장단백질 알부민(ALB), 혈장호르몬 렙틴(Leptin), 및 인슐린의 양을 분석하였다
⑤ 실험결과
신체구성성분의 변화
처치 키(cm) 체중 (kg) 연령 (yr) 체지방율(%) 체지방량(Kg) fatness BMI (kg/㎡) LBM (cm) 체수분량(L)
처치전 처치 1주후 처치4주후 160.1 ±7.9 160.1 ±7.9 160.1 ±7.9 62.9 ±10.9 63.0 ±11.0 62.4 ±10.4 28.9 ±12.6 28.9 ±12.6 28.9 ±12.6 31.3 ±5.8 28.4 ±8.7 27.4 ±8.1 19.7 ±5.3 18.1 ±7.1 17.0 ±7.1 116.5 ±13.0 116.2 ±12.3 115.5 ±12.1 24.2 ±2.6 24.2 ±2.6 24.1 ±2.6 42.8 ±7.8 44.4 ±7.9 45.1 ±9.5 31.3 ±5.7 32.5 ±5.6 32.6 ±6.8
피하지방 두께 변화
측정부위 처치전 처치 1주후 처치 4주후
상완(mm) 복부(mm) 대퇴(mm) 33.07±8.94 39.51±6.55 39.72±6.70 25.69±5.53 28.36±7.90 28.39±5.30 26.38±5.11 29.70±4.90 31.82±5.97
혈액세포의 비교
혈액세포 처치전 처치 1주후 처치 4주후
HCT(%) HB(g/dL) PLT(k/uL) MCV(fL) MCH(pg) MCHC(g/dL) RBC(M/uL) WBC(k/uL) 42.97±5.09 14.24±1.81 243.32±45.66 90.75±4.92 30.09±2.21 33.15±.92 4.85±.38 5.85±1.77 42.13±5.68 13.92±1.91 238.90±42.67 90.90±4.74 30.06±1.89 33.01±.68 4.61±.44 5.65±1.15 41.40±6.52 13.45±2.23 238.17±40.08 89.65±4.86 29.13±1.80 32.38±.67 4.59±.50 5.57±1.38
혈청효소 비교
혈청효소 처치전 처치 1주후 처치 4주후
AG ALP(U/L) ALT(U/L) AST(U/L) BUN(mg/dL) CHOL(mg/dL) GGT(U/L) LDH(U/L) URCA(mg/dL) CREA(mg/L) 1.29±.14 82.83±18.44 29.17±6.15 21.58±7.61 13.22±2.58 190.07±26.67 25.25±6.56 240.95±27.45 4.15±.15 0.87±.12 1.30±.13 80.12±19.32 38.00±29.43 35.17±60.87 13.74±2.85 183.78±25.96 25.27±5.37 186.57±18.15 7.79±.40 0.76±.12 1.27±.13 79.58±19.46 28.58±5.84 18.58±5.94 13.49±3.46 182.67±22.87 23.25±1.67 176.92±31.38 8.27±.48 0.81±.15
혈청지질 비교
혈청지질 처치전 처치 1주후 처치 4주후
CHOL(mg/dL) HDL(mg/dL) LDL(mg/dL) TRIG(mg/dL) RISK MCHC(g/dL) TBIL(mg/dL) 190.07±26.57 75.68±11.81 99.32±25.66 86.53±42.45 30.09±2.21 2.86±.52 .85±.38 184.59±35.68 78.56±12.91 87.99±12.67 91.55±32.67 30.06±1.89 2.41±.68 .71±.44 194.94±16.52 79.56±12.23 96.84±30.08 78.54±41.86 29.13±1.80 2.38±.67 .79±.51
혈장단백질 비교
혈장단백질 처치전 처치 1주후 처치 4주후
ALB(g/dL) TP(g/dL) 4.45±0.23 7.98±0.45 4.43±0.22 7.85±0.41 4.56±0.12 8.18±0.45
혈청 호르몬 비교
혈청호르몬 처치전 처치 1주후 처치 4주후
Insulin(mU/mL) Leptin(μg/L) 5.52±2.50 6.54±2.45 9.52±2.69 6.97±3.41 7.23±1.23 8.28±3.24
상기 결과를 요약하면 비만 부위에 4주간 국부 처치하여 신체구성 성분 및 비만해소효과를 측정한 결과 8%의 체지방감소와 피하지방 두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혈액세포, 혈청효소, 혈청지질, 혈청단백질, 혈청호르몬에서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물질은 허리뱃살 탄력에 있어 효과를 나타냈다.
알긴산올리고당의 허리뱃살자극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부산피질자극
호르몬등의 호르몬 분비
지방세포내에 있는 유적표면의 문을 개방
리아제와 유적의 접촉
지방분해효소의 작용으로 유적내의 지방을 분해
지방산 방출
↓ ↓
적근 에너지원

Claims (8)

  1. 바실러스 유산균을 배양하는 단계, 푸코이딘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단계, 기능성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기능성물질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 화장품 제조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바실러스 유산균은 김치 또는 젓갈(새우, 오징어 등)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 화장품 제조방법.
  3. 제 1 항에서, 바실러스 유산균을 배양하는 단계에서의 기본배지로는 NaCl, KCl, MgCl₂?6H₂O, CaCl, Na2SO4, NaHCO₃, NH₄NO₃, K₂HPO₄, Tris-base, 이스트 분말, 다시마분말, 황토분말를 포함하는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 화장품제조방법.
  4. 제 1 항에서, 푸코이딘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단계에서의 생산배지로는 상기 기본배지에 푸코이딘이 첨가된 반고체상태의 반고체평판배지를 사용하며, 상기 반고체평판배지에 바실러스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 화장품 제조방법.
  5. 제 4 항에서, 상기 푸코이딘은 해조류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화장품 제조방법.
  6. 제 1 항에서, 푸코이딘분해효소를 분리하여 기능성 물질을 얻는 단계는 반고체평판배지에 바실러스 유산균을 배양한 것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고, 상기 상층액으로부터 효소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화장품 제조방법.
  7. 제 1 항에서, 허리뱃살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는 바실러스유산균과 푸코이딘효소에 의해 생성된 기능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 화장품 제조방법
  8. 제 7 항에서, 상기 푸코이딘 분해효소는 염을 제거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뱃살화장품 제조방법.
KR1020050042744A 2005-05-20 2005-05-20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KR20060119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44A KR20060119607A (ko) 2005-05-20 2005-05-20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44A KR20060119607A (ko) 2005-05-20 2005-05-20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07A true KR20060119607A (ko) 2006-11-24

Family

ID=3770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44A KR20060119607A (ko) 2005-05-20 2005-05-20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6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328B1 (ko) * 2011-12-28 2015-03-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328B1 (ko) * 2011-12-28 2015-03-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8698B2 (ja) シロキクラゲ雑多糖またはその抽出物の新用途
KR100813914B1 (ko) 장내 생균제 공동-발효 배양물에 의한 천연 의약의 전환과변형
BR122018067616B1 (pt) material de hipocótilo da soja, fermentado, alimento e produto cosmetico contendo o referido material, uso do mesmo e seu método de produção
CN112999261A (zh) 一种舒缓动脉硬化的纳豆发酵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370470A (zh) 一种重建肠道微生态的微生态制剂
CN104957610A (zh) 一种植物酵素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999210A (zh) 一种灵芝活性乳酸菌制剂及制备方法
WO2010035675A1 (en) Immunopotentiator or antiallergic agent
CA2212563C (en) Process for obtaining medically active fractions from sea cucumbers
JPH03151854A (ja) 腸内有害腐敗産物低減剤
CN112970990A (zh) 一种具有减肥降脂作用的益生菌固体饮料及其制备工艺
CN104799286A (zh) 一种用于提高免疫力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797232A (zh) 具有缓解胰岛素抵抗功能的组合物及其应用
CN112971154A (zh) 一种富含水溶性膳食纤维及α-淀粉酶抑制剂的固体混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CN105796587B (zh) 竹茹多糖在免疫调节、抗肿瘤中的应用
KR100538553B1 (ko) 김치나 젓갈의 유산균을 이용한 알긴올리고당 제조방법,그 방법으로 제조된 알긴올리고당, 상기 알긴올리고당을포함하는 바디화장품 및 음용캡슐
KR20060119607A (ko) 김치 및 젓갈을 이용한 허리뱃살 탄력유지 화장품 개발
CN109512807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404021B (zh) 一种黄精制剂及制备方法
CN106822876A (zh) 一种阻断膝关节炎关节软骨损伤患者炎症因子的药物
CN106668077A (zh) 海洋生物活性组合物及药用制剂
CN113181231A (zh) 具有增强巨噬细胞吞噬活性功能的组合物及其应用和免疫药物
CN115297878A (zh) 用于增强人受试者中尿石素产生的组合物
CN108685978A (zh) 一种用于提高免疫力的中药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7562258B (zh) 动物双歧杆菌动物亚种在促进人参提取物缓解肝损伤功效发挥上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