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508A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508A
KR20060119508A KR1020050042593A KR20050042593A KR20060119508A KR 20060119508 A KR20060119508 A KR 20060119508A KR 1020050042593 A KR1020050042593 A KR 1020050042593A KR 20050042593 A KR20050042593 A KR 20050042593A KR 20060119508 A KR20060119508 A KR 20060119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e
closing shaft
wind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8938B1 (ko
Inventor
송명호
송영환
Original Assignee
송명호
송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호, 송영환 filed Critical 송명호
Priority to KR102005004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93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등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실내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개폐 샤프트; 상기 개폐 샤프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개폐 샤프트에 의해 권취 작동되는 권취기; 상기 권취기에 감겨지는 승강코드를 가지며, 상기 승강코드와 함께 권취되거나 인출되어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차광날개; 상기 차광날개에 연결된 지지테이프; 및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개폐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개폐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면서 이격되어 상기 지지테이프의 이동거리에 따라 차광날개의 각도를 제어하는 차광날개각도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블라인드, 차광날개, 각도조절, 마찰, 회전반발력.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권취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고정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가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6a,6b는 케이스에 권취기가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가이드롤러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케이스, 32: 개구홀, 34: 고정돌기, 40: 개폐샤프트, 50: 권취기, 52: 샤프트서포터, 55: 스풀실린더, 60: 차광날개, 70: 지지테이프, 80: 차광날개각도조절부, 81: 테이프시트, 82: 베이스, 83: 이송롤러, 84: 걸림편, 85: 토션스프링, 86: 걸림턱, 90: 승강코드, 95,95a: 고정시트, 96: 결합홈, 97: 걸림돌기, 100: 가이드롤러부재, 102: 롤러브라켓, 104: 가이드롤러, 110: 엔드플러그, 112: 결합공, 120: 케이스플러그, 122: 결합축, 130: 턴브라켓, 200: 블라인드, H1: 타공, H2: 테이프삽입공, M: 전동모터
본 발명은 창문 등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실내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서는 사생활 보호나 채광 난방 등의 목적으로 블라인드를 창문에 설치하고 있다. 블라인드는 커텐과는 달리 다수개의 차광날개가 승강코드와 지지테이프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승강코드의 이동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걷혀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지지테이프의 이동에 따라서는 상 하 회전하여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블라인드는 수동 타입과 전동 타입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사용자가 블라인드를 치거나 걷을 때 직접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수동 블라인드 보다 전동 타입의 블라인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블라인드는 제조되는 업체 마다 각기 다른 형태로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본원 출원인은 블라인드의 승강 구조에 대해 2003년 특허출원 제 48155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10) 내에서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 회동이 이루어지는 개폐 샤프트(11)와, 상기 개폐 샤프트(11)의 중단에서 지지하는 샤프트 서포트(12)에 나합되어진 권취휠(13)과, 상기 권취휠(13)에 승강코드(14)가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상하로 승강작 동되어지는 복수개의 차광날개(15)와, 상기 각 차광날개(15)를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는 가운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쌍을 이루며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테이프(16)를 구비하고 있는 통상의 블라인드에 상기 승강코드(14)는 차광날개(15) 양측의 지지테이프(16)를 따라 사이드 승강코드(14a,14b)를 각각 구비하여 그 일 단부가 권취휠(13)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하우징(10) 내측에 정, 역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개폐 샤프트(11)가 샤프트 서포트(12)를 통해 지지되면서 상기 샤프트 서포트(12)에 나합된 권취휠(13)을 통해 승강코드(14)가 감기거나 풀어져 차광날개(15)를 상 하 이동시키게 되며, 지지테이프(16)의 상 하 이동으로 차광날개(15)가 지지테이프(16)와 함께 회동되면서 경사각을 이루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통상의 블라인드 구성에, 지지테이프(16)를 따라 사이드 승강코드(14a,14b)를 각각 구비함으로 차광날개(15)가 적층 상태를 이루었을때 각각의 차광날개들이 삐뚤어지지 않고 양호한 정렬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블라인드는 차광날개(15)의 양호한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잇점은 제공하고 있으나, 승강코드(14a,14b)가 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타공(미도시)과 가이드핀(17)을 지나면서 계속적인 마찰을 하게 되면, 승강코드(14)에 마모가 발생되어 블라인드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광날개(15)가 일정각도 회전되어 외부의 빛을 차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광날개(15)를 걷게 되는 경우에는, 전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개폐 샤프트(11)가 회전되어 각도조절링(19)에 감겨진 지지테이프(16)가 풀어짐과 동시에 승강코드(14)는 계속적으로 권취휠(13)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각도조절링(19)에 감겨져 있던 지지테이프(16)가 각도조절링(19)이 회전되더라도 그 위치를 사수하며 정지해 있어, 회전되는 개폐 샤프트(11)의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각도조절링(19)에 제공하여 구동모터에 부하를 전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권취기에 권취되는 승강코드와 가이드핀 사이에 발생되던 마모를 예방할 수 있고, 차광날개가가 펼쳐지거나 걷혀질 때 각도조절링의 회전에 따른 지지테이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수단의 회전부하를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광날개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지지테이프의 폭과 너비에 따라 선택적으로 테이프시트를 케이스에 변경 설치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개폐 샤프트; 상기 개폐 샤프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개폐 샤프트에 의해 권취 작동되는 권취기; 상기 권취기에 감겨지는 승강코드를 가지며, 상기 승강코드와 함께 권취되거나 인출되어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차광날개; 상기 차광날개에 연결된 지지테이프; 및 상기 케이 스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개폐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개폐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면서 이격되어 상기 지지테이프의 이동거리에 따라 차광날개의 각도를 제어하는 차광날개각도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차광날개각도조절부는 중앙부위에 승강코드가 통과되는 타공을 포함하되, 그 일측에 지지테이프가 통과되는 테이프삽입공이 구성되고, 상기 타공을 중심으로 각각 대응하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타공의 인접 위치에 승강코드를 안내하는 이송롤러가 설치된 테이프시트와; 차광날개의 회전각도에 따라 테이프시트의 걸림편에 양단부가 교차되며 걸림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마주보는 내면을 따라 형성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에 토션스프링의 양측을 고정하면서 결합된 고정시트; 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시트는 대향된 양측으로 케이스의 고정돌기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양측 결합홈 사이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권취기(50)는 승강코드가 권취되거나 인출되는 스풀 실린더(55) 및 상기 스풀 실린더(55)의 회전을 유도하며 결합된 샤프트 서포터(52)를 포함하며, 상기 스풀 실린더(55)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개폐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제한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고정돌기(34)에 고정되고 샤프트 서포터의 일측에 밀착되어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시트(95a) 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는 승강코드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롤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라인드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개폐 샤프트; 상기 개폐 샤프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개폐 샤프트에 의해 권취 작동되는 권취기; 상기 권취기에 감겨지는 승강코드를 가지며, 상기 승강코드와 함께 권취되거나 인출되어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차광날개; 상기 차광날개에 연결된 지지테이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기에 권취되는 승강코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재;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부재는 케이스 내벽면에 면접되는 롤러브라켓; 상기 롤러브라켓에 설치되어 승강코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권취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고정시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가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고, 도 6a,6b는 케이스에 권취기가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라인드(200)는 케이스(30)와 개폐 샤프트(40)와 권취기(50)와 차광날개(60)와 지지테이프(70)와 차광날개각도조절부(8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30)는 창문 등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패널의 양측을 밴딩시켜 밴딩된 양면이 상호 마주보게 구성될 수 있으며, 마주보지 않는 독립 면 상에 개구홀(32)이 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의 마주보는 양측벽면에는 내면을 따라 고정돌기(34)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3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쌍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30)에는 마주보는 양측벽면 사이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개폐 샤프트(4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 샤프트(40)는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금속재인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이 아닌 다른 금속재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개폐 샤프트(40)에는 동력전달수단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전동모터(M)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성기어에 의한 수동작동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동력전달수단을 전동모터(M)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래서 상기 전동모터(M)의 동력을 전달 받아 개폐 샤프트(40)는 정, 역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샤프트에는 권취기(5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권취기(50)는 샤프트 서포터(52)와 스풀 실린더(5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52)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중공부 내주면에 나사산(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샤프트 서포터(52)는 케이스(30) 내면과 밀착되면서 개폐 샤프트(40)에 끼워지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 샤프트(40)에는 스풀 실린더(55)가 설치된다. 상기 스풀 실린더(55)는 개폐 샤프트(40)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도록 선단에 나사산(S)을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스풀 실린더(55)가 샤프트 서포터(52)와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스풀 실린더의 나사산(S)이 샤프트 서포터(52)의 중공부를 지나게 되면, 상기 스풀 실린더(55)는 샤프트 서포터(52)에 끼워진 채 공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풀 실린더(55)의 내주면에는 개폐 샤프트(40)와 일체화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다수개의 돌기(56)들이 각각 분할된 각도로 형성되며, 개폐 샤프트(40) 또한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홈부(42)를 형성하여 각각 대응된 상태가 된다.
상기 케이스(30)의 바닥면에는 차광날개(60)가 설치된다. 상기 차광날개(60)는 승강코드(90)에 연결되어 스풀 실린더(55)의 회전에 따라 승강코드(90)가 감기거나 풀려질 때 겹쳐지거나 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차광날개(60)는 동일한 폭과 너비를 가지는 보드형태로 이루어지며, 승강코드(90)를 따라 상 하이동 된다.
상기 승강코드(90)는 차광날개(60)의 중심 부위를 관통하면서 차광날개(60)에 고정되며, 승강코드(90)가 스풀실린더(55)에 감겨지기 시작하면 차광날개(60)를 하측부터 적층시켜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차광날개(60)에 구속되지 않은 승강코드(90)의 선단은 샤프트 서포터(52)의 일단에 고정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차광날개(60) 양단부에는 지지테이프(7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테이프(70)는 블라인드(200)의 규격에 따라 그 폭과 너비를 결정하여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지지테이프(70)를 이용해 차광날개(6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지테이프(70)의 양측단을 구속시켜 구동모터(M)의 동력을 통해 정, 역회전되는 개폐 샤프트(40)와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지지테이프(70)의 이동거리를 제어해야 하며, 회전이 완료되면 개폐 샤프트(40)의 회전과는 별도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30)와 개폐 샤프트(40)에는 차광날개(60)의 각도조절을 위한 차광날개각도조절부(80)가 설치된다.
상기 차광날개각도조절부(80)는 테이프시트(Tape sheet)(81)와 토션스프링(tilting spring)(85)과 고정시트(9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시트(81)는 케이스의 개구홀(32)에 나사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심부위에 승강코드(90)가 통과되는 타공(H1)을 갖으며 상기 타공 일측으로 지지테이프(70)가 통과되는 테이프삽입공(H2)을 포함하는 베이스(82)와; 상기 타공(H1)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승강코드(90)의 원할한 이송을 유도하는 이송롤러(83)와, 상기 타공(H1)을 중심으로 각각 대응하게 돌출 설치되는 걸림편(8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프시트(81)의 타공(H)을 통해 이송되는 승강코드(90)를 이송롤러(83)가 원할하게 유도하게 되지만, 이는 승강코드(90)와 타공(H)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성임으로 별도의 부시(미도시)를 타공(H)에 삽입하여 승강코드(90)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테이프삽입공(H2)은 걸림편(84)을 중심으로 양측에 적어도 한쌍 이상이 각각 천공될 수 있으며, 직경 또는 폭은 블라인드(200)의 규격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85)은 개폐 샤프트(40)에 끼워져 지지테이프의 이동각 즉, 차광날개(60)의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그 양단에는 걸림턱(8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의 걸림턱(86)에는 지지테이프(70)의 양단이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토션스프링(85)이 개폐 샤프트(40)와 함께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면, 걸림턱(86)이 테이프시트(70)의 걸림편(84)에 걸림되어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개폐 샤프트(40)의 역회전 시에는 토션스프링(85)은 반대 방향의 걸림편(84)에 걸림턱(86)이 걸림되어 지지테이프(70)의 이동을 일정거리로 제한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토션 스프링(85)은 개폐 스프링(85)에 끼워진 상태에서 테이프시트의 걸림편(84)에 걸림된 상태가 되면, 직경이 확장되면서 개폐 샤프트(40)와 분리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폐 샤프트(40)만 전동모터(M)의 회전력을 통해 일방향으로 계속적인 회전을 하게 된다.
이후, 상기 차광날개(60)가 전부 걷혀진 다음 펼쳐지는 작동을 하게 되면, 개폐 샤프트(40)가 역 회전하여 직경이 확장된 토션스프링(85)이 형상 복원하면서 개폐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85)의 반대 방향의 걸림턱(86)은 테이프시트의 걸림편(84)에 걸림되어 차광날개(60)가 전부 기울어진 상태로 점차 펼쳐져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토션스프링(85)의 작동은 개폐 샤프트(40)에 끼워진 채 그 양측단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이어서 개폐 샤프트(40)를 따라 위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의 고정돌기(34)에는 토션스프링(85)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시트(95)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시트(95)는 토션스프링(85)의 양측에서 한쌍으로 구비되어 케이스(3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시트(95)는 그 양단부에 고정돌기(34)를 수용하는 결합홈(9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홈(96) 사이에는 걸림돌기(97)가 돌설되어 있어서 토션스프링(85)의 양측면이 걸림돌기(97)를 통해 보다 견고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시트(95)는 상기 토션스프링(85)의 고정을 위해서 사용되지만, 상기 케이스(30) 내부에 설치된 샤프트 서포터(52)의 측면을 고정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샤프트 서포터(52)가 케이스(3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7,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30) 내부에는 그 내벽면을 따라 승강코드(90)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롤러부재(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부재(100)는 롤러브라켓(102)과 가이드롤러(10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롤러브라켓(102)은 케이스(30) 내벽면에 밀착되어 나사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롤러브라켓(102)의 중앙부위에는 가이드롤러(10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스풀 실린더(55)에 감겨지는 승강코드(95)의 마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부재(100)는 케이스(30) 내벽면에 승강코드(95)의 이동경로에 맞추어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르레 원리를 통해 승강코드(95)가 보다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샤프트(40)의 양단부에는 엔드플러그(End plug)(110)와 케이스플러그(Case plug)(120)가 설치되어 양단부를 마감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플러그(120)는 중앙부위에 핀 형태의 결합축(122)이 돌설되어 있어서 엔드플러그(110)에 천공되는 결합공(11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에는 턴 브라켓(130)이 연결 설치되어 벽면에 케이스(30)를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는 권취기에 권취되는 승강코드와 가이드핀 사이에 발생되던 마모를 예방할 수 있고, 차광날개가가 펼쳐지거나 걷혀질 때 각도조절링의 회전에 따른 지지테이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수단의 회전부하를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차광날개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지지테이프의 폭과 너비에 따라 선택적으로 테이프시트를 케이스에 변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9)

  1.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 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개폐 샤프트(40);
    상기 개폐 샤프트(4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개폐 샤프트(40)에 의해 권취 작동되는 권취기(50);
    상기 권취기(50)에 감겨지는 승강코드(90)를 가지며, 상기 승강코드(90)와 함께 권취되거나 인출되어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차광날개(60);
    상기 차광날개(60)에 연결된 지지테이프(70); 및
    상기 케이스(30)에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개폐 샤프트(40)에 끼워져 상기 개폐 샤프트(40)와 함께 회전되면서 이격되어 상기 지지테이프(70)의 이동거리에 따라 차광날개(60)의 각도를 제어하는 차광날개각도조절부(80);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날개각도조절부(80)는 중앙부위에 승강코드(90)가 통과되는 타공(H1)을 포함하되, 그 일측에 지지테이프(70)가 통과되는 테이프삽입공(H2)이 구성되고, 상기 타공(H1)을 중심으로 각각 대응하는 걸림편(8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타공(H1)의 인접 위치에 승강코드를 안내하는 이송롤러(83)가 설치된 테이프시트(81)와;
    차광날개(60)의 회전각도에 따라 테이프시트의 걸림편(84)에 양단부가 교차되며 걸림되는 토션스프링(85)과;
    상기 케이스의 마주보는 내면을 따라 형성된 고정돌기(34)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34)에 토션스프링(85)의 양측을 고정하면서 결합된 고정시트(9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트(95)는 대향된 양측으로 케이스의 고정돌기(34)를 수용하며 결합된 결합홈(96)과, 상기 양측 결합홈(96) 사이에 형성된 걸림돌기(9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50)는 승강코드(90)가 권취되거나 인출되는 스풀 실린더(55) 및 상기 스풀 실린더(55)의 회전을 유도하며 결합된 샤프트 서포터(52)를 포함하며, 상기 스풀 실린더(55)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개폐 샤프트(40)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고정돌기(34)에 고정되고 샤프트 서포터의 일측에 밀착되어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시트(95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 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의 내벽면에는 승강코드(9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재(1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재(100)는 케이스(30) 내벽면에 면접되는 롤러브라켓(102); 상기 롤러브라켓(102)에 설치되어 승강코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0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8.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 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개폐 샤프트(40);
    상기 개폐 샤프트(4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개폐 샤프트(40)에 의해 권취 작동되는 권취기(50);
    상기 권취기(50)에 감겨지는 승강코드(90)를 가지며, 상기 승강코드(90)와 함께 권취되거나 인출되어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차광날개(60);
    상기 차광날개(60)에 연결된 지지테이프(70); 및
    상기 케이스(30)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기에 권취되는 승강코드(9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재(100); 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 인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재(100)는 케이스(30) 내벽면에 면접되는 롤러브라켓(102); 상기 롤러브라켓(102)에 설치되어 승강코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0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20050042593A 2005-05-20 2005-05-20 블라인드 KR100728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593A KR100728938B1 (ko) 2005-05-20 2005-05-20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593A KR100728938B1 (ko) 2005-05-20 2005-05-20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08A true KR20060119508A (ko) 2006-11-24
KR100728938B1 KR100728938B1 (ko) 2007-06-14

Family

ID=3770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593A KR100728938B1 (ko) 2005-05-20 2005-05-20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9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271A (ko) * 2018-02-03 2019-08-13 송요민 코드 제로 블라인드
KR20190094508A (ko) * 2018-02-05 2019-08-14 송요민 복수형 발란스웨이트 코드 제로 블라인드
KR20190111243A (ko) * 2018-03-22 2019-10-02 송희성 태양광 차단 블라인드 방범 방충망틀
CN115506698A (zh) * 2022-09-28 2022-12-23 江苏赛迪乐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自动开合的控温式百叶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16B1 (ko) * 2008-04-18 2010-09-17 공성관 화초 재배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3719B2 (en) * 1986-12-29 1995-07-26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blind apparatus
KR100390912B1 (ko) * 2001-06-27 2003-07-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283751Y1 (ko) 2001-11-30 2002-07-27 김화순 브라인드 감김장치
KR100468382B1 (ko) * 2002-04-12 2005-01-31 송명호 전동 블라인드
KR100468383B1 (ko) * 2002-04-12 2005-01-31 송명호 전동 블라인드의 각도 조절장치
KR100532227B1 (ko) * 2002-11-29 2005-12-01 송명호 전동블라인드용 각도조절장치
JP3090885U (ja) * 2002-06-21 2002-12-26 億豐綜合工業股▲分▼有限公司 電動ブラインドのクラッチ伝動構造
KR100511520B1 (ko) * 2002-06-24 2005-08-30 (주)빛과창 테크놀로지 전동 브라인드
JP3902108B2 (ja) 2002-09-30 2007-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動開閉装置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271A (ko) * 2018-02-03 2019-08-13 송요민 코드 제로 블라인드
KR20190094508A (ko) * 2018-02-05 2019-08-14 송요민 복수형 발란스웨이트 코드 제로 블라인드
KR20190111243A (ko) * 2018-03-22 2019-10-02 송희성 태양광 차단 블라인드 방범 방충망틀
CN115506698A (zh) * 2022-09-28 2022-12-23 江苏赛迪乐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自动开合的控温式百叶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938B1 (ko)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1258B2 (en) Cordless retractable roller shade for window coverings
EP1564362B1 (en) Blinds
US5103888A (en) Blind slats lifting device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KR100728938B1 (ko) 블라인드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US20210222488A1 (en) Non-stay-cord venetian blind and winding device thereof
US11434690B2 (en) Lift cord spool for a motorized treatment
EP0428591B1 (en) Venetian blind assembly for a window in an inclined roof
US7100663B2 (en) Window covering and method of use
JP3896342B2 (ja) 電動ブラインド
EP2716858B1 (en) Operating apparatus for solar radiation shielding device
KR101620606B1 (ko) 블라인드용 슬래트 정렬장치
AU2014263713A1 (en) Cam unit, horizontal blind, and drive unit for sunlight blocking device
JP2009203779A (ja) 横型ブラインド
KR100722373B1 (ko) 블라인드
KR101863245B1 (ko)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JP6479413B2 (ja) 昇降コード支持装置及び遮蔽装置
EP1352148B1 (en) Electrical operator arrangement for a venetian blind
KR200187439Y1 (ko) 차단막의 권취자동 조정장치
JP2004124608A (ja) ブラインド用の昇降コード巻取装置
KR200222378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930006479Y1 (ko) 권취장치
KR20050008267A (ko) 전동블라인드의 정렬 승하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