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469A -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469A
KR20060119469A KR1020050042523A KR20050042523A KR20060119469A KR 20060119469 A KR20060119469 A KR 20060119469A KR 1020050042523 A KR1020050042523 A KR 1020050042523A KR 20050042523 A KR20050042523 A KR 20050042523A KR 20060119469 A KR20060119469 A KR 2006011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recording
broadcast program
reservation
rese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272B1 (ko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72B1/ko
Priority to EP06252638A priority patent/EP1725026A3/en
Priority to US11/436,607 priority patent/US8503865B2/en
Priority to CNA2006100846203A priority patent/CN1867052A/zh
Priority to JP2006142182A priority patent/JP4464367B2/ja
Publication of KR2006011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와 같은 영상기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녹화를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에 영상 녹화기기에서 녹화를 예약한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의 원격제어에 필요한 원격 제어 코드들을 제조사별로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원격제어에 필요한 원격 제어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약녹화하고자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영상기기를 통해 예약 녹화 설정이 가능하다.
예약 녹화,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

Description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reservation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티브이에 표시된 EPG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EPG 화면에서 특정 채널이 선택되었을 때의 EPG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방송 예약 녹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방송 예약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영상 녹화기기 선택에 따른 영상 녹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방송 예약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VTR로의 상세 예약 녹화 방법 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DVD로의 상세 예약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기기 11 : 튜너
12, 54 : 제어부 13 : 무선 송수신부
14 : 영상 디코더부 15 : OSD처리부
16 : 영상 처리부 17 : 디스플레이부
18, 52 : 인터페이스부 19, 53 : 메모리부
20 : 무선신호 발생부 30, 40, 70, 80 : 통신 케이블
50, 60 : 영상 녹화기기 51 : 무선 수신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브이와 같은 영상기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녹화를 설정하면 설정된 시간에 영상 녹화기기에서 녹화를 예약한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티브이 방송 이후 스테레오 음향, 리모트컨트롤 장치, 자막방송, 데이터방송 등이 일부 디지털 기술을 수용하게 되었고, 90년대 들어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이 더욱 급속히 확산되어 방송분야도 티브이의 고화질화와 다기능화를 실현시킬 디지털 티브이(DTV)를 추구하게 되었다.
방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대중매체로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꾸면 모든 요소(영상,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다루기 때문에 컴퓨터 데이터의 압축에서처럼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영상과 음성을 디지털로 신호처리 하면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정보가 되고, 여기에 부가적인 데이터를 추가하여 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채널 하나에 HDTV급의 하나의 프로그램을, SDTV급 세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로 신호를 전달하고 가공하므로 훨씬 더 깨끗한 화면을 즐길 수 있다. 전파가 장애물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화면 겹침(고스트)현상도 자체적으로 해결이 가능하고, HDTV 채널에서는 영화관에서만 즐기던 현실감 넘치는 화면과 입체음향을 가정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티브이는, 기본적으로 리모트 콘트롤(이하 리모컨이라 함)과 같은 사용자 입력장치와, 음성(audio)/영상(video) 정보를 디코딩하는 A/V 처리부와, 부가 정보(service information)로부터 다양한 채널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분리된 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티브이의 동작과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티브이가 방송신호를 받게 되면, 역다중화부는 방송신호로부터 음성/영상 정보와 부가 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상기 음성/영상 정보는 AV 처리부에 입력되고, 상기 부가 정보는 데 이터 처리부에 입력된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일반적으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TDT(Time Date Table)/TOT(Time Offset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등으로 이루어진다. PAT는 다수개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TDT/TOT는 각 프로그램들의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EIT는 프로그램들의 제목, 줄거리, 방송 제한등급, 시작/종료시간, 방영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부가 정보로부터 EIT 정보를 분리하고 설정된 포맷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티브이에서의 EPG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티브이에 표시된 EPG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EPG 화면에서 특정 채널이 선택되었을 때의 EPG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티브이에 표시된 EPG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EPG는 채널들과, 순서, 그리고 각 시간별로 할당된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도 2는 시청자(viewer)가 도 1의 EPG 화면에서 특정 채널을 선택했을 때 티브이 화면에 표시된 EPG를 나타낸다. 여기서, 시청자가 MBC TV를 선택하면 EPG는 현재 시간에 따른 MBC 방송에 예정된 현재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의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각 채널의 현재 프로그램 및 다음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EPG 메뉴 화면을 통해 제공 된다. 또한, EPG는 다수개의 채널 목록과, 현재 시간 정보와, 프로그램의 제목(A), 방영시간(B), 그리고 프로그램의 줄거리(C) 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EPG 메뉴 화면을 통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방송 프로그램 예약 녹화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예약 녹화에 따라 특정시간이 되면 티브이의 제어부에서는 티브이에 내장된 별도의 메모리장치인 하드디스크(HDD) 등에 예약 프로그램을 녹화한다.
그러나 티브이에 별도의 메모리 장치인 하드디스크가 없는 경우에는 티브이에 연결된 VCR이나 DVD 레코더 등에서 별도로 예약 녹화를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티브이 자체적으로 예약 녹화하는 기능이 없었다.
둘째, EPG가 제공된다 하더라도 별도의 메모리 장치가 내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기기에서의 예약 녹화가 불가능하였다.
셋째, VCR이나 DVD 레코더를 통해 예약 녹화를 하는 경우에는 영상기기의 EPG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예약 녹화하는 것에 비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티브이와 같은 영상기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녹화를 설정하는 것에 따라 예약 녹화 방송프로그램을 설정한 시간에 영상 녹화기기에서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영상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의 원격제어에 필요한 원격 제어 코드들을 제조사별로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원격제어에 필요한 원격 제어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는 예약녹화 시간, 예약 녹화 채널, 예약 녹화기기 및 예약 녹화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영상기기를 원격제어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 또는 상기 영상기기에 부착된 로컬키 또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와 상기 영상 녹화기기는 전용 데이터 케이블, IEEE1394 케이블 및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 코드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전원 온/오프 코드, 녹화시작코드 및 녹화종료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와, 상기 선국된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전송 스트림에서 영상 정보를 영상신호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부와, 전자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와, 상기 영상 디코더부와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와 전자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와 전자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기기와 영상 녹화기기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선호도 순서대로 상기 제조사별로 리드하여 출력되도록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영상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영상기기와 케이블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코드들을 제조사별로 저장하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는 영상기기에 예약 녹화 할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영상 녹화기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영상 녹화기기 중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될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시간이 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상기 선택된 영상 녹화기기로 상기 녹화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 저장은, 상기 영상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나 상기 영상기기에 부착된 로컬 키를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시간과 채널을 입력하거나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예약 녹화 시간과 채널을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기기의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선택된 전자프로그램가이드에서 예약 녹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가 복수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녹화기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기기명이나 케이블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기명이나 케이블명 중 선택된 영상 녹화기기로의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녹화시작시간이 되면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전원 온 코드, 녹화 시작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무선 수신부로 원격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종료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녹화 종료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무선 수신부로 원격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영상기기의 메모리부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제조하는 복수개의 제조사별로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통해 예약 녹화할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녹화기기에 따라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전송할 원격제어신호의 무선 코드를 선택적으로 제조사별로 소팅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녹화할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시간이 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상기 녹화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무선 코드를 선택적으로 제조사별로 소팅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와 영상 녹화기기간 전용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에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제조사 선호도별로 상기 무선 코드를 소팅을 수행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기기명이나 케이블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기명이나 케이블명 중 선택된 영상 녹화기기로의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연동 예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상세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대하여 주영상과 부영상 및 멀티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에 대하여 주음성과 부음성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주영상과 부영상 및 멀티뷰와, 주음성과 부음성에 선택사항을 포함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세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이 유료 프로그램이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세 예약을 선택한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기기를 통해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가 가능하고, 특히 EPG가 제공되는 경우 간편한 예약녹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10)는, 튜너(11), 제어부(12), 무선 송수신부(13), 영상 디코더부(14), OSD처리부(15), 영상 처리부(16), 디스플레이부(17), 인터페이스부(18) 및 메모리부(19)(제 1 메모리부(19a), 제 2 메모리부(19b))로 구성된다.
여기서, 튜너(11)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한다.
무선 송수신부(13)는 외부로부터의 원격제어 관련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원격 제어 관련 무선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예를 들면 적외선(IrDA)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부(14)는 선국된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전송 스트림(TP)에서 영상 정보를 R,G,B 영상신호로 디코딩한다.
OSD 처리부(15)는 부가정보인 EPG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에서 EPG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영상처리부(16)는 영상 디코더부(14)와 OSD 처리부(15)에서 처리된 R,G,B 영상 신호와 EPG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에서 EPG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17)는 R,G,B 영상 신호 및/또는 EPG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인터페이스부(18)는 복수의 영상 녹화기기(50)(60)에서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이나 메모리부(33)에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을 통신 케이블(30,40)을 통해 영상기기(10)의 인터페이스부(32)로 인터페이싱한다.
메모리부(19)는 제 1, 제 2 메모리부(19a)(19b)로 구성되며, 제 1 메모리부(19a)는 영상 녹화기기(50)(60)별 원격제어에 필요한 코드(전원 온/오프 코드, 녹화시작코드 및 녹화종료 코드 등)를 제조사별로 저장한다.
그리고 제 2 메모리부(19b)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들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예약녹화 시간, 예약 녹화 채널 등)와, 예약 녹화할 예약 녹화기기(50)(60)의 상세 예약 설정 내용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상세 예약 설정 내용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는 영상기기(10) 전체를 제어하며, 제 2 메모리부(19b)에 저장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에 따라 제 1 메모리부(19a)에 저장된 원격제어에 필요한 코드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50)를 통해 설정된 영상 녹화기기(50)(6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을 위해 영상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신호 발생부(20)(예를 들면, 리모컨)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7)를 보면서 무선 송/수신부(13)로 방송 예약을 위한 데이터(예약 년, 월, 일, 시 및 분 등의 시간과 녹화 채널)를 입력하거나, EPG 화면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하고, 녹화할 영상 녹화기기(50)(60)를 선택하면, 제어부(12)에서는 방송 예약을 위한 데이터와 녹화할 영상 녹화기기(50)(60) 정보를 받아 이를 제 2 메모리부(19a)에 저장한다. 물론 무선 신호 발생부(20)뿐 아니라 영상기기(10) 자체에 부착된 로컬키(local key)(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한 방송 예약 데이터 입력 역시 당업자라면 용이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설정된 예약 녹화 시작 시간이 되면, 제어부(12)는 제 1 메모리부(19a)에서 원격제어에 필요한 코드(영상 녹화기기 전원 온 코드 및 녹화시작 코드)를 제조사별로 리드하여 무선 송/수신부(13)를 통해 영상 녹화기기(50)(60)의 무선 수신부(31)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설정된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종료시간이 되면 제어부(12)는 제 1 메모리부(19a)에서 원격제어에 필요한 코드(녹화종료 코드 및 영상 녹화기기 전원 오프 코드)를 제조사별로 리드하여 무선 송/수신부(13)를 통해 영상 녹화기기(50)(60)의 무선 수신부(31)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조사별로 제어코드를 리드하여 순차적으로 제어 코드를 출력할 때 영상 녹화기기(50)(60)의 선호도(예를 들면, 국가별 많이 팔린 순서)를 우선순위로 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 케이블(30)(40)은 영상 녹화기기(50)(60)의 종류에 따라 VCR, DVD 전용 케이블이거나, IEEE1394 케이블 또는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예를 들면, 영상 녹화기기 중 하나가 DVD인 경우)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영상 녹화기기(50)(60) 중 하나는 VCR이고 하나는 DVD라면, VCR의 경우에는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DVD의 경우에는 전용 케이블이나 IEEE1394 및 고해상도 멀티 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IEEE1394 및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영상기기에서 영상 녹화기기의 제조사 코드(Company code)를 알게 되므로 원격 제어 코드 출력시 해당 제조사의 제어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영상 녹화기기(50)(60)는 통상의 VCR, DVD 레코더, HDD 내장형 DVD 레코더, 고용량 녹화 비디오 레코더(DVHS)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녹화기기(50)(60)에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추후 통신 케이블(30)(40)을 통해 영상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시청하게 된다.
여기서 영상 녹화기기(50)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영상 녹화기기(50)는 무선 수신부(51)와, 인터페이스부(52), 메모리부(53) 및 제어부(54)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51)는 영상기기(10)의 무선 송수신부(13)에서의 원격제어에 필요한 코드(전원 온 코드, 녹화 시작 코드, 녹화 종료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를 차례로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54)로 전송하면, 제어부(54)에서는 전원 온 후, 메모리부(53)(비디오 테이프, DVD, HDD)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녹화 종료 및 전원 오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기본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10)의 구성과 유사하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10)는, 튜너(11), 제어부(12), 무선 송수신부(13a), 영상 디코더부(14), OSD처리부(15), 영상 처리부(16), 디스플레이부(17), 인터페이스부(18) 및 메모리부(19)로 구성된다.
또한 ,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서는 영상기기(10)의 인터페이스부(18)와 영상 녹화기기(50) 인터페이스부(52)간 통신 케이블(70)(80)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예를 들면, IEEE1394,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구성된 경우이다.
이와 같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로 영상기기(10)와 영상 녹화기기(50)(60)를 연결하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의 무선 송수신부(13) 대신 무선 수신부(13a)가 구성된다는 점과, 메모리부(19)의 구성이 하나의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영상 녹화기기(50)(60)별 원격제어에 필요한 코드(전원 온/오프 코드, 녹화코드 및 종료 코드 등)를 제조사별로 미리 저장함과 함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들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예약녹화 시간, 예약 녹화 채널 등)와 예약 녹화할 예약 녹화기기(50)(60)의 우선순위를 하나의 메모리부(19)에서 서로 다른 메모리 영역을 통해 관리하는 점이 다르다.
다시 말하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경우 통신 케이블(70)(80)을 통해 영상기기(10)와 영상 녹화기기(50)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영상기기(10)에서 원격제어에 필요한 코드를 무선으로 송신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양방향 통신을 통해 영상 녹화기기의 제조사를 알 수 있으므로 선호도에 따른 원격제어신호의 불필요한 전송 역시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영상 녹화기기(50)(60)와 영상기기(10)간 하나라도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VCR 전용 케이블이나, DVD 전용 케이블과 같이 단방향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에는 무선 수신부(13a) 대신 도 3에서와 같은 무선 송수신부(13)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영상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영상 녹화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채널 및 시간을 영상기기에 저장한다(S100).
이어서 영상기기에 연결된 영상 녹화기기가 2대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00).
판단결과(S200), 영상기기와 연결된 영상 녹화기기가 2대 이상이라면 영상 녹화기기(녹화 경로)를 선택하고, 선택사항을 저장한다(S300). 다시 말하면 영상 녹화기기로는 통상의 VCR, DVD 레코더, HDD 내장형 DVD 레코더, 고용량 녹화 비디오 레코더(DVHS) 등이 될 수 있고 그 중 두 대 이상이 영상기기에 연결된 경우 그 중 하나의 영상 녹화기기(녹화 경로)를 설정해주는 것이다.
그 다음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는 녹화시작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0).
판단결과(S400) 녹화시작시간이 되었다면 영상기기에서는 영상 녹화기기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조사별 영상녹화기기 전원 온 및 녹화시작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S500). 다시 말하면, 제조사별로 제어코드를 리드하여 순차적으로 제어 코드를 출력할 때 영상 녹화기기의 선호도(국가별로 많이 팔린 순서)를 우선순위로 하여 전원 온 신호 및 녹화 시작신호를 발생시킨다.
그에 따라 선택된 영상 녹화기기는 전원 온 후 예약 녹화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한다.
그 다음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는 녹화시작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0).
판단결과(S400) 녹화시작시간이 되었다면 영상기기에서는 영상 녹화기기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조사별 영상녹화기기 전원 온 및 녹화시작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S500). 다시 말하면, 제조사별로 제어코드를 리드하여 순차적으로 제어 코드를 출력할 때 영상 녹화기기의 선호도(국가별로 많이 팔린 순서)를 우선순위로 하여 전원 온 신호 및 녹화 시작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물론 영상 녹화기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에는 녹화기기를 알 수 있으므로 그에 해당하는 전원 온 신호 및 녹화 시작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다음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는 녹화 종료 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00).
판단결과(S600) 녹화 종료시간이 되었다면 영상기기에서는 영상 녹화기기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조사별 영상 녹화기기의 녹화종료신호 및 전원 오프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S700).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예약 방법은 무선 신호 발생부(20)를 통해 예약 녹화 또는 프로그램 가이드 메뉴(또는 키)를 선택하면(S110), 프로그램 가이드 가 존재하는지에 따라(S120)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약 녹화를 위한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를 디스플레이부상에 오픈한다(S130).
이어서 예약 채널 및 시간을 입력하고(S140),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내용을 저장하고 OSD를 클리어한다(S150).
그러나 프로그램 가이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한다(160).
이어서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예약 녹화 프로그램을 선택하면(S170), 선택내용을 저장한다(S180).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영상 녹화기기 선택에 따른 영상 녹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다른 영상 녹화기기 선택에 따른 영상 녹화 방법은 영상기기에 영상 녹화기기가 2대 이상 연결된 경우로서, 영상 녹화 케이블을 참조하여 선택할 것인지, 녹화기기를 참조하여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OSD를 디스플레이부상에 오픈하고, 사용자가 어떠한 선택을 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10).
판단결과(S310) 케이블을 선택하였다면 영상 녹화기기의 전용 케이블을 선택할 것인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OSD를 디스플레이부상에 오픈한다(S320). 이 경우는 영상 녹화기기가 VCR과 DVD이면서 DVD가 IEEE1394 또는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와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이다. 그러나 만약 복수개의 영상 녹화기기 모두가 전용 케이블이라면 각 영상 녹화기기(예를 들면, VCR 케이블. DVD 케이블 등)의 케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도 록 하는 OSD를 오픈시켜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나 판단결과(S310)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였다면 VCR, DVD와 같은 영상 녹화기기의 명칭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OSD를 오픈시킨다(S330).
이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녹화기기와 영상기기간 케이블 접속 상태가 정상인가 판단한다(S340).
판단결과(S340) 접속 상태가 불량이면 접속 요구를 디스플레이한다(S350).
그러나 판단결과(S340) 접속 상태가 정상이면 영상 녹화기기(경로) 선택사항을 저장하게 된다(S400).
도 8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방송 예약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방송 예약 녹화 방법은 EPG 화면을 이용하는 것으로, EPG를 선택(EPG 키를 누르거나, 메뉴에서 EPG를 선택)한다(S1100).
그러면, EPG 화면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형태로 오픈(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예약 시청/녹화와 채널 선국 중 예약 시청/녹화를 선택하고 특정 영상 프로그램을 선택하면(S1200), 예약 시청/녹화 중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300).
판단결과(S1300) 시청을 선택한 경우 시청예약을 결정할 것인가를 '예', '아니오'와 같은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S1400), 사용자가 '예'를 선택한 경우에는 예약 결정 항목(예약 녹화 시간 및 채널)을 저장한다(S1500).
그러나 판단결과(S1300) 녹화를 선택한 경우에는 영상기기에 연결된 영상 녹화기기(예를 들면, VCR이나 DVD)(또는 경로)를 선택하도록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S1600).
판단결과(S1600) VCR을 선택한 경우 VCR과 영상기기간 연결상태(접속)를 확인하도록 하고(S1700), VCR의 제조사별 선호도에 따른 원격제어신호(무선 코드)를 소팅한다(S1900).
그러나 판단결과(S1600), DVD를 선택한 경우 DVD와 영상기기간 연결상태(접속)를 확인한다(S1800).
이어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정보(예약 녹화 기기(경로), 예약 녹화 채널, 시간을 포함하는 상세 예약(후술하는 도 9 및 도 10 참조))를 저장한다(S2000).
그 다음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는 예약 녹화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00).
판단결과(S2100) 예약 녹화시간이 되었다면 영상기기에서는 영상 녹화기기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조사별(일방향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 영상녹화기기 전원 온 및 녹화시작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S2200).
그 다음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는 녹화 종료 시간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00).
판단결과(S600) 녹화 종료시간이 되었다면 영상기기에서는 영상 녹화기기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조사별(일 방향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 영상 녹화 기기의 녹화종료신호 및 전원 오프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한다(S2400).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VTR로의 상세 예약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VTR로의 상세 예약 녹화 방법은 영상 녹화기기의 연결 상태 확인 후, 무선 코드를 소팅한 다음 VTR 연동 예약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010).
이어서, 상세 예약을 할 것인가를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S2020).
판단결과(S2020) 상세예약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료 방송 프로그램인가를 판단한다(S2030).
판단결과(S2030) 유료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는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를 저장하고(S2040), 예약 완료를 디스플레이한다(S2090).
그러나 판단결과(S2020) 상세 예약을 선택한 경우이거나, 판단결과(S2030) 유료 프로그램인 경우, 선택사양에 따른 아이템(item)을 추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2050).
이와 같은 아이템 추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영상/음성/확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OSD를 디스플레한다(S2051).
판단결과(S2051) 사용자가 확인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유료 프로그램의 구매를 확인 한 경우이거나, 상세 예약을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겠다는 것이므로 예약 완료를 디스플레이한다(S2040).
그러나 판단결과(S2051) 음성을 선택한 경우에는 주음성, 부음성 및 주/부음 성 중 어느 음성을 선택하였는지를 결정하도록 하고(S2052), 결정결과에 따른 선택사항을 저장한다(S2056). 참고적으로 부음성은 복수개의 언어(영어, 중국어, 일어, 프랑스어 등)일 수 있다.
또한 판단결과(S2051) 영상을 선택한 경우에는 멀티뷰(Multi-view)를 선택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2053). 참고적으로 멀티뷰란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각각의 카메라(카메라 1, 카메라 2 ··· 카메라n)로 촬영한 것을 의미한다.
판단결과(S2052) 멀티뷰를 선택하였다면 멀티뷰 중 어느 카메라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고, 결정결과에 따른 선택사항을 임시로 저장한다(S2056).
그러나 판단결과(S2052) 멀티뷰를 선택하지 않았다면 주영상, 부영상 중 어느 영상을 선택하였는지를 결정하도록 하고(S2055), 결정결과에 따른 선택사항을 저장한다(S2056). 참고적으로 부영상은 현재의 디지털 방송 방식으로는 SD급 방송의 경우 3-4개의 방송이 동시에 송출되므로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선택사항을 임시 저장한 후(S2056) 선택사항을 추가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2060).
판단결과(S2060) 선택사항을 추가하는 경우 멀티뷰나 주영상, 부영상 그리고 주음성, 부음성, 주/부음성 중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S2050 참조).
그러나 판단결과(S2060) 선택사항을 추가하지 않는 경우 PPV(Pay per view) 결제를 할 것인가를 '예'와 '아니오'와 같은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S2070).
판단결과(S2070) 결제를 선택(예를 선택한 경우)하면 임시로 저장된 선택 사 항과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를 저장한다(S2080).
그리고 예약 완료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040).
그러나 결제를 선택하지 않는다면(아니오를 선택한 경우) EPG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200).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방송 예약 녹화 방법 중 DVD로의 상세 예약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DVD로의 상세 예약 녹화 방법은 VCR의 경우와 거의 유사하나, 녹화기기를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이 추가된다(S2070).
판단결과(S2070) 녹화기기 변경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은 선택사양에 따른 아이템(item)을 추가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2050).
그러나 판단결과(S2070) 녹화기기를 변경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현재 영상기기에 연결된 다른 녹화기기(예를 들면, 컴퓨터 등)를 검색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녹화기기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사양에 따른 아이템(item)을 추가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205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별도의 메모리 장치가 내장되지 않은 티브이와 같은 영상기기를 이용해 예약 녹화가 가능하다.
둘째, EPG를 통해 사용자가 영상기기를 통해 예약 녹화를 할 수 있으므로 사 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영상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의 원격제어에 필요한 원격 제어 코드들을 제조사별로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원격제어에 필요한 원격 제어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는 예약녹화 시간, 예약 녹화 채널, 예약 녹화기기 및 예약 녹화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영상기기를 원격제어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 또는 상기 영상기기에 부착된 로컬키 또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와 상기 영상 녹화기기는 전용 데이터 케이블, IEEE1394 케이블 및 고해상도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코드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전원 온/오프 코드, 녹화시작코드 및 녹화종료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와,
    상기 선국된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전송 스트림에서 영상 정보를 영상신호로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부와,
    전자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와,
    상기 영상 디코더부와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와 전자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와 전자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기기와 영상 녹화기기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선호도 순서대로 상기 제조사별로 리드하여 출력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8. 영상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영상기기와 케이블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영상 녹화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코드들을 제조사별로 저장하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예약 녹화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영상기기에 예약 녹화할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통신 케이블로 연결된 영상 녹화기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영상 녹화기기 중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될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시간이 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상기 선택된 영상 녹화기기로 상기 녹화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 저장은,
    상기 영상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나 상기 영상기기에 부착된 로컬 키를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시간과 채널을 입력하거나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예약 녹화 시간과 채널을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기기의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선택된 전자프로그램가이드에서 예약 녹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가 복수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녹화기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기기명이나 케이블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기명이나 케이블명 중 선택된 영상 녹화기기로의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녹화시작시간이 되면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전원 온 코드, 녹화 시작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무선 수신부로 원격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종료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녹화 종료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를 리드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무선 수신부로 원격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의 메모리부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제조하는 복수개의 제조사별로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4. 영상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를 통해 예약 녹화할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녹화기기에 따라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전송할 원격제어신호의 무선 코드를 선택적으로 제조사별로 소팅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 녹화할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시간이 되면 상기 영상기기에서 상기 영상 녹화기기로 상기 녹화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무선 코드를 선택적으로 제조사별로 소팅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와 영상 녹화기기간 전용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에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제조사 선호도별로 상기 무선 코드를 소팅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녹화기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기기명이나 케이블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기명이나 케이블명 중 선택된 영상 녹화기기로의 상기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기의 연동 예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상세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대하여 주영상과 부영상 및 멀티뷰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에 대하여 주음성과 부음성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주영상과 부영상 및 멀티뷰와, 주음성과 부음성에 선택사항을 포함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이 유료 프로그램이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세 예약을 선택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KR1020050042523A 2005-05-20 2005-05-20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KR10069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523A KR100698272B1 (ko) 2005-05-20 2005-05-20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EP06252638A EP1725026A3 (en) 2005-05-20 2006-05-19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timer recording a broadcast program
US11/436,607 US8503865B2 (en) 2005-05-20 2006-05-19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timer recording a broadcast program
CNA2006100846203A CN1867052A (zh) 2005-05-20 2006-05-19 用于记录广播节目定时器的显示装置及方法
JP2006142182A JP4464367B2 (ja) 2005-05-20 2006-05-22 映像機器及びこれを用いた予約録画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523A KR100698272B1 (ko) 2005-05-20 2005-05-20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469A true KR20060119469A (ko) 2006-11-24
KR100698272B1 KR100698272B1 (ko) 2007-03-22

Family

ID=3669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523A KR100698272B1 (ko) 2005-05-20 2005-05-20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03865B2 (ko)
EP (1) EP1725026A3 (ko)
JP (1) JP4464367B2 (ko)
KR (1) KR100698272B1 (ko)
CN (1) CN18670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630B1 (ko) * 2008-03-06 2014-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텔레비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3395B2 (ja) * 2007-03-13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38577A (ja) * 2007-08-01 2009-02-19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録画予約設定方法
JP5339573B2 (ja) 2007-11-15 2013-11-13 ソニー エスパナ,エス.エー. 表示装置、表示装置における番組情報表示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における信号送信方法
US9083914B2 (en) 2007-12-27 2015-07-14 Echostar Technologies Corporation Electronic system informing a first electronic device of user remote control activity involving a second electronic device
KR101517769B1 (ko) 2008-04-24 2015-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방송 컨텐츠의 추천 방법과 그장치
KR101528857B1 (ko) * 2008-04-24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101552147B1 (ko) * 2008-04-24 2015-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과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1293B2 (ja) 1991-01-23 1999-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75030A (ja) 1993-07-07 1995-03-17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567438B2 (ja) 1993-12-28 2004-09-2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
KR100209677B1 (ko) 1996-02-27 1999-07-15 구자홍 티브이를 이용하여 브이씨알에 녹화예약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이 방법 등에 적응된 티브이 및 브이씨알
JP3911047B2 (ja) 1996-04-30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録画予約制御システム及び録画予約制御方法
US5986650A (en) * 1996-07-03 1999-11-16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scan feature
CN1110950C (zh) 1996-10-08 2003-06-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接收方法及使用此方法的信息接收装置
JP3453489B2 (ja) 1997-03-21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の制御装置及び画像編集装置
TW392402B (en) 1997-10-22 2000-06-01 Hitachi Ltd Method for using audio and video machine and audio and video machine system
JPH11232727A (ja) 1998-02-18 1999-08-27 Hitachi Ltd Av機器およびav機器の録画方式
JPH11259926A (ja) 1998-03-16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録画・再生制御装置及び録画・再生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録画・再生システム
JPH11355707A (ja) 1998-06-10 1999-12-24 Toshiba Corp タイマー予約装置
JP2000268440A (ja) 1999-03-15 2000-09-29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及び予約録画システム
JP2001008150A (ja) 1999-06-25 2001-01-12 Nec Corp 集中管理装置
JP3682205B2 (ja) 2000-05-26 2005-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760918B2 (en) * 2001-06-29 2004-07-06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able media content distribution
JP3729395B2 (ja) 2001-07-25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7987491B2 (en) *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KR100529306B1 (ko) * 2002-08-23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빠른 재생 기능을 갖는 광 디스크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US20040187164A1 (en) * 2003-02-11 2004-09-23 Logic City,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lecting television programs for recording and remotely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a recording device to record the selected television programs
US20050034154A1 (en) * 2003-08-08 2005-02-10 Yeh Sabrina Tai-Chen User interface for a video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630B1 (ko) * 2008-03-06 2014-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텔레비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9926A1 (en) 2007-01-25
US8503865B2 (en) 2013-08-06
JP4464367B2 (ja) 2010-05-19
EP1725026A2 (en) 2006-11-22
KR100698272B1 (ko) 2007-03-22
CN1867052A (zh) 2006-11-22
JP2006333476A (ja) 2006-12-07
EP1725026A3 (en)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0632B2 (ja) 放送蓄積システム、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98272B1 (ko)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 방법
KR100751202B1 (ko) 예약 처리 장치 및 방법
EP1536636A1 (en) Content viewing support apparatus, content viewing support method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KR101445764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스트 및 서브리스트 제공방법, 및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20060232707A1 (en)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US8351760B2 (en) Controller, recording device and menu display method
JP4551631B2 (ja) 番組録画予約方法及び番組録画予約装置
CN1875623B (zh) 节目数据记录方法和设备
JPH10243348A (ja) マルチチャンネル記録装置、及びマルチチャンネル再生装置
WO2010064424A1 (ja) サーバ装置及び録画装置
JP4228787B2 (ja) 記録方法及び装置
JP4026638B2 (ja)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コントローラ機器
JP4910058B2 (ja) 電子機器及び録画制御方法
JP4635098B1 (ja) 電子機器
JP4670734B2 (ja) 録画予約システム及び録画再生装置
JP4265294B2 (ja) 番組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1071584A (ja) 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KR101418120B1 (ko) 선호 녹화 목록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선호 녹화목록제공 방법
JP7009249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制御方法
KR10124275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녹화상태 확인방법
EP2530931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4437754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20070277206A1 (e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4336690A (ja) 番組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