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691A -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691A
KR20060118691A KR1020050040978A KR20050040978A KR20060118691A KR 20060118691 A KR20060118691 A KR 20060118691A KR 1020050040978 A KR1020050040978 A KR 1020050040978A KR 20050040978 A KR20050040978 A KR 20050040978A KR 20060118691 A KR20060118691 A KR 2006011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hanger
section
drive chain
d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691A/ko
Publication of KR2006011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체이송시스템은 하부에 체인도그(18)가 부착되어 파워레일(6)의 일정한 구간을 구동모터에 의해 이송되는 구동체인(20)과, 차체(2)를 안착시키는 행거(4)와, 상기 구동체인(20)과 상기 행거(4)를 연결하되, 상기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행거 캐리어(8)로 구성된 행거 조립체(10)와, 프리레일(12)의 상부에서 상기 행거조립체(10)가 진입하여 제 1 휠턴(32)을 지나면서 상기 구동체인(20)만이 리턴되는 제 1 이송구간부(60)와, 상기 제 1 이송구간부(60)와 상기 행거캐리어 이동구간이 중복되도록 상기 제 1 이송구간부(60)의 상기 제 1 휠턴(32)이전에 제 2 휠턴(42)이 설치되고, 새로운 구동체인(20')이 상기 제 2 휠턴(42)으로 진입하여 지나면서 상기 행거조립체(8) 진입방향으로 리턴되는 제 2 이송구간부(70)로 구성되며, 상기 새로운 구동체인(20')은 상기 제 1 및 제 2 휠턴(32,42)사이의 중복구간에서 제 1 이송구간부(60)의 행거조립체(8)를 제 2 이송구간부(7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이송구간에 중복구간을 설정하고 각 이송구간의 파워레일에 공통하는 하나의 프리레일을 적용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별도의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가동율을 향상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BODY TRANSFER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의 행거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이송구간사이를 이송하는 경우의 종래의 차체이송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이송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7a는 도 6의 a구간 통과시의 제 1 행거조립체의 상태도이고,
도 7b는 도 6의 b구간 통과시의 제 1 및 제 2 행거조립체의 상태도이고,
도 7c는 도 6의 c구간 통과사의 제 2 행거조립체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체 4 : 행거
6 : 파워레일 8 : 행거캐리어
10 : 행거 조립체 12 : 프리레일
14, 16 : 구동롤러 18 : 체인도그
20 : 구동체인 30, 60 : 제 1 이송구간부
32, 42 : 휠턴 40, 70 : 제 2 이송구간부
50 :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
본 발명은 차제이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행거조립체가 서로 인접하는 하나의 이송구간으로부터 다른 이송구간으로 이동할 때, 에어실린더 푸쉬장치를 적용함이없이 두개의 파워레일에 하나의 프리레일을 적용하여 가동율을 향상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차체이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생산설비에 있어서 차체(body)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행거조립체(10)를 이용하여 일정한 이송구간을 따라 운반된다. 행거조립체(10)는 파워레일(power rail)(6)의 일정한 구간을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송되는 구동체인(20)과, 차체(2)를 안착시키는 행거(hanger)(4)와, 상기 구동체인(20)과 상기 행거(4)를 연결하는 행거 캐리어(8)로 구성되어 행거(4)가 운반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인(20)은 파워레일(6)을 따라 구동되는 구동롤러(14)와, 하부에 부착된 체인도그(chain dog)(18)로 구성되며, 행거 캐리어(8)는 프리레일(free rail)(12)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된 구동롤러(16)와,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에 걸리는 후크부재(22)로 구성 되어 프리레일(12)을 지나가는 행거 캐리어(8)를 파워레일(6)을 지나가는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가 끌고감으로서, 차체(2)가 적재된 행거(4)를 이송한다.
이러한 행거조립체(10)는 전체적인 차량이송시스템의 전체 이송구간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거리의 이송구간을 몇 개로 만들고 각 이송구간마다 부착되는 것으로, 이송구간마다 하나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체이송시스템이 몇 개의 이송구간으로 나누어짐에 따라, 하나의 이송구간에서 다른 이송구간으로의 이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하였다.
제 1 이송구간부(30)를 따라 이송되는 행거조립체(10)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구동체인(20)은 제 1 휠턴(32)을 따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리턴되고, 차체(2)가 안치된 행거(4)에 연결된 행거 캐리어(8)는 제 2 이송구간부(40)의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에 걸려서 이송되어야 하는데, 제 1 이송구간부(30)와 제 2 이송구간부(40)사이에는 구동되는 체인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Air cylinder pusher)(50)에 의해 제 2 휠턴(42)을 따라 진입하는 제 2 이송구간부(40)의 구동체인(20')에 행거 캐리어(8)가 걸릴 수 있는 위치까지 제 1 이송구간부(30)의 행거캐리어(8)를 밀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40)는 제 1 이송구간부(30)에 행거조립체(10)의 도착을 감지하여, 작동을 준비하고, 실행하고, 재차 복귀를 준비하고 실행하는 등, 일련의 복잡한 프로그램에 의해 정밀하게 진행되어야 하나, 현장에서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차질이 있게 되면, 잦은 에러를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라인을 정지하는 등 가동율의 효율면에서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의 적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유지보수(maintanance)를 행하기 위한 점검테크의 설치등 설비 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접하는 이송구간에서 행거캐리어 이동구간을 중복하게 구성함으로서 행거조립체가 하나의 이송구간으로부터 다른 이송구간으로 이동할 때,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를 적용함이 없이 두개의 파워레일에 하나의 프리레일을 적용하여 가동율을 향상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차체이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이송시스템에 있어서, 하부에 체인도그가 부착되어 파워레일의 일정한 구간을 구동모터에 의해 이송되는 구동체인과, 차체를 안착시키는 행거와, 상기 구동체인과 상기 행거를 연결하되, 상기 구동체인의 체인도그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행거 캐리어로 구성된 행거 조립체와, 프리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행거조립체가 진입하여 제 1 휠턴을 지나면서 상기 구동체인만이 리턴되는 제 1 이송구간부와, 상기 제 1 이송구간부와 상기 행거캐리어 이동구간이 중복되도록 상기 제 1 이송구간부의 상기 제 1 휠턴이전에 제 2 휠턴이 설치되고, 새로운 구동체인이 상기 제 2 휠턴으로 진입하여 지나면서 상기 행거조립체 진입방향으로 리턴되는 제 2 이송구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새로운 구동체인은 상기 제 1 및 제 2 휠턴사이의 중복구간에서 제 1 이송구간부의 행거조립체를 제 2 이송구간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체이송시스템은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이송구간에 중복구간을 설정하고 각 이송구간의 파워레일에 공통하는 하나의 프리레일을 적용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별도의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가동율을 향상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였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체이송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체이송시스템은 하부에 체인도그(18)가 부착되어 파워레일(power rail)(6)의 일정한 구간을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송되는 구동체인(20)과, 차체(2)를 안착시키는 행거(hanger)(4)와, 상기 구동체인(20)과 상기 행거(4)를 연결하되, 상기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를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행거 캐리어(8)로 구성된 행거 조립체가 프리레일(12)의 상부에서 진입하여 제 1 휠턴(32)을 지나면서 상기 구동체인(20)만이 리턴되는 제 1 이송구간부(60)와, 상기 제 1 이송구간부(60)와 상기 행거캐리어 이동구간이 중복되도록 상기 제 1 이송구간부(60)의 상기 제 1 휠턴(32)이전에 제 2 휠턴(42)이 설치되고, 새로운 구동체인(20)이 상기 제 2 휠턴(42)으로 진입하여 지나면서 상기 행거조립체 진입방향으로 리턴되는 제 2 이송구간부(70)로 구성되며, 상기 새로운 구동체인(20')은 상기 제 1 및 제 2 휠턴(32,42)사이의 중복구간에서 제 1 이송구간부(60)의 행거캐리어(8)를 제 2 이송구간부(70)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체이송시스템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의 a 부분을 통과시에는, 즉 제 1 이송구간부(60)에서 행거조립체(1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가 행거캐리어(8)를 끌고 가다가, 제 2 이송구간부(70)의 휠턴(42)을 지나가면서, 행거캐리어(8)가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의 일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2 이송구간부(70)의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가 진입하기 시작한다.
이어서, 제 2 이송구간부(70)의 휠턴(42)과 제 1 이송구간부(60)의 휠턴(32)의 중간부분, 즉 도 6의 b 부분에서 제 2 이송구간부(60)의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가 행거캐리어(8)에 걸리게 되고, 제 1 이송구간부(60)의 휠턴(32)을 지나면서 행거캐리어(8)는 체인도그(18')의 중심으로 이동해 간다.
그 후, 제 1 이송구간부(60)의 구동체인(20)은 휠턴(32)을 경유하여 리턴되고, 도 6의 c 부분에서 제 2 이송구간부(70)의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의 중심에 행거캐리어(8)가 위치되어 정상적으로 이송된다.
이상에서 행거 조립체(10)가 제 2 휠턴(42)을 지날 때, 행거캐리어(8)가 구동체인(20)의 체인도그(18)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적절한 센서등의 감지수단에 의해 행거 조립체(10)가 제 2 휠턴(42)을 지남을 감지하고, 이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수단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체인도그(18)를 경사 시킬 수 있음은 상세한 설명이 필요없기에 이를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이송시스템은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이송구간에 중복구간을 설정하고 각 이송구간의 파워레일에 공통하는 하나의 프리레일을 적용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별도의 에어 실린더 푸쉬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가동율을 향상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이송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차체이송시스템에 있어서,
    하부에 체인도그가 부착되어 파워레일의 일정한 구간을 구동모터에 의해 이송되는 구동체인과, 차체를 안착시키는 행거와, 상기 구동체인과 상기 행거를 연결하되, 상기 구동체인의 체인도그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행거 캐리어로 구성된 행거 조립체와,
    프리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행거조립체가 진입하여 제 1 휠턴을 지나면서 상기 구동체인만이 리턴되는 제 1 이송구간부와,
    상기 제 1 이송구간부와 상기 행거캐리어 이동구간이 중복되도록 상기 제 1 이송구간부의 상기 제 1 휠턴이전에 제 2 휠턴이 설치되고, 새로운 구동체인이 상기 제 2 휠턴으로 진입하여 지나면서 상기 행거조립체 진입방향으로 리턴되는 제 2 이송구간부로 구성되며,
    상기 새로운 구동체인은 상기 제 1 및 제 2 휠턴사이의 중복구간에서 제 1 이송구간부의 행거조립체를 제 2 이송구간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이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조립체가 제 2 휠턴을 지남을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은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체인도그를 경사시키는 경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이송시스템.
  3. 차체이송방법에 있어서,
    제 1 이송구간부에서 구동체인의 체인도그가 행거캐리어를 끌고 가다가, 제 2 이송구간부의 휠턴을 지나가면서, 상기 행거캐리어가 상기 구동체인의 체인도그의 일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이송구간부의 새로운 구동체인의 체인도그가 진입하기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이송구간부의 휠턴과 상기 제 1 이송구간부의 휠턴의 중간부분에서 상기 제 2 이송구간부의 구동체인의 체인도그가 상기 행거캐리어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제 1 이송구간부의 휠턴을 지나면서 상기 행거캐리어는 상기 새로운 체인도그의 중심으로 이동해 가는 단계와;
    상기 제 1 이송구간부의 구동체인은 휠턴을 경유하여 리턴되고, 상기 제 2 이송구간부에서는 상기 새로운 구동체인의 체인도그의 중심에 상기 행거캐리어가 위치되어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이송방법.
KR1020050040978A 2005-05-17 2005-05-17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8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78A KR20060118691A (ko) 2005-05-17 2005-05-17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78A KR20060118691A (ko) 2005-05-17 2005-05-17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91A true KR20060118691A (ko) 2006-11-24

Family

ID=3770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978A KR20060118691A (ko) 2005-05-17 2005-05-17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86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475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행거트롤리 시스템
US11046525B2 (en) 2017-07-12 2021-06-2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ody track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475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행거트롤리 시스템
CN105752596A (zh) * 2014-09-30 2016-07-1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挂钩吊运车系统
US9637137B2 (en) 2014-09-30 2017-05-02 Hyundai Motor Company Hanger trolley system
US11046525B2 (en) 2017-07-12 2021-06-2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ody tracking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925B1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차체 트랙킹 장치 및 방법
US7854314B2 (en) Dynamic singulator
CN100572253C (zh) 自动人行道、自动坡道或自动扶梯
KR20010108045A (ko) 컨베이어 장치
WO2021017386A1 (zh) 一种合流控制机构
CN101337623B (zh) 抛射式轮胎快速合流装置
KR20060118691A (ko) 차체이송시스템 및 방법
CN109436707A (zh) 一种自适应物料规格的对中定位料车
CN101500917A (zh) 传输设备
CN102963698B (zh) 移行机运行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2360019B (zh) 一种应用于全自动化学发光分析仪的样本架传送与推动装置
CN201317576Y (zh) 抛射式轮胎快速合流装置
CN201087016Y (zh) 轻型双链移行机
ATE375318T1 (de) Anschlag- und dämpfermodul
JP4231393B2 (ja) ハンガーの合流装置
CN100400407C (zh) 客运输送机
CN106516695B (zh) 产品输送线自动合流装置
ES2194384T3 (es) Sistema de transporte automatizado de neumaticos no vulcanizados.
WO2020228495A1 (zh) 一种分拣设备
JP2006124126A (ja) 仕分けシステム
CN210914126U (zh) 一种合流控制机构
KR100813581B1 (ko)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CN219859295U (zh) 一种双道变单道运输装置
CN214003299U (zh) 一种同步带运输系统
KR20150021717A (ko) 유압장치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