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914A -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914A
KR20060116914A KR1020050039438A KR20050039438A KR20060116914A KR 20060116914 A KR20060116914 A KR 20060116914A KR 1020050039438 A KR1020050039438 A KR 1020050039438A KR 20050039438 A KR20050039438 A KR 20050039438A KR 20060116914 A KR20060116914 A KR 2006011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use
input device
track ball
track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6914A/ko
Publication of KR2006011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1Mouse/trackball convertible devices, in which the same ball is used to track the 2D relative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 설계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 몸체에 트랙볼을 구비하여 마우스의 위치 인식 수단 혹은 상기 트랙볼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레이아웃 설계 작업의 효율이 상승하여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에서는 다른 편집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이 레이아웃 설계 작업이 가능하다.
마우스, 레이아웃, 트랙볼

Description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Input unit including mouse and track ball }
도1은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 설계 작업에 사용하던 종래의 마우스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몸체 20, 200 : 제1 버튼
25, 250 : 휠 버튼 30, 300 : 제2 버튼
40, 400 : 불 70 : 연결선
600 : 트랙볼
본 발명은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는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 설계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주변장치(peripheral unit) 중 입력 장치의 하나인 마우스(mouse)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마우스 하부에 돌출된 볼이 바닥과의 마찰에 의해 움직이는 볼 마우스가 사용되었다.
특히 반도체 소자의 설계를 위하여 레이아웃(layout) 설계 작업을 하는 경우에 모니터 상에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레이아웃을 편집하는 경우에 마우스가 사용된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루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 보다는 주로 워크스테이션 급 컴퓨터에서 레이아웃 설계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때 정확한 위치 데이터의 입력이 필수적이다.
도1은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 설계 작업에 사용하던 종래의 마우스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우스 입력 장치는 몸체(10), 제1 버튼(20), 제2 버튼(30) 및 볼(40)을 구비한다. 몸체(10)는 지지대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버튼(20) 및 제2 버튼(30)은 몸체(10)의 상부에 나란히 형성된 입력 버튼으로, 각각으로 대응하여 좌측 버튼 및 우측 버튼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버튼(20)과 상기 제2 버튼(30) 사이에 휠 버튼(25)을 설치하여, 문서나 메뉴에서 커서가 상하로 이동하는데 편리하여 많이 사용된다. 위치 인식 수단으로 사용되는 볼(40)은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고, 몸체(10)에 연결된 연결선(70)은 컴퓨터 단자에 연결되어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종래의 마우스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아웃 설계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버튼(20) 또는 상기 제2 버튼(30)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거나 편집할 부분을 선택하고, 키보드(keyboard)의 방향이동 키를 이용하여 화면을 이동시키면서 레이아웃 설계 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키보드의 방향이동 키를 이용하여 화면이동이나 위치를 이동하면, 상세한 위치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의 방향이동 키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 마우스 입력 장치로 선택한 기능이 해제되어 다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레이아웃 설계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아웃 설계 작업시 하나의 입력 장치로 메뉴나 편집할 영역을 선택하면서 이동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는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 몸체에 트랙볼을 구비하여 마우스의 위치 인식 수단 혹은 상기 트랙볼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는 컴퓨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버튼;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위치 인식 수단; 및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트랙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수단은 볼 또는 광센서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는 몸체(100), 제1 버튼(200), 제2 버튼(300), 위치 인식 수단 및 트랙볼(500)을 구비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0)는 지지대 역할을 하면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모양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버튼(200) 및 제2 버튼(300)은 몸체(100)의 상부에 나란히 형성된 입력 버튼으로, 각각으로 대응하여 좌측 버튼 및 우측 버튼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 인식 수단은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볼(400) 또는 광센서(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로서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트랙볼(500)은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 인식 수단의 대체 장치로 작용하여, 상기 위치 인식 수단 및 트랙볼(500)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컴퓨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몸체(100)에 형성된 트랙볼(500)을 구비하여 트랙볼(500) 혹은 마우스의 위치 인식 수단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 용한다. 몸체(100)에 연결된 연결선(600)은 컴퓨터 단자에 연결되어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무선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제1 버튼(200)과 상기 제2 버튼(300) 사이에 휠 버튼(250)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 버튼(250)은 문서나 메뉴에서 커서가 상하로 이동하는데 편리하여 최근에 많이 적용한다.
워크스테이션 급의 컴퓨터에서 본 발명의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아웃 설계 작업을 하는 경우 키보드의 방향이동 키 대신에 트랙볼(500)을 사용하여 위치 이동 작업을 실행한다.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을 위하여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오퍼스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도면 요소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키보드의 방향이동 키 대신에 몸체에 형성된 휠 버튼(500)을 움직여서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키보드는 다른 편집 기능을 가지는 단축키를 활용하는데 사용하고 컴퓨터 모니터 상의 메뉴와 이동은 본 발명의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로 처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 설계 작업에서 종래와 달리 키보드 상의 방향이동 키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하나로 모든 이동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아웃 설계 작업의 효율이 상승하여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과적으로 키보드 상에서는 다른 편집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이 레이아웃 설계 작업이 가능하다.

Claims (3)

  1. 컴퓨터용 입력 장치에 있어서,
    몸체에 트랙볼을 구비하여 마우스의 위치 인식 수단 혹은 상기 트랙볼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2. 컴퓨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버튼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위치 인식 수단;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트랙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수단은 볼 또는 광센서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KR1020050039438A 2005-05-11 2005-05-11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KR20060116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438A KR20060116914A (ko) 2005-05-11 2005-05-11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438A KR20060116914A (ko) 2005-05-11 2005-05-11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14A true KR20060116914A (ko) 2006-11-16

Family

ID=3770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438A KR20060116914A (ko) 2005-05-11 2005-05-11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69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rison et al. Using shear as a supplemental two-dimensional input channel for rich touchscreen interaction
US20190220107A1 (en) Computer mouse
CN101382851A (zh) 计算机系统
JP5485154B2 (ja) 入力装置、特に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JP2011501312A (ja)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JP5025450B2 (ja) 文字入力装置
KR20060116914A (ko) 마우스 및 트랙볼 겸용 입력 장치
TW200820053A (en) Touch pad function extension system and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070077314A (ko) 터치 패드와 스위치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KR20110062740A (ko) 엄지로 조작하는 마우스가 키보드 위에 장착된 마우스 일체형 키보드
KR19980034004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개인 휴대용 기기
JP2007328475A (ja) キーボード
CN112882589A (zh) 触控板的控制方法
CN207742638U (zh) 一种带鼠标功能的台式计算机键盘
KR101118224B1 (ko) 노트북컴퓨터에서 키보드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버튼구현방법
KR102252984B1 (ko) 반도체 공정 장비에서의 복수 개의 장비 사이에서 전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일체형 입력장치
KR200183680Y1 (ko) 컴퓨터의 입력장치
JP3145773U (ja)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KR19990048823A (ko) 터치패드 겸용 마우스
KR20080050641A (ko)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KR20040084610A (ko) 스크롤 터치패드
JP2000353052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WO2020217336A1 (ja) タッチパッド用のシステム
JP2017142546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入力補助装置
KR200274067Y1 (ko) 발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