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641A -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641A
KR20080050641A KR1020060121112A KR20060121112A KR20080050641A KR 20080050641 A KR20080050641 A KR 20080050641A KR 1020060121112 A KR1020060121112 A KR 1020060121112A KR 20060121112 A KR20060121112 A KR 20060121112A KR 20080050641 A KR20080050641 A KR 20080050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button
touch pad
function
pointing devi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정
Original Assignee
심상정
박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정, 박태운 filed Critical 심상정
Priority to KR102006012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641A/ko
Publication of KR2008005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컴퓨터의 입력장치로 쓰이는 기존의 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는 범용의 터치패드의 포인팅장치
포인팅장치, 터치패드

Description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Ergonomically designed touchpad pointing device}
도 1은 터치패드를 포인팅장치를 갖는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내는데 포인팅장치의 구성은 터치패드(110), 제1기능버튼(120), 스크롤 휠(140), 제2기능버튼(130)으로 구성된다. 제1기능버튼은 오른손잡이에게 명령선택/실행 기능을 담당 하여 모니터에서 포인터를 메뉴를 선택하고 실행시키고, 제2기능버튼은 메뉴확장기능을 담당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 시스템에서 숨겨진 명령, 정보, 메뉴를 드러내게 된다. 스크롤 휠은 모니터상의 내용을 좀 더 효율적으로 검색하기위해 화면의 내용을 상하로 신속하게 움직이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왼손잡이에게도 동일한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능버튼의 기능이 오른손잡이와 반대로 프로그램을 통해 적용된다.
도 2는 탈착식 터치패드와 마우스볼 겸용인 유무선식 입력장치로 갖는 노트북 컴퓨터를 보여 주는데, 그림의 탈착식 터치패드(210)의 밑면에 볼마우스가 있어서 본체에서 떼어 낸 다음 뒤집어서 무선으로 작동시키면 마우스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도 3은 기능버튼을 터치패드의 좌측에 배열시켜 양손의 엄지로서 작동하도록 한 노트북컴퓨터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터치패드를 오른손으로 작동하도록 한 포인팅장치를 보여준다. 터치패드(410)의 상단 우측에 명령실행버튼 및 메뉴확장버튼(420)이 있고, 그 바로 밑에 스크롤휠(430)이 배열되어 있어 터치패드 위에서 엄지를 움직여 포인터를 화면상에서 움직이고 명령실행 및 메뉴확장을 검지와 중지가 버튼(420)을 작동시켜 담당하게 한 장치이다.
도 5는 터치패드(502)의 기능버튼(501)을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손가락 누름 위치에 따라 5b~b"와 5c~c"에 나타내고 있다. 5b와 5c는 손가락이 터치패드로부터 먼 쪽의 기능버튼 모서리를 누르기 전 상태로서 기능버튼이 off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5b는 손가락이 닿는 기능버튼 면이 주위의 높이와 같은 경우를 5c는 off 상태에서 주위보다 높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5b'와 5c'는 각각 눌려져서 on 상태가 되었을 때의 손가락(엄지)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5b''와 5c''는 손가락이 터치패드에 가까운 기능버튼 모서리를 누를 경우 각각 off 상태와 on 상태가 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포인팅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기능버튼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on/off 가 가능하게 하는 돔(dome)스위치(603)와 스프링(604)를 이용한 구조이다. 터치패드(602)의 기능버튼(601)을 off 상태(6a)일 때와 on 상태(6b, c, d)일 때를 보여 주며 손가락의 위치가 터치패드에 먼 쪽(6a), 가까운 쪽(6c)과 그 중간 위치인 기능버튼의 가운데를 누를 때 기능버튼의 높이의 변화를 가져오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터치패드(701)의 기능버튼(702)이 상하로 평행하게 움직이도록 컴퓨터 몸체(705)의 요철구조가 기능버튼의 가이드 역할을 하며 스프링(704)과 돔(dome)스위치(703)를 이용한 형태이다. off 상태(7a, 7b)에서는 기능버튼이 주위보다 올라와 있으며 주위와 동일한 위치일 때 on 상태(7a', a", a'")를 유지하는 구조를 보여주 고 있다. 7a~a'"는 7c에 보여주는 터치패드와 기능버튼의 위치에서 A-A'를 따라 자른 단면 구조를 보여주며, 7b와 b'는 B-B'를 따라 자른 단면 구조를 보여 주는데 7b는 7a를 7b'는 7a'~a'"의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8은 도 7과 동일하지만 다만 기능버튼의 폭(C)이 넓어질 경우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하지만 기능버튼이 on 상태에서도 주위의 바닥면보다도 더 높이 올라와 있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0은 기능버튼의 손가락이 닿는 면이 평면이 아닌 곡면 구조를 갖는 경우를 보여주는데 10a(1)은 on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최고점이 바닥면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경우이고 10a(2)는 on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최고점이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10b(1)과 10b(2)는 각각 10a(1)과 10a(2)의 구조를 기능버튼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터치패드(1101)의 기능버튼(1102)이 off 상태에서는 주위 바닥면보다 높이 올라와 스위치(1103)를 off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도 8과 동일하나 기능버튼의 움직임이 레버에 의해 작동하도록 한 구조이다.
도 12는 터치패드(1201)의 기능버튼으로 또 다른 터치패드(1202)를 사용하는 경우 를 보여준다.
컴퓨터가 GUI(graphic user interface)시스템으로 전환되게 한 것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실행 명령의 내용과 위치를 지정하여 주는 포인터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장치로 마우스가 등장하고 나서부터이다. 그 이후로 컴퓨터가 휴대용으로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하기 위해 컴퓨터의 외부에 연결된 마우스를 대체하기 위해 컴퓨터에 일체형으로 터치패드 포인팅장치가 내장용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게 되었다. 하지만 이들 장치와 마우스의 차이는 마우스가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 마우스 자체를 이동시키는 것과는 달리 이들 장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대신 손가락을 움직여서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하게 점에서 그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 차이점에 의해서 사용상의 편리성에서 이들 장치가 마우스에 비해 떨어지게 된다. 이런 연유에서 아직까지 노트북의 본체에 이들 포인터 입력장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즉 컴퓨터가 GUI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경우 입력좌표 외에도 추가적으로 수반되는 실행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추가적인 명령버튼을 마우스, 터치패드, 포인팅스틱 장치에 필수적으로 추가되게 되었다. 특히 마우스의 경우 그 사용상의 편리성은 포인터의 위치 설정에 필요한 동작과 그에 따르는 실행 명령을 위한 명령버튼을 작동하는 손동작이 마우스의 움직임이 끝난 후에 손가락이 정지된 상태에서 누름동작에 의해 종료되는데 반해 터치패드나 포인팅스틱은 포인트의 위치를 설정한 후에 추가적으로 손가락의 위치가 이동해야 하므로 입력행위의 연속성과 신속성에서 마우스에 비해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거나, 엄지가 기능버튼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검지가 움직여야 하므로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마우스는 위치좌표 선정과 동시에 손이나 손가락의 추가적인 이동 없이 실행명령을 엄지, 검지, 중지에 의해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음에 반해 터치패드 장치는 명령버튼을 작동시키기 위해 부자연스럽거나 추가적인 손목, 손가락의 움직임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손을 사용하여야만 실행명령의 입력이 완성되게 된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터치패드 포인팅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우스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완성하고자 많은 노력이 있었으며 더욱이 마우스의 경우에도 마우스를 움직여서 좌표를 변경시키기 위한 마우스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볼 마우스가 개발되었으며 명령버튼도 하나에서 세 개까지 더 나아가서 이들 명령버튼의 위치도 검지, 중지, 인지가 닿는 부분에서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을 보여주는 예가 한국특허 10-0259264호(등록번호)인데 도 2에 그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 특허에서는 터치패드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탈착식 터치패드를(210)을 고안하였는데 터치패드의 반대편에 볼마우스의 형태의 부가적인 입력장치를 형성하여 필요시에 컴퓨터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무선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마우스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한국실용신안 1997-003481호(출원번호)의 경우 터치패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손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은 키보드에 위치하고 단지 양손의 엄지손가락만으로 터치패드로 위치좌표를 설정 및 명령실행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게 명령버튼 두 개를 키보드의 스페이스 바 아래에 위치한 터치패드의 좌측에 배치하였다(도 3). 또 다른 한국특허 10-2000-0013510호(출원번호)에는 키보드의 키를 터치패드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여 마우스 혹은 터치패드를 사용하기 위한 손의 움직임을 줄이거나 마우스나 터치패드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특허 제2000213492호(출원번호)는 터치패드(410)와 실행버튼(420) 및 스크롤버튼(430)을 도 4와 같이 배치하여 엄지손가락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이후 수반되는 명령을 추가적인 손의 움직임이 없이 검지와 중지로 클릭버튼을 작동시켜 실행할 수 있는 형태를 고안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노트북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포인팅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터치패드의 형태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외장형 마우스를 추가적으로 장착하지 않고도 휴대용 컴퓨터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공급되는 터치패드만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버튼의 구조를 제공한다.
포인팅장치로서 터치패드가 마우스에 비해 사용상에 불편함을 초래하는데 그 이유는 마우스의 경우 기능버튼이 마우스 본체와 함께 움직여서 마우스 본체의 움직임에 의한 포인팅작업이 이루어진 위치에서 기능버튼 눌림 동작이 손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터치패드의 경우는 포인팅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기능버튼 누 름 동작이 같은 위치에서 이루어 질 수도 있지만 대개의 경우 기능버튼을 누르기 위한 손가락이 고정되고 특히 누름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도 누름동작이 지속돼야 하는 드래깅(drag) 작업은 특히 터치패드의 사용을 힘들게 하여 많은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이용한 내장형 포인팅장치를 마우스 휴대를 잊어버리는 등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하거나 아예 포기하게 만드는 이유이다. 이에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능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도 포인팅작업을 위한 손가락만이 아니라 기능버튼을 누르는 손가락도 기능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기능버튼의 구조를 제공하여 마우스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져오게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5에서 도 12 까지 구조적인 내용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그 내용을 차례로 설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포인팅장치로 사용되는 터치패드가 가지는 단점은 도 5b~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손가락이 닿는 기능버튼 접촉면이 주변의 바닥면과 높이가 같아 off 상태에서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만 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운데 부분만을 눌러줘야 하고 가장자리를 누를 경우 기능버튼 주위의 바닥면에 의해 누름동작이 방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손가락이 기능버튼의 중앙에 있어야 누름동작이 원활하여 진다. 특히 기능버튼의 중앙을 누루기위해서는 손가락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누워서는 안 되고 어느 정도 기울어져 손가락 끝만을 이용하여야 누름이 원활해 진다. 이에 반해 도 5c~c''에 나타난 본 발명에 제공하는 기능버튼의 구조는 off 상태에서 기능버튼이 주위의 바 닥면에 비해 돌출되어 있지만 누렸진 상태에서는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며 심지어 손가락이 바닥면을 이용하여 누름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기준면으로 작용하여 손가락이 기능버튼과 맞닿는 바닥면만을 누르고 있어도 on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기능버튼을 누르는 손가락이 기능버튼의 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대한의 힘을 가할 필요가 없이 단지 기능버튼과 맞닿는 바닥면을 확인하는 정도의 최소한의 힘만을 유지하면 on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기능버튼의 상세구조는 도 6에 나타나 있는데 스위치(603)를 작동시키기 위해 기능버튼(601)를 누르는 손가락의 기능버튼 상의 위치에 따라 스위치를 on 시키는 높이가 달라진다. 따라서 도 5c에 나타난 바와 달리 도 6의 경우는 기능버튼을 누르는 손가락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기능버튼 위를 움직일 경우 on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손가락이 6c의 위치에서 6d의 위치로 이동할 경우 기능버튼의 높이를 동일하다고 여겨 움직이게 되고 그럴 경우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바뀌게 되어 사용자의 작업이 다시 반복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손가락이 움직이기 전에 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높이의 예측이 불가능한 경우 이와 같이 높이의 변화를 항상 염두에 두고 작업해야하는 어려운 점을 비유하자면 도 5c는 그냥 기준면(바닥면)에 닿기만(touch) 하면 되지만 도 6의 경우는 닿기만 해서는 안 되고 항상 눌러줘야(depress)만 하는 것이어서 작업의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이 점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능버튼의 핵심이다. 그리고 도 5c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능버튼의 또 다른 장점은 기능버튼을 작동시키는 손가락(주로 엄지)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누운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손가락에 걸리는 힘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그 이유는 도 5b에 나타난 엄지의 모양을 갖기 위해서는 손바닥이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야 하고 이렇게 손바닥이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면 손을 지지하는 힘이 터치패드를 조작하는 손가락(검지)과 기능버튼을 조작하는 손가락(엄지)에 집중되게 된다. 하지만 도 5c에 나타난 손가락의 모양은 손바닥이 바닥면에 닿아도 괜찮기 때문에 손을 지지하는 힘이 손바닥에 집중하여 상대적으로 손가락에 작은 힘이 걸리고 이러한 작은 힘은 기능버튼의 스프링의 탄성력을 작게 하여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의 누름동작도 편하게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기능버튼이 on 상태에서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경우 on 상태에서도 도 5c''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패드 위쪽으로 더 나아갈 수도 있어서 결과적으로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터치패드를 작동하는 손가락과 같이 자유롭게 바닥면과 평행하게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점이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버튼의 기술이다. 도 7과 도 8은 기능버튼의 폭(도 7과 도 8에서 'C')의 변화가 가져오는 편리성에 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폭이 5mm이하인 경우(도 7)와 10mm이상인 경우(도 8)를 비교해 보면 폭이 작은 경우(도 7)는 손가락이 기능버튼의 아래위로 맞닿는 두 개의 바닥면 모서리 모두를 항상 감지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들이고 누름상태를 유지하며 움직일 수 있는데 반해 폭이 큰 경우(도 8)는 기능버튼과 맞닿는 바닥면 모서리 중 하나만을 감지하며 누름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하며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기능버튼의 폭이 커지면 그 만큼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커지게 되어 작동상의 편리함을 가져온다.
이상에서는 기능성버튼이 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능버튼이 맞닿는 바닥면과 높이 같은 경우에 대해서만 논의 하였지만 실제로 on 상태에서 바닥면보다 높아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의 자유로움과 작동상의 원리도 동일하여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도 6에 나타나는 기능버튼의 단점(기능버튼에 손가락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on되는 높이의 차이가 발생하여 손가락이 기능버튼 위를 움직임에 따라 기능버튼이 높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점)이 없고 on 상태에서 바닥면과의 높이 차가 10mm이상 바람직하게는 5mm이상 되지 않는다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11은 기능버튼의 위치에 따른 높이의 차를 보이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 작동원리상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이 기능버튼을 닿고 있는 한에서는 그 높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9와 도 10에 나타난 기능버튼의 구조가 도 6의 기능버튼의 구조와 갖는 차이는 현재의 기능버튼 상의 손가락이 놓여 있는 자리에서 손가락이 감지하고 있는 높이가 손가락이 기능버튼 위를 따라 움직이더라도 변화되지 않으면 그 자체가 기준면으로 작동하게 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이 편하게 된다. 정리하면 도 5c와 도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능버튼의 높이가 기능버튼과 맞닿는 바닥면과 동일한 경우는 바닥면이 기준면으로 작동하는 것이고 도 9와 도 10의 경우는 기능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손가락 닿는 면이 기준면 으로 작동하여 이 면을 따라 손가락이 움직이기만 하며 on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기준면이 평면이든 곡면이든, 고정면(바닥면)이든 동작면(기능버튼 위면)이든 기능버튼이 on 상태 유지시키면서 기능버튼을 작동하는 손가락이 이 면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 궁극적으로 터치패드의 포인팅작업 중 드래깅(drag)이 손쉽게 이루어져 마우스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확장시킨 것이 기능버튼을 누름식이 아닌 터치스위치를 이용하면 누름스위치에 수반되는 누름동작 자체를 없앨 수 있어서 드래깅(drag)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도 5~도 10에서는 기능버튼이 상하 움직임이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보이고 있지만 레버 형태를 갖는 경우도 off 상태에서 기능버튼의 손가락이 닿는 면이 바닥면과 기울기를 가질지라도 기능버튼이 눌러졌을 때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버튼의 작동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원리에 부합되는 기능버튼으로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터치패드(1201)과 더불어 기능버튼으로 제2의 터치패드(1202)를 사용하면 각 터치패드의 탭(tap) 기능으로 도 1에 나타난 기존의 좌우버튼의 기능을 담당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2의 터치패드(1202)의 탭(tap), 더블 탭(double tap)으로는 선택 및 명령실행 기능(오른손 잡이의 경우 좌측 마우스 버튼 기능)을 기존의 터치패드로는 메뉴확장 기능(오른손 잡이의 경우 좌측 마우스 버튼 기능)을 부여하여 마우스와 동일한 사용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드래깅(drag) 작업에서 터치패드의 홀드(hold)기능에 해당하는 탭앤드터치(한번 탭핑한 후 이어서 터치패드에 손가락을 계속 접촉하고 있는 동안 에는 기능이 지속)를 이용할 경우 기존 누름 스위치에서 요구되는 누름 동작에 힘이 전혀 필요하지 않아 오히려 마우스보다 더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터치패드의 터치스위치 기능을 프로그램상으로 다양하게 변화 시킬 수 있어서 그 확정성은 기계적인 기능버튼보다 월등하다고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 하나의 터치패드를 가지고 프로그램상에서 터치패드의 영역분할을 지정하면 하나의 터치패드로 좌우 버튼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능버튼 설명을 위해 하나의 기능버튼만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도 1에서 보여 지는 두 개의 기능버튼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서 내장형 포인팅 입력장치인 터치패드와 함께 쓰이는 기능버튼 구조를 인체공학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인팅장치를 제공하며, 사용 공간의 확보 및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장치의 간소화도 함께 이루게 되며 더 나아가 PDA, Palmtop computer, Video game controller 등의 GUI 시스템에서도 포인팅장치로서 외장 마우스의 편리성과 내장형으로 소형화를 동시에 이룩할 수 있게 한다. 궁극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터치패드의 포인팅장치를 장착할 경우 외장형 마우스와 키보드 사이를 움직여야 하는 손의 움직임을 없앨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극대화 될 수도 있게 한다.

Claims (10)

  1.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는 포인터 입력장치인 터치패드 기능버튼이 on 상태에서 기능버튼을 누르는 손가락의 기능버튼 위의 위치에 관계없이 기능버튼의 손이 닿는 면이 항상 일정한 높이를 갖는 기능버튼과 이를 이용하는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2. 청구항 1에서 터치패드 아래쪽에 하나의 기능버튼만을 배치하여 제1기능버튼의 기능을 담당하고 제2의 기능버튼 기능은 터치패드의 탭핑에 의해 구현되도록 한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3. 청구항 2에서 기능버튼의 기능은 통상적으로 오른손잡이의 왼쪽 마우스버튼에 해당하는 선택 및 실행 명령을 담당하고 터치패드의 탭핑에 의한 기능은 오른손잡이의 왼쪽 마우스버튼에 해당하는 메뉴확장 기능을 담당하게 한 포인팅장치
  4. 청구항 1에서 터치패드가 직사각형인 경우 기능버튼이 그 주위보다 돌출된 높이가 10mm이하 바람직하게는 5mm이하 이고 기능버튼의 가로의 폭은 터치패드의 가로 길이와 유사하거나 좌우 양쪽으로 15mm까지 더 크고 , 세로의 폭은 20mm이하인 기능버튼의 구조를 갖고 터치패드의 하단에 10mm 이내에 배치된 구조의 포인팅장치
  5. 청구항 1에서 터치패드가 주위보다 높이가 낮은 터치패드로서 바람직하게는 주위보다 2mm내지 5mm정도 높이가 낮은 터치패드를 갖는 포인팅장치
  6. 청구항 1에서 터치패드가 원형인 경우는 기능버튼의 가로 폭이 터치패드의 지름과 유사하거나 좌우 양쪽으로 15mm까지 더 크고 세로의 폭은 마찬가지로 20mm이하인 기능버튼을 원형 터치패드와 10mm이내에서 원주를 따라 잘라진 도우넛 형태로 혹은 터치패드 하단에 직사각형 형태로 근접하게 배치된 포인팅장치
  7. 청구항 2에서 기능버튼으로 터치스위치를 이용한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8. 청구항 7에서 기능버튼으로 제2의 터치패드를 이용한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9. 청구항 8에서 터치패드의 태핑영역을 구분하여 좌우 기능버튼의 기능을 담당하게 하는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10. 청구항 1에서 컴퓨터시스템 외에 PDA, Video game controller 등의 GUI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포인팅장치
KR1020060121112A 2006-12-04 2006-12-04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KR20080050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12A KR20080050641A (ko) 2006-12-04 2006-12-04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12A KR20080050641A (ko) 2006-12-04 2006-12-04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41A true KR20080050641A (ko) 2008-06-10

Family

ID=3980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12A KR20080050641A (ko) 2006-12-04 2006-12-04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06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7364A (zh) * 2012-09-14 2014-03-26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触控系统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7364A (zh) * 2012-09-14 2014-03-26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触控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4702A (en) Pointing device with wrap-around buttons
JP5667002B2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US6970159B2 (en) Mouse printing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pad buttons
US20090262086A1 (en) Touch-pad cursor control method
US6046728A (en) Keyboard actuated pointing device
KR101042285B1 (ko) 마우스와 멀티터치 기능을 가진 터치패드가 키 캡에 통합된 키보드
JP4922901B2 (ja) 入力装置
KR20070114143A (ko) 컴퓨터 마우스 주변 장치
KR20080006493A (ko)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키보드
JP6194355B2 (ja) コンピュータと共に用いるデバイスの改良
CN102236502A (zh) 一种移动终端压力触控手势识别的人机交互方式
KR20080038247A (ko)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1923388A (zh) 输入设备及包含该输入设备的计算机
KR20040081697A (ko) 마우스식 터치패드
JP3169021U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マウス
GB2445178A (en) A single touchpad to enable cursor control and keypad emulation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0266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KR20080050641A (ko)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KR101119835B1 (ko) 터치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리모콘
US20100289751A1 (en) Operation method for a trackpad equipped with pushbutton function
KR20080033824A (ko) 인체공학적인 포인팅장치
KR20150136708A (ko)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반지형 무선 콘트롤러 장치
WO1998043194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ving a cursor on a computer display and specifying parameters
KR20070120205A (ko) 인체공학적인 포인팅장치
KR20080052497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