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172A -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평면 방전 램프들의 제작 - Google Patents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평면 방전 램프들의 제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172A
KR20060116172A KR1020060041372A KR20060041372A KR20060116172A KR 20060116172 A KR20060116172 A KR 20060116172A KR 1020060041372 A KR1020060041372 A KR 1020060041372A KR 20060041372 A KR20060041372 A KR 20060041372A KR 20060116172 A KR20060116172 A KR 2006011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charge
cover plate
gap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296B1 (ko
Inventor
아멧 오란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1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5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6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01J9/268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the vessel being fl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34Joining base to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0Clos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방전 베셀을 갖는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 진공 노에서의 압력 적응에 대한 필요성 및 스트레인을 회피하기 위해서, 방전 베셀들의 결합 동안에, 갭들이 방전 베셀의 프레임에 존재하고, 이를 통해서 적어도 압력 균등화 또는 그렇지 않으면 진공, 플러싱 및 채움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평면 방전 램프들의 제작{PRODUCTION OF FLAT 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 LAMP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작 방법의 개시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추가적인 방법 단계들 이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프레임 파트들을 장착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순차적인 3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방법을 위한 유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적용된 유리 솔더 구조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링하기 이전에 방전 베셀 파트들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링한 이후에 방전 베셀 파트들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플레이트 5 : 프레임
6 : 갭 10 : 커버 플레이트
11 : 유리 솔더 17 : 진공 유지 장치
본 발명은 평면 방전 베셀들(flat discharge vessels)을 구비하는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들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들은 본래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들에서는, 애노드들(종종 전극들로도 지칭됨)이 방전 베셀 내에서 유전 층에 의해 가스 방전 램프로부터 분리된다. 그러한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들(또는 "사일런트 방전 램프(silent discharge lamps)")은 각기 다른 외형(geometry)으로 구현된다. 다른 기술적 특성들 이외에도, 상기 방전 램프들은 또한, 특히 백라이팅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모니터들,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을 위해서 또는 그 밖의 일반적인 조명을 위해서 평면 형태의 방전 베셀들을 구현할 수 있는 유효한 가능성 때문에, 중요하다.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들을 위한 그러한 평면 방전 베셀들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두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프레임이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들은 프레임과 함께 방전 공간을 밀폐시킨다. "평면"이란 용어는, 방전 베셀의 평평한 정도, 즉 플레이트들의 에지 길이들이 실질적으로 거기에 수직하는 방전 베셀의 두께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전 베셀은 "결합"되어야 하는데, 즉, 초기에 개별적인 각 파트들이 서로 결합되어야 하고, 그 중 일부는 일반적으로 노(furnace)에서 유리 솔더(glass solder)를 녹임으로써 이루어진다. 최종적인 실링 단계(sealing)에 앞서서, 방전 베셀에 의해 연결된 방전 공간은 예컨대 가열 동안에 유리 솔더로부터 나오는 접합제 찌꺼기들(binder residues)과 같은 오염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진공처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방전 매체로 채워져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한 처리 단계는 방전 매체로 채운 이후에 방전 베셀을 완벽하고 견고하게 실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는 종래 기술에서는, 특히 안정성을 이유로 어떠한 경우에도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스페이서들이 유리 솔더 "쿠션들" 상에 위치되고 그럼으로써 커버 플레이트와 프레임 사이에 갭이 여전히 남아 있을 정도로 높게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통해, 이루어졌다. 특정 온도에서 시작해서, 커버 플레이트는 이어서 유리 솔더 쿠션들의 연화(softening) 및 스페이서들의 상응하는 싱킹(sinking)으로 인해 프레임 상에 내려지고, 연화된 유리 솔더에 의해서 차례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커버 플레이트와 프레임 사이의 유리 솔더 쿠션들을 통해서 커버 플레이트를 높게 유지하고 연화를 통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낮아지게 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었다.
본 발명은 평면 방전 베셀을 구비하는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들을 위한 유리한 방전 베셀 제작 방법들에서 필요한 실링에 관하여 명시하고 또한 그에 따라 제작된 방전 램프를 명시하는데 기초한다.
본 발명은 평면 방전 베셀을 구비하는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에, 프레임,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는 결합되고, 이러한 파트들은 유리 솔더를 녹임으로써 결합되는데, 상기 방법은, 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의 파트들 사이에 갭을 남겨두고, 상기 파트들을 결합하기 위해서 결합시에 갭이 방전 베셀 내부로의 액세스로서 유지되고, 결합 이후에, 유리 솔더가 노(furnace)에서 방전 베셀의 가열로 인해 상기 갭으로 흘러 들어가며, 그럼으로써 상기 갭을 실링하여 결국은 방전 베셀을 실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되는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세부사항들이 독립항들에서 명시되며,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독립들에 개시되고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특징들은 방법 양상 및 장치 양상 모두에 대해서 중요하며, 상기 방법 및 장치 사이에는 뚜렷하게 자세한 구별점이 없다.
본 발명은 가장 일반적으로 유리 솔더를 녹임으로써 커버 플레이트, 프레임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하여 진행된다. 이러한 처리에서, 프레임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동안에 영구적으로 이미 부착되거나, 단지 그 위에 얹혀 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원피스(one piece)로 설계될 수 있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커버 플레이트 자체에 또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원피스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플레이트의 장착 동안에 프레임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위치되거나, 즉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그 위에 얹 혀 지거나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원피스로 설계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바람직하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는 유리 솔더에 의해서 프레임에 결합되는데, 그 중 일부는 본래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는 달리, 프레임은 예컨대 코너에서 프레임 파트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갭을 이미 구비하는데, 이는 상기 파트들이 결합되기 이전에, 특히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기 이전에 이루어진다. 상기 파트들이 결합될 때, 이러한 갭은 여전히 계속해서 존재하여 방전 공간으로의 액세스로서 기능하는데, 즉 압력을 균등화하거나 방전 매체로 채우고, 적절하다면 사전에 진공시키고 플러싱하는 등을 위해서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갭 및 방전 베셀이 연화된 유리 솔더가 갭 내로 흘러 들어감으로써 실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방전 베셀은 노에서 충분한 온도로 가열되고, 여기서는 예컨대 사전 진공 단계들 및 플러싱 단계들, 그리고 여하튼간에 방전 매체로 채우는 것이 실행된다. 그 목적은 이 경우에는 유리 솔더가 중력 및/또는 모세관 력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중력, 즉 위에서 아래로의 중력에 의해서 갭 내로 흐르게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과는 달리, 이러한 처리는, 유리 솔더가 비교적 액체 상태이지만 반드시 점성 형태(viscous fashion)는 아닐 수 있을 때에 수행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방전 베셀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특정의 최소 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절차의 경우에는, 최대 방전 베셀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이미 연화됨으로써 시간적으로 초기에 연화되어 이미 클로즈된 방전 베셀이 추가적으로 가열되는 유리 솔더 쿠션들의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그 결과, 첫 번째로, 먼저 열적 으로 유도된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따라서 노의 압력이 상승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자가 인지한 바와 같이, 증가된 거부율(rejection rate) 또는 오류율(failure rate)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램프에서 "고정(frozen)"된다.
이러한 곤란성은 본 발명의 경우에 회피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온도에 도달해서야 유리 솔더가 충분히 흐를 수 있어 갭을 실링하고, 그 순간에 유리 솔더는 또한 견고한 결합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의 어떤 상당한 추가적인 상승도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그와 독립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이유로,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유리 솔더 쿠션들이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해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설계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와 분리된 파트로서 프레임을 장착하는데, 특히 갭이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프레임 파트들의 형태이다.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이 유리 솔더에 의해서 차례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단계, 및 프레임과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보충 단계는 갭의 새로운 실링을 통해 공동으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파트들 형태로 장착될 때, 갭이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나 바람직하게는 또한 두 포인트들에서 그러한 두 파트들 사이의 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두 프레임 파트들은 대각선에 의해 분리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절반일 수 있는데, 즉, 두 개의 대각으로 상반되는 코너들에 갭들 을 남기는 설정된 정사각형들일 수 있다.
갭들이 직사각형의 4 코너들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서 4 개의 분리된 스트레이트 로드들 형태로 프레임을 장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레이트 로드들은 특히 수월하면서 비용 효과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수의 4 갭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질적으로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 펌핑 및 채움 목적으로 방전 공간을 액세스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갭들을 실링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의도되는 유리 솔더는, 프레임을 결합하거나 혹은 결합하지 않고, 커버 플레이트가 장착되기 이전에 커버 플레이트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예컨대, 유리 솔더는 대빙(dabbed)될 수 있거나 또는 확산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로 확산될 수 있고, 이어서 건조될 수 있다. 물론, 예컨대 갭들의 상단면 영역에 유리 솔더로 몰딩(molded) 파트들을 장착하거나 클램핑함으로써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은 방전 베셀이 상단 플레이트의 장착 이후에 결합 동안 유지되는 유지 프레임을 제공한다. 예컨대, 여기서는 특히 구멍을 낸 시트 프레임(sheet frame)이 VA 강철로 제작되는 것이 고려된다. 유지 프레임은 또한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기 이전에 이미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접합을 통한 장착을 보장하며 또한 프레임 파트들이 차례로 미끄러질 수 있는 경우에 횡단 변위를 통해 후속하는 정정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은 이미 프레임이나 프레임 파트들의 장착 동안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밀폐시킬 수 있지만 그보다는 오히려 많은 경우에 있어 분산 효과를 가질 것인데, 그 이유는 프레임 파트들이 위로부터 그립되도록(gripped) 커버 플레이트에 비해 어떠한 큰 영역들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고, 그럼으로써 상응하는 조작 장치가 유지 프레임과 충돌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또는 프레임 파트들에 대해서는 상단면에서 흡수를 위해 설계되는 진공 유지 장치가 조작 장치로서 고려된다. 이러한 진공 유지 장치는 프레임 파트들을 그립하고 바람직하게 그것들을 유리 솔더에 침지한 후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착 이후에, 커버 플레이트는 추가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하중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형태에서 있어 적어도 거의 상응하는 유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교적 낮은 연장 계수를 갖는 열 저항 유리로 제작되는 플레이트인 Robax 플레이트가 고려된다. 대칭을 이유로 해서 그리고 스트레스를 회피하기 위해서, 유사한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 아래에 바람직하게 위치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전체적으로 조립되었지만 아직은 여전히 최종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방전 베셀이 그러한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Robax) 플레이트와 유지 프레임 사이에 유지된다.
방전 베셀의 새로운 실링은 유리하게도, 유리 솔더가 비교적 광범위하게 액화될 때까지는 수행되지 않도록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때가 돼서야 유리 솔더는 중력 또는 모세관 력의 작용 하에서 갭 내로 흘러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는 바람직하게, 일단 적절한 온도에 도달하면, 즉 방전 베셀을 실링한 이후에, 더 이상 어떠한 실질적인 추가 온도 상승이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램프의 내부 압력 상승 보상을 회피하고 램프의 스트레스를 회피하는 것 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처리의 이러한 수행은 반드시 필수적이지는 않은데, 그 이유는, 초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또한 선택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장점들을 참조하여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될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 lamp)를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유리 플레이트(1)를 나타내고 있다. 유리 플레이트(1)는 이미 스크린 인쇄에 의해 생성되는 전극 구조들 및 콘택 구조들을 이미 가지고 있는데, 이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다.
도 1의 베이스 플레이트(1)는 처리된 솔더 에지(3)를 갖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솔더 에지(3)는 건조시킴으로써 응고된다. 게다가, 유리 핀들(4)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스페이서들로서 이용된다. 완료된 방전 베셀에서는, 이러한 스페이서들(4)이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1) 및 커버 플레이트를 서로에 대해 지지하고, 그럼으로써 방전 베셀에서의 부압(underpressure)으로 인해서 또는 굴곡 스트레스(flexural stress)로 인해서 기계적인 손상을 입는 것이 회피된다.
본 방법의 다른 과정에서는, 스트레이트 유리 로드들이 진공 흡수 장치(미도시)를 통해 먼저 프레임 파트들(5)로서 그립되고, 이어서 액체 유리 솔더에 침지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는, 유리 로드들(5)이 서로 가장 근접하게 되는 거의 2 mm 폭이 코너들 클리어런스(corners clearances)에서 남아 있다. 4개의 갭들(6)이 그로 인해 발생한다. 유리를 장착하여 뒷면을 코딩하기 이전에, 유리 로드들(5)은 코딩될 수 있고, 그러한 램프들의 제작에 있어서 본래 공지된 바와 같이, 반사 층들 및 형광 층을 가지고 서로 나란히 놓일 수 있다.
도 4는 진공 플레이트(15) 상의 프레임 파트들(5)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중간에 있는 도면은 프레임 파트들(5)을 갖는 진공 플레이트(15)가 유리 솔더(17)를 갖는 침수 욕조(16) 내로 어떻게 내려지는 지를 나타낸다. 그 도면은 밑으로 흡수되어서 아랫면이 유리 솔더(17)로 젖은 프레임 파트(5)를 갖는 진공 플레이트(15)를 나타낸다. 프레임 파트들(5)은 이러한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 상에 증착된다.
도 5는 유지 프레임(7)의 유지 러그들(8) 상에 놓여 있는 Robax 유리 플레이트(9)를 갖는 V2A 구멍난 시트로 제작되는 유지 프레임(7)을 나타낸다. 도 3에 따라 접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는 이러한 결합 용기로 삽입되고 바인더로부터(유리 솔더로부터) 노에서 자유롭게 되고 사전결합, 즉 사전고정된다.
도 6에 따르면, 커버 플레이트(10)에는 또한 코너에 유리 솔더 헤플렛들(11)이 제공되고 그렇지 않으면 솔더 에지(12)가 제공된다.
건조 이후에, 도 6의 커버 플레이트(10)는 프레임 파트들(5) 상에서 아래방향으로 향하는 유리 솔더 구조들(11 및 12)을 갖는 유지 프레임(7) 내에 놓인다.
이 경우에, 제 2 Robax 유리 플레이트는 커버 플레이트(10) 상에 놓인다(미 도시). 이러한 형태에서, 조립되었지만 아직 결합되지는 않은 진공의 그리고 채워진 방전 베셀이 진공 노로 들어갈 수 있는데, 상기 진공 노에서는 Xe 가스가 적절한 진공 단계들 및 그리고 310 mbar에서의 플러싱 단계들 이후에 거의 440℃에서 채워진다. 이러한 온도 및 이러한 압력에서, 방전 베셀은 여전히 오픈되어 있다. 도 7은 이를 더욱 명확히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간략성을 위해 직사각형으로 도시된 유리 솔더 헤플렛들은 프레임(5) 위에 커버 플레이트(10)를 여전히 유지시킴으로써, 갭들(6) 뿐만아니라 슬릿(slit)이 프레임 파트들(5) 위에 자유롭게 존재한다. 유리 솔더가 연화되지만 여전히 비교적 점성 상태인 거의 500℃의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커버 플레이트(10)는 먼저 프레임(5) 상에 싱크되고(sink), 갭들(6)은 계속해서 오픈되어 있으며 따라서 압력 균등화를 보장한다. 유리 솔더의 용해 온도가 거의 550℃ 에 도달한 이후에, 갭들(6)은 유리 헤플렛들(11)이 도 8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력으로 인해 갭들로 흐르기 때문에 클로즈된다. 모세관 현상(capillary action) 및 젖음 특성(wetting property)이 또한 올바르게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데 있어 본 명세서에서 도움을 준다.
상부 Robax 플레이트는 하중(weighing down)을 위해 사용된다. 말하자면, 하부 Robox 플레이트(9) 및 상부 Robox 플레이트는 사실상 동일하고, 따라서 특히 냉각 동안에 열의 매우 대칭적인 분산이 존재하여 램프의 최소 스트레이닝(straining)이 존재한다. 유지 프레임(7)은 설명된 플레이트들 패킷을 모두 유지한다. 두 Robox 플레이트들(9) 및 V2A 구멍난 시트 프레임(7)은 정확한 크기로 방전 베셀에 적응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램프에서 스트레스를 회피하고 또한 특히 방전 램프의 실링 이후에 실질적인 가열 단계를 회피하는 장점이 현저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심지어 유리 솔더 쿠션들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들로 인해 어느 정도 과도하게 높이 서있는 종래 방식의 스페이서들(4)과 결합될 수 있고, 그 슬롯들은 또한 초기에는 램프의 결합 동안에 프레임 파트들(5) 위와 커버 플레이트(10) 아래에 놓일 수 있다. 이는 이미 도 7을 통해 설명되었고, 여기서는 유리 솔더 헤플렛들(11)이 유리 솔더 쿠션들의 기능을 한다. 슬릿들은 거의 500℃의 노 온도까지 펌핑 단면을 증가시킨다. 이 온도에서 시작하여, 커버 플레이트(10)는 천천히 싱크되어 앞서 설명한 갭들(6) 만이 존재하고, 따라서 550℃까지의 압력 균등화를 적어도 달성할 수 있다. 갭들은 특히 이 경우에 작을 수 있다.
방전 베셀들의 결합 동안에, 갭들이 방전 베셀의 프레임에 존재하고, 이를 통해서 적어도 압력 균등화 또는 그렇지 않으면 진공, 플러싱 및 채움 단계들이 수행됨으로써, 진공 노에서의 압력 적응에 대한 필요성 및 스트레인이 회피될 수 있다.

Claims (12)

  1. 프레임(5), 베이스 플레이트(1) 및 커버 플레이트(10)가 결합되고, 이러한 파트들(1, 5, 10)이 유리 솔더(11, 12)를 녹임으로써 결합되는, 평면 방전 베셀을 구비하는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 lamp)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5)이 상기 프레임 파트들(5) 사이에 갭(6)을 남겨두고, 상기 파트들(1, 5, 10)을 결합하기 위해서 결합시에 상기 갭(6)이 상기 방전 베셀 내부로의 액세스로서 유지되고, 결합 이후에, 유리 솔더(glass solder)(11)가 노(furnace)에서 방전 베셀의 가열로 인해 상기 갭(6)으로 흘러 들어가며, 그럼으로써 상기 갭을 실링하여 방전 베셀을 실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는 결합 동안에 베이스 플레이트(1) 상의 프레임(5)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0)가 장착되기 이전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로부터 분리되는 파트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은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파트들(5)의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갭(6)이 상기 파트들(5)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은 4개의 분리된 로드들(5)의 형태로 장착되고, 갭들(6)이 상기 프레임(5)의 코너들에서 상기 로드들(5)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들(1, 5, 10)의 결합 이전에, 유리 솔더(11)가 결합 이후에 상기 갭(6)의 위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커버 플레이트(10)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 적어도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의 장착, 및 상기 방전 베셀의 후속하는 가열처리는 양호하게 접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를 밀폐시키는 유지 프레임(7), 바람직하게는 구멍난(perforated) 시트 프레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 상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5) 또는 상기 프레임 파트들(5)은 진공 유지 장치 (15)에 의해 그립되고(gripped) 또한 장착되기 이전에 유리 솔더(17)에 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갭(6)을 실링하기 위해 상기 방전 베셀을 가열하는 동안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는 바람직하게 상단에 놓이는 유리 플레이트에 의해 하중(weighed dow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갭(6)을 실링하기 위해 가열하는 동안에, 상기 방전 베셀은 베이스 플레이트(1)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9) 및 커버 플레이트(10)를 하중시키기 위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 상에 놓이는 상부 플레이트를 통해 유지 프레임(7)에서 측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갭(6)의 실링 이후에는 어떠한 실질적인 추가적인 온도 상승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제작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평면 방전 램프를 구비하는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방전 램프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와 커버 플레이트(10) 사이의 프레임(5), 및
    녹아서 재응고되는 유리 솔더(11)에 의해서 실링되는 상기 프레임 파트들(5) 사이의 갭(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KR1020060041372A 2005-05-09 2006-05-09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평면 방전 램프들의 제작 KR100815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1303A DE102005021303A1 (de) 2005-05-09 2005-05-09 Herstellung von flachen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slampen
DE102005021303.0 2005-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172A true KR20060116172A (ko) 2006-11-14
KR100815296B1 KR100815296B1 (ko) 2008-03-19

Family

ID=3729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372A KR100815296B1 (ko) 2005-05-09 2006-05-09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평면 방전 램프들의 제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61720A1 (ko)
KR (1) KR100815296B1 (ko)
CN (1) CN1873884A (ko)
CA (1) CA2545668A1 (ko)
DE (1) DE102005021303A1 (ko)
TW (1) TW200703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571A (ko) * 2015-12-04 2018-09-04 선전 벤센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가스 방전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5314B1 (fr) * 2007-04-17 2011-04-22 Saint Gobain Lampe plane uv a decharges et utilis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2990B1 (de) * 1997-03-21 2003-06-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asentladungslampe mit dielektrisch behinderten elektroden
US6113450A (en) * 1998-05-14 2000-09-05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Seal material frit frame for flat panel displays
DE10343073A1 (de) * 2003-09-17 2005-04-2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achen Entladungslampe mit Abstandselemen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571A (ko) * 2015-12-04 2018-09-04 선전 벤센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가스 방전관
US10943757B2 (en) 2015-12-04 2021-03-09 Shenzhen Bencent Telectronics Co., Ltd. Gas discharge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3884A (zh) 2006-12-06
KR100815296B1 (ko) 2008-03-19
DE102005021303A1 (de) 2006-11-16
CA2545668A1 (en) 2006-11-09
US20060261720A1 (en) 2006-11-23
TW200703418A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45200A (ru) Стеклопакеты и методика
US10627306B2 (en) Glass panel unit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JP4513513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0815296B1 (ko) 유전적으로 임피드된 평면 방전 램프들의 제작
EP3170800A1 (en) Vacuum multilayer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multilayer glass
JPS60185357A (ja) ビード封止ガス入り電球の製造装置
KR101070605B1 (ko) 반도체 웨이퍼용 세라믹 히터 및 그 제조방법
TW498394B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flat gas-discharge-lamp
JP2000013005A (ja) ワークの熱圧着装置
KR100517789B1 (ko) 방전 램프 제조 방법
JP2007036130A (ja) 熱膨張係数の差を利用した基板接合方法及び装置
TWI223310B (en) Method for producing a flat radiator
KR100855770B1 (ko) 플랫형 유전 베리어 방전 램프들의 제조
KR102217812B1 (ko)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의 제조 장치
KR102236540B1 (ko) 마스크의 이송 시스템 및 프레임 일체형 마스크의 제조 방법
JPH11340348A (ja) 素子の封止パッケージ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84696B2 (ja) パワー素子搭載用ユニットおよびパワーモジュール
CN211182176U (zh) 利用辐射热源的基板处理装置
JP2671603B2 (ja) 無フラックスはんだ付け方法
JP2005100984A (ja) 平形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
KR100416577B1 (ko) 반도체 패키지
JPH04342940A (ja) 真空外囲器
JP2006013345A (ja) 半導体ウェハの剥離方法、半導体ウェハの剥離装置及び半導体ウェハ吸着ステージ
JPS63256922A (ja) 液晶セルの製造方法
KR100956069B1 (ko) 정보 디스플레이용 유리패널의 전극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