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074A - 주차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074A
KR20060115074A KR1020050037381A KR20050037381A KR20060115074A KR 20060115074 A KR20060115074 A KR 20060115074A KR 1020050037381 A KR1020050037381 A KR 1020050037381A KR 20050037381 A KR20050037381 A KR 20050037381A KR 20060115074 A KR20060115074 A KR 20060115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dicator
vehicle
indicator ligh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혁
Original Assignee
이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혁 filed Critical 이찬혁
Priority to KR102005003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5074A/ko
Publication of KR20060115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구획선 내로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바닥에 라인 형태로 설치되되 차량을 입구에서 통로까지 유도하는 메인 지시등(10)과 통로에서 각각의 주차구획선(40) 내로 유도하는 서브 지시등(20)으로 이루어진 지시등과; 상기 각 주차구획선(40) 내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주차구획선(40) 내로 주행중인 차량을 유도하도록 지시등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주차구획선 내의 감지부에서 주차 유무의 감지결과에 따라 바닥면에 설치된 주차 유도 지시등을 점멸시켜 주차를 신속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고, 지시등을 바닥면에 간헐적으로 설치하여 설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재시스템과 연계하여 비상유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주차, 유도, 지시등, 시스템

Description

주차 유도 시스템{Parking guid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주차 유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지시등 11 : 램프부
12 : 케이블 13 : 케이싱
14 : 플레이트 15 : 완충재
16 : 반사판 17 : 볼트
18 : 바닥면 20 : 서브 지시등
30 : 감지부 40 : 주차구획선
50 : 표시부 60 : 제어부
70 : 방재시스템
본 발명은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획선 내의 감지부에서 주차 유무의 감지결과에 따라 바닥면에 설치된 주차 유도 지시등을 점멸시켜 주차를 신속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는 주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보유가 증가하고 있고, 운전자가 목적지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차량을 주차장에 안전하게 주차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특히, 차량의 출입이 많은 대형건물, 백화점, 관공서 등의 주차시스템은 차량이 입구를 통해 진입하면, 요금징수를 위한 주차권을 발급하고 차단기를 개방하여 차량을 주차장 내로 진입시켜서 주차안내원이 주차를 유도하거나 운전자가 빈 주차공간을 파악하여 주차시키는 방식이었다.
통상, 주차시설에서 주차공간의 점유율이 낮은 경우, 즉 주차공간이 충분한 경우에는 빈 주차공간의 식별이 쉬워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이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주차공간의 점유율이 높을수록 빈 주차공간의 식별이 어려워 운전자는 주차장 내에서 배회를 반복하거나 주차공간이 빌 때까지 대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량이 주차장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빈 주차공간을 찾아서 차량을 주차해야 하므로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주차장 내를 서행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의한 공기가 오염되고, 협소한 공간 내에서의 접촉사고 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주차안내원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넓은 주자창의 공간을 안내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다수의 안내원이 배치될 경우 과다한 인건비 등 주차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의 주차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주차공간에 주차유무를 인식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주차공간의 후방에 설치된 유도등을 점멸시켜 주차할 차량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주차 관리 시스템은 유도등이 주차공간의 후방에 스탠드형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차고가 높은 경우 인식이 불가능하거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탠드형이므로 차량과 충돌하여 파손될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고, 주차공간 사이의 보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주차안내를 지도상에 그래픽으로 표현하므로 주차장이 소규모인 경우 는 안내가 가능하나 대형 주차장의 경우는 지도가 복잡해져 운전자의 인식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주차구획선 내의 감지부에서 주차 유무의 감지결과에 따라 바닥면에 설치된 주차 유도 지시등을 점멸시켜 주차를 신속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고, 지시등을 바닥면에 간헐적으로 설치하여 설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방재시스템과 연계하여 비상유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차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구획선 내로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바닥에 라인 형태로 설치되되 차량을 입구에서 통로까지 유도하는 메인 지시등(10)과 통로에서 각각의 주차구획선(40) 내로 유도하는 서브 지시등(20)으로 이루어진 지시등과; 상기 각 주차구획선(40) 내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주차구획선(40) 내로 주행중인 차량을 유도하도록 지시등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등은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내설되고 양 측면에 반사판(16)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등은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등은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일부만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등은 메인 지시등(10)과 서브 지시등(20)이 간헐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등은 램프부(11) 또는 플레이트(14)가 복수의 색상으로 이루어져 색상에 따라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60)는 방재시스템(70)과 연동되고, 지시등이 비상구 측으로 매설되어 비상시 비상유도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차 유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차 유도 시스템은 메인 지시등(10)과 서브 지시등(20)으로 이루어진 지시등, 감지부(30), 제어부(60)로 이루어져 차량을 주차구획선 내로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이다.
지시등은 바닥에 라인 형태로 설치되되 차량을 입구에서 통로까지 유도하는 메인 지시등(10)과 통로에서 각각의 주차구획선(40) 내로 유도하는 서브 지시등(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차구획선(40) 내에 차량이 주차되면 서브 지시등(20)이 오프(off)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게 되고, 주차구획선(40) 내에 차량이 주차되지 않으면 서브 지시등(20)이 온(on)되어 차량의 진입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임의의 구역에 구획된 모든 주차구획선(40) 내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에는 서브 지시등(20) 뿐만 아니라 임의의 구역의 통로에 설치된 메인 지시등(10)이 오프되어 임의의 구역에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게 된다.
감지부(30)는 각각의 주차구획선(40) 내의 후방, 상방 및 하방 중 일 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부(30)로는 예를 들면, 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에는 일반적인 광센서, 근접센서, 차량접지센서 등이 사용된다.
광센서는 광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자동화설비, 주차설비, 물류시스템, 컨베이어 이송라인 등 산업 전반에 폭넓게 사용된다. 그 종류 에는 직접 물체에 빔을 보내어 반사되어오는 빔을 감지하는 직접 반사형과, 어떠한 거리에 미러를 부착하여 항상 미러에서 반사되어 오는 빔을 감지하다가 이 사이를 물체가 지나면 빔이 차단되어 검출되는 방법을 채택한 미러 반사형, 한쪽을 발광부 다른 쪽을 수광부로 두고 항상 빔을 주고 받다가 이 사이를 물체가 지나갈 때 빔을 차단하여 검출하는 방법을 채택한 투수광 센서 등이 사용된다. 또한,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센서 등도 사용된다.
근접센서는 무접촉으로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반도체를 이용하여 반영구적 수명으로 공장자동화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검출문제의 전자유도 현상을 이용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와 검출 코일로부터 자계를 발생시켜 검출물체에 와전류를 생성하여 그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가 사용된다.
차량접지센서는 무게센서로서 로드셀(load cell) 등이 사용되며, 주차구획선의 하방인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부여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주차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들 광센서와 근접센서는 주차구획선의 후방에 스탠드에 고정하여 설치되거나, 상방의 천장 등에 부착하여 설치하거나, 하방의 바닥면에 매설하여 차량의 감지가 가능하지만, 차량접지센서는 차량을 하중을 감지하므로 바닥면에만 설치된다.
또한,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주차장의 주차구획선 내에 차량이 주차할 공간이 있는 경우 주차가능한 차량의 대수를 표시하거나 주차가능하다는 별도의 문형이 표시된다. 또한, 주차장의 주차구획선 내에 모든 차량이 주차된 경우 는 주차가 불가능하다는 신호를 표시하거나 다른 주차장으로 차량은 안내하는 표시를 하게 된다. 이때, 주차 유도 지시등은 모두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부(50)로는 패널에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기호, 문자, 숫자 등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60)는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지시등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고, 표시부(50)에 주차가능 여부의 표시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여 감시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지시등의 온, 오프를 제어하고 표시부(50)에 주차가능 여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지시등은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닥매립형으로서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내설되고 양 측면에 반사판(16)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매립된다. 즉, 케이싱(13)을 주차장의 바닥면(18)에 매립한 상태에서 케이싱(13)의 중앙 하부에 램프부(11)가 설치되고 그 양 측면에는 전원케이블, 신호케이블 등 각종 케이블(12)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시등이 바닥면에 매립되므로 차량의 주행에 방해되는 일 없이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램프부(11)의 양 측면에는 램프부(11)의 조명을 지상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6)이 입설된다. 케이싱(13)의 상부에는 차량의 하중이 부여되므로 이에 견딜 수 있는 투명아크릴판이나 강화유리판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플레이트(14)가 고무 등의 완충재(15)를 개재해서 볼트(17)로 고정된다. 따라서 케이싱(13)에도 차량의 하중이 부여되므로 스틸이나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시등의 램프부(11)로는 예를 들면, LED나 윙커라이트(winker ligh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지시등의 배치구성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지시등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착형으로서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돌출하게 설치된다. 즉, 주차장의 바닥면(18)에 케이싱(13)이 돌출되게 볼트(17)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램프부(11)를 중앙 하부에 설치하고 그 양 측면에 각종 케이블(12)이 설치된다. 상부에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플레이트(14)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시등이 바닥면에 돌설되므로 바닥면을 훼손하는 일이 없어 지시등의 설치가 용이하고, 지시등이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지시등의 배치구성 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의 지시등은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지시등과 제 2 실시예의 지시등을 혼합하여 케이싱의 일부만 바닥에 매립한 혼합형으로서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일부만 매립된다. 즉, 주차장의 바닥면(18)에 케이싱(13)의 일부는 매립하고 잔부가 돌출되게 볼트(17)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램프부(11)를 중앙 하부에 설치하고 그 양 측면에 각종 케이블(12)이 설치된다. 상부에도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플레이트(14)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시등이 바닥면에 일부 매립되므로 지시등의 고정지지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잔부가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지시등의 배치구성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의 지시등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메인 지시등(10)과 서브 지시등(20)이 간헐적으로 설치된다. 즉, 주차장의 선회부분 등 주요부분에만 지시등을 간헐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시인성의 확보에는 큰 지장이 없으면서도 설비비용 및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주차 유도 시스템의 지시등을 나타내 는 구성도이고, 도 5를 참조하여 제 5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지시등의 배치구성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60)는 방재시스템(70)과 연동되고, 지시등이 비상구 측으로 매설되어 비상시 비상유도등으로 사용된다. 즉,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에는 화재 등 비상재난 시에 방재를 위한 방재시스템(70)이 구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60)를 이 방재시스템(70)과 연동시키게 된다. 또한, 지시등도 비상구 측으로 매설되어 비상시 인명구호를 위한 비상유도등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주차장 내에 별도의 비상유도등을 설치하지 않고 본 실시예의 주차 유도 시스템과 연동시켜 비상유도등으로도 사용하게 된다.
이하, 제 6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지시등의 구성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의 지시등은 램프부(11) 또는 플레이트(14)가 복수의 색상으로 이루어져 색상에 따라 주차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램프부(11)는 복수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해 각각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LED를 설치하거나 복수의 색상의 윙커라이트를 설치하여 색상에 따라서 주차가능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색상의 플레이트(14)를 설치하여 색상에 따라서 주차가능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청색의 램프부(11) 또는 플레이트(14)와 적색의 램프부(11) 또는 플레이트(14)를 라인 형태로 설치하여 주차구획선 내에 차량이 주차되어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지시등을 적색으로 표시하고, 주차구획선 내에 차량이 주차되지 않아 주차할 수 있는 경우에는 지시등을 청색으로 표시하여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구획선 내의 감지부에서 주차 유무의 감지결과에 따라 바닥면에 설치된 주차 유도 지시등을 점멸시켜 주차를 신속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지시등을 바닥에 매립하여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지시등을 바닥에 돌출시켜 설치가 용이하고 과속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지시등을 복수의 색상으로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색상에 따른 수려한 미관을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지시등을 바닥면에 간헐적으로 설치하여 설치비용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표시부를 입구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주차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재시스템과 연계하여 비상유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8)

  1. 차량을 주차구획선 내로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바닥에 라인 형태로 설치되되 차량을 입구에서 통로까지 유도하는 메인 지시등(10)과 통로에서 각각의 주차구획선(40) 내로 유도하는 서브 지시등(20)으로 이루어진 지시등과;
    상기 각 주차구획선(40) 내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30)와;
    상기 감지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주차구획선(40) 내로 주행중인 차량을 유도하도록 지시등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등은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내설되고 양 측면에 반사판(16)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등은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등은 케이싱(13)의 중앙부에 램프부(11)가 라인 형태로 배치되고 상부에는 투명부를 갖는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바닥에 일부만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등은 메인 지시등(10)과 서브 지시등(20)이 간헐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등은 램프부(11) 또는 플레이트(14)가 복수의 색상으로 이루어져 색상에 따라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방재시스템(70)과 연동되고, 지시등이 비상구 측으로 매설되어 비상시 비상유도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KR1020050037381A 2005-05-04 2005-05-04 주차 유도 시스템 KR20060115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381A KR20060115074A (ko) 2005-05-04 2005-05-04 주차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381A KR20060115074A (ko) 2005-05-04 2005-05-04 주차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74A true KR20060115074A (ko) 2006-11-08

Family

ID=3765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381A KR20060115074A (ko) 2005-05-04 2005-05-04 주차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50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8555A (zh) * 2019-09-25 2020-01-03 上海海事大学 一种智慧交通的地下停车场车辆引流装置
KR20200123609A (ko) * 2019-04-22 2020-10-30 강대영 주차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609A (ko) * 2019-04-22 2020-10-30 강대영 주차 감지 장치 및 주차 관리 방법
CN110648555A (zh) * 2019-09-25 2020-01-03 上海海事大学 一种智慧交通的地下停车场车辆引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476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KR100876304B1 (ko) 주정차 금지 경고장치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2005383B1 (ko) 도로에 매립되어 신호 및 차선을 안내하는 주행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유도시스템
KR100919382B1 (ko) 비 신호 교차로 차량 우선순위 표시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0124B1 (ko)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한 자동전력 제어시스템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160132531A (ko) 주차장의 주차 안내 유도시스템
KR100981374B1 (ko) 주차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KR20170133133A (ko) 주차유도 및 충돌 알림장치
KR101937905B1 (ko) 교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5074A (ko) 주차 유도 시스템
JP3499817B2 (ja) 右折運転支援装置
KR20090008811U (ko) 매립형 보조신호등
KR102320871B1 (ko) 주차장 교차로 경고 시스템
KR20100116971A (ko) 주차 안내 시스템
US5945925A (en) Light fixture with object detection system
KR20190048074A (ko)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KR101693262B1 (ko) 자동차 운행 가이드 시스템
KR20150086635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KR20100102843A (ko)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한 자동전력 제어시스템
JP2009151399A (ja) 誘導表示装置
JPH08279098A (ja) 空き駐車スペース表示装置
CN210104614U (zh) 一种主动式隧道轮廓标及隧道交通诱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