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394A - 위치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394A
KR20060113394A KR1020060032068A KR20060032068A KR20060113394A KR 20060113394 A KR20060113394 A KR 20060113394A KR 1020060032068 A KR1020060032068 A KR 1020060032068A KR 20060032068 A KR20060032068 A KR 20060032068A KR 20060113394 A KR20060113394 A KR 2006011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813B1 (ko
Inventor
박은영
심동희
허지영
조문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A260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CA2605776C/en
Priority to ES06732887T priority patent/ES2377230T3/es
Priority to MX2007013224A priority patent/MX2007013224A/es
Priority to EP06732887A priority patent/EP1886523B1/en
Priority to RU2007144197/09A priority patent/RU2404545C2/ru
Priority to AT06732887T priority patent/ATE541398T1/de
Priority to PCT/KR2006/001618 priority patent/WO2006118401A2/en
Priority to CN2006800147955A priority patent/CN101199227B/zh
Priority to US11/413,102 priority patent/US8081986B2/en
Publication of KR2006011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0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 and external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9/00Working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with thread cutting, e.g. slotting screw heads or shanks, removing burrs from screw heads or shanks; Finishing, e.g. polishing, any screw-thread
    • B23G9/009Thread cleaning or repa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7/00Forming thread by means of tools similar both in form and in manner of use to thread-cutting tools, but without removing any material
    • B23G7/02Tools for this purpo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말로부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에 따라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SET(SUPL Enabled Terminal), SLP(SUPL Location Platform), 제2 SET(SUPL Enabled Terminal)을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에 있어서, 상기 제1 SET으로부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SET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에 따라 상기 획득한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제1 SET, 제2 SET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위치정보, 단말, 서버, 메시지

Description

위치정보 전송 방법 {METHOD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8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9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0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a ~ 도 7c는 본 발명에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 도 8c는 본 발명에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과 서버 사이에 송수신하는 메시지들이 공통으로 가진 커먼 파트(Common Part)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메시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초기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료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응답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통지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제1 SET
110, 210 :SLP
120, 220, 340, 440, 540, 640, 730 : 제2 SET
211 : SLC 212 : SPC
310, 420, 510, 610, 710 : H-SLP 320, 410, 520, 620 : V-SLP
330, 430, 530, 630, 720 : N-SLP 411 : V-SLC
412 : V-SPC 611 : H-SLC
612 : H-SPC
본 발명은 이동 통신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정보 서비스에서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을 원하는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활용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 LSB)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친구 찾기와 같은 사람 또는 사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서비스, 차량 네비게이션, 그리고 긴급 구난 등이 위치정보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네트워크의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등의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위치추적(Positioning)을 위한 시그널링(Signaling) 및 위치추적 시스템의 구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를 갱신하거나 새로운 위치추적 방법을 네트워크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의 시그널링(Signaling)과 프로토콜(Protocol) 등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요소들을 모두 갱신하거나 새로 도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저 플레인(User Plane)에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User Plane Protocol)을 정의하였다. 상기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User Plane Protocol)은 유저 플레인(User Plane)을 이용하여 위치추적(Positioning)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구조에 독립적이며, 서비스를 갱신하거나 새로운 위치추적 방법을 도입하더라도 위치추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요소들을 모두 갱신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에서는 특정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거나, 특정 단말 자신의 위치정보를 다른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거나, 특정 단말 자신의 위치정보를 다른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더 효율적인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단말로부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에 따라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SET(SUPL Enabled Terminal), SLP(SUPL Location Platform), 제2 SET(SUPL Enabled Terminal)을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에 있어서, 상기 제1 SET으로부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SET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에 따라 상기 획득한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제1 SET, 제2 SET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제1 단말 자신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 제2 단말, 홈 서버, 방문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서 홈 서버로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가 방문 서버를 통해 제1 단말의 위치추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홈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홈 서버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 제2 단말, 홈 서버, 방문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에서 홈 서버로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와 제1 단말 간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 제2 단말, 홈 서버, 통지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시작 메시지를 홈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와 제1 단말 간 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통지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통지 서버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의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로부터 SET ID 정보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SET ID 정보에 따라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말로부터 SET ID 정보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SET ID 정보에 따라 제2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2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특정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특정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위한 메시지를 정의함으로써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으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토콜(Protocol)"이란 통신 규약을 의미하는데,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User Plane Protocol)"은 유저 플레인(User Plane)에서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상기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의 예로 "유저 플레인 로케이션 프로토콜(Secure User Plane Location Protocol)"은 유저 플레인(User Plane)에서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Protocol)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유저 플레인 로케이션 프로토콜로서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 이하 'SUPL'이라고 한다.) 프로토콜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SUPL 프로토콜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 "단말"이란 정보가 통신망에서 입출력되는 지점을 의미하거나, 디지털 자료 전송 시스템에서 자료를 만들거나 보기 위한 기기 또는 자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로서 유저 플레인 로케이션 프로토콜이 가능한 단말인 SET(SUPL Enabled Terminal : 이하 'SET'라 한다.)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저 플레인 로케이 션 프로토콜에서의 단말을 SUPL Agent라 지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특정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자신의 위치정보를 다른 특정 단말로 송신하기를 원하는 단말을 제1 단말이라 정의하고, 제1 SET(Target SUPL Enabled Terminal : 이하 '제1 SET'라 한다.)을 제1 단말의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단말을 제2 단말이라 정의하며, 제2 SET(Notified SUPL Enabled Terminal : 이하 '제2 SET'라 한다.)을 제2 단말의 일 실시예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단말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 제1 SET을 목적 SET(Target SET), 상기 제2 SET을 통지 SET(Notified SET)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서버(Server)"란 통신망 상에서 다른 단말 등에 대하여 그 통신망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접속과 그 통신망의 자원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관리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서버(Server)는 특정 단말의 위치 계산을 하는 "위치 계산부"와, 서버에서 전반적인 프로토콜 관리를 하는 "서버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서버의 일 실시예로 SLP(SUPL Location Platform : 이하 'SLP'라 한다.), 상기 위치 계산부의 일 실시예로 SPC(SUPL Position Center : 이하 'SPC'라 한다.), 상기 서버 관리부의 일 실시예로 SLC(SUPL Location Center : 이하 'SLC'라 한다.)를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은 다른 서버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 단말이 초기에 등록하거나 가입한 네트워크를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 HN, 이하 'HN'라 한다.)라고 하며, 단말이 이동하여 홈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때 해당 네트워크를 방문 네트워크(Visited Network : VN, 이하 'VN'라 한다.)라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내의 서버를 홈 서버 또는 H-서버(Home Server : H-Server, 이하 'H-서버'라 한다.)라 하고, 방문 네트워크 내의 서버를 방문 서버 또는 V-서버(Visited Server : V-Server, 이하 'V-서버'라 한다.)라 하며, 위치정보를 통지받는 제2 단말이 속한 네트워크 내의 서버를 통지 서버 또는 N-서버(Notified Server : N-Server, 이하 'N-서버'라 한다.)라 정의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H-서버의 일 실시예로 H-SLP(Home SLP : 이하 'H-SLP라 한다.), V-서버의 일 실시예로 V-SLP(Visited SLP : 이하 'V-SLP'라 한다.), N-서버의 일 실시예로 N-SLP(Notified SLP : 이하 'N-SLP'라 한다.)를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며, 상기 N-SLP는 논리적인 개체로 H-SLP와 동일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단말이 HN에 위치하는 경우를 논-로밍 경우(Non-Roaming Successful Case)라 하고, 단말이 HN이 아닌 VN에 위치하는 경우를 로밍 경우(Roaming Successful Case)라 정의한다. 또한, 단말이 서버 중 서버 관리부를 거쳐 위치 계산부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를 프록시 모드(Proxy Mode)라 하고, 단말이 위치 계산부와 직접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를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제1 SET이 HN에 위치하는 경우를 논-로밍 경우(Non-Roaming Successful Case)라 하고, 제1 SET이 HN이 아닌 VN에 위치하는 경우를 로밍 경우(Roaming Successful Case)라 할 수 있다. 또한, 제1 SET이 서버 관리부인 SLC를 거쳐 위치 계산부인 SPC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를 프록시 모드(Proxy Mode)라 하고, 제1 SET이 위치 계산부인 SPC와 직접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경우를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라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단말이 로밍 상태와 상관없이 논-로밍 경우(Non-Roaming Successful Case)와 로밍 경우(Roaming Successful Case) 모두에 적용가능하며, 서버가 프록시 모드(Proxy Mode)와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 모두에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 "메시지"란 하나의 전송 단위로서 엄격한 규칙에 따라 구성되고,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에 일정한 규칙인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되는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ULP 메시지(UserPlane Location Protocol Message : 이하, 'ULP 메시지'라 한다.)"란 SUPL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상기 ULP 메시지의 종류로 본 발명에서 "초기화 메시지"는 네트워크 개시하는 경우에 서버에서 단말로 최초로 송신하는 메시지를 의미하고, "시작 메시지"는 자신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 또는 다른 특정 단말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을 위해 단말에서 서버로 송신하는 최초의 메시지를 의미하고, "응답 메시지"는 시작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위치추적 초기화 메시지"는 위치추적을 개시하는 경우에 제1 단말에서 서버로 송신하는 메시지를 의미하고, "위치추적 메시 지"는 위치추적을 위해 서버와 제1 단말이 송수신하여 메시지를 의미하며, "종료 메시지"는 특정의 과정 수행이 끝났음을 알려주거나 특정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인증 응답 메시지"는 논-프록시 모드의 네트워크가 시작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메시지로 홈 서버에서 단말로 보내는 메시지를 의미하고, "위치추적 통지 메시지"는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초기화 메시지로 SUPL INIT 메시지, 시작 메시지로 SUPL START 메시지, 응답 메시지로 SUPL RESPONSE 메시지, 위치추적 초기화 메시지로 SUPL POS INIT 메시지, 위치추적 메시지로 SUPL POS 메시지, 종료 메시지로 SUPL END 메시지, 인증 응답 메시지로 SUPL AUTH RESP 메시지, 위치추적 통지 메시지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 사상이 동일한 다른 메시지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 각 실시예는 제1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제1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a는 제1 SET이 HN에 위치하고 제1 SET이 SLC를 통하여 SPC와 통신하는 논-로밍 경우(Non-Roaming Successful Case)와 프록시 모드(Proxy Mode)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위치추적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제1 SET(100), SLP(110), 그리고 제2 SET(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SET(100)은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을 의미하되, SUP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SUPL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상기 제1 SET(100)은 위치추적을 위해 서버인 SLP(110)와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하는 위치추적 과정을 수행한 후,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LP(110)는 네트워크 자원을 접근 및 사용하는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인 서버로서 네트워크 부분의 SUPL SAP(Service Access Point)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SLP(110)는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개체인 SPC와 SUPL 세션 관리, 로밍(Roaming),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등의 전반적인 SUPL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개체인 SL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SET(120)은 제1 SET(100)이 자신의 위치정보 전송을 원하는 SET을 의미하며, SLP(110)로부터 수신된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사용하는 논리적인 SAP(Service Access Point)를 나타내는 단말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2 SET(120)은 제1 SET(100)과 같이 SUP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SUPL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SET(100)과 제2 SET(120)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UT(User Terminal),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IS-95의 MS(Mobile Station), 또는 SUPL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노트북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시스템에서 SUP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 1 SET(1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거나,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120)에 송신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본다. 또한, SLP(110)는 제2 SET(120)에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통지하는 경우의 위치추적 절차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SET(100)에서 상기 SLP(110)에 최초로 송신하는 SUPL START 메시지는 제2 SET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정보, MO mode(Mobile Originated location request mode: 이하, 'MO mode'라 한다.) 정보, ACK mode(Acknowledgement mode: 이하, 'ACK mode'라 한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SET(100)은 SUPL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S100).
데이터 링크 연결 후, 제1 SET(1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SLP(1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SUPL START 메시지는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101). 상기 notified SET-id는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 ID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MO mode는 위치정보 요청을 시작하는 SET의 모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MO mode는 타입 1(Type 1) 또는 타입 2(Type 2) 중 어떤 타입인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O mode가 타입 1인 경우는 제1 SET(1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기를 요청하는 경우이며, 이때 상기 SUPL START 메시지는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MO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O mode가 타입 2인 경우는 제1 SET(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120)으로 송신하기를 요청하는 경우이며, 이때 상기 SUPL START 메시지는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K mode는 제2 SET이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였는지에 대한 수신확인을 제1 SET에게 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관련하여, 상기 MO mode 타입에 따라 제1 SET(200)은 SLC(211)에게 자신의 위치정보 요청하거나, 제1 SET(2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22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경우로 나누는 것은 이하, 도 2a, 3a, 4a, 5a, 7a ~ 7c 의 실시예에 모두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SUPL START 메시지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11a ~ 도 11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SUPL START 메시지에 대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
제1 SET(100)으로부터 SUPL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SLP(110)는 제1 SET(1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다(S102).
상기 제1 SET(1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 SLP(110)는 제1 SET(100)으로 session-id, posmethod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SET(100)에게 서비스 요청이 받아들여졌음을 알리고, 위치 추적 절차를 시작할 것을 알린다(S103). 상기 SUPL RESPONSE 메시지에 대해서는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SLP(110)로부터 성공적으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ET(100)은 자신의 실제 위치추적 시작을 알리는 SUPL POS INIT 메시지를 SLP(110) 로 송신한다(S104).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는 session-id, lid, SET capabilities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LP(110)가 제1 SET(100)으로부터 SUPL POS INIT 메시지를 수신하면, SLP(110)와 제1 SET(100)은 SUPL START, SUPL RESPONSE, SUPL POS INIT 메시지를 통하여 기 결정된 위치 계산 방법(SET-Assisted A-GPS, SET-Based A-GPS, Cell id 등)과 위치추적 프로토콜(GSM: RRLP, 3GPP: RRC, 3GPP2: TIA-801)을 통하여 제1 SET(100)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SLP(110)와 제1 SET(100) 간에 송수신하는 위치추적 프로토콜 메시지는 SUPL POS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어 송수신 된다(S105). 상기 SUPL POS 메시지는 session-id, RRLP/RRC/TIA-801 정보를 포함하며,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S105) 수행결과, 제1 SET(100)의 위치가 계산되면, SLP(110)는 제1 SET(100)으로 SUPL END 메시지를 송신하여 위치추적을 위한 SUPL 세션이 끝났음 알리고, 제1 SET(100)은 SLP(110)와의 연결을 해지한다(S106). 상기 SUPL END 메시지는 session-id 정보와 위치추적 결과를 나타내는 posresult 정보를 포함하며,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관련하여, SUPL START 메시지의 MO mode의 타입 1인 경우에는 여기까지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의 과정은 SUPL START 메시지의 MO mode의 타입 2인 경우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LP(110)는 posresult 정보가 포함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하여 계산된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120)으로 송신한다(S107). 관련하여, 제2 SET(120)을 관리하는 서버(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가 있는 경우에는 SLP(110)는 상기 제2 SET(120)을 관리하는 서버로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2 SET(120)을 관리하는 서버는 다시 제2 SET(120)으로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UPL INIT 메시지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관련하여, SLP(110)는 MLP SLR(Mobile Location Protocol Standard Location Report : 이하, 'MLP SLR'라 한다.) 메시지, WAP PUSH, SMS 메시지, TCP/IP connection, UDP/IP connection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사용하여 계산된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120)으로 송신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SLC(211)가 계산된 제1 SET(2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220)으로 전송하는 방식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SUPL INIT 메시지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SET(100)이 SUPL START 메시지의 ACK mode를 통해 제2 SET(120)의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하여 상기 제2 SET(120)이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받은 경우라면, 제2 SET(120)은 제1 SET(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정보를 SLP(110)를 통해 제1 SET(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SET(120)을 관리하는 로케이션 서버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SET(120)은 상기 로케이션 서버로 수신(reception)에 대한 확인을 위한 위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것이다. 상기 위치 응답 메시지는 확인 메시지(acknowledge message)가 포함된 RRLP SSRP로서 제2 SET(120)에게 제1 SET(100)위 위치정보를 전송한 결과를 SLP(110)에게 알리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위치정보 전송 과정은 실시예이므로, 위치정보 전송을 위한 순서는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와 비교하여, 제1 SET(100)이 SLP(1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101)에서 상기 SUPL START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1b의 S101 단계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1a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도 1b의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 SET(1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SLP(1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100)은 SLP(110)에게 제2 SET(12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12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SET ID,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101). 여기서, 상기 SET ID는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는 SET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 ID, 또는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는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 ID(Third Party ID)가 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는 SET 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 ID를 "Target SET ID"라 표현하고, 상기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는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 ID를 "Third Party ID"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100)이고, 상기 제1 SET(100)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이 제2 SET(120)인 경우, "Target SET ID"는 제2 SET(120) ID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100)이고, 상기 제1 SET(1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이 제2 SET(120)인 경우, "Third Party ID"는 제2 SET(120) ID가 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a는 제1 SET이 HN에 위치하고 제1 SET이 SPC와 직접 통신하는 논-로밍 경우(Non-Roaming Successful Case)와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2a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도 1a과 비교하여, 제1 SET(200), SLP(210), 그리고 제2 SET(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SLP(210)는 SLC(211)와 SPC(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도 1a의 위치추적 시스템과 차이가 있다. 여기서, 상기 SPC(212)는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20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개체이며, 상기 SLC(211)는 SUPL 세션 관리, 로밍(Roaming),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등의 전반적인 SUPL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개체이다.
먼저, 제1 SET(200)은 SUPL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S200).
데이터 링크 연결 후, 제1 SET(2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SLC(211)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200)은 SLC(211)에게 자신의 위치정보 요청하거나, 제1 SET(2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22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201).
제1 SET(200)으로부터 SUPL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SLC(211)는 제1 SET(2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다(S202).
상기 제1 SET(2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 SLC(211)는 제1 SET(200)과의 세션(Session)에서 사용할 session-id를 생성하고, SPC(212)에게 생성한 session-id 정보, 제1 SET-id 정보, 위치 계산방법 및 위치추적 프로토콜 정보 등을 전달하고, 제1 SET(200)과의 위치추적 세션이 시작될 것을 알린다(S203).
그리고, SLC(211)는 제1 SET(200)으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SET(200)에게 서비스 요청이 받아들여졌음을 알리고, 위치추적 세션을 시작할 것을 알린다(S204). 상기 SUPL RESPONSE 메시지는 session-id, SPC address, SET auth-key, key-id 4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SET(200)이 SPC(212)와 위치 추적 세션을 시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SLC(211)는 SUPL RESPONSE 메시지에 SPC 주소(SPC address) 정보를 포함해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SLC(211)로부터 SPC(212) 주소 정보가 포함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ET(200)은 SLC(211)와의 연결을 끊고, SPC(212)로 SUPL POS INIT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SET(200)의 실제 위치추적 세션을 시작한다. 이때, SPC(212)는 제1 SET(200)으로부터 SUPL POS INIT 메시지를 수신하면, SLC(211)에게 제1 SET(200)과 위치추적 세션이 시작되었음을 알린다(S205).
SPC(212)와 제1 SET(200)은 기 결정된 위치 계산 방법(SET-Assisted A-GPS, SET-Based A-GPS, Cell id 등)과 위치추적 프로토콜(GSM: RRLP, 3GPP: RRC, 3GPP2: TIA-801)을 통하여 제1 SET(200)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SPC(212)와 제1 SET(200) 간에 송수신 되는 위치추적 프로토콜 메시지는 SUPL POS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어 송수신 된다(S206).
상기 단계(S206)결과, 제1 SET(200)의 위치가 계산되면, SPC(212)는 제1 SET(200)으로 SUPL END 메시지를 송신하여 위치추적을 위한 SUPL 세션이 끝났음을 알리고, 제1 SET(200)은 SPC(212)와의 연결을 해지한다. 그리고, SPC(212)는 SLC(211)에게도 제1 SET(200)과의 SUPL 세션이 끝났음을 알리고, 계산된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207).
또한, SLC(211)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하여 계산된 제1 SET(2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220)으로 송신한다. 이때,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UPL INIT 메시지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LC(211)가 계산된 제1 SET(2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220)으로 전송하는 방식은 상기 도 1a에서 살펴본 방식들이 적용가능하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 면이다.
도 2b는 도 2a와 비교하여, 제1 SET(200)이 SLC(211)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201)에서 상기 SUPL START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2b의 S201 단계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2a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도 2b의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 SET(2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SLC(211)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200)은 SLP(210)에게 제2 SET(22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2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22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SET ID,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201).
예를 들어,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200)이고, 상기 제1 SET(200)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이 제2 SET(220)인 경우, "Target SET ID"는 제2 SET(220) ID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200)이고, 상기 제1 SET(2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이 제2 SET(220)인 경우, "Third Party ID"는 제2 SET(220) ID가 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3a는 제1 SET이 HN이 아닌 VN에 위치하고, 제1 SET이 SLC를 통하여 SPC와 통신하며, V-SLP에서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는 로밍 경우(Roaming Successful Case)와 프록시 모드(Proxy Mode)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3a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300), 홈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H-SLP(310), 방문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V-SLP(320), 제2 SET(3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인 N-SLP(330), 그리고 제1 SET(300)의 위치정보를 통지받는 제2 SET(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SET(3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를 N-SLP(330)으로 정의하되, 상기 N-SLP(330)는 논리적인 개체로 H-SLP(310)와 동일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먼저, 제1 SET(300)은 SUPL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S300).
데이터 링크 연결 후, 제1 SET(3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P(3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300)은 H-SLP(310)에게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3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340)으로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301).
제1 SET(300)으로부터 SUPL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H-SLP(310)는 제1 SET(3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다(S302).
이후, H-SLP(310)는 V-SLP(320)를 통하여 제1 SET(300)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START 메시지를 RLP SSRLIR(Roaming Location Protocol Standard SUPL Roaming Location Immediate Request : 이하, 'RLP SSRLIR'라 한다.)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V-SLP(320)로 터널링(tunneling)한다(S303).
그리고, V-SLP(320)는 SUPL 세션 요청을 수락하고, session-id, V-SLP address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RESPONSE 메시지를 RLP SSRLIA(Roaming Location Protocol Standard SUPL Roaming Location Immediate Answer : 이하, 'RLP SSRLIA'라 한다.)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H-SLP(310)로 터널링한다(S304).
H-SLP(310)는 V-SLP(320)로부터 수신한 RLP SSRLIA 메시지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고, session-id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제1 SET(300)으로 송신한다. 이때, H-SLP(310)는 제1 SET(300)이 자신을 통하여 V-SLP(320)와 통신하도록 하기 위해 SUPL RESPONSE 메시지에 V-SLP 주소(V-SLP address)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S305).
H-SLP(310)로부터 성공적으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ET(300)은 실제 위치추적 시작을 알리고, session-id, lid, SET capabilities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POS INIT 메시지를 H-SLP(310)로 송신한다(S306).
제1 SET(300)으로부터 SUPL POS INIT 메시지를 수신한 H-SLP는 RLP SSRP(Roaming Location Protocol Standard SUPL Roaming Position : 이하, 'RLP SSRP'라 한다.) 메시지를 통하여 SUPL POS INIT 메시지를 V-SLP(320)로 터널링한다(S307).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를 포함한 RLP SSRP 메시지를 수신한 V-SLP(320)와 제1 SET(300)은 기 결정된 위치 계산 방법(SET-Assisted A-GPS, SET-Based A-GPS, Cell ID 등)과 위치추적 프로토콜(GSM: RRLP, 3GPP: RRC, 3GPP2: TIA-801)을 통하여 제1 SET(300)의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08).이때, V-SLP(320)와 제1 SET(3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메시지는 H-SLP(310)를 통해서 송수신 된다.
상기 단계(S308)에 의해서 제1 SET(300)의 위치가 계산되어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V-SLP(320)는 RLP SSRP 메시지를 통하여 session-id, posresult 정보를 포함한 SUPL END 메시지를 H-SLP(310)에게 송신한다(S309).
H-SLP(310)는 수신한 RLP SSRP 메시지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여 얻은 SUPL END 메시지를 제1 SET(300)으로 송신하여 위치추적을 위한 SUPL 세션이 끝났음을 알린다. 그리고 제1 SET(300)은 H-SLP(310)와의 연결을 해지한다(S310).
다음으로 H-SLP(310)와 N-SLP(330)가 동일한 경우와 다른 경우에 따라서 다음 단계의 과정이 달라지는바, 이하에서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H-SLP(310)와 N-SLP(330)가 다른 경우에, H-SLP(310)는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RLP SSRP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N-SLP(330)로 터널링한다(S311).
N-SLP(330)는 수신한 RLP SSRP 메시지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고, 제2 SET(340)으로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S312). 여기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UPL INIT 메시지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H-SLP(310)와 N-SLP(330)가 같은 경우에, H-SLP(310)는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제2 SET(34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와 비교하여, 제1 SET(300)이 H-SLP(3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301)에서 상기 SUPL START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3b의 S301 단계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3a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도 3b의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 SET(3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P(3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300)은 H-SLP(310)에게 제2 SET(34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3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34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SET ID,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301).
예를 들어,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300)이고, 상기 제1 SET(300)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이 제2 SET(340)인 경우, "Target SET ID"는 제2 SET(340) ID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300)이고, 상기 제1 SET(3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이 제2 SET(340)인 경우, "Third Party ID"는 제2 SET(340) ID가 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4a는 제1 SET이 HN이 아닌 VN에 위치하고, 제1 SET이 SPC와 직접 통신하며, V-SPC가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는 로밍 경우(Roaming Successful Case)와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4a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400), 방문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V-SLP(410), 홈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H-SLP(420), 제2 SET(4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인 N-SLP(430), 그리고 제1 SET(400)의 위치정보를 통지받는 제2 SET(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V-SLP(410)는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40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개체인 V-SPC(412)와, SUPL 세션 관리, 로밍(Roaming),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등의 전반적인 SUPL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개체인 V-SLC(41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제2 SET(4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를 N-SLP(430)으로 정의하되, 상기 N-SLP(430)는 논리적인 개체로 H-SLP(420)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먼저, 제1 SET(400)은 SUPL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S400).
데이터 링크 연결 후, 제1 SET(4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P(42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400)은 H-SLP(420)에게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4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440)으로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401).
제1 SET(400)으로부터 SUPL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H-SLP(420)는 제1 SET(4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다(S402).
이후, H-SLP(420)는 V-SLC(411)를 통하여 제1 SET(400)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START 메시지를 RLP SSRLIR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V-SLC(411)로 터널링(tunneling)한다(S403).
그리고, V-SLC(411)는 SUPL 세션 요청을 수락하고, 제1 SET(400)과의 세션(Session)에 사용할 session-id를 할당하며, V-SPC(412)에게 할당한 session-id 정보, 제1 SET의 정보, 위치 계산 방법 및 위치추적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 등을 전달하고, 제1 SET(400)과 위치추적 세션이 시작될 것을 알린다(S404).
V-SLC(411)는 session-id, V-SLP address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RESPONSE 메시지를 RLP SSRLIA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H-SLP(420)로 터널링한다. 이때, V-SLC(411)는 제1 SET(400)이 V-SPC(412)와 위치추적 세션을 설정 할 수 있도록 SUPL RESPONSE 메시지에 V-SPC 주소를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이다(S405).
H-SLP(420)는 V-SPC(412)와 제1 SET(400) 간의 세션에서 사용될 인증관련 키(key)를 생성하고, session-id, SPC auth-key, key-id 3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AUTH RESP 메시지를 RLP SSRP 메시지에 인캡슐레시션(Encapsulation)하여 관련정보를 V-SLC(411)로 송신한다(S406).
또한, H-SLP(420)는 상기 단계(S405)에서 V-SLC(411)로부터 수신한 RLP SSRLIA 메시지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고, session-id, V-SPC address, set auth-key, key-id 4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제1 SET(400)으로 송신한다. 상기 SUPL RESPONSE 메시지는 V-SPC 주소(V-SLP address)와 인증관련 키(ke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407).
H-SLP(420)로부터 성공적으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ET(400)은 H-SLP(420)와의 연결을 해지하고,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V-SPC(412)로 위치추적 세션을 설정한다. 또한, 제1 SET(400)은 위치추적 시작을 알리고, session-id, lid, SET capabilities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POS INIT 메시지를 V-SPC(412)로 송신하고,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를 수신한 V-SPC(412)는 V-SLC(411)에게 제1 SET(400)과의 위치추적 세션이 시작되었음을 알린다(S408).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를 수신한 V-SPC(412)와 제1 SET(400)은 기 결정된 위치 계산 방법(SET-Assisted A-GPS, SET-Based A-GPS, Cell ID 등)과 위치추적 프로토콜(GSM: RRLP, 3GPP: RRC, 3GPP2: TIA-801)을 통하여 제1 SET(400)의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09). 이때, V-SPC(412)와 제1 SET(4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위치추적 프로토콜 메시지는 SUPL POS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되어 송수신 될 수 있다.
상기 단계(S409)에서 제1 SET(400)의 위치가 계산되어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V-SPC(412)는 session-id, posresult 정보를 포함한 SUPL END 메시지를 제1 SET(400)으로 송신하고, 제1 SET(400)은 V-SPC(412)와의 연결의 해지한다(S410).
또한, V-SPC(412)는 V-SLC(411)에게 계산된 제1 SET(400)의 위치정보를 전달하고, SUPL 세션이 끝났음을 알린다(S411).
V-SPC(412)로부터 계산된 제1 SET(4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V-SLC(411)은 RLP SSRP 메시지를 통하여 session-id와 계산된 위치정보인 posresult 정보를 포함한 SUPL END 메시지를 H-SLP(420)로 터널링한다(S412).
다음으로 H-SLP(420)와 N-SLP(430)가 동일한 경우와 다른 경우에 따라서 다음 단계의 과정이 달라지는바, 이하에서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H-SLP(420)와 N-SLP(430)가 다른 경우에, H-SLP(420)는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RLP SSRP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N-SLP(430)로 터널링한다(S413).
N-SLP(430)는 수신한 RLP SSRP 메시지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고, 제2 SET(440)으로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S414). 여기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UPL INIT 메시지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다 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H-SLP(420)와 N-SLP(430)가 같은 경우에, H-SLP(420)는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제2 SET(44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8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와 비교하여, 제1 SET(400)이 H-SLP(42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401)에서 상기 SUPL START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4b의 S401 단계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4a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도 4b의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 SET(4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P(42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400)은 H-SLP(420)에게 제2 SET(44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4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44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SET ID,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401).
예를 들어,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400)이고, 상기 제1 SET(400)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이 제2 SET(440)인 경우, "Target SET ID"는 제2 SET(440) ID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400)이고, 상기 제1 SET(4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이 제2 SET(440)인 경우, "Third Party ID"는 제2 SET(440) ID가 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9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5a는 제1 SET이 HN이 아닌 VN에 위치하고, 제1 SET이 SLC를 통하여 SPC와 통신하며, H-SLP를 통하여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는 로밍 경우(Roaming Successful Case)와 프록시 모드(Proxy Mode)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5a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500), 홈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H-SLP(510), 방문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V-SLP(520), 제2 SET(5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인 N-SLP(530), 그리고 제1 SET(500)의 위치정보를 통지받는 제2 SET(5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하여, 상기 제2 SET(5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를 N-SLP(530)으로 정의하되, 상기 N-SLP(530)는 논리적인 개체로 H-SLP(510)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먼저, 제1 SET(500)은 SUPL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S500).
데이터 링크 연결 후, 제1 SET(5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P(5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500)은 H-SLP(510)에게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5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540)으로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501).
제1 SET(500)으로부터 SUPL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H-SLP(510)는 제1 SET(5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다(S502).
이후, H-SLP(510)는 자신이 위치추적 세션을 실행하고, V-SLP(520)로 계산되지 않은 제1 SET(5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등의 정보를 포함한 RLP SRLIR(Roaming Location Protocol Standard Roaming Location Immediate Request : 이하 'RLP SRLIR'라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S503).
그리고, V-SLP(520)는 RLP SRLIA(Roaming Location Protocol Standard Roaming Location Immediate Answer : 이하 'RLP SRLIA'라 한다.) 메시지를 통하여 계산되지 않은 위치정보를 H-SLP(510)로 송신한다(S504).
H-SLP(510)는 제1 SET(500)으로 session-id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SET(500)에게 서비스 요청이 받아들여졌음을 알리고,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할 것을 알린다(S505).
상기 H-SLP(510)로부터 성공적으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ET(500)은 실제 위치추적 절차를 알리고, session-id, lid, SET capabilities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POS INIT 메시지를 H-SLP(510)로 송신한다(S506).
H-SLP(510)가 제1 SET(500)으로부터 SUPL POS INI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H-SLP(510)와 제1 SET(500)은 SUPL START, SUPL RESPONSE, SUPL POS INIT 메시지를 통하여 기 결정된 위치 계산 방법(SET-Assisted A-GPS, SET-Based A-GPS, Cell ID 등)과 위치추적 프로토콜(GSM: RRLP, 3GPP: RRC, 3GPP2: TIA-801)을 통하여 제1 SET(500)의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507). 이때, H-SLP(510)와 제1 SET(5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위치추적 프로토콜 메시지는 SUPL POS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되어 송수신 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07)에서 제1 SET(500)의 위치가 계산되어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H-SLP(510)는 session-id, posresult 정보를 포함한 SUPL END 메시지를 제1 SET(500)으로 송신하여 위치추적을 위한 SUPL 세션이 끝났음을 알리고, 제1 SET(500)은 H-SLP(510)와의 연결을 해지한다(S508).
다음으로 H-SLP(510)와 N-SLP(530)가 동일한 경우와 다른 경우에 따라서 다음 단계의 과정이 달라지는바, 이하에서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H-SLP(510)와 N-SLP(530)가 다른 경우에, H-SLP(510)는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RLP SSRP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N-SLP(530)로 터널링한다(S509).
N-SLP(530)는 수신한 RLP SSRP 메시지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고, 제2 SET(540)으로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S510). 여기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UPL INIT 메시지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H-SLP(510)와 N-SLP(530)가 같은 경우에, H-SLP(510)는 계산된 위치 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제2 SET(54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0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와 비교하여, 제1 SET(500)이 H-SLP(5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501)에서 상기 SUPL START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5b의 S501 단계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5a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도 5b의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 SET(5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P(5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500)은 H-SLP(510)에게 제2 SET(54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5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54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SET ID,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501).
예를 들어,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500)이고, 상기 제1 SET(500)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이 제2 SET(540)인 경우, "Target SET ID"는 제2 SET(540) ID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500)이고, 상기 제1 SET(5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이 제2 SET(540)인 경우, "Third Party ID"는 제2 SET(540) ID가 될 수 있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6a는 제1 SET이 HN이 아닌 VN에 위치하고, 제1 SET이 SPC와 직접 통신하며, H-SPC가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는 로밍 경우(Roaming Successful Case)와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6a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600), 홈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H-SLP(610), 방문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V-SLP(620), 제2 SET(6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인 N-SLP(630), 그리고 제1 SET(600)의 위치정보를 통지받는 제2 SET(6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H-SLP(610)는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60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개체인 H-SPC(612)와, SUPL 세션 관리, 로밍(Roaming),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등의 전반적인 SUPL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개체인 H-SLC(6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제2 SET(64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를 N-SLP(630)으로 정의하되, 상기 N-SLP(630)는 논리적인 개체로 H-SLP(610)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먼저, 제1 SET(600)은 SUPL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S600).
데이터 링크 연결 후, 제1 SET(6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C(611)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600)은 H-SLC(611)에게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6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640)으로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601).
제1 SET(600)으로부터 SUPL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H-SLC(611)는 제1 SET(600)의 로밍 여부를 확인한다(S602).
이후, H-SLC(611)는 H-SPC(612)가 위치추적 세션을 실행하고, V-SLP(620)에게 계산되지 않은 위치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mSET, lid 등의 정보를 포함한 RLP SRLIR 메시지를 V-SLP(620)에게 송신한다(S603).
상기 RLP SRLIR 메시지를 수신한 V-SLP(620)는 RLP SRLIA 메시지를 통하여 제1 SET(600)의 계산되지 않은 위치정보를 H-SLC(611)에 송신한다(S604).
H-SLC(611)는 제1 SET(600)과의 세션(Session)에 사용할 session-id를 생성하고, H-SPC(612)에게 생성한 session-id 정보, 제1 SET의 계산되지 않은 위치정보, 위치 계산 방법 및 위치추적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 등을 전달하고, 제1 SET(600)과 위치추적 세션이 시작될 것을 알린다(S605).
H-SLC(611)는 제1 SET(600)으로 session-id, H-SPC address, set auth-key, key-id 4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 SET(600)에게 서비스 요청이 받아들여졌음을 알리고, 위치추적 세션을 시작할 것을 알린다. 즉, 제1 SET(600)이 H-SPC(612)와 위치추적 세션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H-SLC(611)는 SUPL RESPONSE 메시지에 H-SPC 주소 정보를 포함해서 송신하는 것이다(S606).
H-SLC(611)로부터 H-SPC 주소 정보가 포함된 SUPL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제1 SET(600)은 H-SLC(611)와의 연결을 해지하고, H-SPC(612)로 session-id, lid, SET capabilities 등의 정보를 포함한 SUPL POS INIT 메시지를 송신하여 실제 위치추적 세션을 시작한다. 이때, H-SPC(612)는 H-SLC(611)에게 제1 SET(600)과의 위치추적 세션이 시작되었음을 알린다(S607).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를 수신한 H-SPC(612)와 제1 SET(600)은 기 결정된 위치 계산 방법(SET-Assisted A-GPS, SET-Based A-GPS, Cell ID 등)과 위치추적 프로토콜(GSM: RRLP, 3GPP: RRC, 3GPP2: TIA-801)을 통하여 제1 SET(600)의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08). 이때, H-SPC(612)와 제1 SET(6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위치추적 프로토콜 메시지는 SUPL POS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되어 송수신 될 수 있다.
상기 단계(S608)에서 제1 SET(600)의 위치가 계산되어 위치정보가 획득되면, H-SPC(612)는 session-id, posresult 정보를 포함한 SUPL END 메시지를 제1 SET(600)으로 송신하여 위치추적을 위한 SUPL 세션이 끝났음을 알리고, 제1 SET(600)은 H-SPC(612)와의 연결을 해지한다. 또한, H-SPC(612)는 H-SLC(611)에게 계산된 제1 SET(600)의 위치정보를 전달하고, SUPL 세션이 끝났음을 알린다(S609).
다음으로 H-SLP(610)와 N-SLP(630)가 동일한 경우와 다른 경우에 따라서 다음 단계의 과정이 달라지는바, 이하에서 나누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H-SLP(610)와 N-SLP(630)가 다른 경우에, H-SLC(611)는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RLP SSRP 메시지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N-SLP(630)로 터널링한다(S610).
N-SLP(630)는 수신한 RLP SSRP 메시지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고, 제2 SET(640)으로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S611). 여기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UPL INIT 메시지와 같은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가 포함된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런데, H-SLP(610)와 N-SLP(630)가 같은 경우에, H-SLC(611)는 계산된 위치정보(posresult)를 포함하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제2 SET(640)으로 송신한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와 비교하여, 제1 SET(600)이 H-SLC(611)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601)에서 상기 SUPL START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6b의 S601 단계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6a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도 6b의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 SET(6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C(611)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600)은 H-SLP(610)에게 제2 SET(64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6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64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SET ID,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601).
예를 들어,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600)이고, 상기 제1 SET(600)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이 제2 SET(640)인 경우, "Target SET ID"는 제2 SET(640) ID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600)이고, 상기 제1 SET(6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이 제2 SET(640)인 경우, "Third Party ID"는 제2 SET(640) ID가 될 수 있다.
도 7a ~ 도 7c는 본 발명에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SLP 간에 SUP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 7a ~ 도 7c의 위치추적 시스템은 위치추적 대상 단말인 제1 SET(700), 홈 네트워크 내의 서버인 H-SLP(710), 제2 SET(73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인 N-SLP(720), 그리고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통지받는 제2 SET(7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하여, 상기 제2 SET(730)이 위치한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를 N-SLP(720)으로 정의하되, 상기 N-SLP(720)는 논리적인 개체로 H-SLP(710)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여 SLP 간에 SUP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SET(700)은 SUPL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S710).
데이터 링크 연결 후, 제1 SET(7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 SLP(7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700)은 H-SLP(710)에게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7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송신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MO mode,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711). 여기서, 상기 MO mode가 타입 2인 경우에는 제1 SET(7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하기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K mode는 제1 SET(700)이 제2 SET(730)에게 위치정보 수신확인이 필요하다는 정보 또는 위치정보 수신확인이 필요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ACK mode가 위치정보 수신확인이 필요하다는 모드인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SET(730)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제1 SET(7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은 이하 단계(S718 ~ S720)를 통해 할 수 있다.
제1 SET(700)으로부터 SUPL START 메시지를 수신한 H-SLP(710)는 제1 SET(700)의 로밍 상태와 SUPL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H-SLP(710)는 제2 SET(730)에 대한 제1 SET(700)의 프라이버시(privacy) 설정을 검사하고, 상기 제1 SET(700)의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제1 SET(700)에게 제2 SET(730)으로의 위치정보 전송에 대한 통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악의의 응용으로부터 제1 SET(700)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H-SLP(710)는 제1 SET(700)의 프라이버시(privacy) 설정에 관계없이 제1 SET(700)에게 제2 SET(730)으로의 위치정보 전송에 대한 통지를 할 수 있다(S712).
H-SLP(710)와 제1 SET(700)은 SUPL 프로토콜에 정의된 SET-initiated 위치 추적 절차를 수행한다(S713).
상기 단계(S713)에서 제1 SET(700)의 위치가 계산되어 상기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면, H-SLP(710)는 제2 SET의 홈 서버인 N-SLP(720)로 SUPL NOTIFICATION 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획득한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SUPL NOTIFICATION REQ 메시지는 session-id,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posresult, 제1 SET의 ID를 나타내는 target SET-id, 제2 SET의 ID를 나타내는 notified SET-id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714).
N-SLP(720)는 SUPL NOTIFICATION REQ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SET(730)의 로밍 상태와 SUPL 프로토콜 지원 여부를 확인한다(S715).
N-SLP(720)는 제2 SET(730)으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2 SET(730)과의 notification 세션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ession-id,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posresult, 제1 SET의 ID를 나타내는 target SET-id,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key-id, ma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S716). 관련하여, 상기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WAP PUSH, SMS Trigger 등의 여러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살펴본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2 SET(730)은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링크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수신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가 key-id와 mac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SET(730)이 이를 이용한 인증 메커니즘을 지원하면, 상기 제2 SET(730)은 상기 key-id와 mac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717).
제2 SET(730)은 N-SLP(720)로 SUPL END 메시지를 송신하여,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에 대한 처리 결과와 notification 세션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여기서, 상기 단계(S711)에서 SUPL START 메시지의 ACK mode가 위치정보 수신확인이 필요하다는 모드인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SET(730)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SUPL END 메시지에 포함하여 N-SLP(720)로 송신할 수 있다(S718).
N-SLP(720)는 H-SLP(710)로 SUPL NOTIFICATION RESP 메시지를 송신하여 notification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와 세션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상기 N-SLP(720)는 제2 SET(730)으로부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SUPL NOTIFICATION RESP 메시지에 포함하여 H-SLP(710)로 송신할 수 있다(S719).
H-SLP(710)는 제1 SET(700)으로 SUPL END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2 SET(730)으로의 위치정보 전송 결과와 SUPL 세션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상기 H-SLP(710)는 N-SLP(720)으로부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SUPL END 메시지에 포함하여 제1 SET(700)으로 송신할 수 있다(S720).
도 7b를 참조하여 SLP 간에 RLP(Roaming Location Protocol)의 SUPL Roaming Service를 사용하여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b는 도 7a의 절차와 비교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중 7b의 단계들(S734, S738, S739)이 도 7a의 단계들(S714, S718, S719)과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단계들은 차이가 없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7b의 단계들(S734, S738, S739)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S734를 제1 단계, S738를 제2 단계, S739를 제3 단계라 명명하고 설명한다.
제1 단계를 설명하면, SET-initiated 위치 추적 절차를 통해 제1 SET(700)의 위치가 계산되고, 상기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면, RLP SSRP 메시지를 통하여 H-SLP(710)는 제2 SET의 홈 서버인 N-SLP(720)로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획득한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session-id,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posresult, 제1 SET의 ID를 나타내는 target SET-id,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key-id, ma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S734).
제2 단계를 설명하면, 제2 SET(730)은 N-SLP(720)로 SUPL POS NOTIFICATION RESP 메시지를 통하여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에 대한 처리 결과를 통보한다. 여기서, SUPL START 메시지의 ACK mode가 위치정보 수신확인이 필요하다는 모드인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SET(730)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SUPL POS NOTIFICATION RESP 메시지에 포함하여 N-SLP(720)로 송신할 수 있다(S738).
제3 단계를 설명하면, N-SLP(720)는 H-SLP(710)로 RLP SSRP 메시지를 통하여 SUPL POS NOTIFICATION RESP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N-SLP(720)는 제2 SET(730)으로부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SUPL NOTIFICATION RESP 메시지에 포함하여 H-SLP(710)로 송신할 수 있다(S739).
도 7c를 참조하여 SLP 간에 RLP(Roaming Location Protocol)의 Standard Roaming Location Reporting Service를 사용하여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c는 도 7a의 절차와 비교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중 7b의 단계들(S734, S738, S739)이 도 7a의 단계들(S714, S718, S719)과 차이가 있을 뿐, 다른 단계들은 차이가 없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7c의 단계들(S754, S758, S759)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S754를 제4 단계, S758를 제5 단계, S759를 제6 단계라 명명하고 설명한다.
제4 단계를 설명하면, SET-initiated 위치 추적 절차를 통해 제1 SET(700)의 위치가 계산되고, 상기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면, H-SLP(710)는 제2 SET의 홈 서버인 N-SLP(720)로 RLP SRLREP(Roaming Location Protocol Standard Roaming Location Report)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획득한 제1 SET(700)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S754).
제5 단계를 설명하면, 제2 SET(730)은 N-SLP(720)로 SUPL POS NOTIFICATION RESP 메시지를 통하여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에 대한 처리 결과를 통보한다. 여기서, SUPL START 메시지의 ACK mode가 위치정보 수신확인이 필요하다는 모 드인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SET(730)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SUPL POS NOTIFICATION RESP 메시지에 포함하여 N-SLP(720)로 송신할 수 있다(S758).
제6 단계를 설명하면, N-SLP(720)는 H-SLP(710)로 위치정보 전송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RLP SRLRA(Roaming Location Protocol Standard Roaming Location Report Answer)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N-SLP(720)는 제2 SET(730)으로부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RLP SRLRA 메시지에 포함하여 H-SLP(710)로 송신할 수 있다(S759).
도 8a ~ 도 8c는 본 발명에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제1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 도 8c는 도 7a ~ 도 7c와 비교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서 제1 SET(700)이 H-SLP(7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811, S831, S851)에서 상기 SUPL START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8a ~ 도 8c의 S811, S831, S851 단계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7a ~ 도 7c에서 설명한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위한 여러 단계들이 도 8a ~ 도 8c의 실시예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제1 SET(700)은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H-SLP(710)로 SUPL START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제1 SET(700)은 H-SLP(710)에게 제2 SET(73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제1 SET(7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730)으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SUPL START 메시지에 session-id, lid, qop, SET capabilities, SET ID, ACK mode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S811, S831, S851).
예를 들어,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700)이고, 상기 제1 SET(700)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하는 다른 SET이 제2 SET(730)인 경우, SET ID는 상기 제2 SET(730)이 될 수 있다. 즉, "Target SET ID"는 제2 SET(730) ID가 될 수 있다. 또한,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SET이 제1 SET(700)이고, 상기 제1 SET(700)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이 제2 SET(730)인 경우, SET ID는 상기 제2 SET(730)가 될 수 있다. 즉, "Third Party ID"는 제2 SET(730) ID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시지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 9 ~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메시지들은 도 1a ~ 도 8c에서 살펴본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과 서버 사이에 송수신하는 메시지들이 공통으로 가진 커먼 파트(Common Part)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커먼 파트(Common Part)는 메시지의 헤더(Header)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커먼 파트는 옥텟들(Octets)로 전체 ULP(User Plane Location Protocol : 이하 'ULP'라 한다.)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Message Length" 파라미터와, ULP 프로토콜의 버전을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서비스 인디케이터(Service Indicator) 등의 형태로 나타내는 "Version" 파라미터와, 메시지 특유의 세션 id를 나타내는 "Session id" 파라미터와, ULP에서 정의한 메시지들 중 하 나를 포함하는 "Message Payload"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ession id" 파라미터는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는 SET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Message Payload" 파라미터에서 정의된 메시지들은 SUPL INIT 메시지, SUPL START 메시지, SUPL RESPONSE 메시지, SUPL POS INIT 메시지, SUPL POS 메시지, SUPL END 메시지, SUPL AUTH REQ 메시지, SUPL AUTH RESP 메시지,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 등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SLP에서 제1 SET으로 송신하는 초기화 메시지인 SUPL INIT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SUPL INIT 메시지는 SLP에 의해 요구된 위치추적 기술들(Positioning technologies)을 나타내는 "Positioning Method" 파라미터와, LCS 통지(Notification)와 프라이버시(Privacy)에 관한 사항들을 SET에게 제공하기 위한 "Notification" 파라미터와, SLP 주소(Address)를 포함하고 있는 "Session ID" 파라미터와, 요구되는 포지션의 퀄러티(Desired Quality of Position)를 나타내는 "QoP" 파라미터와, SLP 모드가 프록시 모드(Proxy Mode) 또는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인지는 나타내는 "SLP Mode" 파라미터와, SUPL INIT 메시지의 인테그리티 프로텍션(Integrity Protection)을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 인증 코드(Message Authentication Code : MAC, 이하 'MAC'라 한다.)를 포함하는 "MAC" 파라미터와, 상기 MAC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Key)에 대한 동일성 정보를 나타내는 "Key identity"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ession ID" 파라미터는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인 경우를 위해 SPC 주소(Address)를 포함하고, 상기 "SLP Address" 필드는 프록시 모드(Proxy Mode)인 경우에는 선택적(Optional)이나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인 경우에는 필수적인(Required) 필드이다. 상기 SLP Address는 SLP 또는 SPC와 연결시에 안전한 IP(Secure IP)를 만들기 위해 SET에 의해 사용되는 주소(Address)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메시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제1 SET에서 SLP으로 송신하는 시작 메시지인 SUPL START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SUPL START 메시지는 "SET capabilities" 파라미터, "Location Id" 파라미터, "QoP" 파라미터, "Notified SET Id" 파라미터, "MO mode" 파라미터, "ACK mode"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O mode"는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 "ACK mode"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SET capabilities" 파라미터는 커먼 파트(Common Part)를 제외한 메시지 특유 부분(Message Specific Part)은 SET의 능력(Capabilities)을 의미한다. 상기 "Location Id" 파라미터는 SET의 셀 정보(Cell Information)를 의미한다. 상기 "QoP" 파라미터는 요구되는 포지션의 퀄러티(Desired Quality of Position)를 의미한다. 상기 "Notified SET Id" 파라미터는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제2 SET의 id 값(Notified SET identity value)을 의미한다. 상기 "MO mode" 파라미터는 위치 추적을 요청하는 SET의 위치요청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MO mode"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모드의 타입(type)은 타입 1(Type 1)과 타입 2(Type 2)가 될 수 있다. 상기 타입 2는 제3의 부분으로 전송(Transfer to the third party) 타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입 1은 제1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상기 타입 2는 제1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SET으로 전송을 요청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ACK mode" 파라미터는 제3 부분인 제2 SET이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였는지에 대한 수신확인을 제1 SET에게 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ACK mode" 파라미터의 타입은 수신확인 요청 타입과 수신확인 미요청 타입이 있을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메시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SUPL START 메시지는 "SET capabilities" 파라미터, "Location Id" 파라미터, "QoP" 파라미터, "SET ID" 파라미터, "ACK mode"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와 비교하여 차이점인 "SET ID" 파라미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SET ID" 파라미터는 SET ID로 "Target SET ID"와 "Third Party ID"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arget SET ID"는 위치요청을 시작하는 특정 SET이 다른 타켓 SET(another target SET)의 위치정보를 원하는 경우, 상기 다른 타켓 SET의 ID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Third Party ID"는 위치요청을 시작하는 특정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제3의 부분(Third Party)의 ID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의 부분(Third Party)은 단말이 일 예이나, 본 발명은 제3의 부분(Third Party)으로 단말 외에도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작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를 참조하면, "SET ID" 파라미터는 SET ID로 SETtoSET인 경우 또는 SETtoThirdParty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SETtoSET인 경우 "SET ID" 파라미터는 Target SET ID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SETtoThirdParty인 경우 "SET ID" 파라미터는 Third Party ID 정보와 Third Party Name 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arget SET ID" 파라미터는 위치요청을 시작하는 특정 SET이 다른 타켓 SET(another target SET)의 위치정보를 원하는 경우, 상기 다른 타켓 SET ID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타켓 SET은 일 예로 제2 SET이 가능하다.
"Third Party ID" 파라미터는 제3 부분 ID 정보인 Third Party ID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Third Party ID" 파라미터는'Third Party Name', 'Third Party Name Typ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hird Party Name'은 제3 부분 네임(third party name)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Third Party Name Type'은 제3 부분 네임의 타입(type of the third party name)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 네임의 타입(type of the third party name)을 예를 들면 Logical name, MSISDN, E-mail address, URL, SIP URL, IMS public identity, MIN, MDN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부분은 일 예로 제2 SET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SEPL SET INIT 메시지를 프로그램 언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SETtoSET인 경우 targetSETID 와 SETtoThirdParty인 경우 thirdPartyID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SUPL-INIT DEFINITIONS AUTOMATIC TAGS ::=
BEGIN
EXPORTS SUPLSETINIT;
IMPORTS SETId, FormatIndicator
FROM ULP-Components;
SUPLSETINIT ::= SEQUENCE {
SETID ::= CHOICE {
SETtoSET targetSETID,
SETtoThirdParty thirdPartyID,
...},
ackMode AckMode,
...}
targetSETID SETId, --Target SETid identifies the target SET to be located
thirdPartyID ::= SEQUENCE {
thirdPartyName OCTET STRING(SIZE (1..maxThirdPartyLength)),
thirdPartyNameType FormatIndicator,
...}
maxThirdPartyLength INTEGER ::= 50
ACKMode ::= ENUMERATED {ackRequired (0), ackNotRequired (1) }, ...}
EN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시작 메시지인 SUPL START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의 SUPL RESPONSE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SUPL RESPONSE 메시지는 커먼 파트(Common Part)를 제외한 메시지 특유 부분(Message Specific Part)은 SUPL POS 세션을 위해 요구되는 위치추적 방법(Positioning Method)을 나타내는 "Positioning Method" 파라미터와, 단지 논-프록시 모드를 위해 요구되고 SPC 주소를 포함하는 "SLP Address" 파라미터와, 단지 논-프록시 모드를 위해 요구되고 SET이 SPC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해 사용하는 인증 키(Authentication Key)를 포함하는 "SET Auth key" 파라미터와, 단지 논-프 록시 모드를 위해 요구되고 키 아이덴터티(Key Identity)를 포함하는 "Key Identity 4"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LP Address" 파라미터의 SLP 주소는 SET이 SPC에 데이터 연결 설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초기화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상기 위치추적 초기화 메시지 중 SUPL POS INIT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는 네트워크가 개시된 경우에 SUPL INIT 메시지에 뒤따르는 메시지이거나, SET이 개시되는 경우에 응답 메시지인 SUPL RESPONSE 메시지에 뒤따르는 메시지이다.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는 SET의 능력(Capabilities)을 나타내는 "SET Capabilities" 파라미터와, 요구되는 위치추적 보조 데이터(Global Positioning System assistance data)를 나타내는 "Requested Assistance Data" 파라미터와, SET의 셀 정보(Cell Information)을 나타내는 "Location id" 파라미터와, SET의 포지션(Position)을 나타내는 "Position" 파라미터와, 위치추적 프로토콜(Positioning Protocol)이 SET에 첫번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허락하는 경우에만 사용되고 SUPL POS 메시지를 포함하는 "SUPLPOS" 파라미터와 SUPL INIT 메시지의 해쉬(hash)를 포함하는 "Ver"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하여, 상기 "Ver"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시작된 프록시 모드(Network Initiated Proxy Mode)에서 SET은 수신된 SUPL INIT 메시지의 해쉬(hash)를 계산하고, 이 파라미터에 해쉬(hash)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가 제1 SET에서 SLP로 송신되면, 상기 SLP는 상기 제1 SET과 위치추적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제1 SET의 위치추적이 끝나면 제2 SET에게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송신하게 되는바, 이하 위치추적 메시지인 SUPL POS 메시지에 대해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상기 위치추적 메시지인 SUPL POS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SUPL POS 메시지는 기본적인 TIA-801, RRLP 또는 RRC 요소들을 포함하기 위한 "Positioning Payload" 파라미터와, RRLP 및 RRC에서 정보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SET의 벨로시티(Velocity)를 나타내는 "Velocity"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SLP와 제1 SET이 SUPL POS 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제1 SET의 위치추적을 수행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료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SUPL END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SUPL END 메시지는 정상적으로(normally) 또는 비정상적으로(abnormally) SUPL 과정의 끝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SUPL END 메시지는 SET의 포지션 결과(Position result)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Position" 파라미터와, 에러 표시(Error indication) 또는 정보 표시(Information indication)로써 메시지의 상태(Status)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Status Code" 파라미터와, SET에 의해 계산된 SUPL INIT 메시지의 해쉬(hash)를 포함하는 "Ver"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tatus Code" 필드에서 에러 표시들(Error indications)은 0 ~ 99 사이의 값들(values)을 가지고, 정보 표시들(Information indications)은 100 ~ 199 사이의 값들(values)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Ver" 파라미터는 프록시 모드(Proxy Mode) 및 논-프록시 모드(Non Proxy Mode)에서 SUPL END 메시지가 SUPL INIT 메시지의 직접적인 응답으로 보내질 때의 상황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응답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SUPL AUTH RESP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SUPL AUTH RESP 메시지는 논-프록시 모드의 네트워크 초기화 경우(Network initiated cases)에 사용되며, Home SLC로부터 SET으로 보내지는 메시지로 SET이 SUPL 과정을 계속하도록 허락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메시지이다.
또한, 상기 SUPL AUTH RESP 메시지는 V-SPC에 의해 사용되는 인증 키(Authentication Key)와 키 아이덴터티(Key Identity)를 포함하고, RLP 메시지내에서 V-SLC까지 터널링 된다.
그리고, 상기 SUPL AUTH RESP 메시지는 SET이 SPC 인증을 위해 사용하는 인증 키(Authentication Key)를 나타내는 "SPC Auth Key" 파라미터와, SPC Auth Key가 존재하는 경우에 요구되며 키 아이덴터티(Key Identity)를 포함하는 "Key Identity 3" 파라미터와, 에러 표시(Error indication) 또는 정보 표시(Information indication)로써 메시지의 상태(Status)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Status Code"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tatus Code" 파라미터에서 에러 표시들(Error indications) 은 0 ~ 99 사이의 값들(values)을 가지고, 정보 표시들(Information indications)은 100 ~ 199 사이의 값들(values)을 가질 수 있다. 또한, SUPL AUTH RESP 메시지는 "Status Code" 파라미터를 인증 실패(Authentication Failure)인 'authNetFailure'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통지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는 제2 SET에게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로, 제1 SET의 포지션 결과(Position Result)를 나타내는 "Position" 파라미터와, 제1 SET의 아이덴터티 값(Identity Value)를 나타내는 "Target SET Id"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이 로밍 상태와 상관없이 로밍(Roaming)과 논 로밍(Non-Roaming) 모두에 적용가능하며, 서버가 프록시 모드(Proxy Mode)와 논-프록시 모드(Non-Proxy Mode) 모두에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전송 방법의 효과는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특정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특정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위한 메시지를 정의함으로써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5)

  1. 제1 단말로부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에 따라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는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제1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모드인 타입 1과 위치추적을 시작하는 제1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2 단말로 전송하기를 요청하는 모드인 타입 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타입 1인 경우에는,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타입 2인 경우에는, 상기 획득한 제1 단말 의 위치정보를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타입 2인 경우에는, 상기 시작 메시지는 제2 단말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타입 2인 경우에는,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통해서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한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단말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유저 플레인 프로토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9. 제 1 상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와 상기 제1 단말 사이에 기 결정된 위치 계산 방법과 위치추적 프로토콜을 통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서버 관리부와 위치 계산부로 구성되고, 제1 단말이 위치 계산부와 직접 통신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 관리부가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계산부와 제1 단말 간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서버 관리부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1. 제1 SET(SUPL Enabled Terminal), SLP(SUPL Location Platform), 제2 SET(SUPL Enabled Terminal)을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에 있어서,
    상기 제1 SET으로부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SET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에 따라 상기 획득한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제1 SET, 제2 SET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는 제1 SET이 자신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 또는 제2 SET으로 제1 SET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 중 어느 하나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제2 SET으로 제1 SET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시작 메시지는 제2 SET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ET이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통해서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한 경우에는 제1 SET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SET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제1 SET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6.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제1 단말 자신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 위치정보 전송 요청인 경우에는 상기 시작 메시지는 제2 단말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이고,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가 위치정보 수신확인이 필요함을 나타낸 경우에는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0. 제1 단말, 제2 단말, 홈 서버, 방문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서 홈 서버로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가 방문 서버를 통해 제1 단말의 위치추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홈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위치정보를 수신한 홈 서버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제2 단말 ID,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는 제2 단말로 제1 단말 위치정보 전송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서버가 서버 관리부와 위치 계산부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위치 계산부와 제1 단말 간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서버 관리부가 홈 서버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홈 서버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수신한 홈 서버가 제1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6. 제1 단말, 제2 단말, 홈 서버, 방문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에서 홈 서버로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와 제1 단말 간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 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제2 단말 ID,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는 제2 단말로 제1 단말 위치정보 전송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가 서버 관리부와 위치 계산부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위치 계산부와 제1 단말 간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서버 관리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버 관리부는 제2 단말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1. 제1 단말, 제2 단말, 홈 서버, 통지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시작 메시지를 홈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와 제1 단말 간에 위치추적 절차를 수행하여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통지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통지 서버가 제2 단말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제2 단말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시작 위치요청 모드는 제2 단말로 제1 단말 자신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통해서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한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단말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6. 제1 단말의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 정보를 위치추적 통지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 통지 메시지는 SUPL POS NOTIFICATION 메시지, MLP SLR, WAP PUSH, SMS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39. 제1 단말로부터 SET ID 정보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1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SET ID 정보에 따라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SET ID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제2 단말의 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SET ID 정보가 상기 제1 단말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제2 단말의 ID 정보이면, 상기 제2 단말의 ID 정보는 제2 단말 네임 정보와 제2 단말 네임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메시지는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위치정보 수신확인 모드를 통해서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요청한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제2 단말은 위치정보 수신확인을 제1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44. 제1 단말로부터 SET ID 정보를 포함한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SET ID 정보에 따라 제2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제2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SET ID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위치정보를 수신받기를 원하는 제2 단말의 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1020060032068A 2005-04-29 2006-04-07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10087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06732887T ES2377230T3 (es) 2005-04-29 2006-04-28 Transmisión de información de posición
MX2007013224A MX2007013224A (es) 2005-04-29 2006-04-28 Metodo para transmitir informacion de ubicacion.
EP06732887A EP1886523B1 (en) 2005-04-29 2006-04-28 Transmission of location information
RU2007144197/09A RU2404545C2 (ru) 2005-04-29 2006-04-28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CA2605776A CA2605776C (en) 2005-04-29 2006-04-28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T06732887T ATE541398T1 (de) 2005-04-29 2006-04-28 Senden von standortinformationen
PCT/KR2006/001618 WO2006118401A2 (en) 2005-04-29 2006-04-28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CN2006800147955A CN101199227B (zh) 2005-04-29 2006-04-28 发送位置信息的方法
US11/413,102 US8081986B2 (en) 2005-04-29 2006-04-28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656205P 2005-04-29 2005-04-29
US60/676,562 2005-04-29
US70793105P 2005-08-12 2005-08-12
US60/707,931 2005-08-12
US72600305P 2005-10-11 2005-10-11
US60/726,003 2005-10-11
US76435106P 2006-02-02 2006-02-02
US60/764,351 2006-02-02
KR20060030407 2006-04-04
KR1020060030407 2006-04-04
KR1020060031659 2006-04-06
KR20060031659 2006-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94A true KR20060113394A (ko) 2006-11-02
KR100878813B1 KR100878813B1 (ko) 2009-01-14

Family

ID=3765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068A KR100878813B1 (ko) 2005-04-29 2006-04-07 위치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81986B2 (ko)
KR (1) KR100878813B1 (ko)
AT (1) ATE541398T1 (ko)
ES (1) ES2377230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71B1 (ko) * 2009-01-12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정보 전달 방법
WO2015012534A1 (ko) * 2013-07-22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한 단말 간 거리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24899B1 (ko) * 2008-04-16 2015-06-01 노키아 코포레이션 영역 이벤트 지원 지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8091B1 (en) 2002-02-01 2003-12-02 @Security Broadband Corp. LIfestyle multimedia security system
US8918073B2 (en) 2002-03-28 2014-12-23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location based services scheme selection
US20080126535A1 (en) 2006-11-28 2008-05-29 Yinjun Zhu User plane location services ove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US20090077623A1 (en) 2005-03-16 2009-03-19 Marc Baum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316958B2 (en) 2008-08-11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489812B2 (en) 2004-03-16 2022-11-01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1201755B2 (en) 2004-03-16 2021-12-1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20050216302A1 (en) 2004-03-16 2005-09-29 Icontrol Networks, Inc. Business method for premises management
US11368429B2 (en) 2004-03-16 2022-06-21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ontrol
US8963713B2 (en) 2005-03-16 2015-02-24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network with security alarm signaling system
US10721087B2 (en) 2005-03-16 2020-07-21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for networked touchscreen with integrated interfaces
US11159484B2 (en) 2004-03-16 2021-10-26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20170118037A1 (en) 2008-08-11 2017-04-27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for premises automation
US9609003B1 (en) 2007-06-12 2017-03-28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9191228B2 (en) 2005-03-16 2015-11-17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0339791B2 (en) 2007-06-12 2019-07-02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0522026B2 (en) 2008-08-11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US11190578B2 (en) 2008-08-11 2021-11-30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677577B2 (en) 2004-03-16 2023-06-13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9729342B2 (en) 2010-12-20 2017-08-08 Icontrol Networks, Inc. Defining and implementing sensor triggered response rules
US10200504B2 (en) 2007-06-12 2019-02-05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811845B2 (en) 2004-03-16 2023-11-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160065414A1 (en) 2013-06-27 2016-03-03 Ken Sundermeyer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0127802B2 (en) 2010-09-28 2018-11-13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10382452B1 (en) 2007-06-12 2019-08-1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582065B2 (en) 2007-06-12 2023-02-1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US10156959B2 (en)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7711796B2 (en) 2006-06-12 2010-05-04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8635350B2 (en) 2006-06-12 2014-01-21 Icontrol Networks, Inc. IP device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US10444964B2 (en) 2007-06-12 2019-10-15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8988221B2 (en) 2005-03-16 2015-03-24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11244545B2 (en) 2004-03-16 2022-02-0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0375253B2 (en) 2008-08-25 2019-08-06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and gateway
US10142392B2 (en) 2007-01-24 2018-11-27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US10313303B2 (en) 2007-06-12 2019-06-04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8473619B2 (en) * 2005-03-16 2013-06-25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113950B2 (en) 2005-03-16 2021-09-0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integrated with premises security system
US9531593B2 (en) 2007-06-12 2016-12-27 Icontrol Networks, Inc.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343380B2 (en) 2004-03-16 2022-05-2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automation
US11277465B2 (en) 2004-03-16 2022-03-15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11916870B2 (en) 2004-03-16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9141276B2 (en) 2005-03-16 2015-09-22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10999254B2 (en) 2005-03-16 2021-05-0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 for data routing in networks
US11615697B2 (en) 2005-03-16 2023-03-28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20324566A1 (en) 2005-03-16 2012-12-20 Marc Baum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20170180198A1 (en) 2008-08-11 2017-06-22 Marc Baum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US9306809B2 (en) 2007-06-12 2016-04-05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20110128378A1 (en) 2005-03-16 2011-06-02 Reza Raji Modular Electronic Display Platform
US11700142B2 (en) 2005-03-16 2023-07-11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496568B2 (en) 2005-03-16 2022-11-08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9450776B2 (en) 2005-03-16 2016-09-20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CN100450297C (zh) * 2005-07-25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安全的用户平面移动定位方法及系统
WO2007033056A2 (en) * 2005-09-14 2007-03-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high throughput stations
US7873370B2 (en) * 2005-12-01 2011-01-18 Lg Electronics Inc.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notification based upon location
CN100446625C (zh) * 2006-03-20 2008-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扩展的触发定位方法及装置
US10079839B1 (en) 2007-06-12 2018-09-18 Icontrol Networks, Inc. Activation of gateway device
US11706279B2 (en) 2007-01-24 2023-07-1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communication
KR101422030B1 (ko) * 2007-02-01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l 기반의 위치 서비스
US7633385B2 (en) 2007-02-28 2009-12-15 U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n alarm system from a remote server
US8451986B2 (en) 2007-04-23 2013-05-2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lternate network access for telecommunications
US10498830B2 (en) 2007-06-12 2019-12-03 Icontrol Networks, Inc. Wi-Fi-to-serial encapsulation in systems
US10523689B2 (en) 2007-06-12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212192B2 (en) 2007-06-12 2021-12-28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089122B2 (en) 2007-06-12 2021-08-10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among networks
US10051078B2 (en) 2007-06-12 2018-08-14 Icontrol Networks, Inc. WiFi-to-serial encapsulation in systems
US10423309B2 (en) 2007-06-12 2019-09-24 Icontrol Networks, Inc. Device integration framework
US11218878B2 (en) 2007-06-12 2022-01-04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316753B2 (en) 2007-06-12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423756B2 (en) 2007-06-12 2022-08-2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37714B2 (en) 2007-06-12 2022-02-01 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646907B2 (en) 2007-06-12 2023-05-0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616075B2 (en) 2007-06-12 2020-04-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666523B2 (en) 2007-06-12 2020-05-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601810B2 (en) 2007-06-12 2023-03-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389736B2 (en) 2007-06-12 2019-08-20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831462B2 (en) 2007-08-24 2023-11-28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in premises management systems
US8145769B2 (en) * 2007-09-26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secure user plane (SUPL) version negotiation
KR100904296B1 (ko) * 2007-11-15 2009-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정보 산출 장치 및 방법
US11916928B2 (en) 2008-01-24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EP2263391A4 (en) * 2008-04-08 2014-09-17 Nokia Corp ASSISTANCE DATA SPECIFICATIONS AND PROTOCOLS FOR NAVIGATION SYSTEMS
US20170185278A1 (en) 2008-08-11 2017-06-29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11758026B2 (en) 2008-08-11 2023-09-12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792036B2 (en) 2008-08-11 2023-10-17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258625B2 (en) 2008-08-11 2022-02-22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729255B2 (en) 2008-08-11 2023-08-1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9628440B2 (en) 2008-11-12 2017-04-18 Icontrol Networks, Inc.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8301160B2 (en) * 2009-03-16 2012-10-30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SUPL roaming using a held client
US8638211B2 (en) 2009-04-30 2014-01-28 Icontrol Networks, Inc. Configurable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home SMA, phone and multimedia
US8867485B2 (en) 2009-05-05 2014-10-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ultiple location retrieval function (LRF) network having location continuity
CN102036162A (zh) * 2009-09-24 2011-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系统、方法及终端
US8200240B1 (en) * 2009-11-23 2012-06-1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 trusted server to facilitate location determination
US8812016B2 (en) * 2010-02-16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8406786B2 (en) * 2010-02-25 2013-03-2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nded generic messaging in a networked geolocation system
EP2569712B1 (en) 2010-05-10 2021-10-13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9112683B2 (en) * 2010-05-27 2015-08-18 Maple Acquisition Llc Maintaining triggered session state in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enabled system
US8836467B1 (en) 2010-09-28 2014-09-16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porting of account and sensor zone information to a central station
US8627422B2 (en) 2010-11-06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Authentication in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systems
US11750414B2 (en) 2010-12-16 2023-09-05 Icontrol Networks, Inc. Bidirectional security sensor communication for a premises security system
US9147337B2 (en) 2010-12-17 2015-09-29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security event data
US10009319B2 (en) * 2011-02-07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pparatuses and articles for identifying and authorizing location servers and location services using a proxy location server
US8738027B2 (en) * 2011-02-07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authorizing location servers and location services
US8868101B2 (en) * 2011-08-26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redirection and mobile location protocol (MLP) tunneling to a discovered SLP
WO2014025343A1 (en) * 2012-08-07 2014-02-13 Nokia Corporation User-plane (supl) based positioning method for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in mobile networks
US9928975B1 (en) 2013-03-14 2018-03-27 Icontrol Networks, Inc. Three-way switch
US9287727B1 (en) 2013-03-15 2016-03-15 Icontrol Networks, Inc. Temporal voltage adaptive lithium battery charger
US9867143B1 (en) 2013-03-15 2018-01-09 Icontrol Networks, Inc. Adaptive Power Modulation
US9161329B2 (en) * 2013-06-26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mobile device locations
WO2015021469A2 (en) 2013-08-09 2015-02-12 Icontrol Networks Canada U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US11405463B2 (en) 2014-03-03 2022-08-0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US11146637B2 (en) 2014-03-03 2021-10-1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CN108370550A (zh) * 2015-12-22 2018-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独立定位控制器及定位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809A (en) * 1994-03-10 1997-11-18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geographic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units
US5613205A (en) 1995-03-31 1997-03-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a mobile terminal within the service area of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9178833A (ja) * 1995-12-28 1997-07-11 Sony Corp 端末装置
KR20000004645A (ko) 1998-06-30 2000-01-25 김태구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KR20000046545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이동 통신 가입자의 현재 위치 통보 방법
WO2002028137A1 (fr) * 2000-09-28 2002-04-04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e de communication fournissant des informations sur la position d'une partie effectuant une communication
KR20020087935A (ko) 2000-12-15 2002-1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이동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02357444A (ja) * 2001-05-31 2002-12-13 Nec Corp 移動端末を使用し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7227905B2 (en) 2001-09-18 2007-06-05 Lucent Technologies Inc. Open-loop diversity technique for systems employing multi-transmitter antennas
DE60137088D1 (de) * 2001-11-19 2009-01-29 Nokia Corp Bereitstellung von positionsinformationen
GB0128027D0 (en) * 2001-11-22 2002-01-16 Nokia Corp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US6885874B2 (en) * 2001-11-27 2005-04-26 Motorola, Inc. Group location and route sharing system for communication units in a trunked communication system
JP2003209868A (ja) 2002-01-15 2003-07-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位置情報に基づく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端末のプログラム
US7116985B2 (en) * 2002-06-14 2006-10-03 Cingular Wireless Ii, Llc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such as varying levels of services
KR20040041226A (ko) * 2002-11-08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위치정보제공방법
WO2004043106A1 (en) 2002-11-08 2004-05-21 Nokia Corpo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allowing for handling location services independently from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6823190B2 (en) * 2002-12-03 2004-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anonymously test for proximity of mobile users without revealing individual phase space coordinates
KR100913881B1 (ko) * 2002-12-18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8023958B2 (en) 2003-03-05 2011-09-20 Qualcomm Incorporated User plane-based location services (LC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050004492A (ko) * 2003-07-02 2005-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위치정보 제공방법
KR20050027332A (ko) 2003-09-15 2005-03-21 (주) 엘지텔레콤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KR100557080B1 (ko) * 2003-09-29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결정 장치 및 그 방법
EP1689200A1 (en) * 2003-10-17 2006-08-09 NEC Corporation Location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loca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privacy check apparatus
FI20040036A0 (fi) * 2004-01-13 2004-01-13 Nokia Corp Paikkainformaation tuottaminen vieraillussa verkossa
US20050250516A1 (en) * 2004-04-14 2005-11-10 Lg Electronics Inc. Location information system reflecting user preference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119295B1 (ko) * 2004-04-21 201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구성된 측위 서버를 이용한이동단말기의 위치결정장치 및 그 방법
US7554934B2 (en) * 2004-09-01 2009-06-3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ocation service messages in a satellite position location system
KR101075719B1 (ko) 2004-09-18 201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Supl 인에이블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95714B1 (ko) * 2005-04-0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l 기반의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supl 초기화메시지 및 이를 이용한 supl 처리방법
WO2007018408A1 (en) * 2005-08-11 2007-02-15 Lg Electronics Inc. Area-based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748513B1 (ko) * 2005-10-07 2007-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532606B2 (en) * 2005-10-07 2013-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location service using interoperability between IMS core and access network
US7873370B2 (en) * 2005-12-01 2011-01-18 Lg Electronics Inc.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notification based upon location
US20070167177A1 (en) * 2006-01-19 2007-07-19 Nokia Corporation Terminal status discovery in secure user plane location positioning procedure
CN100446625C (zh) * 2006-03-20 2008-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扩展的触发定位方法及装置
KR100880406B1 (ko) * 2006-03-24 200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간 핸드오버에 있어서의 위치추적방법
US7778639B2 (en) * 2006-04-06 2010-08-17 Lg Electronics Inc. Network-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for roaming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21611B2 (en) * 2006-04-06 2012-02-21 Lg Electronics Inc. SET 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23788B1 (ko) * 2006-06-09 201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목표단말기 위치값 제공 방법
KR101332500B1 (ko) * 2006-10-11 2013-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목표 단말의 이동성 이벤트 트리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목표 단말 및 방법
KR101524899B1 (ko) * 2008-04-16 2015-06-01 노키아 코포레이션 영역 이벤트 지원 지시
JP2010256651A (ja) * 2009-04-27 2010-11-11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899B1 (ko) * 2008-04-16 2015-06-01 노키아 코포레이션 영역 이벤트 지원 지시
KR101032571B1 (ko) * 2009-01-12 2011-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정보 전달 방법
WO2015012534A1 (ko) * 2013-07-22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한 단말 간 거리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43240B2 (en) 2013-07-22 2017-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via device-to-device 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7230T3 (es) 2012-03-23
ATE541398T1 (de) 2012-01-15
KR100878813B1 (ko) 2009-01-14
US8081986B2 (en) 2011-12-20
US20060246919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813B1 (ko) 위치정보 전송 방법
RU2404545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CN105897937B (zh) 用于使用服务能力信息进行用户层面定位的方法和装置
US7627332B2 (en)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019355B2 (en) Location positioning method in handover between networks
KR100595714B1 (ko) Supl 기반의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supl 초기화메시지 및 이를 이용한 supl 처리방법
KR100575802B1 (ko)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의 로밍 방법 및 시스템
EP3506605B1 (en) Methods for performing session info query for user plane location
US20160006881A1 (en) Location Services Agent
EP1773076B1 (en) A method for locating mobile terminal
JP4993386B2 (ja) 位置情報送信方法
KR100789825B1 (ko)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100860028B1 (ko) 위치추적 방법 및 위치추적 시스템
KR101115492B1 (ko) 로밍 망의 기지국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통신 환경에서 로밍된 가입자 단말기를 측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19434A (ko) 위치추적 방법 및 위치추적 시스템
KR100841309B1 (ko) 메시지 오류 처리 방법 및 위치추적 시스템
KR20080014603A (ko) 사용자 평면 기반 위치 서비스에서의 측위 방식의 대체절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