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092A -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092A
KR20060113092A KR1020050035965A KR20050035965A KR20060113092A KR 20060113092 A KR20060113092 A KR 20060113092A KR 1020050035965 A KR1020050035965 A KR 1020050035965A KR 20050035965 A KR20050035965 A KR 20050035965A KR 20060113092 A KR20060113092 A KR 2006011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betel nut
synthetic palmitoylpenta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330B1 (ko
Inventor
김성우
이승지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5003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33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7Stimulation by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빈랑자 (Areca catechu)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palmitoylpentapept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type I, III, IV 및 피브로넥틴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와 엘라스타제 및 콜라게나제 저해효과가 우수한 빈랑자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하여 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빈랑자,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피부 노화, 화장료

Description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Skin Ag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Areca catechu and Synthetic Palmitoylpenta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도 1은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첨가하여 배양한 섬유아세포에서 증폭된 콜라겐 type IV 유전자의 RT-PCR 산물을 1% 아가로오스 겔상에서 전기 영동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레인 1: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0.0%,
레인 2: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0.01%,
레인 3: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0.02%,
레인 4: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0.03%.
본 발명은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큰 조직인 동시에 최외각에 위치하여 온도, 습도, 자외선, 유해물질,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 내부를 보호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외부에서 주어지는 자극이나 생체내의 생리 기능적 변화 및 퇴화로 인해 피부의 정상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발달하는 피부 노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내인적 노화 (innate aging)와 외인적 노화 (extrinsic aging)로 대별된다 (Cosmetics & Toiletories., 111:31-37(1996)). 내인적 노화는 나이가 듦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 현상으로 임상학적으로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결이 거칠어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며 색소가 침착되는 특징이 있다 (Arch Dermatol., 130:87-95(1994)). 외인적 노화는 자외선,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피부의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그 결과 피부 표면에 거친 주름이 생성되고 탄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피부의 노화 기작을 규명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여러 가지 피부 노화의 원인들이 밝혀졌다. 피부가 온도의 변화, 습도의 저하 또는 바람 등에 의 해 건조하게 되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생리 활성이 저하되어 노화가 촉진된다. 또한, 유해 활성 산소종 또는 자유 라디칼에 피부가 노출되면 체내의 산화 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피부를 구성하는 여러 단백질들의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피부 진피의 대부분 (피부 전체 건조 중량의 약 70-80%)을 차지하는 콜라겐과 신축성이 큰 엘라스틴 단백질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세포간질 단백질로 피부 진피층에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1:610-613(1989)). 콜라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자외선에 노출이 많이 될수록 양적 감소를 보인다.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서 분류되는데 이들 중에서, 가장 특징이 잘 알려진 것은 타입 I, II, III 그리고 IV이다. 콜라겐 타입 I과 III는 진피층의 세포간질의 구성성분을 이루고 콜라겐 타입 IV는 DEJ (Dermal Epidermal Junction)의 주요 구성물질이 된다. DEJ는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에 위치하여 두 층간의 물질 투과와 수송을 조절해주며 인접한 피부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며 피부의 견고성을 유지시켜준다. 피부의 주요 구조적 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자연적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해 구조가 변성되거나 생합성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나이가 들면서 콜라겐 및 엘라스틴이 분해되거나, 가교형 단백질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생성이 증가되어 피부조직의 주름이 증가하게 된다. 피부에서 엘라스틴 섬유는 콜라겐 섬유와 더불어 진피 안쪽에서 가교 결합을 형성한다. 노화에 의해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제의 작용으로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함몰 (sagging)이 생긴다. 조직학적으로는 염증 세포의 침윤이 증가하며,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콜라겐 섬유의 감소를 보여주며, 생화학적으로는 엘라스타제의 활성도가 현격히 증가한다. 엘라스타제는 엘라스틴을 분해 할 수 있는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효소이며,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노화를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보습제, 항염증제, 엘라스틴 및 콜라겐 가교 결합이 파괴되어 있는 조직에 영양 및 첨가제 등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들은 근본적으로 노화를 지연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피부 탄력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 및 콜라겐의 분해를 근본적으로 저해시키는 저해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원료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물질들을 찾고자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생약 등으로 사용되어 오던 천연물인 빈랑자 추출물이 엘라스타제의 현저한 저해 효과,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약효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노화 방지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7-78817호 및 제 1999-56924호).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종래로부터 이용되어 온 빈랑자 추출물과 병용하여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가 병용되는 경우 빈랑자 추출물의 세포간물질 분해 억제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와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의 진피층의 세포간물질과 DEJ 구성 성분의 생합성 촉진으로 인한 피부 노화 회복효과에 의해 피부 노화 억제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빈랑자 (Areca catechu)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palmitoylpentapept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빈랑자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를 향상시키고자 연구를 수행하던 중, 빈랑자 추출물을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와 적절히 배합할 경우에 뚜렷한 상승적인 피부 항노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엘라스틴 및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고 자유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제거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빈랑자 추출물이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와 혼용되는 경우 탄력증가와 주름개선의 측면에서 현저한 상승적 효과가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빈랑자는 중국 남부, 대만 및 말레이시아에 분포하며, 열대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서, 종려나무과의 늘푸른큰키나무 빈랑나무 (Areca catechu)의 종자이다. 빈랑자는 건위, 소화, 소화불량, 변비, 복통, 구충약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일본 특허공개 평 5-320037), 본 발명자들에 의해 엘라스타제 및 콜라게나제 저해 효과 및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등의 화장료로서의 효능을 갖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7-78817호 및 제 1999-56924호; Int. J. Cosmet. Sci., 21, 71-82, 275-295(1999); Experientia, 43, 391-393 (1987)).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는 피부결합조직과 주름형성 및 보습과 관련하여 중요한 콜라겐 type I의 카르복실기 말단 단편으로써,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type I과 III 및 세포와 세포의 접착과 관련하여 세포간 정보전달이 원활하게 되도록 도와주는 피브로넥틴의 합성을 촉진한다고 보 고 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55198호). 이와 더불어 본 발명자들은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에 의해 피부 DEJ (Dermal Epidermal Junction)의 구성 성분인 콜라겐 IV의 생합성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는 팔미테이트기가 다섯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펜타펩타이드 (라이신-트레오닌-트레오닌-라이신-세린)에 연결된 구조(Pal-Lys-Thr-Thr-Lys-Ser)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합성 팔미토일펩타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다.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는 친유기인 팔미테이트 (Palmitate)기에 의해 피부의 표피층 침투가 용이하고 친수기인 아미노산기 (펜타펩타이드)에 의해 진피층 침투가 용이하여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빈랑자 추출물’은 빈랑나무의 다양한 기관 (예: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성숙한 빈랑나무의 종자 (빈랑자)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빈랑자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빈랑자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빈랑자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빈랑자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빈랑자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빈랑자 추출물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a) 빈랑자를 말려 분말화하고, 1-10배의 70% 에틸 알코올을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b) 상기 여과물을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키고, 여과한 뒤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시키는 단계; 및 (c) 단계 (b)에서 수득한 빈랑자 파우더를 1,3-부틸렌글리콜에 용해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추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빈랑자의 성숙한 종자를 말려 분말화하고, 1-10배의 70% 에틸 알코올을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키고, 여과한 뒤 65℃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시킨 뒤 1,3-부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빈랑자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0 중량%이다. 또한, 상기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이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제형에서의 색상 및 외관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의 용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노화 억제’는 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빈랑자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및 콜라게나제 저해 효과와 항산화 효과와 함께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의 콜라겐 type I, III, IV 및 피브로넥틴 합성 촉진효과에 의해 상기 유효성분 모두를 동시에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기작을 통해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의 생성을 예방하며 생성된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a) 피부 주름 생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피층의 세포간 물질 ECM (Extracellular Cellular Matrix) 구성성분인 콜라겐 분해를 억제;
(b) 피부 주름을 개선 할 수 있도록 진피층의 ECM 구성성분인 콜라겐 type I, III의 합성 촉진;
(c) 피부 탄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하고 DEJ (Dermal Epidermal Junction) 구성성분인 콜라겐 type IV의 생성 촉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 펩타이드를 모두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 효과 (참조: 실시예 4)와 피부탄력 개선 효과 (참조: 실시예 5)가 매우 뛰어나며, 상기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비교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탄력 개선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유효성분들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 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빈랑자 추출물의 제조
빈랑자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빈랑자 파우더에 10배의 70% 에틸 알코올을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키고,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어 이 추출물을 65℃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시켜 빈랑자 추출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빈랑자 추출 분말을 물과 1,3-부틸렌글리콜이 동량으로 혼합된 용액에 용해시켜서 본 발명의 빈랑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하기의 실시예의 빈랑자 추출물의 중량은 최종 추출 분말의 농도로 표시된 것이다.
실시예 2 :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의 콜라겐 type IV 생합성 촉진 효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Sederma, 프랑스)의 콜라겐 type IV 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는 PBS 완충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normal fibroblast)를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Sigma Co., Ltd. 미국)이 들어 있는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1 x 105 세포/웰), 5% 농도(CO2)의 CO2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는 병원에서 신생아의 포경 수술 후 채취한 피부조직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의 최종 농도가 0.0-0.03%가 되도록,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DMEM을 만들고, 상기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를 이 배지로 교체하여 36시간 동안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를 채취하였다. 수득한 세포에 1 ㎖의 RNA 추출 용액 (Q-Bio, Cat. RNAP03)을 넣고 잘 섞어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5 ㎖를 취하였다. 상기 상등액에 에탄올 1 ㎖을 첨가하여 잘 섞고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RNA 침전물을 얻어내었다. RT-PCR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은 RT-PCR 키트 (Qiagen, Cat.210210)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 용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물 14 ㎕, 5ㅧ QIAGEN RT-PCR 완충용액 10 ㎕, dNTP 혼합물 2 ㎕, 전위 프라이머 1 ㎕, 역위 프라이머 1 ㎕, QIAGEN 역전사 효소 혼합물 2 ㎕ 및 주형 RNA 20 ㎕ (2 ㎍). 상기에서 콜라겐 type IV 유전자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한 프라이머의 서열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서열 (3’-> 5’) 크기 콜라겐 type IV 유전자를 인식하는 위치
전위 프라이머 (서열번호 2) ctgttgaaaggtgaaagagg 20 bp 668-687
역위 프라이머 (서열번호 3) aacttgagcttgtcctggta 20 bp 916-935
PCR의 수행은 50℃에서 30분 동안 역전사 효소 (Qiagen)를 이용하여 RNA로부터 cDNA를 만들었으며, 95℃에서 15 분간 역전사효소를 불활성화하는 동시에 Taq DNA 폴리머라제 (열에 안정화된 DNA 증폭효소)를 활성화시켰다. 이 후 94℃에서 1분간 변성, 42℃에서 1분간 어닐링, 72℃에서 2분 동안 연장을 35회를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72℃에서 10분 동안 증폭을 완료하여 총 249 bp의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위의 방법으로 증폭된 PCR 산물 (249 bp의 유전자)을 1% 아가로오스 겔을 통하여 전기영동하여 콜라겐 type IV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의 첨가 배양에 의해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발현되는 콜라겐 type IV의 양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빈랑자 추출물 및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을 제조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혼합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빈랑자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실시예 1),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실시예 2) 및 상기 유효성분 모두를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비교실시예 3)을 하기 표 2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2 비교실시예3
빈랑자 추출물 0.03 0.03 - -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3.0 - 3.0 -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6.0 6.0 6.0 6.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0.5
밀납 2.0 2.0 2.0 2.0
바셀린 7.0 7.0 7.0 7.0
폴리솔베이트 60 2.0 2.0 2.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2.5 2.5 2.5
스쿠알란 3.0 3.0 3.0 3.0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1
향료,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40세 이상의 여성 30명 (평균연령 45.3세)을 3그룹 (A, B 및 C)으로 나누어 A그룹을 대상으로는 실시예의 화장료, B그룹을 대상으로는 비교실시예 1의 화장료, C그룹을 대상으로는 비교실시예 2의 화장료를 각각 팔의 상박 2 × 2 ㎠의 면적에 매일 2회로 1회당 0.2 g을 12주간 도포한 후,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용액을 이용하여 피부주름의 레플리카 (Replica)를 떠서 피부 주름 측정기 (Skin Visiometer SV400, C + K Electronics GmbH,독일)로 피부주름 변화를 측정하였다. 레플리카의 상을 CCD 카메라로 3차원적 분석하고, 각각의 주름의 거칠기 (Rm: m은 1이상의 정수)의 합을 주름의 개수로 나눈 값인 하기 수학식 1의 평균 주름 거칠기 (Rz)로 주름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Rz = (R1 + R2 + R3 ....... Rm-2 + Rm-1 + Rm) / 주름의 개수 (m)
피검자 평균주름거칠기(Rz, ㎛)
실시예 비교실시예 1 비교실시예 2
Rz(T0) Rz(T12) ΔRz Rz(T0) Rz(T12) ΔRz Rz(T0) Rz(T12) ΔRz
피검자 1 126 62 -64 137 119 -18 139 118 -21
피검자 2 147 94 -53 145 131 -14 130 105 -25
피검자 3 134 79 -55 149 136 -13 147 117 -30
피검자 4 139 72 -67 128 108 -20 126 95 -31
피검자 5 145 83 -62 151 136 -15 134 107 -27
피검자 6 121 70 -51 136 110 -26 138 116 -22
피검자 7 153 94 -59 133 111 -22 150 124 -26
피검자 8 138 86 -52 142 123 -19 136 112 -24
피검자 9 146 94 -52 149 132 -17 144 121 -23
피검자 10 141 91 -50 138 117 -21 145 118 -27
평균 139 825 -56.5 141 122.3 -18.5 138.9 113.3 -25.6
상기 표에서 T0는 화장료 도포전, T12는 화장료 도포 12주 후를 말한다.
시험결과, 화장료 도포 12주 후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실시예는 평균 주름 거칠기가 56.5 ㎛ 낮아져 (p < 0.05) 빈랑자 추출물만을 함유한 비교실시예 1에 비해 약 205.4%,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만을 함유한 비교실시예 2에 비해 약 120.7% 정도 주름이 더 개선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빈랑자 추출물이나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만을 단독으로 함유한 비교실시예의 화장료보다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실시예의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가 상승적으로 (synergic)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 피부탄력 개선 효과의 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피부 탄력개선 임상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40세 이상의 여성 30명 (평균연령 45.3세)을 3그룹으로 나누고, A그룹에는 실시예의 화장료를 B그룹에는 비교실시예 1의 화장료를, C그룹에는 비교실시예 2의 화장료를 눈가를 중심으로 왼쪽에 도포하고, 대조군으로서 각 그룹의 오른쪽 눈에는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모두 함유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3의 화장료를 12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 + K Electronic Co.,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4에 피부탄력 측정기 (Cutometer SEM 575)의 ΔR2 (R2(왼쪽) - R2(오른쪽))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2 값은 피부 점탄성 (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시험제품 피부 탄력 효과 (ΔR2)
실시예 0.37
비교실시예1 0.16
비교실시예2 0.13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실시예의 화장료의 피부탄력 개선 효과는 비교실시예 1과 비교하여 131.3%, 비교실시예 2와 비교하여 184.6%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피부탄력 개선의 상승효과는 빈랑자 추출물이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시키는 데에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가 DEJ (Dermal Epidermal Junction)를 강화시켜 상승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의 혼합 조성은 상기 유효성분 각각에 비해 상승적인 피부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한 시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1.0
빈랑자 추출물 0.1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콜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up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1.0
빈랑자 추출물 0.1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up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1.0
빈랑자 추출물 0.1
바셀린 7.0
유동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솔베이트 6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up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중 마사지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1.0
빈랑자 추출물 0.1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베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콜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up to 100
제형예 5: 팩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 1.0
빈랑자 추출물 0.1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7.0
PEG-40 히드로게비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up to 10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빈랑자 추출물과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빈랑자 추출물에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피부 노화 억제 효과와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COREANA COSMETICS CO., LTD.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Skin Ag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Areca catechu and Synthetic Palmitoylpenta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130> dp-2005-0125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pentapeptide <220> <221> LIPID <222> (1) <223> PALMITATE <400> 1 Lys Thr Thr Lys Ser 1 5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collagen type IV <400> 2 ctgttgaaag gtgaaagag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collagen type IV <400> 3 aacttgagct tgtcctggta 20

Claims (9)

  1. 빈랑자 (Areca catechu)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빈랑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빈랑자 추출물은 에틸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빈랑자 추출물은 70% 에틸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빈랑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는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35965A 2005-04-29 2005-04-29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65A KR100702330B1 (ko) 2005-04-29 2005-04-29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65A KR100702330B1 (ko) 2005-04-29 2005-04-29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92A true KR20060113092A (ko) 2006-11-02
KR100702330B1 KR100702330B1 (ko) 2007-04-03

Family

ID=3765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965A KR100702330B1 (ko) 2005-04-29 2005-04-29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863B1 (ko) * 2013-06-25 2015-04-07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대복피 추출물과 등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1458B1 (fr) 2005-10-04 2008-01-18 Lvmh Rech Compositions cosmetiques notamment a activite anti-vieillissement comprenant un extrait de la plante aframomum angustifolium ou longoza.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37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抗酸化剤
JPH06227960A (ja) * 1993-02-01 1994-08-16 Yakult Honsha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皮膚化粧料
KR100472122B1 (ko) * 2001-05-28 2005-03-08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페놀성 물질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0424728B1 (ko) * 2001-05-28 2004-03-30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빈랑자 추출물과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431271B1 (ko) * 2001-11-08 2004-05-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레콜린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67526B1 (ko) * 2002-07-31 2005-01-24 조동인 유산균 식혜및 그의 제조 방법
FR2854897B1 (fr) * 2003-05-12 2007-05-04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pour redui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KR100557196B1 (ko) * 2004-09-21 2006-03-03 엔프라니 주식회사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863B1 (ko) * 2013-06-25 2015-04-07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대복피 추출물과 등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330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1161B1 (fr) Utilisation de l&#39;acide ellagique et de ses derives en cosmetique et en dermatologie
KR101363413B1 (ko) 함초 및 노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101871A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KR101124971B1 (ko)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9786B1 (ko)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7793A (ko)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0810B1 (ko) 블랙커런트 열매와 아로니아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172753B2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KR100702330B1 (ko)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499608B1 (ko) 리쥬버네이팅 세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8434B1 (ko)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및 빈랑자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2744A (ko)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1738B1 (ko) 해송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주름개선 및 피부 처짐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00018909A (ko)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1926A (ko)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8112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521239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8621A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5552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0456B1 (ko) 구실잣밤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