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196B1 -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196B1
KR100557196B1 KR1020040075519A KR20040075519A KR100557196B1 KR 100557196 B1 KR100557196 B1 KR 100557196B1 KR 1020040075519 A KR1020040075519 A KR 1020040075519A KR 20040075519 A KR20040075519 A KR 20040075519A KR 100557196 B1 KR100557196 B1 KR 10055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skin
weight
composition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영
조희원
이은해
이주동
김보라
김혁
유희창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보습효과를 갖는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수소첨가콜라겐, 수소첨가엘라스틴 및 난각막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피부의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및 소듐-피롤리돈카르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된 물질, 불포화레시친 및 리소레시친을 포함하는 세포간지질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및 펜타펩타이드-3, 베타인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진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를 포함하는 것으로 피부에 3차원적으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캡슐화 방법은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을 포함한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고압유화장치를 사용하여 별도의 유화제 없이 나노 캡슐화하여 피부에의 침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기초하여 1 내지 50중량%의 피부보습용 나노캡슐화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보습효과를 개선시킨다.
보습효과, 캡슐, 화장료

Description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with High Moisturing Effects, Method for Nano-capsulat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Nano-capsulated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이 피부에 3차원적으로 보습력을 발휘하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캡슐화된 조성물 입자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은 피부각질층 통과실험 장치인 프렌즈 디퓨전셀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캡슐화된 조성물의 경피흡수 측정 결과(5회 평균)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스킨콘-200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캡슐화된 조성물의 단기간 피부보습효과(10회 평균)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코네오미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캡술화된 조성물의 피부보습효과(10회 평균)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스킨콘-200과 코네오미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캡슐화된 조성물의 장기간 피부보습효과(10회 평균) 임상시험 결과를 나타 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스킨콘-200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장료에 대한 보습효과(10회 평균) 임상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보습효과를 갖는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피부구조에 맞추어 3차원적으로 피부에 보습을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인체는 대략 70~75%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더 세부적으로는 특히 사람의 피부에 함유하고 있는 수분량은 15~20%정도이고, 유분과 함께 피부에 존재하여,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피부에서의 수분유지는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시간경과에 따른 저항력의 약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수분은 각질층에 적당하게 유지되어 피부의 탄력이나, 유연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수분은 각질층 내에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하나는 결합수이고 하나는 자유수이다. 결합수는 각질층 내에 이온류 아미노산과 단백질 분자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이중 건조되어 고형화된 각질층에 보통 존재하고 있는 물을 1차 결합수라 하며, 1차 결합수는 각질층에 5%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각질층에 매우 빠르게 결합하지만 건조한 상태에서도 잘 떨어지지 않는 형태로 존재하며, 비교적 강하게 결합된 상태로 있는 물 분자를 2차 결합수라 한다. 따라서 각질층에 수분이 결합하여 그 수분이 결합수로서 특히 2차 결합수 형태로서 존재할 때, 외부의 습도가 건조한 상태에서도 수분이 각질층에 결합되어 피부가 촉촉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조절,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새로운 화장습관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 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심지어는 갈라지기 까지 한다. 따라서 보습물질은 피부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보습물질이라 하면 피부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크게는 수분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관련된 성분이나 피부의 수분을 끌어당기는 물질을 휴멕턴트, 수분을 공급 및 저장하는 물질을 보습제라 하여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습을 목적으로 응용하고 있는 물질에는 피부 각질층의 구성 성분인 NMF(천연보습성분) 성분들 및 세포간지질성분 및 가장 일반적이며 효과가 큰 다가 알코올 등이 있다. 이러한 보습을 목적으로 하는 물질들이 다수 존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시에는 장기사용에 따른 피부에서의 작용 기전의 이해 부족, 피부에서의 안전성 확보, 무 겁고 끈적이는 사용감, 실질적인 보습효과의 부족 및 적용 안정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적용이 제한되어 왔다.
보습과 관련한 다수의 선행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상기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극복하는 수준의 발명은 찾아보기 힘들다.
미국특허(USP) 제5,776,480호와 유럽특허 제278 505 A2호는 피부의 주된 구성성분중의 하나인 세라마이드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화장료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피부를 개선하여 수분의 손실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발명된 것이다. 그러나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기에는 제형의 완성도와 안정성이 떨어지고, 1중량% 이상 사용하여야 그 효과가 있으며, 그 이하에서는 사실상 피부개선 효과를 얻기가 힘들다. 또한 세라마이드를 2중량% 이상을 사용하더라도 제재의 안정화가 어렵고 사용감에 대한 평가치가 떨어짐으로 화장료로서 그 가치는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피부의 구성 성분인 필수 지방산 체인을 가진 지질을 화장료에 적용하여 전형적인 보습기능을 부여하고자 한 미국 미국특허 제5,631,012호 역시 상기 미국특허 및 유럽특허와 동일한 내용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갈락토실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다가알코올과 액상오일을 이용해 보습을 목적으로 한 복합체를 제조한 한국특허 제2000-39468호는 피부보호용으로 적용하기엔 사용감 및 제제 등 안정성 등의 문제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요소 및 N-치환된 아미노설폰산을 각각 0.1 내지 2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랑스 특허출원 제9 811 262호를 우선권 주장한 한국공개특허 제2000-22755호는 피부보습 및 건조피부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였으나, 0.1% 중량 이하에 효과가 거의 없었고, 각각 5% 중량 이상에 그 효과는 있으나, 장기 보존 시 변색 및 요소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이상한 냄새로 인하여 화장품으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829,092호와 일본특허 제183608호에서는 보습을 부여하기 위해 개발된 물질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상승 효과를 얻고자 한 것으로, 글리세롤과 디글리세롤을 1:1 비율로 단순 혼합 사용하였으나, 기존에 글리세롤이 가지고 있는 고농도에서의 사용상 문제 및 낮은 습도에서의 보습 유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사용 시, 초기의 보습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습에 대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피부에 보습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피부 안전성과 안정성도 뛰어난 보습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피부의 구조가 각질층, 세포간지질층,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피부 보습도 이와 같이 피부 구조에 맞게 진피층에까지 부여될 수 있도록 각각의 피부층에 보습을 제공하는 물질들을 선별하고, 이들을 적절하게 배합하는 경우,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를 오래 지속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나노 캡슐화화는 경우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 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 침투가 용이하도록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나노 캡슐화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소첨가콜라겐, 수소첨가엘라스틴 및 난각막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및 소듐-피롤리돈카르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된 물질, 불포화레시친 및 리소레시친을 포함하는 세포간지질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펜타펩타이드-3, 베타인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진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를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0.1 내지 15중량%, 세포간지질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0.1 내지 65중량%,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0.1 내지 25중량% 및 잔량으로 보존제와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수소첨가콜라겐 0.1 내지 5중량%, 수소첨가엘라스틴 0.1 내지 5중량%, 난각막추출물 0.1 내지 5중량%, 불포화레시친 0.1 내지 10중량%, 리소레시친 0.1 내지 1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20중량%, 1,3-부틸렌글리콜 1 내지 20중량%, 소듐-필로리돈카르본산 0.1 내지 5중량%, 펜타펩타이드-3 0.1 내지 5중량%, 베타인 1 내지 10중량%, D-판테놀 0.1 내지 10중량%, 및 잔량으로 보존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세포간지질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및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나노캡슐화하는 것이다.
상기 나노캡슐화하는 방법은 상기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고압유화장치에 1 내지 3회 통과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나노 캡슐화된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 내지 50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피부가 가지고 있는 피부의 생리작용에 근거하여 피부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다 과학적으로 처방된 조성을 갖는다.
피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피부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피층와 진피층으로 나누며,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에 세포간지질층이 있다. 물론 표피와 진피층의 구성성분 또한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보습효과를 과학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구성하는 구조적 특징에 따라 그 구조에 맞는 성분을 선택하여 처리를 해야만 제대로 피부보습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표피층, 각질세포간지질층, 진피층 3가지의 피부를 구분하여 거기에 맞는 피부 보습 성분을 부여하도록 처방된 것이다. 이렇게 3차원적으로 피부보습력을 부여해야만 좀더 효과적으로 보습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그 효과도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피부외각에 있는 표피층을 복원하기 위하여 수소첨가엘라스틴, 수소첨가콜라겐 또는 난각막추출물을, 피부세포간지질층의 보습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불포화레시친, 리소레시친, 및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소듐피롤리돈카르본산을, 진피층의 보습력을 위해 D-판테놀, 베타인 또는 펜타펩타이드-3를 적절하게 배합한 것이다.
상기에 열거된 성분들은 피부보습에 우수한 성분들로써 각각 효능상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피부표피층을 복원시킬 수 있는 성분들로 피부에 많이 존재하기도 하는 수소첨가콜라겐(마린콜라겐), 수소첨가엘라스틴, 계란의 껍질에서 얻어진 난각막추출물을 사용한다. 이 성분들은 피부의 표피에 얇은 폴리머피막을 형성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보습효과를 표피에 부여하기도 하고,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어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는 특징을 가진 성분들이다. 그외에 피부의 사용감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우수하며, 이하에 설명되어지는 대략 50㎚의 나노캡슐화하는 데에도 바람직하다.
또한 각질세포간지질층의 보습밸런스의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으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불포화레시친, 리소레시친, 소듐-피롤리돈카르본산을 사 용한다. 이 성분들은 피부의 각질세포간 지질층에서 흡수되어 피부의 수분밸런스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며, 피부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도록 조절해 주는 작용을 해 준다. 특히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의 막을 튼튼하고 건강하게 해 줌으로 피부를 생기 있게 해 주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진피층의 영양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기능을 하는 성분으로 펜타펩타이드-3, D-판테놀, 또는 베타인을 사용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콜라겐 섬유질이나, 엘라스틴 같은 탄력섬유질의 생성 및 활성을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각기 독특한 기능을 갖고 있는 성분들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이 3차원적으로 피부보습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표피층의 피부복원작용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에서 표피층의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 성분은 수소첨가콜라겐 (마린콜라겐), 수소첨가엘라스틴, 난각막추출물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하게 글리세롤류만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성분들은 단순한 보습작용만을 하게 되고 그 보습효과를 근본적으로 또한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과학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부구조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표피는 일반적으로 살아있는 세포가 아니라 죽어있는 각질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들은 피부를 외부의 환경이나, UV(자외선)으로부터 피부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아주 단단한 6각형 모양의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속에는 적절한 수분과 유분이 함유되어 있어 계절에 따라 혹은 피부상태에 따라 근본적으로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피부구조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피부를 보호하는 성분들로서 수소첨가콜라겐 (마린콜라겐), 수소첨가엘라스틴, 난각막추출물이 선정된 것이다. 이들 각각은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3가지 성분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 즉 피부가 가지고 있는 수분 증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 성분들이 가지고 있는 수분을 피부에 공급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보습 효과를 배가시킨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들 3가지 성분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기초하여 각각 15중량%을 넘지 않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3가지 성분이 모두 함께 사용되는 경우 수소첨가콜라겐은 0.1 내지 5중량%, 수소첨가엘라스틴 0.1 내지 5중량% 및 난각막추출물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각질세포간지질층의 보습밸런스 유지작용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에서는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에 있는 세포간지질층의 보습밸러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불포화레시친, 리소레시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소듐-피롤리돈카르본산을 사용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피부에 실제 존재하는 성분들로 적절한 유분과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성분들이며, 진피층과 표피층의 서로 가교결합력을 높여주어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데 아주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이 부분의 활성을 강화시켜야만 보습작용에 의한 피부보습이 오래 지속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여러 가지 증상 즉, 여드름이나 피부건조증, 피부가 검게 되는 특징 주름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 등을 사전에 예방 할 수가 있다.
상기 성분들중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은 이하에 설명되어지는 상기 조성물의 나노 캡슐화시에 유화제 대신으로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그 이외의 성분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을 포함하여 5가지 성분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각각 0.1 내지 10중량%이며, 나머지 3가지 성분이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기초하여 최대 45중량%를 넘지않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가지 성분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불포화레시친 0.1 내지 10중량%, 리소레시친 0.1 내지 1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20중량%, 1,3-부틸렌 글리콜 1 내지 20중량% 및 소듐-필로리돈카르본산 0.1 내지 5중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진피층 영양 에너지 공급작용
피부진피층은 피부의 최 하단부에 위치한 부분으로 살아있는 세포들로만 존재한다. 이 부위는 표피를 단단하게 벽막을 강화시킬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의 뿌리가 되는 셈이다. 따라서 진피층이 활발하게 작용을 한다면 표피층은 건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진피층을 강화시킬 수 있는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한다면 아주 훌륭한 보습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진피층에는 콜라겐, 엘라스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등이 많이 존재하며,이들이 성장하여 표피로 올라가 표피세포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세포들이 단단하게 가교결합하여 수분의 증발을 막고, 외부의 자극이다 유입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도록 튼튼한 방호벽을 설치한다면 피부는 더욱 건강하게 유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들의 활성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영양을 주고, 에너지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펜타펩타이드-3, D-판테놀, 또는 베타인을 사용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진피층의 섬유나 세포들의 활성을 촉진하는 성분들로서 적절하게 배합하여 흡수가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3가지 성분이 함께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3가지 성분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성분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25중량%를 넘지않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가지 성분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기초하여 펜타펩타이드-3 0.1 내지 5중량%, 베타인 1 내지 10중량% 및 D-판테놀 0.1 내지 10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수소첨가콜라겐 0.1 내지 5중량%, 수소첨가엘라스틴 0.1 내지 5중량%, 난각막추출물 0.1 내지 5중량%, 불포화레시친 0.1 내지 10중량%, 리소레시친 0.1 내지 1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20중량%, 1,3-부틸렌 글리콜 1 내지 20중량%, 소듐-필로리돈카르본산 0.1 내지 5중량%, 펜타펩타이드-3 0.1 내지 5중량%, 베타인 1 내지 10중량%, D-판테놀 0.1 내지 10중량%, 및 잔량으로 보존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을 피부속으로 보다 흡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나노캡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캡슐화 방법은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불포화레 시친 및 리소레시친을 포함하는 세포간지질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진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보존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나노 캡슐화한다.
이때 상기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고압유화장치를 1 내지 3회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회 이상 통과할 경우 유효성분들의 파괴가 우려되며, 경제성을 고려하여 3회 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유화장치로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피부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략 50nm크기로 캡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노 캡슐화를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중의 성분중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은 피부에 존재하는 인지질성분들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안전하며, 이들 성분의 포함으로 별도의 계면활성제나 유화제를 필요로 하지 않다. 피부의 자극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목적이란 측면에서, 다른 계면활성제나 유화제는 피부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가능하다 하더라도 안전성을 확보하기에는 쉽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은 각각 0.1중량% 내지 20.0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성분 각각이 20.0 중량%이상 사용되는 경우, 최종 제품의 점도가 아주 높아 고압유화장치에 통과시킬 수 없으며, 캡슐하는데도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베지클의 입자 크기가 더 커져, 베지클이 큰 라멜라형태의 다중층으로 변화하게 됨으로 나노크기로 만들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들 성분 각 각의 최적의 사용 범위는 0.1중량%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나노캡슐화 방법을 하나의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캡슐화 방법은 불포화레시친, 리소레시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보존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 1 성분을 가열한 후 정치하는 단계; 이어서, 냉각 후 베타인, D-판네톨, 소듐-피롤리돈카르본산, 난각막 추출물 및 펜타펩티이드-3를 포함하는 제 2 성분과 수소첨가콜라겐 및 수소첨가엘라스틴을 포함하는 제 3 성분을 균질하게 혼합시키는 단계; 나노크기의 베지클을 제조하기 위해 혼합물을 고압유화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 및 제조된 베지클을 냉각한 후 12 내지 36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나노 캡슐화 방법에서 제 1 성분은 95 내지 105℃의 온도로 가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 1 성분의 하나인 불포화레시친이 완전히 용해되어야 하기 때문이고, 1,3-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이 충분히 팽윤되도록 대략 30 내지 2시간 동안 정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및 제 3성분의 혼합은 아지믹서를 사용하여 500 내지 2,500 rpm으로 5 내지 30분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내지 제 3성분의 혼합물은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5,000 내지 15,000 psi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1 내지 3회 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나노캡슐화된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 총중량에 기초하여 1 내지 50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 화장료뿐만 아니라 색조 화장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킨류, 에멀젼류, 크림류, 마사지크림류, 팩류, 메이크업베이스, 화운데이션 등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준비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불포화레시친 리소레시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칠파라벤 정제수 0.1 0.1 1.0 1.0 적량 to 100.0 1.0 1.0 5.0 5.0 적량 to 100.0 3.0 3.0 10.0 10.0 적량 to 100.0 5.0 5.0 15.0 15.0 적량 to 100.0 10.0 10.0 20.0 10.0 적량 to 100.0 15.0 15.0 10.0 20.0 적량 to 100.0
(2) 베타인 D-판테놀 소듐-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난각막추출물 펜타펩타이드-3 1.0 0.1 0.1 0.1 0.1 5.0 1.0 1.0 1.0 0.5 5.0 5.0 2.0 2.0 2.0 10.0 7.0 3.0 3.0 3.0 8.0 8.0 5.0 5.0 5.0 5.0 10.0 5.0 2.0 2.0
(3) 수소첨가콜라겐 수소첨가엘라스틴 0.1 0.1 1.0 1.0 2.0 2.0 3.0 3.0 5.0 5.0 2.0 2.0
소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을 사용하여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우선, 표 1의 (1)에 해당하는 원료를 100°C까지 가온하여 불포화레시친을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어서, 폴리올인 1,3-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이 충분히 팽윤이 되도록 대략 1시간동안 정치시켜 겔을 형성하였다. 이것을 대략 45℃까지 냉각한 후, 표 1의 (2)와 (3)을 넣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2,500 rpm으로 5분간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고압유화장치(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5,000~15,000 psi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3회 통과시켜 투명한 나노 크기의 베지클을 만들었다. 이것을 냉각수를 이용하여 30°C까지 냉각하고 대략 24시간 숙성기간을 거쳐 나노캡슐 입자를 제조하였다.
최종 시료의 물성, 입자 크기와 입자 모양을 확인하였다. 최종 시료의 성상은 연한 노란색이 맑은 액체이며, pH 6.0±1.0이고, 비중은 0.990±0.1로 나타났다. 입자 크기는 실라스 1064 모델(프랑스)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은 각각의 시료를 3회 측정하여 평균한 값으로 대략 30㎚ 내지 80㎚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50.45㎚이었다. 입자 모양은 실시예 2의 시료를 전자 주사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이것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종 시료의 입자는 미셀이 아니라 모노베지클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로부터 얻은 시료를 이용하여 경피 흡수력을 측정하였다. 경피흡수의 측정방법은 인체를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람의 피부와 가장 유사한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경피흡수 여부를 증명하였다. 측정방법은 다음 과 같다.
우선 헤어리스 마우스의 피부를 얇게 분리한 다음, 경피 흡수도를 측정하는 도 3에 나타낸 프렌즈디퓨전셀(유효면적: 0.64㎠, 수용상의 부피: 5.2㎖)을 사용하여 싱크컨디션 하에서 실시하였다. 수용상은 1% 트윈 20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먼저 수용상을 프렌즈디퓨전셀에 채우고 32±0.5℃로 유지시킨 다음 피부를 장착한다. 피부의 표피층에 시료를 각각 1g을 도포하여 투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는 4 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로부터 피부층 만을 적출한 다음 진피층의 지방층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으며 피부를 확산장치에 장착한 후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수용상은 자석 교반기를 이용하여 600rpm으로 교반하였다. 투과된 약물의 정량을 위하여 도포 후 일정시간 경과된 시점에 수용상 0.25㎖를 취한 후 HPLC로 정량하고, 프렌즈디퓨전셀은 다시 수용상으로 채워넣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경피흡수도를 측정하였으며, 지표물질은 D-판테놀을 사용하여 경피를 통과하여 나오는 양을 정량 분석하여 경피흡수의 투과도를 계산하였다. 대표적으로 실시예 2를 기준으로 하였고, 비교군으로 동일한 농도로 하여 만든 일반 에멀젼과 경피흡수도를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 에멀젼으로 만든 군에서의 D-판테놀의 경피 흡수도는 17.93±5.9%정도이었으며, 실시예 2는 96.79±6.3%의 높은 경피흡수력을 보였다. 이 결과로 볼 때, 나노크기로 만든 베지클이 일반 에멀젼보다는 경피 흡수도가 아주 우수하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은 피부과나 의약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험법을 이번에 화장료에 도입하여 적용한 것이다.
시험예 2
피부보습력 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의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실질적인 피부보습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6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20~40대의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피부보습효과를 측정하여 일반적으로 시중에 나와 있는 보습크림을 비교군으로 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피부보습력 측정의 목적은 3차원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피부보습효과가 월등히 뛰어나는 지를 비교평가하기 위한 실험이다. 따라서 비교군은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고 보습크림제품을 선정하여 비교군으로 하였으며, 대상 시료로는 실시예 2 20중량%, 실시예 4 40중량% 및 실시예 6 60중량%를 함유하는 크림을 각각 만들어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상기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4의 크림류 화장료의 조성과 동일함). 측정방법은 시료를 바른 후, 8시간까지 보습효과가 지속되는지를 2시간 단위로하여 8시간까지 측정하였다. 이 실험이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는지를 아노바 t-test를 사용하여 유의차 여부를 확인하였다. 피부보습효과에 사용된 기기는 스킨콘-200과 코네오미터를 사용하여 사람의 팔뚝 안쪽면을 이용하여 임상시험 하였다. 보습력 측정방법은 바르기 전의 피부보습력을 대조군으로 포함하여 체크하고, 각각의 시료 25㎖/㎠를 바른 다음 1시간, 2시간 및 4시간 경과 후의 피부보습력을 측정하였다. 피부보습력은 온도, 습도에 따라 아주 민감하게 발생하므로, 온도 20°C, 습도 60%로 일정하게 조절되는 항온 항습실 내에서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20~4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하였다.
(1)스킨콘-200을 사용한 피부 보습효과 실험결과
우선 첫째로 스킨콘-200으로 시험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보습력 평가는 비교군 크림과 실시예 2, 4와 6을 각각 사용한 크림을 양쪽 팔뚝에 일정한 지점을 정하여 시료를 바르기 전과 시료를 바른 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경과후의 보습력의 지속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크림은 바르기 전보다 2시간 후에 97.8%정도 높아졌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져서 8시간 경과 후에는 대략 19%정도 보습효과가 높아졌다. 그러나 실시예 2, 4, 6에서 2시간 경과후의 보습력은 대략 223.4%에서 286.6%정도 보습효과가 높아졌다. 또한 8시간 경과 후에는 149.3%에서 225%정도 보습효과가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보습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이 3차원적으로 피부보습효과를 발휘하여 피부표면을 덮어 피부의 수분 손실량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기도 하며, 피부각질층의 수분의 홀딩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일반 피부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합리성을 위하여 다른 기기를 사용하여 보습력 평가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2)코네오미터를 이용한 피부 보습효과 실험결과
두 번째로 피부보습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코네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스킨콘-20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임상 대상 도 같은 사람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코네오미터로 시험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크림은 바르기 전보다 2시간 후에 72.6%정도 높아졌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져서 8시간 경과 후에는 대략 5.6%정도만 보습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2, 4 및 6를 각각 함유한 크림은 2시간 경과후의 보습력이 각각 127.7%, 145.8%, 170.2%정도로 보습효과가 월등히 높아졌다. 또한 2시간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보습효과가 서서히 하락하였지만 8시간 경과 후에는 각각 83.1%, 111.7%, 142.8%정도 보습효과가 하락폭이 비교군과 비교하여 월등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바르기 전 보다는 대략 1.1배에서 1.4배 이상 보습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유효한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표준편차와 시료당 3회씩 측정하였고 통계처리는 아노바 t-test로 한 결과 사용전과의 비교에서는 95%신뢰 구간에서 모두 유의차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장기간 피부 보습력 임상시험 실시
실시예 2와 실시예 6에 대하여 20~40대 여성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부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보습효과 측정방법은 아침저녁으로 얼굴 좌우측에 1일 2회 한번에 2g씩 얼굴에 바른 다음 3개월간 바른 후에 피부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당시 시중에서 팔리고 있는 보습크림을 비교군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스킨콘-200을 이용하여 측정한 경우의 보습효과는 다음과 같다. 비교크림의 경우 3 개월 후에 28.9% 정도 보습효과의 증가를 보인 반면, 실시예 2의 경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99.6%증가되었으며, 실시예 6은 133.7%로 보습효과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코네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크림의 경우 3개월 후에 37% 정도로 보습효과의 증가를 보인 반면, 실시예 2의 경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93.4%증가되었으며, 실시예 6은 124.6% 보습효과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이 비교군의 크림보다 월등히 보습효과가 장시간 지속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내지 10 및 비교예 1
스킨류 화장료 제조
스킨류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난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였다. 별도의 보습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또는 6의 조성물을 보습제로 사용하였다.
보습용 스킨 1㎏을 만들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1) 내지 6)성분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분산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7) 내지 10)의 가용화류를 정확하게 달아 혼합한 후 60℃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혼합하면서 투명할 때까지 약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투명하게 가용화 정도를 확인한 후, 성분 11) 내지 12)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스킨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1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1)정제수 2)디소듐 이디티에이 3)디칼륨 그리시리지헤티네이트 4)아란토인 5)카보머 6)L-알기닌 7)파라옥시안식향산 메칠 8)피이지(60)하이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오일 9)에탄올 10)향료 11) 실시예 3 12) 실시예 6 적량 0.01 0.1 0.1 0.05 0.06 0.1 0.35 4.0 적량 - - 적량 0.01 0.1 0.1 0.05 0.06 0.1 0.35 4.0 적량 1.0 1.0 적량 0.01 0.1 0.1 0.05 0.06 0.1 0.35 4.0 적량 5.0 - 적량 0.01 0.1 0.1 0.05 0.06 0.1 0.35 4.0 적량 - 5.0 적량 0.01 0.1 0.1 0.05 0.06 0.1 0.35 4.0 적량 20.0 20.0
소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1 내지 14 및 비교예 2
에멀젼 화장료 제조
에멀젼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3에 나타난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였다. 별도의 보습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또는 6의 조성물을 보습제로 사용하였고, 유화제로는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보조유화제로는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유연제로는 스쿠알란, 디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였고, 안정화제로는 비스왁스, 세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하였다. 또한, 점증제로서 카보머와 산탄검을 사용하였다. 에멀젼 화장료에는 세럼이나 에센스류도 포함된다.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성분 1) 내지 7)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 이상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이 때 카보머가 완전히 분산되도록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8)내지 19)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 이상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혼합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고, 성분 20)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3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1)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에멀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비교예 2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1)정제수 2)실시예3 3)실시예6 4)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5)디소듐 이디티에이 6)카보머 7)산탄검 8)비스왁스 9)세테아릴알콜 10)토코페릴아세테이트 11)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2)폴리솔베이트-60 13)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14)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5)스쿠알란 17)디메치콘 18)사이크로메치콘 19)카프릴릭/키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L-알기닌 21)향료 적량 - - 0.15 0.03 0.15 0.1 0.5 1.5 0.1 0.8 1.2 0.1 1.5 3.0 1.0 6.0 3.0 0.18 적량 적량 10.0 - 0.15 0.03 0.15 0.1 0.5 1.5 0.1 0.8 1.2 0.1 1.5 3.0 1.0 6.0 3.0 0.18 적량 적량 - 10.0 0.15 0.03 0.15 0.1 0.5 1.5 0.1 0.8 1.2 0.1 1.5 3.0 1.0 6.0 3.0 0.18 적량 적량 10.0 10.0 0.15 0.03 0.15 0.1 0.5 1.5 0.1 0.8 1.2 0.1 1.5 3.0 1.0 6.0 3.0 0.18 적량 적량 20.0 20.0 0.15 0.03 0.15 0.1 0.5 1.5 0.1 0.8 1.2 0.1 1.5 3.0 1.0 6.0 3.0 0.18 적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5 내지 18 및 비교예 3
크림 화장료 제조
크림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4에 나타난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였다. 별도의 보습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또는 6의 조성물을 보습제로 사용하였고, 유화제로는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보조유화제로는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고, 유연제로는 스쿠알란, 디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과 마카데미아 오일을 사용하였고, 안정화제는 비스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중화제로 L-알기닌을 사용하였다. 또한, 점증제로서 카보머를 사용하여 크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표 4의 성분 1) 내지 6)을 정확하게 1ℓ 비이커에 계량하고, 7)내지 17)을 별도의 비이커에 정확히 계량하였다. 이것을 각각 75℃이상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18)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5분간 더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19) 및 20)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비교예 3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1)정제수 2)실시예3 3)실시예6 4)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5)디소듐 이디티에이 6)카보머 7)비스왁스 8)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왁스 9)세테아릴알콜 10)스테아린산 11)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2)폴리솔베이트-60 13)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4)마카데미아 오일 15)사이크로메치콘 16)디메치콘(6씨에스) 17)스쿠알란 18)L-알기닌 19)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20)향료 적량 - - 0.15 0.03 0.2 0.5 0.5 2.0 1.0 1.2 1.2 2.0 5.0 8.0 3.0 3.0 0.22 0.10 적량 적량 10.0 - 0.15 0.03 0.2 0.5 0.5 2.0 1.0 1.2 1.2 2.0 5.0 8.0 3.0 3.0 0.22 0.10 적량 적량 - 10.0 0.15 0.03 0.2 0.5 0.5 2.0 1.0 1.2 1.2 2.0 5.0 8.0 3.0 3.0 0.22 0.10 적량 적량 20.0 20.0 0.15 0.03 0.2 0.5 0.5 2.0 1.0 1.2 1.2 2.0 5.0 8.0 3.0 3.0 0.22 0.10 적량 적량 30.0 30.0 0.15 0.03 0.2 0.5 0.5 2.0 1.0 1.2 1.2 2.0 5.0 8.0 3.0 3.0 0.22 0.10 적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9 내지 22 및 비교예 4
마사지 크림 화장료 제조
마사지 크림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5에 나타난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였다. 별도의 보습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또는 6의 조성물을 보습제로 사용하였고, 유화제로는 폴리솔베이트-6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연제로는 미네랄오일,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스쿠알란, 사이크로메치콘을 사용하였고, 안정화제로는 비스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중화제로 L-알기닌을 사용하였다. 또한, 점증제로써 카보머를 사용하여 마사지 크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5의 성분 1)내지 6)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75℃이상 가온 용해하였다. 이어서 성분 7)내지 19)의 오일류를 정확하게 달아 75℃이상 별도 가온 용해하였다.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2,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0)을 물 10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1) 내지 22)를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마사지 크림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비교예 4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1)정제수 2)실시예3 3)실시예6 4)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5)디소듐 이디티에이 6)카보머 7)비스왁스 8)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왁스 9)세테아릴알콜 10)스테아린산 11)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2)폴리솔베이트-60 13)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 100스테아레이트 14)미네랄오일 15)마카데미아 오일 16)사이크로메치콘 17)디메치콘(6씨에스) 18)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19)스쿠알란 20)L-알기닌 21)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22)향료 적량 - - 0.15 0.02 0.2 0.5 0.5 2.0 1.0 1.2 1.2 2.0 40.0 8.0 3.0 3.0 5.0 3.0 0.22 0.10 적량 적량 10.0 - 0.15 0.02 0.2 0.5 0.5 2.0 1.0 1.2 1.2 2.0 40.0 8.0 3.0 3.0 5.0 3.0 0.22 0.10 적량 적량 - 10.0 0.15 0.02 0.2 0.5 0.5 2.0 1.0 1.2 1.2 2.0 40.0 8.0 3.0 3.0 5.0 3.0 0.22 0.10 적량 적량 10.0 10.0 0.15 0.02 0.2 0.5 0.5 2.0 1.0 1.2 1.2 2.0 40.0 8.0 3.0 3.0 5.0 3.0 0.22 0.10 적량 적량 20.0 20.0 0.15 0.02 0.2 0.5 0.5 2.0 1.0 1.2 1.2 2.0 30.0 8.0 3.0 3.0 5.0 3.0 0.22 0.10 적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23 내지 26 및 비교예 5
팩 화장료
팩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6에 나타난 성분과 조성을 참조하였다. 별도의 보습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또는 6의 조성물을 보습제로 사용하였고, 유화제로(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이소파라핀/라우레드-7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하기 표 6의 성분 1) 내지 7) 및 12)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1ℓ 비이커에 계량한 다음 3,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8) 내지 11)의 가용화물을 완전 용해한 후, 상기 교반한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고, AGI 믹서로 10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13)을 믈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50rpm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최종적으로 성분 14) 내지 16)을 투입한 후 50rpm으로 5분간 교반 후 탈포 공정을 거쳐 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비교예 5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실시예 26
1)정제수 2)실시예3 3)실시예6 4)디소듐 이디티에이 5)카보머 6)디포타슘-글리시리지헤티네이트 7)세피겔305* 8)파라옥시안식향산 메칠 9)(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에탄올 11)향료 12)폴리비닐 알콜 13) L-알기닌 14)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15)청색1호 16)황색4호 적량 - - 0.05 0.6 0.01 1.5 0.2 0.5 5.0 0.15 1.0 0.7 0.15 적량 적량 적량 5.0 - 0.05 0.6 0.01 1.5 0.2 0.5 5.0 0.15 1.0 0.7 0.15 적량 적량 적량 - 5.0 0.05 0.6 0.01 1.5 0.2 0.5 5.0 0.15 1.0 0.7 0.15 적량 적량 적량 10.0 10.0 0.05 0.6 0.01 1.5 0.2 0.5 5.0 0.15 1.0 0.7 0.15 적량 적량 적량 30.0 30.0 0.05 0.6 0.01 1.5 0.2 0.5 5.0 0.15 1.0 0.7 0.15 적량 적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 세피겔305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이소파라핀/라우레드-7이다.
실시예 27 내지 실시예 30 및 비교예 6
메이크업 베이스 화장료
메이크업 베이스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7의 성분 및 조성을 참조하였다. 별도의 보습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또는 6의 조성물을 보습 제로 사용하였고, 유화제로는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고, 보조유화제로는 글리세릴모노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고, 유연제로는 스쿠알란, 디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과 마카데미아 오일을 사용하였고, 안정화제는 비스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중화제로 L-알기닌을 사용하였다. 또한, 점증제로서 산탄검를 사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메이크업의 커버력을 위하여 탈크, 이산화티탄, 실리카를 사용하였고, 피부의 색과 맞추기 위하여 황색산화철과 산화제이철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표 7의 성분 1) 내지 6)을 정확하게 1ℓ 비이커에 계량하고, 7)내지 22)을 별도의 비이커에 정확히 계량한다. 이것을 각각 75℃이상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혼합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3)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5분간 더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4) 및 25)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메이크업 베이스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비교예 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실시예 30
1)정제수 2)실시예3 3)실시예6 4)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5)디소듐 이디티에이 6)산탄검 7)비스왁스 8)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왁스 9)세테아릴알콜 10)스테아린산 11)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2)폴리솔베이트-60 13)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 100스테아레이트 14)마카데미아 오일 15)사이크로메치콘 16)디메치콘(6씨에스) 17)스쿠알란 18)탈크 19)이산화티탄 20)황색산화철 21)산화제2철 22)실리카 23)L-알기닌 24)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25)향료 적량 - -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2.0 3.0 적량 적량 2.0 0.02 0.1 적량 적량 10.0 -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2.0 3.0 적량 적량 2.0 0.02 0.1 적량 적량 - 10.0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2.0 3.0 적량 적량 2.0 0.02 0.1 적량 적량 10.0 10.0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2.0 3.0 적량 적량 2.0 0.02 0.1 적량 적량 20.0 20.0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2.0 3.0 적량 적량 2.0 0.02 0.1 적량
소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31 내지 34 및 비교예 7
크림 화운데이션 화장료
크림 화운데이션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8의 성분 및 조성을 참조하였다. 별도의 보습제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또는 6의 조성물을 보습제로 사용하였고, 유화제로는 폴리솔베이트-60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보조유화제로는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고, 유연제로는 스쿠알란, 디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과 마카데미아 오일을 사용하였고, 안정화제는 비스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중화제로 L-알기닌을 사용하였다. 또한, 점증제로서 산탄검를 사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화운데이션의 커버력을 위하여 탈크, 이산화티탄, 실리카를 사용하였고, 피부의 색과 맞추기 위하여 황색산화철과 산화제이철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1㎏을 만들기 위하여 각 실시예 별로 표 8의 성분 1) 내지 6)을 정확하게 1ℓ 비이커에 계량하고, 7)내지 22)을 별도의 비이커에 정확히 계량하였다. 이것을 각각 75℃이상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서서히 혼합하면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성분 23)을 물 5g에 용해하여 투입한 후 3,000rpm으로 5분간 더 교반하였다. 교반 후, 냉각 및 탈포한 후 45℃에서 성분 24) 및 25)을 투입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화운데이션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7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1)정제수 2)실시예3 3)실시예6 4)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5)디소듐 이디티에이 6)산탄검 7)비스왁스 8)마이크로크리스탈라인왁스 9)세테아릴알콜 10)스테아린산 11)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2)폴리솔베이트-60 13)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 100스테아레이트 14)마카데미아 오일 15)사이크로메치콘 16)디메치콘(6씨에스) 17)스쿠알란 18)탈크 19)이산화티탄 20)황색산화철 21)산화제2철 22)실리카 23)L-알기닌 24)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25)향료 적량 - -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5.0 8.0 적량 적량 5.0 0.02 0.1 적량 적량 5.0 5.0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5.0 8.0 적량 적량 5.0 0.02 0.1 적량 적량 10.0 10.0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5.0 8.0 적량 적량 5.0 0.02 0.1 적량 적량 15.0 15.0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5.0 8.0 적량 적량 5.0 0.02 0.1 적량 적량 20.0 20.0 0.15 0.03 0.5 0.5 0.5 2.0 1.0 1.2 1.2 2.0 2.0 6.0 2.0 2.0 2.0 3.0 적량 적량 2.0 0.02 0.1 적량
소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이들의 피부에 대한 안전성과 제형화를 위한 안정성이 확보되어있기 때문에 기초화장료뿐만 아니라 색조화장료에까지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대표적인 실시예(7, 13, 17, 21, 25, 29, 32)를 선정하여 이들의 피부보습력을 시험예 2중 스킨콘-200 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즉, 피검자로 20 내지 40대 남녀 10명을 선정한 후 양쪽 팔뚝의 일정한 지점을 선정하여 바르기 전의 피부보습력을 체크한 다음 각각의 시료 25㎖/㎠를 바른 다음 6시간 경과 후의 피부보습력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르기 전보다 3배 내지 4 배이상 보습정도가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과 안정성이 뛰어나며, 기존의 보습제와 달리 3차원적으로 피부보습효과를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우선 표피층을 복원하고, 각질질세포간 지질층의 보습밸런스를 유지하고, 진피층에 영양에너지를 공급되도록 작용하여 피부보습효과가 기존의 상품화되는 보습제와 비교하여 월등하며 보습효과가 장시간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나노캡슐화방법은 불포화레시친과 리소레시친과 혼합사용하여 별도의 유화제없이 용이하게 나노캡슐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장품 분야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은 기초화장료 뿐만 아니라 색조화장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수소첨가콜라겐, 수소첨가엘라스틴 및 난각막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피부의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및 소듐-피롤리돈카르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된 물질, 불포화레시친 및 리소레시친을 포함하는 세포간지질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펜타펩타이드-3, 베타인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진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를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표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0.1 내지 15중량%, 세포간지질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0.1 내지 65중량%, 진피층에 작용하는 보습물질 0.1 내지 25중량% 및 잔량으로 보존제와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수소첨가콜라겐 0.1 내지 5중량%, 수소첨가엘라스틴 0.1 내지 5중량%, 난각막추출물 0.1 내지 5중량%, 불포화레시친 0.1 내지 10중량%, 리소레시친 0.1 내지 1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20중량%, 1,3-부틸렌 글리콜 1 내지 20중량%, 소듐-필로리돈카르본산 0.1 내지 5중량%, 펜타펩타이드-3 0.1 내지 5중량%, 베타인 1 내지 10중량%, D-판테놀 0.1 내지 10중량%, 및 잔량으로 보존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나노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캡슐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고압유화장치를 1 내지 3회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캡슐화 방법.
  6. 제 4항에 따라 제조된 나노 캡슐화된 피부보습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 내지 50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75519A 2004-09-21 2004-09-21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519A KR100557196B1 (ko) 2004-09-21 2004-09-21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519A KR100557196B1 (ko) 2004-09-21 2004-09-21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196B1 true KR100557196B1 (ko) 2006-03-03

Family

ID=3717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519A KR100557196B1 (ko) 2004-09-21 2004-09-21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1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330B1 (ko) * 2005-04-29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04873419A (zh) * 2015-05-19 2015-09-02 天津郁美净集团有限公司 一种多种植物组合物及其提取物、微胶囊的制备和应用
KR20160120130A (ko)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스킨톡 스팀 크림의 제조 방법, 스팀 크림 및 스팀 크림의 제조 장치
US20170216165A1 (en) * 2012-11-06 2017-08-03 CoLabs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a Capsule with a Moisturizing Agent
KR20180118563A (ko) 2017-04-21 2018-10-31 유씨엘 주식회사 펩타이드와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WO2022113991A1 (ja) * 2020-11-30 2022-06-02 東洋ビューティ株式会社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抗老化化粧料
US20230113098A1 (en) * 2017-04-18 2023-04-13 Colabs Int'l Corp. Compositions Containing a Capsule with an Ag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459B1 (ko) * 1987-01-28 1996-04-25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보습 화장품
KR970014747A (ko) * 1995-09-14 1997-04-28 성재갑 화장료 조성물
KR20010090063A (ko) * 2001-09-03 2001-10-18 구성관 머드(Mud) 팩의 조성물
WO2001089466A1 (en) 2000-05-23 2001-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moisturizing and sunscreen compositions comprising organic particulate material
KR20020048211A (ko) * 2000-12-16 2002-06-22 박찬익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한 건조함으로부터 피부를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KR20040029764A (ko) *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459B1 (ko) * 1987-01-28 1996-04-25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보습 화장품
KR970014747A (ko) * 1995-09-14 1997-04-28 성재갑 화장료 조성물
WO2001089466A1 (en) 2000-05-23 2001-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moisturizing and sunscreen compositions comprising organic particulate material
KR20020048211A (ko) * 2000-12-16 2002-06-22 박찬익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한 건조함으로부터 피부를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KR20010090063A (ko) * 2001-09-03 2001-10-18 구성관 머드(Mud) 팩의 조성물
KR20040029764A (ko) *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330B1 (ko) * 2005-04-29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빈랑자 추출물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US20170216165A1 (en) * 2012-11-06 2017-08-03 CoLabs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a Capsule with a Moisturizing Agent
US11491088B2 (en) * 2012-11-06 2022-11-08 CoLabs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a capsule with a moisturizing agent
KR20160120130A (ko)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스킨톡 스팀 크림의 제조 방법, 스팀 크림 및 스팀 크림의 제조 장치
CN104873419A (zh) * 2015-05-19 2015-09-02 天津郁美净集团有限公司 一种多种植物组合物及其提取物、微胶囊的制备和应用
CN104873419B (zh) * 2015-05-19 2018-02-02 天津郁美净集团有限公司 一种多种植物组合物及其提取物、微胶囊的制备和应用
US20230113098A1 (en) * 2017-04-18 2023-04-13 Colabs Int'l Corp. Compositions Containing a Capsule with an Agent
KR20180118563A (ko) 2017-04-21 2018-10-31 유씨엘 주식회사 펩타이드와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WO2022113991A1 (ja) * 2020-11-30 2022-06-02 東洋ビューティ株式会社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抗老化化粧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6813B2 (en) Skin care formulations
US10639344B2 (en) Skin care formulation
KR100519638B1 (ko) 지질 장벽 합성을 강화시키는 조성물 및 그 방법
DE202012012801U1 (de) Kosmetikzusammensetzungen
DE202015009464U1 (de) Kosmetikzusammensetzungen
MX2008009252A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extracto de ciruela kakadu o extracto de cereza de asai.
ES2596720B1 (es) Composiciones para uso tópico
WO2014150545A1 (en)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DE202015009366U1 (de) Porenminimierer
KR100557196B1 (ko) 보습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나노 캡슐화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03903A (ko) 노화되거나 환경에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조성물 및 치료 방법
US20050281853A1 (en) Skin compatible cosmetic compositions and delivery methods therefor
KR20230037965A (ko) 피부장벽 형성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N115252458A (zh) 含蓝铜肽的稳定保湿组合物
BR102017010610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para o cuidado da pele, uso cosmético e produto cosmético para o cuidado da pe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