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633A -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633A
KR20060112633A KR1020050035311A KR20050035311A KR20060112633A KR 20060112633 A KR20060112633 A KR 20060112633A KR 1020050035311 A KR1020050035311 A KR 1020050035311A KR 20050035311 A KR20050035311 A KR 20050035311A KR 20060112633 A KR20060112633 A KR 20060112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ong
pitch
note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박장연
Original Assignee
(주)나요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요미디어 filed Critical (주)나요미디어
Priority to KR102005003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633A/ko
Priority to US11/380,312 priority patent/US20060246407A1/en
Priority to PCT/KR2006/001599 priority patent/WO2006115387A1/en
Publication of KR2006011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온라인, 오프라인, 유무선상의 노래방에 채용되는 노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노래 평가 시스템은, 노래에 대한 가사데이터, 반주데이터, 상기 노래의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한 음정과 박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음정박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반주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부른 노래에 대한 노래데이터를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와 비교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 상기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에서 변환된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 및, 상기 노래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의 일치 정도에 따라 상기 노래데이터를 평가하는 평가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기준에 의해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래 전체 또는 소절별로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정과 박자를 모르는 경우에도 따라 부를 수 있으며, 다양한 게임방식의 적용이 가능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노래방, 노래, 평가, 음정, 박자, 소절

Description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RADING SINGING DATA}
도 1은 본 노래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 블럭도,
도 2a는 노래 부르는 도중 본 노래 평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화면도,
도 2b는 본 노래 평가 시스템의 노래 평가 결과를 도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화면도,
도 3은 도 1의 노래 평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의 구성 블럭도,
도 4는 도 1의 노래 평가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블럭의 구성 블럭도,
도 5는 본 노래 평가 시스템에 따른 노래 평가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노래 평가 시스템 10 : 제어부
15 : 데이터베이스 20 :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
30 : 평가블럭 40 :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
50 :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노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노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래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노래의 음정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노래를 부르거나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반주기는, 주로 오프라인 노래방에서 사용하던 것이었으나, 최근 인터넷과 이동통신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과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노래반주기능을 서비스하는 온라인 노래방과 이동통신기기용 노래방 등이 등장하게 되었다.
오프라인 노래방은 노래반주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시스템, 조명 등을 갖춘 방을 꾸며 운영되며, 노래반주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대해 미디(MIDI)규격에 따른 제어명령을 발생시켜 여러 가지 악기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노래반주기에는 대략 1만 여곡의 반주와 가사가 저장되어 있으며, 반주와 가사는 신곡의 출시와 함께 수시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최근에는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노래반주기가 개발되어 인터넷을 통해 반주와 가사를 다운로드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사이트에서 소유자 정보를 별도 관리함으로써, 노래반주기의 소유자 각자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오프라인 노래방은 조명과 스피커 등의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무대 효과를 낼 수 있고, 여러 사람이 어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오프라인 노래방의 노래반주기는, 사용자가 노래를 마치면 사용자의 노래를 평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해 준다. 그런데, 이렇게 노래반주기에서 사용자의 노래를 평가하는 기준은 사용자가 음정과 박자를 얼마나 정확하게 표현하였는가가 아니라, 단지 목소리의 높고 낮음에 따라 평가하거나 아예 랜덤하게 점수를 선택하여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확하게 자신의 실력을 평가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록 반주가 연주되기는 하나 사용자가 다음에 나올 소절의 반주를 알 수 없고,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가사만 표시되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노래의 음정을 모를 경우에는 노래를 부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온라인 노래방은,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확장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들이 제공되면서 생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접속한 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또는 노래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다음, 컴퓨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노래를 부르게 된다. 온라인 노래방은, MIDI 뿐만 아니라 MP3를 음원으로 하여 서비스하고, 점수기능과 녹음기능을 지원할 뿐만이 아니라 음정, 박자, 볼륨을 자체 플레이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노래방은 오프라인 노래방이 제공하는 조명이나 여러 사람이 같이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부재한 대신, 시간 제약이 없거나 채팅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집에서 간단히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휴대폰이나 PDA 등을 이용한 이동통신기기 노래방은, 휴대폰에 MP3 재생기능이 포함되면서 가능해졌으며, 온라인 노래방과 마찬가지로, 무선인터넷을 통 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노래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노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기기 노래방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 창이 작고, 컴퓨터에 비해 그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온라인 노래방과 이동통신기기 노래방은, 상술한 오프라인 노래방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평가기준이 모호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래방의 평가에 대한 신뢰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노래 전체에 대한 평가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확하게 부른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를 파악할 수 없으며, 노래방은 단지 사용자가 연습한 노래를 부르기 위한 기능만을 제공할 뿐, 노래의 어느 부분의 연습이 필요한지, 음정과 박자가 제대로 맞는지 전혀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온라인 노래방이나 이동통신기기 노래방은 혼자 즐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오프라인 노래방에서 여러 사람과 즐기는 경우보다 흥미가 떨어지고 성의없이 노래 부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노래방들은 사용자가 음정을 완전히 숙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가사만으로는 노래를 제대로 따라 부르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노래를 음정과 박자 등에 따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절 별로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노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래의 음정을 완전히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노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가 노래의 음정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노래반주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온라인, 오프라인, 유무선상의 노래방에 채용되는 노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노래에 대한 가사데이터, 반주데이터, 상기 노래의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한 음정과 박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음정박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반주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부른 노래에 대한 노래데이터를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와 비교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 상기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에서 변환된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 및, 상기 노래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의 일치 정도에 따라 상기 노래데이터를 평가하는 평가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은, 상기 노래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A/D컨버터와, 상기 디지털화된 노래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블럭은, 소리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필터링된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시작점을 찾아내는 온셋 검출부; 상기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을 찾아내어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지속시간을 산출하는 음표지속시간 검출부;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들에 대한 음정값을 추출하는 음표정보 추출부; 상기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지속시간과, 상기 음정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치를 산출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표지속시간 검출부는, 소리에너지의 크기가 급격히 감소하는 시점을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음표지속시간 검출부는, 상기 온셋검출부로부터 새로운 온셋이 검출되는 시점을 이전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음표정보 추출부는, 소리의 고유한 기본주파수이며 소리의 높낮이를 수치로 표현한 피치값을 이용하여 음정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가부는, 상기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 간의 상기 음표의 지속시간의 일치 정도와, 상기 음정값의 일치 정도를 평균하여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가부는, 상기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 간의 상기 음표의 지속시간의 일치 정도와, 상기 음정값의 일치 정도 중 하나에 가중치를 두어 평가 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가부는, 상기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 단위, 소절 단위, 노래 전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은, 상기 각 노래에 대한 음정박자 데이터에 포함된 음표가 상기 각 음표의 높낮이와 길이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길이의 바아 형태로 표시되는 음정박자 그래프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은, 상기 평가블럭에서 추출된 음표의 지속시간과 음정값을 상기 음정박자 그래프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로부터의 각 음표에 대한 바아와, 상기 평가블럭으로부터의 음표 지속시간과 음정값은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노래반주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온라인, 오프라인, 유무선상의 노래방에서의 노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주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부른 노래에 대한 노래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노래데이터를 음정박자 데이터와 비교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변환된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노래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의 일치 정도에 따라 상기 노래데이터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노래 평가 시스템은, 사용자가 부른 노래를 음정, 박자의 일치 여부에 따라 평가하고, 평가된 결과를 노래 전체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임의의 구간단위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노래 실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구간단위로 또는 노래 전체를 다시 부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노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노래 평가 시스템은, 오프라인 노래방, 온라인 노래방, 이동통신 노래방뿐만 아니라, 카오디오를 이용한 카오디오 노래방, MP3를 이용한 노래방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오디오 파일의 입출력이 가능하고 간단한 평가 프로그램의 처리가 가능한 모든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노래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 블럭도이다. 본 노래 평가 시스템(1)은, 하드웨어 부분과 소프트웨어 부분으로 형성되며, 하드웨어 부분은 노래반주기(5), 디스플레이 장치(50), 마이크(55), 스피커(57)를 포함하고, 소프트웨어 부분은 데이터베이스(15),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 평가블럭(30), 메모리(17),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래 평가 시스템(1)의 하드웨어 부분은, 노래 평가 시스템(1)이 구현되는 장치에 따라 그 형태나 구성이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노래방의 경우에는 별도의 노래반주기(5)가 아닌 인터넷 사이트 또는 노래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본체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가 노래반주기(5)를 대신할 수 있으며, 휴대폰, MP3, PDA와 같은 소 형 기기들은 기기 자체에 노래반주기(5), 디스플레이 장치(50), 스피커(57), 마이크(55)가 모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노래 평가 시스템(1)의 구현시 하드웨어 부분의 형태나 구성이 중요하지 아니하며, 후술할 하드웨어 부분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기기들은 본 노래 평가 시스템(1)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후술할 실시예에서는 주로 오프라인 노래방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드웨어의 노래반주기(5)에는 소프트웨어 부분이 설치되며, 노래반주기(5)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노래 선택이나 옵션 설정을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을 갖는 입력패널(11)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노래반주기(5)의 사용 중,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으로 형성된 배경화면과 함께, 가사, 음정박자 그래프 등 노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소프트웨어 부분의 데이터베이스(15)는, 노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노래에 대한 정보로는 저장하고 있는 노래에 대한 리스트, 가사 데이터, 반주 데이터, 음정박자 데이터, 작사가, 작곡가, 가수 등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노래에 대한 리스트, 가사 데이터, 음정박자 데이터, 작사가, 작곡가, 가수 등에 대한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되며, 반주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반주 데이터에는 노래의 반주뿐만 아니라, 코러스 데이터, 점수 표시시 발생되는 팡파레와 같은 효과음 데이터가 포함된다. 노래에 대한 정보, 예컨대 노래에 대한 가사 데이터, 음정박자 데이터 등은 노래반주기(5)의 데이터베이스(15)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지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될수도 있다.
한편, 음정박자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로서, 도 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를 구성하는 각 음의 높낮이와 길이, 즉 음정과 박자에 대응되는 그래프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음정박자 데이터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의 음정에 따라 그 높이가 결정되고, 2분 음표, 4분 음표, 8분 음표, 16분 음표 등 음표의 길이인 박자에 따라 길이가 결정되는 바아(bar)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노래 부르는 도중 본 노래 교습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를 참조하면, 노래가 시작되면 해당 소절(여기서는, "꽃피는 산골")의 가사 데이터가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다. 반주가 진행됨에 따라 반주의 진행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진행된 반주에 해당하는 가사의 색상이 변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반주가 진행됨에 따라 가사 부분이 도트(dot) 블록으로 처리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음정박자 데이터는 가사 데이터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가사 데이터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 해당 가사 데이터와 동등한 위치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사 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한다. 음정박자 데이터 역시 가사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한 소절에 해당하는 음정 박자 데이터(211)가 화면에 표시된 후, 반주의 진행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진행된 반주에 해당하는 음정박자 데이터의 색상이 변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서는 음정박자 데이터를 나타내는 바아 형상이 도트(dot) 형태로 바뀌는 것으로 표시되 어 있다.
음정박자 데이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때 입력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발성한 음정과 박자(212)를 음정박자 데이터(211)와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가 발성한 음정과 박자(212)를 반주(원곡)의 음정 박자 데이터(211)와 별도의 바아 형태의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2a에서는 사용자가 발성한 음정과 박자 데이터는 빗금친 바아 형태의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반주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축을 해제하고, 디코딩이 필요한 경우에는 디코딩을, 데이터의 변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은 사용자가 부른 노래가 마이크(55)를 통해 입력된 노래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와 비교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변환부(21), A/D컨버터(23), 디지털 필터(25)를 포함한다. 데이터변환부(21)는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 형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노래의 데이터 형태가 상이할 때 사용되며, 노래 평가 시스템(1)이 구현된 기기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치 아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반주 데이터는 MP3나 미디 데이터이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노래는 웨이브 데이터일 때, 데이터변환부(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웨이브 데이터를 MP3나 미디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A/D컨버터(2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웨이브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일정 범위 내, 즉, -1에서 1 사이에서 정규화시키고, 디지털 필터(25)는 디지털화된 노래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렇게 처리된 사용자로부터의 노래데이터는, 평가블럭(30)으로 제공되어 평가된다.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은,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노래 리스트, 가사데이터, 음정박자 데이터, 작사가, 작곡가, 가수 등에 대한 정보 등과 함께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한다. 노래리스트는 사용자의 검색에 따라 선택된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되며,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은 사용자가 입력패널(11)을 통해 입력한 특정 제목, 가수, 작사가, 작곡가에 일치되는 노래리스트를 추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사데이터는 반주데이터와 함께 연동하여 표시되며,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은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 한 소절씩 가사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로 제공한다. 그리고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은 반주데이터의 음정과 박자에 맞추어 해당 가사데이터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노래 불러야 할 부분을 인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은 가사데이터와 함께 음정박자 데이터를 음정과 박자를 표시하는 바아를 갖는 그래프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되도록 하며, 마이크(55)로 입력되어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과 평가블럭(30)을 통해 가공된 사용자의 노래데이터를 그래프 형태로 변환시켜 음정박자 그래프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때,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은,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의 음정박자 데이터와 사용자로부터의 노래데이터로부터 형성 된 각각 그래프의 바아의 색상을 달리 표현함으로써, 음정박자 데이터와 노래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음정과 박자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음정과 박자를 조절하여 보다 정확하게 노래 부를 수 있다.
한편, 평가블럭(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에서 디지털화되고 필터링된 노래데이터로부터 음정과 박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노래데이터를 평가한다. 이를 위해 평가블럭(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셋(onset) 검출부, 음표지속시간 검출부(33), 음표정보 추출부(35), 평가부(37)를 포함한다.
온셋 검출부(31)는, 필터링된 노래데이터에서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시작점을 찾아낸다. 일반적으로 소리의 시작점에서는 이전에 비해 소리의 에너지가 급속도로 증가하며, 온셋 검출부(31)는 입력된 노래데이터에서 소리의 에너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고 급격히 증가하는 부분을 찾아 음절 또는 음표가 시작되는 시작점으로 판단한다.
음표 지속시간 검출부(33)는,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지속시간을 산출하며, 이는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을 찾아내어 산출할 수 있다. 즉, 음표 지속시간 검출부(33)에서는 온셋 검출부(31)에서 검출된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이용하여 양자간의 차를 산출함으로써, 음표의 지속시간을 산출한다. 이러한 음표 지속시간 검출부(33)에서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이라고 판단하는 경우는 두 가지가 있으며, 하나는 노래데이터의 소리 에너지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급 격히 작아지는 시점을 종료점으로 판단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온셋 검출부(31)로부터 새로운 온셋지점이 검출되는 시점을 종료점으로 판단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음절 또는 음표는 쉼표나 간주 등에 의해 단절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웃하는 음절 또는 음표와 이어져 있으며, 따라서, 각 음절 또는 음표 간의 구별은 음정의 차이에 따라 용이하게 구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아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음표 지속시간 검출부(33)에서는 각 음절 또는 음표 사이가 쉼표 등에 의해 잠시 단절되는 경우에는 소리 에너지가 급격히 작아지는 지점을 찾아내어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을 추출할 수 있고, 이웃하는 음절 또는 음표가 이어지는 경우에는 새로운 온셋지점이 검출되는 시점을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음표 지속시간 검출부(33)에서 검출된 음표의 지속시간이 음표의 박자가 된다.
음표정보 추출부(35)에서는 온셋 검출부(31)와 음표 지속시간 검출부(33)에 의해 검출된 각 음절 또는 음표들에 대한 음정정보와 강약정보를 추출하며,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해 사용자가 발생시킨 음정의 대표값인 세미톤(semitone) 값을 구한다. 사용자가 발생시킨 노래데이터를 살펴보면, 각 음절 또는 음표의 발성시 사용자의 목소리는 음정박자 그래프의 바아처럼 평행한 것이 아니라 소정의 폭내에서 상하로 진동하여 다수의 피치값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피치는 소리의 고유한 기본주파수이며, 소리의 높낮이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피치값은 필터링된 노래데이터의 시간적 분석 방법인 AMDP(Amplitude Magnitude Difference Function), ACF(Autocorrelation Function), Yin 등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음 표정보 추출부(35)에서는 이러한 각 피치값을 평균하여 세미톤 값을 구하게 되며, 이 세미톤값이 사용자가 발생시킨 음정값이 된다. 이렇게 음표정보 추출부(35)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음정값은 음정박자 그래프에 표시되며, 이 때, 음정값은 세미톤값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피치값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음표정보 추출부(35)에서는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한 강약정보를 추출하며, 이는 온셋 검출부(31)에서 검출된 소리의 에너지, 즉 소리의 크기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렇게 온셋 검출부(31), 음표지속시간 검출부(33), 음표정보 추출부(35)에서 추출된 정보, 즉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한 음정값과 박자는,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에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음정박자 그래프 상에 표시된다.
평가부(37)는 상술한 온셋(onset) 검출부, 음표지속시간 검출부(33), 음표정보 추출부(35)에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노래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의 반주데이터에 음정과 박자 면에서 얼마나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평가치를 산출하게 된다. 평가부(37)는 각 음절이나 음표에 대해 음정과 박자를 평가할 수도 있고, 하나의 화면에 나타나는 소절 단위 또는 노래 전체에 대해서 음정과 박자를 평가할 수도 있다. 또한, 평가부(37)에서는 각 음절이나 음표에 대해 음정과 박자에 대한 평가를 각각 수행할 수도 있고, 음정과 박자를 1:1로 하여 평균을 한 것을 평가치로 산출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음정과 박자 중 하나에 가중치를 두어 평가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평가부(37)에서 평가된 결과를 도 2b를 통해 볼 수 있다.
도 2b는 노래 평가 결과를 도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된 화면에는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의 음정박자 데이터(221)와 사용자가 부른 노래데이터가 함께 표시된 음정박자 그래프(222)와, 가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전체 노래에 대한 점수가 표시되며, 또한 노래의 각 소절에 대한 평가치를 볼 수 있도록 각 소절이 표시된다. 소절 표시에서 특정 소절을 선택하면, 선택된 소절에 대한 평가치가 표시된다.
한편, 메모리(17)에는 사용자의 노래데이터에 대한 각 소절과 노래 전체에 대한 평가치가 일시 저장되며, 이는 사용자가 노래데이터 중 평가치가 좋지 아니한 부분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메모리(17)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가 다른 노래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지워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면 평가치를 계속 저장해 둘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입력패널(11)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마이크(55)를 통해 입력된 노래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평가블럭(30)에 의해 산출된 평가치를 메모리(17)에 일시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노래 평가 시스템(1)에서 노래를 평가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패널(11)을 이용하여 노래를 선택하면(S100), 제어부(10)에서는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 해당 노래에 대한 제목, 작사가, 작곡가, 가수에 대한 정보를 인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에 띄운다. 그런 다음, 제어부(10)는 데이터베이스(15)로부터 가사데이터, 반주데이터, 음정박자 데이터를 인출하여 가사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으로 제공하고, 반주데이터는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으로 제공한다.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40)에서는 가사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되도록 하고,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은 반주데이터가 스피커(57)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S110).
반주가 시작되고,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면(S120), 제어부(10)는 사용자의 노래를 평가하기 위해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과 평가블럭(30)을 작동시킨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노래데이터는 먼저,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20)의 데이터변환부(21)에서 적당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된 다음, A/D컨버터(23)에서 디지털화되고 디지털 필터(25)에서 필터링된다(S130). 평가블럭(30)에서는 필터링된 노래데이터로부터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찾아내어 각 음절 또는 음표를 사용자가 발성한 길이, 즉 음표 지속시간인 박자값을 구하고(S140),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해 음정값과 강약을 구한다(S150). 이렇게 박자값과 음정값이 구해지면, 평가부(37)에서는 해당 박자값과 그 음절이나 음표의 고유의 박자값을 비교하여 얼마나 일치하는지, 해당 음정값과 그 음절이나 음표의 음정이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하여 평가치를 산출한다(S160). 이 때, 평가부(37)는, 각 음절이나 음표에 대한 평가치, 한 소절에 대한 평가치, 노래 전체에 대한 평가치를 각각 산출하며, 제어부(10)는 평가부(37)에서 산출된 평가치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한다(S170). 그리고 제어부(10)는 평가치들을 메모리(17)에 저장한다.
노래를 완료한 뒤, 사용자는 노래 전체 또는 일부분만을 출력하여 반복적으 로 연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 장치(50)에 노래를 다시 부를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80). 만약, 사용자가 노래를 다시 부르고자 ‘Yes'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노래 전체를 반복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표시한다(S190). 사용자가 전곡을 반복하고자 하는 경우, S110단계로 되돌아가 제어부(10)는 노래 전체를 다시 반복하도록 하고, 만약, 사용자가 노래의 일부분만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구간을 선택하여 입력해야 한다(S200). 이 때, 사용자가 해당 구간을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겠으나, 노래가 완료된 다음, 노래 전체와 각 소절에 대한 평가치의 표시시 각 소절에 번호를 붙여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노래를 시작하면 제어부(10)는 다시 평가블럭(30)을 작동시켜 사용자의 노래데이터를 평가하도록 하고 노래를 부르는 도중이나 완료된 다음 평가치를 디스플레이 장치(50)에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가 노래를 다시 부르기 원치 않는 경우에는 다른 곡을 선택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다른 곡을 선택하면 S110단계부터 반복한다(S185).
이와 같이, 본 노래 평가 시스템(1)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노래에 대해 음정, 박자, 강약 등 미리 설정된 표준화된 기준에 의해 평가를 받을 수 있으므로, 자신의 노래 실력을 정확하게 평가받을 수 있다. 또한, 노래 전곡뿐만 아니라 평가가 좋지 못한 일부 소절만을 반복적으로 연습하여 노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정과 박자가 음정박자 그래프를 통해 제공되므로, 노래의 음정과 박자를 모르는 경우에도 따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소절 별로 평가가 가능하므로, 게임적 요소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혼자서 또는 다른 사용자와 함께 동일 소절을 높은 점수가 나올 때까지 계속적으로 시도할 수 있으며, 특정곡 최고점수 받기, 특정 점수에 제일 근접하게 부르기, 노래의 어려운 부분 잘 부르기 등 다양한 응용게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정박자 데이터의 표시를 음정의 높이와 박자의 길이에 따라 바아 형상으로 표시하였으나, 막대그래프나 여타의 다른 그래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오선지 또는 화면 위에 해당 음표를 음정에 따라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 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화된 기준에 의해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래 전체 또는 소절별로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노래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정과 박자를 모르는 경우에도 따라 부를 수 있으며, 다양한 게임방식의 적용이 가능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Claims (18)

  1. 노래반주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온라인, 오프라인, 유무선상의 노래방에 채용되는 노래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노래에 대한 가사데이터, 반주데이터, 상기 노래의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한 음정과 박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음정박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반주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부른 노래에 대한 노래데이터를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와 비교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
    상기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에서 변환된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 및
    상기 노래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의 일치 정도에 따라 상기 노래데이터를 평가하는 평가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데이터 처리블럭은
    상기 노래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A/D컨버터와, 상기 디지털화된 노래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블럭은
    소리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필터링된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시작점을 찾아내는 온셋 검출부;
    상기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을 찾아내어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지속시간을 산출하는 음표지속시간 검출부;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들에 대한 음정값을 추출하는 음표정보 추출부; 및
    상기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지속시간과, 상기 음정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치를 산출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지속시간 검출부는
    소리에너지의 크기가 급격히 감소하는 시점을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지속시간 검출부는
    상기 온셋검출부로부터 새로운 온셋이 검출되는 시점을 이전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정보 추출부는
    소리의 고유한 기본주파수이며 소리의 높낮이를 수치로 표현한 피치값을 이용하여 음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 간의 상기 음표의 지속시간의 일치 정도와, 상기 음정값의 일치 정도를 평균하여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 간의 상기 음표의 지속시간의 일치 정도와, 상기 음정값의 일치 정도 중 하나에 가중치를 두어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은
    상기 각 노래에 대한 음정박자 데이터에 포함된 음표가 상기 각 음표의 높낮이와 길이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길이의 바아 형태로 표시되는 음정박자 그래프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데이터 처리블럭은
    상기 평가블럭에서 추출된 음표의 지속시간과 음정값을 상기 음정박자 그래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시스템.
  11. 노래반주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온라인, 오프라인, 유무선상의 노래방에서의 노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반주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부른 노래에 대한 노래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노래데이터를 음정박자 데이터와 비교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단계-상기 음정 박자 데이터는 상기 노래의 각 음절 또는 음표에 대한 음정과 박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임-;
    상기 변환된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노래데이터와 음정박자 데이터의 일치 정도에 따라 상기 노래데이터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 데이터 및 상기 음정 박자 데이터는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는
    소리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필터링된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시작점을 찾아내는 단계;
    상기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종료점을 찾아내는 단계;
    상기 시작점과 종료점을 이용하여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지속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각 음절 또는 음표들에 대한 음정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데이터의 각 음절 또는 음표의 지속시간과, 상기 음정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 간의 상기 음표의 지속시간의 일치 정도와, 상기 음정값의 일치 정도를 평균하여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노래데이터와 상기 음정박자 데이터 간의 상기 음표의 지속시간의 일치 정도와, 상기 음정값의 일치 정도 중 하나에 가중치를 두어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각 노래에 대한 음정박자 데이터에 포함된 음표를 상기 각 음표의 높낮이와 길이에 따라 그래프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음표의 지속시간과 음정값을 그래프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평가 방법은
    상기 평가 결과가 각 소절별로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소절에 대한 평가 결과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소절에 대한 노래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시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평가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50035311A 2005-04-28 2005-04-28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2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11A KR20060112633A (ko) 2005-04-28 2005-04-28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US11/380,312 US20060246407A1 (en) 2005-04-28 2006-04-26 System and Method for Grading Singing Data
PCT/KR2006/001599 WO2006115387A1 (en) 2005-04-28 2006-04-28 System and method for grading sing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311A KR20060112633A (ko) 2005-04-28 2005-04-28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633A true KR20060112633A (ko) 2006-11-01

Family

ID=3721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311A KR20060112633A (ko) 2005-04-28 2005-04-28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46407A1 (ko)
KR (1) KR20060112633A (ko)
WO (1) WO200611538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55B1 (ko) * 2013-06-14 2013-11-26 (주)엘리비젼 터치스크린 노래방 게임 시스템
KR101442606B1 (ko) * 2007-12-28 2014-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Ucc를 이용하는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방법 및 그 게임 서버
WO2015152586A1 (ko) * 2014-04-03 2015-10-08 (주) 엠티콤 유사도판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869665A (zh) * 2016-05-25 2016-08-1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歌词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920560A (zh) * 2017-03-31 2017-07-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歌曲演唱质量显示方法及装置
KR20190102434A (ko) * 2018-02-26 2019-09-04 김국현 노래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3642B2 (en) 2003-08-27 2012-07-3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pturing an audio signal based on a location of the signal
US8160269B2 (en) 2003-08-27 2012-04-1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justing a listening area for capturing sounds
US8139793B2 (en) 2003-08-27 2012-03-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udio signals based on a visual image
TWI282970B (en) * 2003-11-28 2007-06-2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karaoke scoring
DE102005005536A1 (de) * 2005-02-07 2006-08-10 Sick Ag Codeleser
US20080113325A1 (en) * 2006-11-09 2008-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v out enhancements to music listening
US20080120115A1 (en) * 2006-11-16 2008-05-22 Xiao Dong Mao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ally adjusting an audio signal based on a parameter
US8116746B2 (en) 2007-03-01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finding ringtones that match a user's hummed rendition
US20100192753A1 (en) * 2007-06-29 2010-08-05 Multak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Karaoke apparatus
US20090263773A1 (en) * 2008-04-19 2009-10-22 Vadim Kotlyar Breathing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090319601A1 (en) * 2008-06-22 2009-12-24 Frayne Raymond Zvonari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video comparison
US8148621B2 (en) * 2009-02-05 2012-04-03 Brian Bright Scoring of free-form vocals for video game
WO2010115298A1 (zh) * 2009-04-07 2010-10-14 Lin Wen Hsin 卡拉ok歌曲伴唱自动评分方法
WO2010140166A2 (en) * 2009-06-02 2010-12-0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A system and method for scoring a singing voice
CN102693716B (zh) * 2011-03-24 2013-08-28 上海尚恩华科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网络评分功能的电视卡拉ok系统及实现方法
US9508329B2 (en) 2012-11-20 2016-11-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udio file and terminal device
CN103839559B (zh) * 2012-11-20 2017-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文件制作方法及终端设备
US9307337B2 (en) 2013-03-11 2016-04-05 Arris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broadcast content
US9301070B2 (en) 2013-03-11 2016-03-29 Arris Enterprises, Inc. Signature matching of corrupted audio signal
FI20135575L (fi) 2013-05-28 2014-11-29 Aalto Korkeakoulusäätiö Tekniikoita musiikkiesityksen parametrien analysoimiseksi
KR102161237B1 (ko) * 2013-11-25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운드 출력 방법 및 장치
CN104064180A (zh) * 2014-06-06 2014-09-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演唱评分方法及装置
DE102016209771A1 (de) * 2016-06-03 2017-12-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araoke-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araoke-Systems
JP6708537B2 (ja) * 2016-12-02 2020-06-10 株式会社第一興商 カラオケシステム
CN109427222A (zh) * 2017-08-29 2019-03-05 诺云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智能钢琴教学系统及方法
CN109920449B (zh) * 2019-03-18 2022-03-04 广州市百果园网络科技有限公司 节拍分析方法、音频处理方法及装置、设备、介质
CN110491358B (zh) * 2019-08-15 2023-06-2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进行音频录制的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7789A (en) * 1991-12-06 1994-02-22 Zimmerman Thomas G Music training apparatus
KR19990025605A (ko) * 1997-09-13 1999-04-06 전주범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
KR20000036702A (ko) * 2000-03-27 2000-07-05 채준석 노래 및 댄스 경연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10112729A (ko) * 2000-06-12 2001-12-21 윤재환 악보출력기능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 및 악보출력기능구현방법
KR20020062116A (ko) * 2001-01-17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0381682B1 (ko) * 2001-05-21 2003-04-26 주식회사 하모니칼라시스템 음정교정을 유도하는 노래반주 방법
US20040123726A1 (en) * 2002-12-24 2004-07-01 Casio Computer Co., Ltd.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nd a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06B1 (ko) * 2007-12-28 2014-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Ucc를 이용하는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방법 및 그 게임 서버
KR101333255B1 (ko) * 2013-06-14 2013-11-26 (주)엘리비젼 터치스크린 노래방 게임 시스템
WO2015152586A1 (ko) * 2014-04-03 2015-10-08 (주) 엠티콤 유사도판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869665A (zh) * 2016-05-25 2016-08-1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歌词的方法、装置及系统
CN105869665B (zh) * 2016-05-25 2019-03-01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歌词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920560A (zh) * 2017-03-31 2017-07-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歌曲演唱质量显示方法及装置
KR20190102434A (ko) * 2018-02-26 2019-09-04 김국현 노래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5387A1 (en) 2006-11-02
US20060246407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2633A (ko) 노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0949872B1 (ko) 악곡 연습 지원 장치, 악곡 연습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 악곡 연습 지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JP6060867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310204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10854B2 (ja) こぶし検出装置、こぶし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87512B2 (ja) カラオケ装置
JP5346114B1 (ja) 音楽表現力の教育装置及び方法並びに音楽演奏評価装置
JP2007140165A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用プログラム
JP5125958B2 (ja) 音域特定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609842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9180830A1 (ja) 歌唱評価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
JP6252420B2 (ja) 音声合成装置、及び音声合成システム
JP6954780B2 (ja) カラオケ装置
JP5125957B2 (ja) 音域特定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5618743B2 (ja) 歌唱音声評価装置
JP6365483B2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371156B2 (ja) カラオケ装置
JP5034642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7225916A (ja) オーサリング装置、オーサ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40258A (ja) 楽曲練習支援装置、動的時間整合モジュールおよびプログラム
JP5342841B2 (ja) 長音符の歌唱部分で歌声の倍音特性を測定して表示するカラオケ装置
JP201518444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評価方法
JP201518444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評価データ生成方法
JP5805474B2 (ja) 音声評価装置,音声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4459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