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457A -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 Google Patents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457A
KR20060112457A KR1020050034930A KR20050034930A KR20060112457A KR 20060112457 A KR20060112457 A KR 20060112457A KR 1020050034930 A KR1020050034930 A KR 1020050034930A KR 20050034930 A KR20050034930 A KR 20050034930A KR 20060112457 A KR20060112457 A KR 20060112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ing pin
molded article
core
produc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457A/ko
Publication of KR2006011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5For detach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서 훅(Hook)부 및 언더컷(Undercut)부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진 이젝팅핀(Ejecting Pin)을 포함하는 금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과; 상기 성형품의 양 측면 일부와 접촉되는 코어; 및 상기 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더컷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 및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의 동작에 의거, 사출금형이 하 코어 밖으로 추출되는 경우, 이젝팅부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 탄성력에 의거 자동적으로 사출금형이 분리 된다.
사출금형, 이젝팅, 슬라이드, 언더컷, 훅, 탄성력

Description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Molding structure comprising an Ejecting pin with Hook part }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사출 성형품을 만드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a/2b/2c는 종래의 사출성형 제작/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언더컷부 및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a/4b/4c는 본 발명의 사출성형 제작/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서 훅(Hook)부 및 언더컷(Undercut)부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진 이젝팅핀(Ejecting Pin)을 포함하는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금형(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더컷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되며, 또한 Hook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확장 탄력성을 가진 이젝팅핀을 이용하여 금형품의 추출 및 삽입이 용이한 언더컷 부 및 훅 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에 관 한 것이다.
이하 종래 및 관련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기술되고 있는 사출금형에서의 언더 컷이란,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빼낼 때 어려움이 있는 금형 또는 성형품의 요철부분으로, 금형 열림 방향에 수직인 성형품이나 상기 성형품과의 수직인 금형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사출 성형품을 만드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원통형 제품(14)으로부터 사람에 의해 이탈되는 Loose core 1,2 (15,16)와, 또한 언더컷부(18)와 접촉되며 Hook부(9)가 형성된 Loose core 3 (17) 및 상기 Loose core 3 (17)과 접촉되어 상기 제품을 위로 추출시키는 Ejecting Pin (1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 외에, 상 코어(12), 하 코어(13), 상기 상/하 코어를 분리하는 Parting Line (11), 상기 하 코어에 접촉된 받침판 (19), 상기 Ejecting pin (10)과 접촉된 상/하 밀판 (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통형 사출 성형품의 제작 과정을 설명한다.
원통형의 사출 성형품의 Hook부(9)를 만들기 위해 P/L(Parting Line) (11)을 기준으로, 하 Core (13)에 Loose core3 (17)을 Under Cut(18)이 있는 원형 형상 절반씩 가공하여 Hook부의 형상을 만들어 주어 제품(14)과 같이 추출 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출성형이 끝나고 제품을 Ejecting 할 때 E/Pin(Eject-pin) (10)에 의해서 Loose Core3 (17)을 밀어 주어, 떼어냄으로써 제품에 Under Cut 형상이 만들어 진다.
도 2a/2b/2c는 종래의 사출성형 제작/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a는 이젝팅 핀(20)을 위로 올려, Loose core (25,26,27)가 부착된 제품(24)이 하 코어(23) 밖으로 추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상기 Loose core (25,26,27)가 부착된 제품(24)이 하 코어(23) 밖으로 완전히 추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Loose core (25,26)가 분리된 제품(24)으로부터, 언더컷부(28)와 접촉된 Loose core (27)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Loose core 3-1 (27a) 및 Loose core 3-2 (27b)가 사용자에 의거 제품의 언더컷부(28)로 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 제작/조립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구조적으로 반원 형상 2개를 손으로 잡고 Loose core 자리에 수작업으로
밀어 넣기 때문에 제품 생산에 있어 생산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2) 성형시 제품(24)과 같이 Ejecting 되는 Loose Core(25,26)를 하코어(23)에 끼우고, 제품에서 떼어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로 사출 성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3) 제품에서 Loose Core3 (27)을 떼어내서, 하코어에 삽입할 때, 좁고 깊은 부위라서 작업자의 실수로 잘못 끼우거나 실수할 경우, 금형의 상(上) Core와 하(下) Core가 그대로 닫혀서 금형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4) 금형이 사출기에 달려 있는 상태는 현 그림의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매달 려 있으므로 Loose core3 (27)을 삽입할 때 육안으로 확인도 되지 않는다.
5) Under Cut 부위 (28)를 Loose Core (27)로 처리할 경우에는, L/Core를 손으로 직접 삽입할 수 있도록 공차를 주기 때문에 Flash(Burr)등과 같은 것이 생겨 제품을 성형하고, 2차 가공하여야 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본 발명은 Under-Cut 부위에 Loose Core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under cut부 및 Hook부가 형성된 새로운 Ejecting-Pin을 이용하여 제품의 일단에 접촉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품과 접촉되는 E/Pin의 일단은 확장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여, 제품이 하 코어 밖으로 추출되는 경우, 제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언더컷부 및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과; 상기 성형품의 양 측면 일부와 접촉되는 코어; 및 상기 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더컷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된 이젝팅핀;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젝팅핀에는 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터컷부에 대응되는 형상 및, Hook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의 일단은 확장 탄성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일단이 확장 탄성력을 가지는 이젝팅 핀은 복수개의 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이젝팅핀이 하 코어 및 슬라이딩 코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이젝팅핀의 확장 탄성력에 의거, 성형품이 이젝팅핀으로부터 분리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이젝팅핀이 위로 움직이는 경우, 성형품 측면에 구성된 코어는 슬라이딩 되어 상측으로 움직이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출금형구조의 제작/조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언더컷부 및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더컷부 (38)가 형성된 성형품 (34)과; 상기 성형품의 양 측면 일부와 접촉되는 슬라이드 코어 1,2 (35,36) 및 상기 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더컷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와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 (30)을 포함하여 동작된다.
상기에서 성형품인 원통형 제품(34)으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분리되는 Loose core 1,2 (35,36)와,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의 일단은 확장 탄성력 및 복수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젝팅핀이 하 코어 및 슬라이딩 코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이젝팅핀의 확장 탄성력에 의거, 성형품이 이젝팅핀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 상 코어(32), 하 코어(33), 상기 상/하 코어를 분리하는 Parting Line (31), 상기 하 코어에 접촉된 받침판 (39), 상기 Ejecting pin (30)과 접촉된 상/하 밀판 (4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통형 사출 성형품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Under Cut 부위(38)에 Loose Core를 사용하지 않고, Hook부 및 상기 언더컷에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된 새로운 E/Pin(30)을 이용한 것으로, 원통형의 제품 Under Cut에 대응되는 구조 및 Hook부를 E/Pin에 직접 가공한 다음, 작동을 하기 위해 밀판(Eject plate) (40)에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출금형의 동작은, 일반적인 E/Pin과 같이 동작하여 Slide core 1,2 (35,36)가 뒤로 밀려나면, E/Pin이 제품을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새로운 E/Pin의 일단은 복수 개의 탄성력를 가진면, 예를 들어 4등분 되어 탄력이 주어져 있어 4방향으로 균일하게 벌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로운 E/Pin은 추출 역할도 하면서 제품의 Under Cut 형상도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매번 사이클 타임마다 Loose core를 빼고 끼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수에 의해 금형이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Loose Core 3 (도 2의 27)을 사용해서 생기는 Flash(Burr)같은 것은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에 2차 가공하여야 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도 4a/4b/4c는 본 발명의 사출성형 제작/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금형의 P/L이 열리면,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방법인 각 양 쪽의 Slide Core 1,2 (45,46)가 뒤로 후퇴를 하면서 물러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이젝팅 핀(40)을 위로 올려, 즉 전진하여, 상기 제품(44)이 하 코어(43) 밖으로 추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이젝팅 핀(40)이 하 코어로 부터 이탈후에, 제품(44)이 이젝팅부(40)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이때 제품(44)의 Under Cut 부위를 지지하고 있는 새로운 E/Pin이 앞으로 전진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해, Under Cut 부위를 놓으면서 제품이 추출된다. 상기에서 이젝팅부의 일단은 확장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면(40a, 40b, 40c, 40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금형(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더컷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되며, 또한 Hook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확장 탄력성을 가진 이젝팅핀을 이용하여 금형품의 추출 및 삽입이 용이한 언더컷 부 및 훅 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에 관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금형이 하 코어 밖으로 추출되는 경우, 이젝팅부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 탄성력에 의거 자동적으로 사출금형이 분리 되므로써, 종래의 경우처럼 사용자가 매번 사이클 타임마다 Loose core (25,26,27)를 빼고 끼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수에 의해 금형이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Loose Core 을 사용해서 생기는 Flash(Burr)같은 것은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에 2차 가공하여야 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출금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과;
    상기 성형품의 양 측면 일부와 접촉되는 코어; 및
    상기 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더컷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된 이젝팅핀;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팅핀에는 성형품의 일단에 형성된 언터컷부에 대응되는 형상 및, Hook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 핀의 일단은 확장 탄성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일단이 확장 탄성력을 가지는 이젝팅 핀은 복수개의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이젝팅핀이 하 코어 및 슬라이딩 코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이젝팅핀의 확장 탄성력에 의거, 성형품이 이젝팅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이젝팅핀이 위로 움직이는 경우, 성형품 측면에 구성된 코어는 슬라이딩 되어 상측으로 움직이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구조.
KR1020050034930A 2005-04-27 2005-04-27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KR20060112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30A KR20060112457A (ko) 2005-04-27 2005-04-27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30A KR20060112457A (ko) 2005-04-27 2005-04-27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57A true KR20060112457A (ko) 2006-11-01

Family

ID=3762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930A KR20060112457A (ko) 2005-04-27 2005-04-27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4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34Y1 (ko) * 2012-09-04 2013-04-03 (주)우리텍 이젝터 핀을 은닉한 사출금형
KR20230166401A (ko) 2022-05-30 2023-12-07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워터 펌프용 베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34Y1 (ko) * 2012-09-04 2013-04-03 (주)우리텍 이젝터 핀을 은닉한 사출금형
KR20230166401A (ko) 2022-05-30 2023-12-07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워터 펌프용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2457A (ko) Hook부가 형성된 이젝팅핀을 포함하는 금형구조
US8425221B2 (en) Mold assembly having ejection mechanism
KR200411134Y1 (ko) 콘택트렌즈의 주형몰드 사출성형장치
KR20130001735U (ko)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용 이중 슬라이드 장치
US10265888B2 (e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
CN203293487U (zh) 软管塞注塑模具
KR101815605B1 (ko)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 및 금형에서의 버 제거방법
KR20100115239A (ko) 원형 케이스 둘레부의 요철부 형성을 위한 금형 취출부 구조
CN209520230U (zh) 一种冲筋模具支撑座
CN210174133U (zh) 精密接插件让位滑块强脱模具结构
CN211054269U (zh) 一种橡胶堵头成型用定模
CN107336410B (zh) 注塑模具
CN213321399U (zh) 一出二成型导光柱的注塑模具
KR100747791B1 (ko) 사출금형
CN206335810U (zh) 塑料托盘模具抽芯脱模装置
CN215703525U (zh) 一种带塞保护套的模具结构
CN219133110U (zh) 注塑模具以及注塑产品
CN205272508U (zh) 一种阅读灯支架模具
CN211363313U (zh) 脱内孔的脱模结构
CN209832446U (zh) 推板顶出机构及三板模具
CN211165080U (zh) 一种成型模具
CN210453391U (zh) 精密环形零件自动顶出脱离模具结构
CN218314848U (zh) 一种定子端子埋入成型模具
JP2005131828A (ja) 樹脂成形方法及び樹脂成形金型
CN216267344U (zh) 一种模内固定镶件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