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321A -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321A
KR20060112321A KR1020050034405A KR20050034405A KR20060112321A KR 20060112321 A KR20060112321 A KR 20060112321A KR 1020050034405 A KR1020050034405 A KR 1020050034405A KR 20050034405 A KR20050034405 A KR 20050034405A KR 20060112321 A KR20060112321 A KR 2006011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betaine
depression
phalange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심인섭
이태희
송동근
Original Assignee
심인섭
이태희
송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인섭, 이태희, 송동근 filed Critical 심인섭
Priority to KR102005003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2321A/ko
Publication of KR2006011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A44C9/0061Holding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 및 우울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제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기자 근피(根皮)인 지골피 (Lycii Radicis Cortex, LRC)와 그 주요 성분인 베타인 (Betaine, BT)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 예방 및 치료 활성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치료용 조성물 및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염증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냈으며, 스트레스 유발로 인한 불안 반응을 현저하게 억제하였으며 항스트레스 효과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기에 본 발명의 지골피와 그 주요 성분인 베타인이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로 사용할 수 있다.
지골피, 베타인, 사이토카인, 코티코스테론, 강제수영검사, 우울

Description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Effect of Lycii Radicis Cortex and Betaine for stress solu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표1은 지골피 (20, 50 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IL-6 농도변화를 나타내는 표
표2는 베타인 (10, 30, 100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IL-6 농도변화를 나타내는 표
표3은 지골피 (20, 50 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corticosterone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표
표4는 지골피 (100, 400 mg/kg) 투여 후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ming test)에 대한 부동 시간(immobility time)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
표5는 베타인 (10, 30, 100mg/kg) 투여 후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ming test)에 대한 부동 시간(immobility time)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
도1은 지골피 (20, 50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IL-6 농도변화
도2는 베타인 (10, 30, 100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IL-6 농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3은 지골피 (20, 50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corticosterone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4는 지골피 (100, 400 mg/kg)투여 후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ming test)에 대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5는 베타인 (10, 30, 100mg/kg) 투여 후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ming test)에 대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우리 인체가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 추위나 더위, 전기 쇼크등 물리적 스트레스 또는 감염이나 염증등 화학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생리적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해 정신 심리계, 면역계, 신경계 및 내분비계가 상호 작용을 한다.
인체는 감염이나 염증이 생기면 IL-1β, IL-6, TNF-α등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들이 분비 되는데 이 사이토카인들은 발열, 피로감, 통증에 대한 예민도 증가, 식욕감퇴등의 행동변화를 초래한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스트레스 반응의 중추인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HPA axis)을 활성화 하고 이로 인한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의 과다한 분비가 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기능을 조절하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HPA axis의 조직에서 IL-1β, TNF-α, IL-6가 발현이 되는 동일한 반응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균의 내독소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LPS)는 혈액내의 대식세포와 단핵구의 강력한 활성제로서 대식세포을 활성화 하여 IL-1β, IL-6, TNF-α, prostaglindin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촉진하고, 단핵 세포구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ic hormone:ACTH)의 분비를 유도하여 혈중 코티코스테론치를 상승시킨다. LPS는 감염이나 염증의 유해한 침해에 대하여 초기 대응하는 사이토카인인 IL-1, IL-6, TNF-α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고, 이 초기 사이토카인들은 염증반응에서 인체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매개물이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HPA축의 최종호르몬인 코티코스테론을 과분비시켜 정상적인 생리 조절을 파괴함으로써 뇌신경계, 면역계, 소화기계 등은 물론 심혈관계에 작용하여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혈중수치가 높은 코티졸은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서 면역기능을 억제한다. 코티졸이 상승하면 혈당과 인슐린대사 장애를 초래하여 당뇨병이 발생하기 쉽게 되고 콜레스트롤 상승과 혈소판 응집 증가등은 동맥경화증의 소인이 되며, 면역기능 억제는 감염성 질환이나 암 발병률을 높인다.
Porsolt의 강제 수영에 의한 우울증 동물모형에서 설치류가 강제수영에 노출되었을 때 탈출을 포기하고 희망의 상실과 기분의 저조로 인한 특징적인 부동상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를 행동적 절망 (behavioral despair) 혹은 무력감 (helplessness)으로 간주하여 우울증 상태의 증상을 대변하는 행동 변화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강제 수영에서의 부동상태는 항우울제 (antidepressant)의 일차적인 선별검사로 이용되고 있고, 다양한 항우울제의 대부분이 강제수영으로 유발되는 부동시간을 감소시켰다.
스트레스에 관한 한의학적 연구 논문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스트레스 하에 카테콜라민 (catecholamine)의 함량과 코티코스테론 (corticosterone) 함량을 지표로 하여 청뇌탕 (淸腦湯), 육울탕(六鬱湯), 귀비탕(歸脾湯), 인삼 등의 한약제와 천연물의 투여에 의한 항스트레스 효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천연물로부터 염증성 매개물과 염증 면역성 반응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구기자는 납엽 활목 관목으로 약용식물로 이용되고, 해열, 당뇨병, 신경마비, 간장기능 강화, 폐나 신장의 기능강화, 혈관 노화 방지, 시력회복, 어지럼증 등에 이용되고 폐나 신장의 기능강화에도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뇨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지방간의 저해작용을 하며, 중성지방의 침착을 억제하고, 체내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 strepto-zotocin 유발 고혈당 흰쥐에 대하여 구기엽, 구기자, 지골피의 항당뇨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한 결과 고혈당 쥐의 혈당치를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특히, 구기엽이 강하였으며 지골피의 수침엑스 투여군에서도 현저한 효과가 있었다. 혈청중 콜레스테롤이 저하되었으며 지방치 (triglyceride)가 유의성있게 저하됨을 보고하였다. 또한 혈당강하작용이 있고 동맥경화증의 예방 효과, 고혈압, 고지혈증 및 고혈당에 대한 강하 효과를 보고하였다.
구기자의 근피(根皮)인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 LRC)는 성미가 감(甘), 한(寒)으로 폐열(肺熱)·해천(咳喘)·혈열(血熱)의 열을 내리는 해기(解肌)작 용을 하고, 음기(陰氣)를 일으키고 보(補)하며, 혈압 및 혈당 강하 작용이 있다. 지골피의 수침액이 강장, 해열, 혈압강하, 혈당강하 및 항스트레스 궤양등의 목적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그 성분으로 베타인(Betaine: BT), 지방산(Fatty acid), 신나믹산(Cinnamic acid), 스테로이드(Steroid), 베타시토스테롤, 5α-stigmastan-3, 6-dione, 비타민 A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골피의 주요 성분인 베타인은 결정성 알카로이드로 아미노산의 한 종류로서 구기자의 주요성분인 콜린(Choline)이 산화되어 베타인 알데하이드 (Betaine Aldehyde)가 되고 이것이 산화되면서 인체내에 생리적 화학작용 촉진에 필요한 매틸기의 공급원인 베타인이 된다. 지골피에 약 2-5mg/g이 함유되어 있는 베타인은 약리학적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인은 동맥경화, 고혈압 예방, 특히 피로와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의 지병인 지방간과 간경화 등 간 기능과 시력을 보호는 물질이고, 혈관을 확장시키고, 장관 수축작용을 있으며,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인지질을 안정화시켜 세포막의 파열을 막는 작용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장기능과 근골강화 및 빈혈예방, 외적 스트레스, 수분, 염류, 온도, 상처등에 대한 저항력 증진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골피, 베타인의 우수한 약리작용에도 불구하고 다른 생약제에 비해 연구 및 실용화 과정이 아직 미흡한 상태로 앞으로 그 유효성분을 밝혀 실용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신경내분비계, 면역계, 심장혈관계등에 부담을 주어 각종 성인병의 발병이나 악화에 영향을 주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대해 구기자의 근피인 지골피의 혈압강하 및 혈당강하작용, 면역 증강 작용, 폐 및 신장기능 강화, 간기능 개선 효과등은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의 유해한 효과를 방어하는데 도 움을 줄 수 있고 지골피, 지골피의 주요성분인 베타인과 항스트레스와의 관련을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 스트레스에서 인체의 면역반응의 지표인 IL-6,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변화와 구속 스트레스로 인한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변화와 강제 수영 검사를 통한 전형적인 부동시간에 대한 지골피와 베타인의 항스트레스 효과와 항우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염증 스트레스로 인한 IL-6,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증가, 강제수영 검사를 통한 전형적인 부동상태 증가에 대하여 지골피와 베타인이 유의성 있는 억제를 나타내어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치료에 유용한 약제학적 제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염증으로 유발된 스트레스 모델과 강제수영에 의한 우울증 동물모형에서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 스트레스로 인한 IL-6,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감소 및 강제수영 검사에서 부동상태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골피와 베타인을 이용한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 100g에 1000ml의 증류수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 안 열수추출하고, 3번의 감압여과(Whatman No.2) 및 농축 후 동결 건조된 지골피를 이용한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골피와 베타인을 이용한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는 스트레스 모델에서 혈중 IL-6, 코티코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강제수영 검사에 의한 우울증 모형에서 쥐의 부동상태를 감소시키는 물질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약제학적 제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골피와 베타인을 이용한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동물실험을 하였다.
실험 1. 염증 스트레스(LPS ICV를 주입)에 대한 지골피와 베타인의 효과
1. 동물
실험동물은 명진 동물실험센터에서 분양받은 4-5주령 (체중 20-25g)의 ICR계 수컷 mice를 사용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게 하였고, 12시간을 주기로 밤과 낮의 구분이 되도록 조명을 조정하였으며 실내온도는 22±0.5℃를 유지하였으며 한 cage당 6마리의 생쥐를 사육하였다.
2. 실험군 및 약물 투여
2.1. 지골피 실험군
실험군은 정상군 (Normal), 대조군 (Control), 약물투여군 (Sample)으로 구 분하였고, 약물투여군은 다시 지골피 20 ㎎/kg투여군, 지골피 50㎎/kg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약물인 지골피는 0.9%의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정상군에는 0.9%의 생리식염수만 구강 투여하고, 아무런 처리도 가하지 않았으며, 대조군은 지골피 주입 1시간 전에 생리 식염수를, 약물투여군은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각 약물을 농도별로 구강투여 하고, 1시간 후 100ng 농도의 지골피을 5㎕씩 ICV 하였다.
2.2. 베타인 실험군
생쥐 6마리를 한 군 (Group)으로 하여 정상군 (Normal), 대조군 (Control), 약물투여군 (Sample)으로 구분하였고, 약물투여군은 다시 베타인 10 ㎎/kg투여군, 베타인 30㎎/kg투여군, 베타인 100 ㎎/kg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약물인 베타인 (Sigma Co. USA)는 0.9%의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정상군에는 0.9%의 생리식염수만 구강 투여하고, 아무런 처리도 가하지 않았으며, 대조군은 LPS 주입 1시간 전에 생리 식염수를, 약물투여군은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각 약물을 농도별로 구강투여 하고, 1시간 후 100ng 농도의 LPS를 5㎕씩 ICV 하였다.
3. 채혈
약물은 스트레스 유발 1시간 전에 경구투여 하고, 1시간 후에 LPS를 100ng의 농도로하여 ICV 하였다. ICV후 1시간 후에 retro-orbital venous plexus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4. 혈액 중 IL-6 측정
채혈한 혈액을 4℃에서 4,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다음 -83℃의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24시간 후 IL-6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하기 24시간 전에 capture antibody를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 녹여서 96 well plate에 100㎕씩 넣은 다음 plate를 paraffin film으로 봉한 후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24시간 후에 각 well을 wash buffer로 3회 세척한 다음 300㎕의 block buffer를 가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 다시 wash buffer로 3회 세척한다. 여기에 standard와 sample을 100㎕씩 각 well에 가한 다음 실온에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2시간 후 detection antibody를 reagent diluent에 희석하여 각 well에 100㎕씩 가한 후 실온에서 다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wash buffer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streptavidin-HRP를 역시 reagent diluent로 희석하여 각 well에 100㎕씩을 넣고 20분간 실온에 방치한다. 이를 다시 wash buffer로 3회 세척하고 substrate solution을 100㎕씩 가하고 20분간 방치하였다. 20분 후 각 well에 stop soltion을 50㎕씩 가하고 plate를 가볍게 두드려서 섞은 다음 optical density를 ELISA Reader로 측정하였다.
5. 혈액 중 코티코스테론 측정
채취한 혈액을 4℃ centrifuge에서 4,0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은 50㎕의 plasma를 test tube에 옮기고 5㎖의 Methylene Chloride를 가하고 cap으로 완전히 닫는다. tube를 살살 흔들어 혼합 시킨 후 10분간 실온에 방치한 다음 다른 tube에 옮긴다. Fluroescent reagent 2.5㎖을 넣고 vortexing하여 섞는다. 30분 후 2,000rpm으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하층액을 취하여 exitation:475nm, emission:530nm 파장의 Spectroflorometer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농도별로 작성된 표준 곡선과 비교하여 정량하였으며 fluorescence reagent는 sulfuric acid와 ethanol을 7 : 3의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였다.
6. 통계처리
성적은 Graphpad Prism(USA)을 이용하여 Student's t-test으로 검정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상기의 실험과정에 의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골피 (20, 50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IL-6 농도 변화
LPS ICV 를 가하기 1시간 전 지골피를 각각 20mg/kg. 50mg/kg씩 경구투여 하였다. LPS ICV를 가하기 전 생쥐의 혈중 IL-6 농도는 21.86±75.64ug/dl이었고, 생리 식염수를 경구투여한 대조군은 75.64±12.93ug/dl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1). 약물 처치군은 지골피 20 투여군이 40.25±5.03ug/dl로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지골피 50 투여군은 72.17±16.28ug/dl로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도1 참조).
2. 베타인 (10mg/kg, 30mg/kg, 100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IL-6 농도 변화
LPS ICV 를 가하기 1시간 전 베타인을 각각 10mg/kg. 30mg/kg, 100mg/kg씩 경구투여 하였다. LPS ICV를 가하기 전 생쥐의 혈중 IL-6 농도는 115.4±9.254ug/dl이었고,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한 대조군은 1802±180.4ug/dl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1). 약물 처치군은 베타인 10 투여군이 1958±142.2ug/dl로 대조군에 비해서 약간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증가는 아니었고, 베타인 30 투여군은 1648±115.2ug/dl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베타인 100 투여군은 IL-6의 농도가 1977±106.3ug/dl로 역시 대조군에 비해 약간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도2 참조).
3. 지골피 (20, 50 mg/kg) 투여 후 LPS ICV를 가한 생쥐의 코티코스테론 농도 변화
LPS ICV를 가하기 90분 전에 지골피를 10mg/kg, 30mg/kg로 각각 경구투여 하였다. LPS ICV를 가하기 전 생쥐의 혈중 corticosterone의 농도는 18.33±3.07ug/dl, 생리 식염수 투여후 LPS ICV를 주입한 대조군의 농도는 54.08±5.17ug/dl로 현저하게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001), 약물 처치군은 지골피 20 투여군이 39.08±4.31ug/dl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지골피 50 투여군은 38.73±1.78ug/dl로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도3 참조).
실험 2. 강제수영 검사(Forced swimming test)에 대한 지골피와 베타인의 효과
1. 동물
체중 230-250g의 웅성 Spraque-Dawley계 흰 쥐(샘타코, 한국)를 고형사료(삼양사, 서울)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실험실 환경에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동물은 온도 20-25℃, 습도 30-35%, 밤낮의 주기가 12:12 시간으로 조절된 사육실에서 적응시킨 후 사용 하였고 환기횟수는 11-12회/hr, 조명은 12hr/day를 유지하였다. 동물은 각 cage당 3-4마리씩 두었으며, 물과 사료를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2. 실험군 및 약물 투여
2.1. 지골피 실험군
실험동물을 대조군(Control), 약물투여군(Sample)으로 구분하였고, 약물투여군은 다시 지골피 20 ㎎/kg투여군, 지골피 50㎎/kg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약물인 지골피는 0.9%의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약물투여군은 시행 1일째 15분간 강제 수영시켜 절망상태에 빠지게 한 후 생리식염수에 각 농도별로 용해하여 Kg당 2ml의 용량을 복강(IP) 투여하였고, 다음날 시행 24시간, 5시간, 1시간전에 각 약물이 투여되었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이 복강(IP) 투여하였다.
2.2. 베타인 실험군
실험동물을 대조군(Control), 약물투여군(Sample)으로 구분하였고, 약물투여군은 다시 베타인 10㎎/kg투여군, 베타인 30㎎/kg투여군, 베타인 100㎎/kg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약물인 베타인은 0.9%의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약물투여군은 시행 1일째 15분간 강제 수영시켜 절망상태에 빠지게 한 후 생리식염수에 각 농도별로 용해하여 Kg당 2ml의 용량을 복강(IP) 투여하였고, 다음날 시행 24시간, 5시간, 1시간전에 각 약물이 투여되었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이 복강(IP) 투여하였다.
3. 강제수영 검사 방법
이 검사는 Porsolt et al.가 서술한 방법을 근거로 하였다. 높이 40cm 직경 20 cm되는 수조에 온도 25°C의 물을 20 cm가 되게 하였다. 시행 1일째 쥐를 각각 한 마리씩 수조에 넣고 15분간 강제 수영시켜 절망상태에 빠지게 한 후 대조군(Control)은 생리식염수를, 실험군은 각 약물을 Kg당 2ml의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복강(IP)투여하였다. 약물 투여는 다음날 강제수영검사 시행 24시간, 5시간, 1시간전에 투여되었다(Detke et al.) 시행 2일째 다시 수조에 빠뜨려 5분동안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의 행동적 차이를 관찰하여 전형적인 부동상태(Immobility)를 조사하였다.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은 쥐가 물위로 머리만 유지한 채 물위에 떠 있기 위한 최소한의 움직임의 상태의 시간을 stopwat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통계 처리
모든 측정값은 평균값±표준오차(mean±S.E.M)로 표시하였고, 각 실험군간의 통계학적 분석은 Window용 SPSS를 이용하였다. 각 군간 측정치의 비교는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사후검증은 Tukey?s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전체 실험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신뢰구간 p<0.05 에서 의미를 부여하였다.
상기의 실험과정에 의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골피 (100, 400mg/kg) 투여 후 강제수영 검사에 대한 부동시간 (immobility time)의 변화
지골피를 투여한 실험에서 5분 동안 측정된 부동상태는 대조군이 112.7±8.25초, 지골피 100 투여군은 73.70±8.41초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지골피 400 투여군은 101.00±1.00초로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표4, 도면 5 참조).
2. 베타인 (10, 30, 100mg/kg) 투여 후 강제수영 검사에 대한 부동 시간(immobility time)의 변화
베타인을 투여한 실험에서 5분 동안 측정된 부동상태는 대조군이 121.7±7.47초, 베타인 10 투여군은 89.6±16.2초로 대조군 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베타인 30 투여군은 82.3±9.03초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베타인 100 투여군 78.8±3.76초로 역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P<0.01)(표5, 도면 6 참조).
이상의 실험결과로서 생쥐는 염증 스트레스로 인한 IL-6, TNF-α,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증가, 구속 스트레스로 인한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증가, 강제수영 검사를 통한 전형적인 부동상태 증가에 대하여 지골피와 그 주요 성분인 베타인이 유의성 있는 항스트레스와 항우울 억제 효과를 보였주었다. 따라서 지골피와 베타인이 효과적인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실시예들에서는 실험용 동물을 쥐와 마우스로 하였으나, 다른 동물, 예를 들면 개나 원숭이 등일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제제화 방법으로 추출물 제조와 화합물을 언급하였으나, 통상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주사제, 액제, 시럽제, 정제, 캡슐제, 약침액 등으로 제제화하여 스트레스억제/우울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는 임상적으로 투여시 경구, 복강, 피하 투여의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골피와 베타인을 이용한 약제학적 제재의 투여용량은 개인의 연령, 증상, 투여제형 또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수 있다. 특정한 상태에서 바람직한 투여량을 결정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스트레스 해소와 우울증 치료에 효과를 갖는 지골피와 그 주요 성분인 베타인에 관한 것으로서, 염증 스트레스에서 인체의 면역반응의 지표로 볼 수 있는 IL-6, TNF-α 그리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증가, 구속 스트레스에서 코티코스테론의 농도 증가를 조절할 수 있는 지골피와 베타인을 이용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를 제공한다.
또한 강제 수영 검사에서 우울증 상태를 대변하는 부동시간의 증가를 조절할 수 있는 지골피와 베타인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를 제공한다.

Claims (5)

  1. 지골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주요성분인 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치료 및/또는 예방적 유효량 이상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 치료 및/또는 해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염증 및 구속 스트레스로 인한 IL-6, TNF-α의 농도 증가와 corticosterone의 농도 증가를 억제시키고, 강제수영에 의한 부동시간을 증가시키는 특징을 갖는 지골피와 베타인을 이용한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제재.
  3.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성인 체중 1Kg 당 0.1 ~ 1g/일 범위로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로써 정제, 산제, 경질 또는 연질의 캅셀제, 현탁제, 주사용 제제, 유화액, 좌제,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 형 인 것임을 특징으로 제제
  4. 제 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품, 약품첨가제, 음료, 음료 첨가제 또는 식품, 식품 첨가제 또는 화장품, 화장품 첨가제의 형태로서 제제 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우울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 항, 3항 내지 제 4 항에 의해 제조된 지골피 및 그 구성성분이 함유된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우울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034405A 2005-04-26 2005-04-26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KR20060112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05A KR20060112321A (ko) 2005-04-26 2005-04-26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05A KR20060112321A (ko) 2005-04-26 2005-04-26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321A true KR20060112321A (ko) 2006-11-01

Family

ID=3762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405A KR20060112321A (ko) 2005-04-26 2005-04-26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2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348A (ko) 2019-02-21 2020-08-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348A (ko) 2019-02-21 2020-08-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096981B2 (en) 2019-02-21 2021-08-24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atrophy comprising lycii radicis corte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796B2 (en)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ollen allergy,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sthma or urticaria, or health food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r reduction of symptoms thereof
EP100706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arthenium integrifolium or parts thereof or an extract or component thereof, the use of such plant material for preparing certain medicines, and a method of preparing an extract of parthenium integrifolium
US10183040B2 (en) Method for regulation of lipid metabolism
US20130040006A1 (en)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PP.,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of the Same
JPH1072357A (ja) 抗アレルギー剤
KR10048353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413013B2 (ja) 一種の抗リュウマチ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76234B (zh) 藥學組合物及其於治療肌少症之用途
Jang et al. The Combination of Ephedrae herba and Coicis semen in Gambihwan Attenuates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Hale et al. Effects of rotational stress of different duration on NK cell activity,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POMC-derived peptides in mice
US20140363526A1 (en) Synergistic formulation of plant extracts for hepatic and adrenal disorders
KR20060112321A (ko) 스트레스 해소 및 우울증 치료용 지골피와 베타인 제재
Nansy et al. Total flavonoid content and in vivo hypotensive effect of chloroform insoluble fraction of Centella asiatica leaf extract.
WO2004035074A1 (en) Composition for lowering blood glucose level comprising extract of natural product
KR20050079256A (ko)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23896B1 (ko)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당전이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770087B (zh) 一种治疗糖尿病、高脂血症、原发性高血粘度的蒙药组合物
CN114903941B (zh) 陈皮醇提物及其在治疗嗜酸性粒细胞食管炎中的应用
JP2003252786A (ja) 抗アレルギー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抗アレルギー剤及び健康食品
Shi et al. Pharmacokinetics and anti-ulcerogenic effects of Zuojin gastric floating bio-adhesive pellets in rats with acetic acid-induced gastric ulcer
RU2189243C1 (ru) Композиции &#34;гинрозин&#34;, обладающие общеукрепляющим и адаптогенным действием
US20220304956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infections with palmitoylethanolamide
CN108938656A (zh) 治疗胃肠功能紊乱或肠易激综合症的芍药苷组合物及其应用
WO2024100574A1 (en) A herbal composition for management of sexual dysfunction
KR102226052B1 (ko) 항스트레스, 항우울 및 항불안 효과를 갖는, 테아닌과 벌화분 배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