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193A - 휴대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193A
KR20060112193A KR1020057013202A KR20057013202A KR20060112193A KR 20060112193 A KR20060112193 A KR 20060112193A KR 1020057013202 A KR1020057013202 A KR 1020057013202A KR 20057013202 A KR20057013202 A KR 20057013202A KR 20060112193 A KR20060112193 A KR 2006011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antenna
opposing
connection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282B1 (ko
Inventor
유이치로 사이토
히데아키 쇼지
요시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6011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전화기의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여, SAR을 저감하면서 통화시 안테나의 이득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안테나(26)(전기장 λ/4)와, 안테나(26)에 접속하는 회로 기판인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전기장 λ/4)와,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마주하는 회로 기판인 대향 도전성 부재(42)와,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에 있어서의 안테나(26)와는 반대측에 있는 단부(222)와, 단부(22)와 마주하는 대향 도전성 부재(42)(전기장 λ/4)에 있어서의 대향 단부(42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부(24)를 구비하였다.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와는 반대측의 이득은 커지고, LCD측 케이스(4) 측은, 전류가 서로 지워 작아지므로, 이득이 작아진다.
휴대 통신 단말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 대향 도전성 부재, 접속부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국소(局所)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의 저감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있다. 통화시에는, 휴대 전화기의 안테나로부터 전자파가 방사된다. 방사된 전자파의 일부는, 휴대 전화기의 이용자에게 흡수되어 버린다.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자파의 인체로의 흡수량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인체의 특정 부분에 가해진 전자파 에너지의 흡수율인 SAR이 있다. 따라서, SAR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AR을 저감하기 위해,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저감하면, 통화시의 안테나의 이득(利得)이 낮아져, 통화에 지장이 생긴다.
그래서,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여, SAR을 저감하면서 통화시의 안테나의 이득을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여, 안테나 사이의 간섭의 억제를 도모하는 것(일본국 특허청 발행의 일본국 특개 2003-163521호 공보 참조), 케이스의 안테나로의 영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일본 국 특허청 발행의 일본국 특개평 9(1997)-270728호 공보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여, SAR을 저감하면서 통화시의 안테나의 이득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실현하는 것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여, SAR을 저감하면서 통화시의 안테나의 이득을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 발명은,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접속되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와,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와 마주하는 대향 도전성 부재와,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안테나와는 반대측에 있는 단부(端部)와, 상기 단부 근방과 마주하는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대향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는,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의 접지 전위부와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의 접지 전위부를 접속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로부터 볼 때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와는 반대측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가지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전기적 접속 수단은,
(1) 통신을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와의 접속을 행하지 않고,
(2) 통신 중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와의 접속을 행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는,
(1) 통신을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와의 접속을 행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의 근방에 있는 단부 근방부와,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 근방부와 마주하는 대향 단부 근방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2) 통신 중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와의 접속을 행하고, 상기 단부 근방부와 상기 대향 단부 근방부와의 접속은 행하지 않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6 발명은, 제1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 및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의 전기장(電氣長)의 합계가,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 파장의 2분의 1인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7 발명은, 제1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 및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의 전기장이,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 파장의 4분의1인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8 발명은, 제1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에는, 주파수 조정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9 발명은, 제8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주파수 조정 부재는, 저항, 컨덴서,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 부품으로 구성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제10 발명은, 전파 방사 수단과, 상기 전파 방사 수단에 접속되는 전파 방사 접속 도전 수단과, 상기 전파 방사 접속 도전 수단과 마주하는 대향 도전 수단과, 상기 전파 방사 접속 도전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전파 방사 수단과는 반대측에 있는 단부 근방과, 상기 단부 근방과 마주하는 상기 대향 도전 수단에 있어서의 대향 단부 근방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의 예의 평면도(도 1 (A)), 정면도(도 1 (B))이다.
도 2는 LCD측 케이스를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의 휴대 전화기의 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예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전류 분포의 예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방향을 정의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전기적 접속부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의 안테나 특성의 예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테나 특성의 예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예의 단면도이며 대기시(접속하지 않음)(도 8 (A)), 통화시(접속함)(도 8 (B))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예의 단면도이며 통화시(한쪽을 접속함)(도 9 (A)), 대기시(양쪽을 접속함)(도 9 (B))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의 예의 정면도(도 10 (A)), 측면 단면도(도 10 (B))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의 예의 평면도(도 11 (A)), 정면도(도 11 (B)), 정면 단면도(도 11 (C))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예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파수 조정 부재의 접속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파수 조정 부재 없음(도 14 (A))과 주파수 조정 부재 있어(도 14 (B))의 특성을 비교한 주파수 특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예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파수 조정 부재의 접속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불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1)의 평면도(도 1 (A)), 정면도(도 1 (B))이다.
휴대 전화기(1)는, 키측 케이스(2), LCD측 케이스(4), 힌지(6)를 구비한다. 키측 케이스(2)와 LCD측 케이스(4)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고 있고, 힌지(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힌지(6)는, 키측 케이스(2)와 LCD측 케이스(4) 사이의 약간의 간격에, 키측 케이스(2)와 LCD측 케이스(4)와의 끝쪽에 배치되어 있다. LCD측 케이스(4)는, 힌지(6)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 회전의 축의 방향은, LCD측 케이스(4)와 서로 마주하는 키측 케이스(2)의 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LCD측 케이스(4)는, 키측 케이스(2)와 마주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 상에 리시버(음성 출력 수단)(4a), 마이크(4b), LCD(4c)를 가진다. 리시버(음성 출력 수단)(4a)는, 음성을 출력한다. 주로, 휴대 전화기(1)의 이용자가 통화 상대의 음성을 알아 듣기 위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1)의 이용자는, 리시버(4a)에 귀를 대어, 통화 상대의 음성을 들을 수가 있다. 마이크(4b)는, 휴대 전화기(1)의 이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LCD(4c)는, 메시지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도 2는, LCD측 케이스(4)를 힌지(6)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의 휴대 전화기(1)의 평면도이다. LCD측 케이스(4)를 힌지(6)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키측 케이스(2)에 설치된 키(2a)(숫자 패드 등)가 보이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를 행해도 상관없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를 기다리고, 또한 통화를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통화를 기다리고, 또한 통화를 행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1)의 정면 단면도이다.
키측 케이스(2)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 전기적 접속부(24), 안테나(26), 배터리(28)를 수용하고 있다.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는, 다양한 전기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이다.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에는, 전파 방사 수단인 안테나(2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가 통신(통화)에 사용하는 전파 파장을 λ라고 하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전기장, 즉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안테나(26)가 접속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후술하는 단부(222)까지의 전기장은 λ/4이다.
전기적 접속부(24)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 근방의 접지 전위부를, 접속용 패턴(44)을 통하여,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 근방의 접지 전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이 전기적 접속부(24)로서는, 전기적 접속에 통상 사용되는 각종 부재가 사용 가능하지만, 코일 스프링, 가스켓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단부(222)는, 안테나와는 반대측에 있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이다. 또,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의 배선 수단(61)에 의해, 양 기판 사이의 회로를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배 선 수단(61)을 사용하여, 양 기판의 접지 전위부 대하여도 접속하고 있다.
안테나(26)는, 통화를 행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안테나(26)의 전기장은 λ/4이다. 그리고, 안테나(26)의 급전점은 안테나(26) 근방에 있다.
배터리(28)는, 휴대 전화기(1)의 전원이다.
LCD측 케이스(4)는, 대향 도전성 부재(42)를 수용한다.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다양한 전기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이다.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로 마주보고 있다.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전기장, 즉 대향 단부(422)와는 반대측에 있는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구석으로부터 대향 단부(422)까지의 전기장은 λ/4이다.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와 서로 마주하고 있다. 대향 단부(422)에는, 접속용 패턴(44)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용 패턴(44)은, 힌지(6)를 관통하고, 전기적 접속부(24)에 접속되어 있다. 또, 대향 단부(422)와는 반대측에 있는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끝쪽 근방에는 리시버(4a)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를 사용하여 통화를 행할 때, 안테나(26)에 전력이 부여된다. 안테나(26)의 급전점은 안테나(26) 근방에 있다. 또한, 안테나(26) 및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전기장은 λ/4이다. 따라서, 안테나(26) 및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에 있어서의 전류 분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 파장 다이폴 안테나(중앙 급전형)와 같은 것이 된다. 즉, 안테나(26)의 부근(전기장 λ/4)에서 는 전류가 최대로 된다. 따라서,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와는 반대측(후방측)의 이득은 커진다. 또, 전기적 접속부(24)의 부근(전기장 λ/2)에서는 전류가 최소로 된다. 또한,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전기장은 λ/4이다. 따라서, 리시버(4a)의 부근(전기장 3λ/4)의 전류는, 안테나(26)의 부근(전기장 λ/4)의 전류와 대략 같은 크기이지만 부호가 반전한다. 따라서,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 측(전면측 즉 앞면측)은, 전류가 서로 지워 작아지므로, 이득이 작아진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을 정의한다. 도 6은, 전기적 접속부(24)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면측도 후방측도 마찬가지로 전파가 방사되고 있다. 앞면측에는 리시버(4a)가 있어, 리시버(4a)에는 이용자의 귀를 댈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후방측과 같은 정도의 전파에 노출되게 된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면측에 방사되는 전파는, 후방측에 방사되는 전파보다 적다. 따라서, 이용자는 후방측보다 적은 전파에 노출되게 된다. 이것은, SAR의 저감으로 연결된다. 또한, 후방측에 방사되는 전파는, 도 6의 경우와 대략 같다. 따라서, 통화시의 안테나의 이득은 그다지 저감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의 측(앞면측)은, 전류가 서로 지워 작아지므로, 이득이 작아진다. 따라서, SAR의 저감으로 연결된다. 또한,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와는 반대측(후방측)의 이득은 커진다. 따라서, 통화시의 안테나의 이득은 그다지 저감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전기적 접속부(24)의 접속 상태를, 대기시(접속하지 않음)와 통화시(접속함)로 전환하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제2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1)의 외관은 도 1, 도 2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1)의 단면도이며, 대기시(접속하지 않음)(도 8 (A)), 통화시(접속함)(도 8 (B))를 나타낸다.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통화)을 기다리는 대기시에 있어서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전기적 접속부(24)를 통하여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시에 있어서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전기적 접속부(24)에 의해 접속된다. 단, 배선 수단(도 8에서는 생략)을 통하여, 2개의 도전성 부재(22, 42) 간은 항상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에 의해 통신(통화)을 기다리고 있는 경우는(도 8 (A) 참조), 안테나(26)의 급전점은 안테나(26) 근방에 있다. 또한, 안테나(26) 및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전기장은 λ/4이다. 따라서, 안테나(26) 및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에 있어서의 전류 분포는 1/2 파장 다이폴 안테나(중앙 급전형)와 같 은 것이 된다. 즉, 안테나(26)의 부근(전기장 λ/4에서는 전류가 최대로 된다. 따라서,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와는 반대측(후방측)의 이득은 커진다. 또, 전기적 접속부(24)의 부근(전기장 λ/2)에서는 최소로 된다.
여기서,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가 용량 결합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 부근에서는 전류가 최소로 되고, 리시버(4a)의 부근에서는 전류가 최대로 된다. 따라서,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의 측(앞면측)도, 이득이 커진다.
따라서, 통신(통화)의 대기시는, 앞면측도 후방측도 대략 마찬가지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파가 앞면측으로부터 와도(보내져도), 후방측으로부터 와도(보내져도), 수신(송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통신(통화)의 대기에 적합하다.
한편, 휴대 전화기(1)를 사용하여 통화를 행할 때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도 8에 있어서 L1(키측 케이스(2)의 전체 길이)= 105mm, L2(전기적 접속부(24)의 키측 케이스(2)의 단면(안테나(26)와는 반대측)으로부터의 거리)= 45mm로 하고, 통신(통화)에는 800MHz대의 전파를 사용한 것으로 한다. 이 때, 안테나 특성은 하기와 같이 된다.
[표 1]
앞면측 후방측 통화시
전기적 접속부(24) 없음 - 5 dBi - 5 dBi - 15 dBi
전기적 접속부(24) 있음 - 8 dBi - 5 dBi - 12 dBi
상기의 표에 의하면, 전기적 접속부(24)가 없는 경우(도 8 (A) 참조)에는, 앞면측도 후방측도 대략 마찬가지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어, 통신(통화)의 대기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전기적 접속부(24)가 있는 경우(도 8 (B) 참조)에는, 통화시의 안테나 특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어, 통화시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통화)의 대기시에는, 전기적 접속부(24)가 없고,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앞면측도 후방측도 대략 마찬가지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통신(통화)의 대기시에 적합하다. 그리고, 통화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전기적 접속부(24)의 접속, 비접속은, 대기시와 통화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했지만, 2개의 케이스(2, 4)의 개폐(도 1, 도 2 사이의 변화)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전기적 접속부(24) 대신에 전기적 접속부(24a, 24b)를 설치하고, 이들의 접속 상태를, 대기시(양쪽을 접속함)와 통화시(한쪽을 접속함)로 전환하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제3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1)의 외관은 도 1, 2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1)의 단면도이며, 통화시(한쪽을 접속함)(도 9 (A)), 대기시(양쪽을 접속함)(도 9 (B))를 나타낸다.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와 서로 마주하고 있다. 대향 단부(422)에는, 접속용 패턴(44a)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용 패턴(44a)는, 힌지(6)를 관통하고, 전기적 접속부(24a)에 접속되어 있다. 전기적 접속부(24a)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를, 접속용 패턴(44a)을 통하여,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 근방부(424)는,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 근방에 있다.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 근방부(224)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 근방에 있다. 대향 단부 근방부(424)는, 단부 근방부(224)와 서로 마주하고 있다. 전기적 접속부(24b)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 근방부(224)를, 접속용 패턴(44b)을 통하여,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 근방부(424)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도 9 (B) 참조).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배선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2개의 도전성 부재(22, 42) 사이를 항상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시에 있어서는, 단부 근방부(224)와 대향 단부 근방부(424)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단부(222)와 대향 단부(422)가, 전기적 접속부(24a)에 의해 접속된다. 한편, 도 9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통화)을 기다리는 대기시에 있어서는, 단부 근방부(224)와 대향 단부 근방부(424)는 전기적 접속부(24b)에 의해 접속된다. 단부(222)와 대향 단부(422)는, 전기적 접속부(24a)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그 외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에 의해 통신(통화)을 기다리고 있는 경우는(도 9 (B) 참조), 안테나(26)의 급전점은 안테나(26) 근방에 있다. 또한, 안테나(26) 및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전기장은 λ/4이다. 따라서, 안테나(26) 및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에 있어서의 전류 분포는 1/2 파장 다이폴 안테나(중앙 급전형)와 같은 것이 된다. 즉, 안테나(26)의 부근(전기장 λ/4)에서는 전류가 최대로 된다. 따라서,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와는 반대측(후방측)의 이득은 커진다. 또, 전기적 접속부(24)의 부근(전기장 λ/2)에서는 전류가 최소로 된다.
여기서, 단부 근방부(224)와 대향 단부 근방부(424)는 전기적 접속부(24b)에 의해 접속된다. 단부(222)와 대향 단부(422)는, 전기적 접속부(24a)에 의해 접속된다. 따라서,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는 서로 가까운 2부분에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가 용량 결합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 부근에서는 전류가 최소로 되고, 리시버(4a)의 부근에서는 전류가 최대로 된다. 따라서, 안테나(26)로부터 볼 때 LCD측 케이스(4) 측(앞면측)도, 이득이 커진다.
따라서, 통신(통화)의 대기시는, 앞면측도 후방측도 대략 마찬가지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파가 앞면측으로부터 와도(보내져도), 후방측으로부터 와도(보내져도), 수신(송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통신(통화)의 대기에 적합하다.
한편, 휴대 전화기(1)를 사용하여 통화를 행할 때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의 외관을 변경하고, 이른바 스틱형(단일 케이스 타입)으로 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1)의 정면도(도 10 (A)), 측면 단면도(도 10 (B))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는, 케이스(3)를 구비한다. 도 10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의 표면에는, 리시버(4a), 마이크(4b), LCD(4c), 키(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0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의 표면 측에 대향 도전성 부재(42)가, 케이스(3)의 배면 측에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가 배치되어 있다.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에는 급전점(29)을 통하여 안테나(27)가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27)의 전기장은 λ/4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배선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2개의 도전성 부재(22, 42) 사이를 항상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 그 외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예의 동작은, 제1 실시예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에 패킷 통신용의 기판(82, 84)을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1)의 평면도(도 11 (A)), 정면도(도 11 (B)), 정면 단면도(도 11 (C))이다. 그리고, 정면 단면도(도 11 (C))에 있어서는, 전기적 접속부(24) 및 접속용 패턴(44)을 도시하지 않고 있다.
기판(82, 84)은, 마주보고 있고, 그 방향은,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기판(82, 84)은, 패킷 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기판(82) 또는 기판(84)은,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 기판(82)과 기판(84)은 접속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배선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2개의 도전성 부재(22, 42) 사이를 항상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 그 외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5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판(82, 84)은 패킷 통신에 사용된다. 이 때,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 (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판(82) 측으로부터 방사되는 패킷 통신용의 전파의 강도 E와, 기판(84) 측으로부터 방사되는 패킷 통신용의 전파의 강도 E는, 대략 동일하다(도 11 (A) 참조).
따라서, 패킷 통신에 대하여는, 기판(82) 측도 기판(84) 측도 대략 마찬가지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파가 어느 측으로부터 와도(보내져도), 수신(송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패킷 통신에 적합하다.
그리고, 통화시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키측 케이스(2), LCD측 케이스(4), 힌지(6)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1)에 있어서의, 키측 케이스(2) 측의 도전성 부재(22)와, LCD측 케이스(4) 측의 대향 도전성 부재(42)와의 전기적 접속 구성을, 상이한 접속 상태로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키측 케이스(2)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 전기적 접속부(24), 안테나(26), 배터리(28)를 수용하고 있다.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는, 다양한 전기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이다.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에는, 안테나(2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가 통신(통화)에 사용하는 전파 파장을 λ라 하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전기장, 즉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안테나(26)가 접속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단부(222)까지의 전기장은 λ/4이다.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 근방은, 전기적 접속부(24)와 접속용 패턴(44)을 통하여,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 근방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는, 전기적 접속부(24)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의 접지 전위부에 배치한 접속 기판(도전 부재)(25b)에, 칩 부품 등으로 구성되는 주파수 조정 부재(91)의 일단을 접속하고, 그 주파수 조정 부재(91)의 타단을, 접속 기판(도전 부재)(25a)에 접속한다. 그리고, 접속 기판(25a)을 전기적 접속부(24)에 접속하고, 전기적 접속부(24)로부터 접속용 패턴(44)에 접속(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전기적 접속부(24)로서는, 제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에 통상 사용되는 각종 부재가 사용 가능하지만, 코일 스프링, 가스켓 등을 사용해도 된다.
주파수 조정 부재(91)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컨덴서, 저항기 등의 칩 부품, 또는 이들 칩 부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한 회로로 구성된다. 단, 어느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본 예에서는 비교적 값이 작은 부품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저항값이 대략 OΩ의 저항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용량값이 10PF의 컨덴서를 사용한다.
구체적인 예를 도 13에 나타내면, 예를 들면, 도 1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 사이의, 접속용 패턴(44)의 도중에, 코일(91a)이 접속되도록 한다.
또는, 도 1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 사이의, 접속용 패턴(44)의 도중에, 컨덴서(91b)가 접속되도록 한다.
또는, 도 1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 사이의, 접속용 패턴(44)의 도중에, 저항기(91c)가 접속되도록 한다.
또는, 도 13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 사이의, 접속용 패턴(44)의 도중에, 코일(91d)와 컨덴서(91e)의 병렬 회로가 접속되도록 한다.
또는, 도 13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 사이의, 접속용 패턴(44)의 도중에, 코일(91f)와 컨덴서(91g)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도록 한다.
또는, 도 13에 나타낸 회로 이외의 1개 또는 복수개의 칩 부품의 접속 구성이라도 된다. 또, 칩 부품 이외의 소자 등의 주파수 조정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그 외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6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이미 설명한, 도 7에 나타낸 원하는 안테나 특성(SAR이 저감될 수 있는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 fw를, 시프트 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접속용 패턴(44)에 의해 양 기판(22, 42) 사이를 접속한 경우에는, 원하는 전후비(F/B)를 얻 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 fw가, 도 14 (A)에 나타낸 상태인 것으로 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서, 주파수 조정 부재(91)를 접속용 패턴(44)에 접속함으로써, 원하는 전후비(F/B)를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 fw'가, 도 1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한다. 이 시프트하는 주파수는, 주파수 조정 부재(91)를 구성하는 부품의 특성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 휴대 전화기(휴대 통신 단말기)(1)가 실제로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맞추는 조정을 행함으로써, 제1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양호한 특성으로 할 수 있다. 또, 2개의 케이스를 접속하는 위치가 힌지(6)의 형상 등에 한정된 위치이고, 그 위치에서 직접 접속 한 경우의 주파수 특성의 설정 상태가 한정된 경우에, 주파수 특성을 미조정할 수 있어 케이스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화시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는, 제6 실시예에서 설명한 주파수 조정 부재(91)를, 전기적 접속부(24)를 통하여 접속용 패턴(44)에 접속하는 경우에, 또한 접속용 패턴(44) 등에서의 전기적 접속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92)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의 단부(222) 근방은, 전기적 접속부(24)와 접속용 패턴(44)를 통하여, 대향 도전성 부재(42)의 대향 단부(422) 근방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 (22)의 단부(222)는, 전기적 접속부(24)에는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 단부(222)의 접지 전위부에 배치한 접속 기판(도전 부재)(25b)에, 개폐 부재(92)의 일단을 접속하고, 이 개폐 부재(92)의 타단을, 접속 기판(도전 부재)(25c)를 통하여 칩 부품 등으로 구성되는 주파수 조정 부재(91)의 일단에 접속하고, 그 주파수 조정 부재(91)의 타단을, 접속 기판(도전 부재)(25a)에 접속한다. 그리고, 접속 기판(25a)를 전기적 접속부(24)에 접속시키고, 전기적 접속부(24)를 접속용 패턴(44)에 접속(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개폐 부재(92)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반도체 등으로 구성되는 전기적 스위치나, 기계적 스위치 등의, 도전 상태를 개폐하는 각종 개폐 수단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접속예를 도 16에 나타내면, 예를 들면,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22)와 대향 도전성 부재(42) 사이의, 접속용 패턴(44)의 도중에, 코일(91a)와 스위치(92a)가 접속되도록 한다.
스위치(92a)의 개폐는, 예를 들면, 키측 케이스(2)와 LCD측 케이스(4)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화를 검출하여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닫은 상태일 때 접속 상태로 하고, 도 2에 나타낸 열린 상태일 때 비접속 상태로 한다. 또는, 그 역이라도 된다. 또,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대기시와 통화시에 전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개폐 부재(92)로서, 예를 들면 핀 다이오드 등의 전기적 소자를 사 용한 경우에는, 그 소자가 도통 상태일 때 가지는 저항값 등의 값을 이용하여, 주파수 조정 부재(91)을 겸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그 외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화시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여, SAR을 저감하면서 통화시의 안테나의 이득을 낮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0)

  1.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접속되는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와,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와 마주하는 대향 도전성 부재와,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안테나와는 반대측에 있는 단부(端部)와, 상기 단부 근방과 마주하는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대향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수단
    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는,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의 접지 전위부와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의 접지 전위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로부터 볼 때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와는 반대측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 수단은,
    (1) 통신을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의 접속을 행하지 않고,
    (2) 통신 중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의 접속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는,
    (1) 통신을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의 접속을 행하고, 또한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의 근방에 있는 단부 근방부와,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 근방부와 마주하는 대향 단부 근방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2) 통신 중에는 상기 단부와 상기 대향 단부의 접속을 행하고, 상기 단부 근방부와 상기 대향 단부 근방부의 접속은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 및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의 전기장(電氣長) 의 합계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 파장의 2분의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접속 도전성 부재 및 상기 대향 도전성 부재의 전기장은,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 파장의 4분의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에는, 주파수 조정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정 부재는, 저항, 컨덴서,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로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10. 전파 방사(放射) 수단과,
    상기 전파 방사 수단에 접속되는 전파 방사 접속 도전 수단과,
    상기 전파 방사 접속 도전 수단과 마주하는 대향 도전 수단과,
    상기 전파 방사 접속 도전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전파 방사 수단과는 반대측에 있는 단부와, 상기 단부 근방과 마주하는 상기 대향 도전 수단에 있어서의 대향 단부 근방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 수단
    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
KR1020057013202A 2003-11-18 2004-11-05 휴대 통신 단말기 KR101067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8099 2003-11-18
JP2003388099 2003-11-18
JP2004136271A JP4312100B2 (ja) 2003-11-18 2004-04-30 携帯通信端末
JPJP-P-2004-00136271 2004-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193A true KR20060112193A (ko) 2006-10-31
KR101067282B1 KR101067282B1 (ko) 2011-09-23

Family

ID=3462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202A KR101067282B1 (ko) 2003-11-18 2004-11-05 휴대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25004B2 (ko)
EP (2) EP1686647B1 (ko)
JP (1) JP4312100B2 (ko)
KR (1) KR101067282B1 (ko)
CN (1) CN1739218B (ko)
DE (1) DE602004032585D1 (ko)
WO (1) WO20050507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16B1 (ko) * 2006-12-27 201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와 연결되는 이미지 효과 발생요소를 가지는 휴대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398A (ja) * 2004-08-18 2006-03-02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2006166370A (ja) * 2004-12-10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無線機
US7535722B2 (en) * 2005-07-04 2009-05-19 Sony Ericsson Communications Ab Mechanical rotation and electrical interface combination
KR100722309B1 (ko) 2006-01-20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파 흡수율 저감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한이동통신단말기
EP1962372B1 (en) * 2006-02-17 2010-10-13 Palm, Inc. Miniature broadband antenna with inductive chassis coupling
US8738103B2 (en) 2006-07-18 2014-05-27 Fractus, S.A. Multiple-body-configuration multimedia and smartphone multifunction wireless devices
JP5042228B2 (ja) * 2006-09-21 2012-10-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無線機
US20080300029A1 (en) * 2007-05-31 2008-12-04 Motorola, Inc. Inductive flexible circuit for communication device
JP4358267B2 (ja) * 2007-10-31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無線装置
WO2009081638A1 (ja) * 2007-12-20 2009-07-02 Nec Corporation 携帯端末
US20110263300A1 (en) * 2008-12-25 2011-10-27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US8199493B2 (en) * 2009-08-20 2012-06-12 Nokia Corporation Rotational apparatus for communication
JP4810601B2 (ja) * 2009-11-30 2011-11-09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548970B1 (ko) * 2010-02-11 2015-09-02 라디나 주식회사 그라운드 방사 안테나
US10122212B2 (en) 2013-08-30 2018-11-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US9923380B2 (en) 2014-03-07 2018-03-20 Intel Corporation Capacitive element coupling in wireless power
CN110383579B (zh) * 2017-03-06 2021-12-10 斯纳普公司 可穿戴设备天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2876A1 (de) * 1983-01-28 1984-08-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ipolantenne fuer tragbare funkgeraete
GB9102935D0 (en) 1991-02-12 1991-03-27 Shaye Communication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tennae
US5826201A (en) * 1992-11-25 1998-10-20 Asterion, Inc. Antenna microwave shield for cellular telephone
DE69424968T2 (de) * 1993-04-28 2000-10-19 Casio Computer Co Ltd Antennenvorrichtung zur Erzeugung gewünschter Strahlungsdiagramme ohne Veränderung der Antennenstruktur
US5561436A (en) * 1994-07-21 1996-10-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osition antenna
US5542106A (en) 1994-09-15 1996-07-3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n RF circuit integrated into a movable housing element
JP2795825B2 (ja) * 1995-06-30 1998-09-10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H10117106A (ja) 1996-10-11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JP3056118B2 (ja) * 1997-05-09 2000-06-2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内蔵アンテナ構造
US6031495A (en) * 1997-07-02 2000-02-29 Centurion Intl., Inc. Antenna system for reducing specific absorption rates
FR2772518B1 (fr) * 1997-12-11 2000-01-07 Alsthom Cge Alcatel Antenne a court-circuit realisee selon la technique des microrubans et dispositif incluant cette antenne
SE9801381D0 (sv) * 1998-04-20 1998-04-20 Allgon Ab Ground extension arrangement for coupling to ground means in an antenna system, and an antenna system and a mobile radio device having such ground arrangement
SE514773C2 (sv) * 1998-09-28 2001-04-23 Allgon Ab Radiokommunikationsenhet och antennsystem
KR100338644B1 (ko) * 1999-09-10 2002-05-30 윤종용 방사 손실을 막기 위한 도전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065379B1 (en) 1999-07-02 2006-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radio terminal equipment having conductor for preventing radiation loss
JP2001247522A (ja) * 2000-03-02 2001-09-11 Kanto Denka Kogyo Co Ltd 4級アルキルアンモニウムテトラフルオロボレート類の製造方法
JP2001257522A (ja) * 2000-03-09 2001-09-21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CA2407537C (en) * 2000-04-24 2006-06-13 Kevin W. Baugh Passive coherent lo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2026627A (ja) * 2000-07-05 2002-01-25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型無線端末
JP3566202B2 (ja) * 2000-11-13 2004-09-15 株式会社サムスン横浜研究所 携帯端末機
JP3830773B2 (ja) * 2001-05-08 2006-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2368850A (ja) * 2001-06-05 2002-12-20 Sony Corp 携帯無線端末装置
KR100401192B1 (ko) * 2001-09-05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사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폴더형 단말기
EP1306922A3 (en) 2001-10-24 2006-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structure, methof of using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JP3952816B2 (ja) 2002-03-18 2007-08-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機
JP4096294B2 (ja) 2002-05-14 2008-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3975843B2 (ja) 2002-07-04 2007-09-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16B1 (ko) * 2006-12-27 201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와 연결되는 이미지 효과 발생요소를 가지는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76291A (ja) 2005-06-30
WO2005050780A1 (ja) 2005-06-02
EP1686647A1 (en) 2006-08-02
EP1686647B1 (en) 2011-08-17
DE602004032585D1 (de) 2011-06-16
EP1881555A1 (en) 2008-01-23
JP4312100B2 (ja) 2009-08-12
KR101067282B1 (ko) 2011-09-23
CN1739218A (zh) 2006-02-22
CN1739218B (zh) 2010-11-24
US7225004B2 (en) 2007-05-29
EP1686647A4 (en) 2007-10-31
EP1881555B1 (en) 2011-05-04
US20060094484A1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282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JP3243825B2 (ja) 携帯電子装置
EP148264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US5945954A (en) Antenna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CN102224638B (zh) 用于手持通信设备的低矮型折叠天线套件
US20080274775A1 (en) Body-worn Personal Communications Apparatus
US6909911B2 (en) Wireless terminal
KR20010052509A (ko)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KR100810384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WO2003079561A3 (en) Mobile communication handset with adaptive antenna array
JP2002368850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WO2006071534A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antenna
KR20050017765A (ko)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 연결장치
KR20060112525A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6753818B2 (en) Conceal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80100207A (ko) 휴대 무선기
JP2002152353A (ja) 携帯端末機
JP2002290129A (ja) 携帯無線端末のアンテナ装置
JP2003143274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JP2000022609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KR20050120143A (ko) 더블 그라운드 라인을 구비한 폴디드 모노폴 인테나
KR20040006157A (ko) 지향성 안테나와 조합한 폴더내장형 폴안테나와이어폰안테나 조립체
KR20060055174A (ko) 휴대 단말기의 로고 안테나 장치
TW200539656A (en) Mobile phone having antenna frequency deviation compens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