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935A -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935A
KR20060111935A KR1020050033913A KR20050033913A KR20060111935A KR 20060111935 A KR20060111935 A KR 20060111935A KR 1020050033913 A KR1020050033913 A KR 1020050033913A KR 20050033913 A KR20050033913 A KR 20050033913A KR 20060111935 A KR20060111935 A KR 2006011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raveling device
boom
cylind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상호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5003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935A/ko
Publication of KR2006011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중장비의 붐 또는 아암과 같은 작업장치와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복합작업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장치에 의한 부하물 중량에 따라 작업장치와 주행장치간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적정하게 분배공급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는, 제1,2메인펌프와, 제1메인펌프에 연결되는 아암실린더와 주행장치와, 제1메인펌프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며 아암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아암스플 및 주행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과, 제2메인펌프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며 붐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붐스플 및 주행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을 구비하는 중장비의 유압회로에 있어서,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에 각각 설치되는 압력검출센서와,
주행스플 입구측에 설치되고,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 압력검출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압력신호에 따라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분배공급하는 가변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중장비, 굴삭기, 압력보상, 유압회로

Description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hydraulic circuit compensate type of heavy equip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장비용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제1메인펌프
2; 제2메인펌프
3; 아암실린더
4; 주행장치
5; 아암스플
6,9; 주행스플
7; 붐실린더
8; 붐스플
12,13; 가변 오리피스
14,15,16; 압력검출센서
본 발명은 중장비의 붐 또는 아암과 같은 작업장치와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복합작업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장치에 의한 부하물 중량에 따라 작업장치와 주행장치간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적정하게 분배공급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중장비용 유압회로는, 미도시된 엔진에 연결되는 제1,2메인펌프(1,2)와, 제1메인펌프(1)에 연결되는 아암실린더(3)와 주행장치(4)와, 제1메인펌프(1)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고 리모트컨트롤밸브(RCV) 조작으로 인해 파일럿 펌프(미도시됨)로 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신호압 공급시 아암실린더(3)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아암스플(5) 및 주행장치(4)(주행모터를 말함)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6)과, 제2메인펌프(2)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고 리모트컨트롤밸브(RCV) 조작으로 인해 파일럿 펌프(미도시됨)로 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신호압 공급시 붐실린더(7)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붐스플(8) 및 주행장치(4)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9)을 구비한다.
따라서, 미도시된 리모트컨트롤밸브(RCV)를 조작하여 파일럿 펌프(미도시됨)로 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신호압에 의해 작업장치용 스플(아암스플(5)과 붐스플(8) 을 말함) 또는 주행스플(6,9)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시키는 경우, 제1메인펌프(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유로(A)와 유로(B)를 경유한후 아암스플(5)을 경유하여 아암실린더(3)에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제1메인펌프(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 일부는 분기된 유로(C)와 오리피스(10)를 경유한후 주행스플(6)을 경유하여 주행장치(4)에 공급된다.
한편, 제2메인펌프(2)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유로(A)와 유로(B)를 경유한후 붐스플(8)을 경유하여 붐실린더(7)에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제2메인펌프(2)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 일부는 분기된 유로(C)와 오리피스(11)를 경유한후 주행스플(9)을 경유하여 주행장치(4)에 공급된다.
이때, 작업장치의 부하물(W) 중량에 따라 작업장치(아암실린더(3)와 붐실린더(7)를 말함)와 주행장치(4)에 압력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제1,2메인펌프(1,2)로 부터 토출되어 작업장치와 주행장치로 공급되는 작동유 유량이 결정된다.
이때,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장비를 주행구동하면서 붐 또는 아암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경우, 작업장치와 주행장치간에 발생되는 압력차이로 인해 제1,2메인펌프(1,2)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작업장치보다 주행장치(4)쪽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공급됨에 따라, 작업장치를 작동시키지 못하여 조작성이 떨어지고 원활한 작업을 수행하지 못해 값비싼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장비의 붐 또는 아암과 같은 작업장치와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복합작업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장치에 의한 부하물 중량에 따라 작업장치와 주행장치간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적정하게 분배공급시켜 작업함에 따라 조작성 향상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메인펌프와, 제1메인펌프에 연결되는 아암실린더와 주행장치와, 제1메인펌프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며 아암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아암스플 및 주행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과, 제2메인펌프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며 붐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붐스플 및 주행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을 구비하는 중장비의 유압회로에 있어서,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에 각각 설치되는 압력검출센서와,
주행스플 입구측에 설치되고,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 압력검출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압력신호에 따라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분배공급하는 가변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가변 오리피스는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기계적 신호 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통과되는 유량을 가변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는,엔진(미도시됨)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2메인펌프(1,2)와, 제1메인펌프(1)에 연결되는 아암실린더(3)와 주행장치(4)(주행모터를 말함)와, 제1메인펌프(1)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고 리모트컨트롤밸브(RCV)(미도시됨) 조작으로 인해 파일럿 펌프(미도시됨)로 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신호압 공급시 절환되며 아암실린더(3)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아암스플(5) 및 주행장치(4)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6)과, 제2메인펌프(2)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고 리모트컨트롤밸브(RCV)(미도시됨) 조작으로 인해 파일럿 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신호압 공급시 절환되며 붐실린더(7)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붐스플(8) 및 주행장치(4)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9)을 구비하는 중장비의 유압회로에 있어서,
전술한 아암실린더(3), 붐실린더(7) 및 주행장치(4)에 각각 설치되는 압력검 출센서(14,15,16)와,
전술한 주행스플(6,9) 입구측(상류측을 말함)에 설치되고, 아암실린더(3), 붐실린더(7) 및 주행장치(4)를 동시에 구동시 압력검출센서(14,15,16)로 부터 입력되는 압력신호에 따라 아암실린더(3), 붐실린더(7) 및 주행장치(4)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분배공급하는 가변 오리피스(12,13)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가변 오리피스(12,13)는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기계적 신호 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개구량이 조절되어 통과되는 유량을 가변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리모트컨트롤밸브(RCV)를 조작하여 파일럿 펌프(미도시됨)로 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신호압에 의해 작업장치용 스플(아암스플(5)과 붐스플(8)을 말함) 또는 주행스플(6,9)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시키는 경우, 제1메인펌프(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유로(A)와 유로(B)를 경유한후 아암스플(5)을 경유하여 아암실린더(3)에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제1메인펌프(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 일부는 유로(A)와, 이로부터 분기된 유로(C)와 가변 오리피스(12)를 차례로 경유한후 주행스플(6)을 경유하여 주행장치(4)에 공급된다.
전술한 제2메인펌프(2)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유로(A)와 유로(B)를 경유 한후 붐스플(8)을 경유하여 붐실린더(7)에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제2메인펌프(2)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 일부는 유로(A)와, 이로부터 분기된 유로(C)와 가변 오리피스(13)를 차례로 경유한후 주행스플(9)을 경유하여 전술한 주행장치(4)에 공급된다.
한편, 중장비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장비를 주행구동하면서 붐 또는 아암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경우, 붐실린더(7)와 같은 작업장치와 주행모터(미도시됨)와 같은 주행장치간에 발생되는 압력차이로 인해 제1,2메인펌프(1,2)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작업장치(200∼260K)(아암실린더(3) 또는 붐실린더(7)를 말함)보다 주행장치(4)(60∼70K)쪽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공급된다.
이때, 전술한 주행스플(6,9)의 상류측에 설치된 가변 오리피스(12,13)에 의해 제1,2메인펌프(1,2)로 부터 토출되어 아암실린더(3)와, 붐실린더(7) 및 주행장치(4)쪽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분배공급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아암실린더(3)와, 붐실린더(7) 및 주행장치(4)를 동시에 구동시킬 경우, 아암실린더(3), 붐실린더(7) 및 주행장치(4)에 각각 설치된 압력검출센서(14,15,16)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신호에 대응되게 전술한 가변 오리피스(12,13)의 개구량이 결정된다. 이로인해 제1,2메인펌프(1,2)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아암실린더(3), 붐실린더(7) 및 주행장치(4)에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되게 공급된다.
따라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붐실린더(7)와 같은 작업장치와 주행모터와 같은 주행장치(4)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경우에도 작업장치와 주행장치사이 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공급하게 되므로, 값비싼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표시되어있지 않으나, 전술한 주행스플(4,9) 입구측에 설치된 가변 오리피스(12,13)를 아암스플(5)과 붐스플(8) 입구측에 각각 설치함에 따라, 작업조건에 따라 붐실린더(7)와 같은 작업장치에 부하가 발생되지않고 주행모터와 같은 주행장치(4)쪽에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작업장치와 주행장치에 발생되는 압력에 대응되게 유량을 분배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중장비의 붐 또는 아암과 같은 작업장치와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복합작업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장치에 의한 부하물 중량에 따라 작업장치와 주행장치간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조정하여 유량을 적정하게 분배공급시킴에 따라 조작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제1,2메인펌프와, 상기 제1메인펌프에 연결되는 아암실린더와 주행장치와, 제1메인펌프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며 아암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아암스플 및 상기 주행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과, 상기 제2메인펌프의 토출유로에 각각 설치되며 붐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붐스플 및 상기 주행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스플을 구비하는 중장비의 유압회로에 있어서:
    상기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에 각각 설치되는 압력검출센서; 및
    상기 주행스플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를 동시에 구동시 상기 압력검출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압력신호에 따라 상기 아암실린더, 붐실린더 및 주행장치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를 보상하여 유량을 분배공급하는 가변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오리피스는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기계적 신호 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개구량이 조절되어 통과되는 유량을 가변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KR1020050033913A 2005-04-25 2005-04-25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KR20060111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13A KR20060111935A (ko) 2005-04-25 2005-04-25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13A KR20060111935A (ko) 2005-04-25 2005-04-25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35A true KR20060111935A (ko) 2006-10-31

Family

ID=3762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913A KR20060111935A (ko) 2005-04-25 2005-04-25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9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4167A (zh) * 2017-05-15 2017-08-22 秦皇岛首创思泰意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定比流量输出的液压控制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4167A (zh) * 2017-05-15 2017-08-22 秦皇岛首创思泰意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定比流量输出的液压控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099B2 (ja) 建設機械用の油圧システム
KR101683317B1 (ko) 중장비의 유압 펌프 제어 장치
KR940701487A (ko) 토목·건설 기계의 유압회로장치
KR20100125960A (ko) 복합 조작성을 개선시킨 유압시스템
KR20090038664A (ko) 중장비용 유압회로
WO2013176298A1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JPH10252661A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KR101716591B1 (ko) 파워 셔블의 유체압 제어 장치
KR100886476B1 (ko)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US11131080B2 (en) Hydraulic circuit of construction machine
KR20060111935A (ko) 중장비의 압력보상형 유압회로
KR20150033928A (ko) 건설기계의 주행복합작업용 유압제어시스템
KR101011992B1 (ko) 이중 유압 회로 시스템
KR20150036000A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제어방법
KR100998613B1 (ko) 건설장비용 유압시스템
KR20070103573A (ko)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
KR20100051315A (ko) 건설장비용 유압 제어시스템
JP5334509B2 (ja) 建設機械用油圧回路
WO2014073551A1 (ja) パワーショベルの流体圧制御装置
JPH04285303A (ja) ロ−ドセンシング油圧回路
JP2002276607A (ja) 油圧制御装置
KR102273327B1 (ko) 다목적용 유압시스템의 펌프 유량 제어를 위한 유압회로
KR20140110856A (ko) 건설기계의 유압시스템
KR20100073496A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KR0138161Y1 (ko) 작업조건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속도 조정이 가능한 유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