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578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578A
KR20060111578A KR1020067011918A KR20067011918A KR20060111578A KR 20060111578 A KR20060111578 A KR 20060111578A KR 1020067011918 A KR1020067011918 A KR 1020067011918A KR 20067011918 A KR20067011918 A KR 20067011918A KR 20060111578 A KR20060111578 A KR 2006011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air
dustproof
forming body
cyclon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야 사카타
코우지 모리야마
토모요시 히로세
타케하루 이키무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578A/ko
Publication of KR2006011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먼지를 외기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ㆍ제거(제진)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방진부를 통해서 엔진 룸 내에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도록 한 콤바인에 있어서, 방진부는, 외기를 받아들여서 사이클론풍을 형성함으로써 외기로부터 제진하는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동 사이클론풍 형성체 내에서 제진된 사이클론풍을 엔진 룸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풍로를 형성하는 도풍로 형성체를 구비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의 일형태로서, 방진부를 통해서 엔진 룸 내에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도록 한 것이 있다.
즉, 방진부는, 엔진 룸의 상방에 외기 도입구를 개구하고, 동 외기 도입구와 엔진 룸 내를 도풍로(導風路)를 통해서 연통함과 아울러, 외기 도입구에는 펀치 메탈이나 망상 메시 등의 방진용 망체를 펼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 룸 내의 엔진에 의해 냉각팬을 회전시킴으로써, 냉각용 외기를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풍로를 통해서 엔진 룸 내에 도입하여, 라디에이터나 오일 쿨러 등의 열교환기를 냉각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외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는, 방진용 망체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의 일형태로서, 엔진 룸의 후방에 곡립 저장용의 상부 탱크를 배치한 것이 있고, 동 상부 탱크는, 기기체 프레임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연결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콤바인에서는, 외기 도입구가, 통상, 도풍로의 상부에만 개구 되어 있어서 전체 흡기면적이 작으므로, 냉각풍의 풍속이 커지고, 방진용 망체에 먼지가 압입되어 눈막힘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진용 망체의 보수 관리에는 수고를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 탱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동 지지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수고나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방진부를 통해서 엔진 룸 내에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도록 한 콤바인에 있어서, 방진부는, 외기를 받아들여서 사이클론풍을 형성함으로써 외기로부터 제진하는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동 사이클론풍 형성체 내에서 제진된 사이클론풍을 엔진 룸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풍로를 형성하는 도풍로 형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도 특징을 갖는다.
(2)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도풍로 형성체를 연통하는 연통구부에 방진용 망체를 펼쳐 설치함과 아울러, 동 방진용 망체의 내측방에, 도풍로 형성체와 엔진 룸을 연통하는 도풍 도입구부를 배치하고, 또한, 동 도풍 도입구부와 상기 방진용 망체는, 도풍로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상호의 중합 면적이 가급적 크게 되도록 배치한 것.
(3)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도풍로 형성체를 연통하는 연통구부에 방진용 망체를 펼쳐 설치하고, 동 방진용 망체의 하부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오일 쿨러를 도풍로 형성체 내에 배치한 것.
(4) 엔진 룸의 후방에 곡립 저장용의 상부 탱크를 배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 내에 배치한 엔진의 흡기구에 흡기 경로 형성체를 연통 연결하고, 동 흡기 경로 형성체에 흡기 소음기를 설치함과 아울러, 동 흡기 소음기에 상기 상부 탱크를 연결한 것.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선별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선별체의 전방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배출 짚 이송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원동기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동 원동기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방진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사이클론풍 형성체를 개방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방진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1은, 동 방진부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력 전달 설명도이다.
도 13은, 요동 선별부 구동기구의 전반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전동 케이스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15는, 텐션 클러치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동 텐션 클러치 기구의 일부 절제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풍구 제어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또 하나의 풍구 제어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유동륜 긴장체(緊張體)의 일부 절제된 측면도이다.
도 20은, 동 유동륜 긴장체의 단면 평면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A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이며, 동 콤바인(A)은, 좌우 1쌍의 크롤러식의 주행부(1,1) 상에 차체 프레임(2)을 설치하고, 동 차체 프레임(2)의 좌측 앞끝부에 예취 프레임(3)을 통해서 예취부(4)와 반송부(5)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동 차체 프레임(2) 상의 좌측 전방부에 곡간(穀稈) 이송부(6)와 탈곡부(7)와 선별부(8)를 배치함과 아울러, 후방부에 배출 짚 처리부(9)를 배치하는 한편, 차체 프레임(2)의 우측의 전방부에 운전부(10)를 배치하고, 그 후방위치에 원동기부(11)와 방진부(12)를 배치하고, 이들의 후방위치에 곡립 저장부(13)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취부(4)에 의해 곡간을 베어내고, 베어낸 곡간을 반송부(5)에 의해 뒤쪽 상방의 곡간 이송부(6)까지 반송하여, 동 곡간 이송부(6)에 곡간을 주고받고, 동 곡간 이송부(6)에 의해 곡간의 밑동을 끼워 잡음과 아울러, 이삭끝을 탈곡부(7)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곡간의 이삭끝은 탈곡부(7)에 의해 탈곡됨과 아울러, 탈곡된 곡립은 선별부(8)에 의해 선별되어서, 깨끗한 알갱이만이 곡립 저장부(13)에 반송되어서 저장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탈곡된 곡간은 배출 짚으로서 배출 짚 처리부(9)에 반송되고, 동 배출 짚 처리부(9)에서 세단ㆍ배출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
탈곡부(7)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扱室)(20) 내에 급동(扱胴)(21)을 배치함과 아울러, 동 급동(21)의 바로 하방위치에 크림프 망(22)을 펼쳐 설치하고, 급동(21)의 우측 후방위치에는 처리동(23)을 배치하고 있다.
선별부(8)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부(7)에 설치한 급동(21)과 처리동(23)의 하방위치에 선별체(24)를 전후 요동가능하게 배치하여, 상기 급동(21)과 처리동(23)에 의해 탈곡되어 공급되는 탈곡물을 선별체(24)에 의해 받아서, 회수용 1번물(番物)과 재선별용 2번물로 선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선별체(2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별 프레임체(25)의 전방부에 전방측 피드 팬(26)과 후방측 피드 팬(27)을 단차를 가지게 하여 배치하고, 동 후방측 피드 팬(27)의 후방위치에 채프 시브(chaff sieve)(28)를 배치하고, 동 채프 시브(28)의 후방위치에 스트로 랙(straw rack)(29)을 배치하는 한편, 하방위치에 그레인 시브(도시 생략)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전방측 피드 팬(26)의 하방위치에 프리 팬으로서의 제2풍구(fanning mill)(30)를 배치하고, 동 제2풍구(30)에 의하여 전ㆍ후방측 피드 팬(26,27)의 단차(h) 사이에 선별풍을 작용시킴과 아울러, 후방측 피드 팬(27)의 하방위치에 메인 팬으로서의 제1풍구(31)를 배치하여, 후방측 피드 팬(27)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선별체(24)의 후방부에 선별풍을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채프 시브(28)의 하방위치에는, 좌우방향으로 신장하여 1번물을 받는 1번물 수용통(32)을 배치하고 있고, 동 1번물 수용통(32) 내의 1번물은, 1번물 회수체(33)에 의해 회수하여 곡립 저장부(13)에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 랙(29)의 하방위치에는, 좌우방향으로 신장하여 2번물을 받는 2번물 수용통(34)이 배치되어 있고, 동 2번물 수용통(34) 내의 2번물은, 2번물 환원체(35)에 의해 회수하여 전방측 피드 팬(26) 상에 환원시켜서, 선별체(24)에 의해 재선별하도록 하고 있다.
즉, 2번물 환원체(35)의 선단부(35a)는,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20)의 우측벽(20a)에 개구한 연통구(도시 생략)에 연통 연결하여, 동 연통구를 통해서 전방측 피드 팬(26) 상에 2번물(B)을 방출ㆍ낙하시켜서 환원하도록 하고 있다. 36은 안내편이며, 동 안내편(36)에 의해 환원된 2번물(B)을 중앙측으로 이송ㆍ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a는 2번물(B)의 환원 방향, b는 2번물(B)의 방출방향, c는 2번물(B)의 이송ㆍ안내 방향이다.
이와 같이 하여, 2번물을 전방측 피드 팬(26) 상에 환원시켜 재선별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동 전방측 피드 팬(26) 상에서 2번물인 곡립과 먼지를 분산화하고, 또한, 이들을 후방측 피드 팬(27) 상에 낙하시킬 때에, 제2풍구(30)로부터의 선별풍을 전ㆍ후방측 피드 팬(26,27)의 단차(h) 사이에 작용시킴으로써, 곡립과 먼지를 확실하게 선별할 수 있어서, 선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1번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출 짚 처리부(9)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간 이송부(6) 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오는 곡간을 배출 짚(W)으로서 받아서 점차 중앙 부근으로 이송하는 배출 짚 이송체(40)와, 동 배출 짚 이송체(40)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배출 짚(W)을 세단하는 배출 짚 커터(4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 짚 이송체(40)는, 도 1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단측을 좌측부에 배치함과 아울러, 종단측을 중앙부에 배치한 배출 짚 이송 체인(42)과, 동 배출 짚 이송 체인(42)의 하방에 있어서 이송 방향으로 신장시키고 또한 대향시켜서 배치한 좁혀누름 로드(43)를 구비하고 있고, 동 좁혀누름 로드(43)는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전후 1쌍의 지지편(44,44)에 의해 탄성체(45,45)를 통해서 상방으로 탄성 가압시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짚 처리부(9)의 좌측 후방부에는 연결체(46)가 설치되어 있고, 동 연결체(46)는, 중도부를 후방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전방 개구의 배출 짚 비간섭공간(S)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짚 이송체(40)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배출 짚(W)의 밑동부가, 연결체(46)의 배출 짚 비간섭공간(S) 내를 통과하도록 하여, 동 연결체(46)에 배출 짚(W)의 밑동부가 간섭하여 동 배출 짚(W)의 이송 자세가 흐트러진다는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운전부(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조작 칼럼(50)에 조향 레버(51)를 세워 설치하고, 동 조향 레버(51)의 후방위치에 운전석(52)을 배치하고, 동 운전석(52)의 좌측방 위치에 배치한 측부 조작 칼럼(49)에 클러치 레버(53) 등을 설치하고 있다.
원동기부(11)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석(52)의 하방에 형성한 엔진 룸(54) 내에 엔진(E)을 배치하고, 동 엔진(E)의 흡기구부(64)에 흡기 경로 형성체(55)를 연통 연결하여, 동 흡기 경로 형성체(55)를 통해서 받아들여진 외기를 엔진(E) 내에서 연소를 위해 사용하는 한편, 동 엔진(E)의 배기구부(65)에 배기 경로 형성체(56)를 연통 연결하여, 동 배기 경로 형성체(56)를 통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흡기 경로 형성체(55)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54)의 후방부에 흡기 소음기 지지체(57)를 통해서 상자형으로 형성한 흡기 소음기(58)를 지지하고, 동 흡기 소음기(58)의 천정부에 프리 클리너(59)를 연통하게 연이어 설치하는 한편, 동 흡기 소음기(58)의 저부에 에어 클리너(60)를 연통 연결하고, 동 에어 클리너(60)와 엔진(E)의 흡기구부(64) 사이에 흡기 배관(61)을 끼워 설치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E)의 흡기구부(64)에 연통 연결한 흡기 경로 형성체(55)에 흡기 소음기(5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기 경로 형성체(55)에 외기를 흡입할 때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정신적 피로를 삭감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흡기 소음기(58)의 후방벽(58a)에는, 후술하는 곡립 저장부(13)의 상부 탱크(62)의 전방벽(62a)이 연결 볼트(6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흡기 소음기(58)에 상부 탱크(62)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 흡기 소음기(58)에 상부 탱크(62)의 지지부재로서의 기능도 겸용시킬 수 있어서, 별도로 지지부재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제조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배기 경로 형성체(5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E)의 배기구부(65)에 배기관(66)의 기단부를 접속하고, 동 배기관(66)의 선단 개구부(66a)를 후술하는 곡립 저장부(13)의 하방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2)의 부분보다 하방으로 돌출시켜서 개구하고, 동 배기관(66)의 중도부에 배기 소음기(67)가 설치되어 있고, 동 배기 소음기(67)는, 제2풍구(30)의 우측부에 형성한 흡입구(68)의 근방(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하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기 소음기(67)를 제2풍구(30)의 흡입구(68) 근방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관(66)을 통해서 배출되는 배기의 열에 의해 배기 소음기(67)가 가열되고, 동 배기 소음기(67)가 주위로 방열함으로써 제2풍구(30)의 흡입구(68) 근방의 분위기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2풍구(30)는, 배기 소음기(67)에 의해 따뜻해진 외기를 직접 흡입하여, 온도가 높은 선별풍을 탈곡물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동 탈곡물이 습기차는 경우에도 선별풍에 의해 습기를 제거하여, 곡립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날려버리는 풍 선별(wind selection)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엔진(E)의 배기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의 간이화와 비용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E)의 우측 근방 위치에는 라디 에이터(70)가 배치되어 있고, 동 라디에이터(70)는, 엔진 룸(54)의 우측에 배치한 전ㆍ후방부 지주(71,72)의 사이에 배치하여, 후술하는 방진부(12)에 가급적 근접시키고 있다. 73,74는 라디에이터 연결 배관이다.
이와 같이 하여, 라디에이터(70)를 전ㆍ후방부 지주(71,72)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엔진 룸(54)의 우측 바깥쪽에 배치한 방진부(12)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엔진 룸(54)을 콤팩트화할 수 있어서 기기체의 좌우 폭을 단폭화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70)의 내측방에는 엔진(E)에 연동 연결한 냉각팬(75)이 배치되어 있고, 엔진(E)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냉각팬(75)에 의해 후술하는 방진부(12)를 통해서 외기를 흡인하여, 동 방진부(12)에서 제진된 외기에 의해 라디에이터(70)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방진부(12)는, 도 8~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를 받아들여서 사이클론풍을 형성함으로써 외기로부터 제진하는 사이클론풍 형성체(80)와, 동 사이클론풍 형성체(80) 내에서 제진된 사이클론풍을 엔진 룸(54)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풍로(81)를 형성하는 도풍로 형성체(82)와, 동 도풍로 형성체(8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8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체(83)는 전후방향으로 가로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차체 프레임(2)에 고정 설치하고, 동 지지체(83)의 천정부(83a)에 도풍로 형성체(82)를 적재하고 있다.
또한, 도풍로 형성체(82)는, 좌우 폭이 가느다란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함 과 아울러, 천정벽부(82a)를 상방으로 볼록형상인 원호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라디에이터(70)와 대면하는 내측벽부(82b)의 하반부에 내측 연통구부(84)를 형성하는 한편, 외측벽부(82c)에 대략 세로로 긴 타원형상의 외측 연통구부(85)를 형성함과 아울러, 동 외측 연통구부(85)에 펀치 메탈 등의 방진용 망체(86)를 펼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내측 연통구부(84)에는 오일 쿨러(87)를 도풍로(81) 내에 위치시켜 부착함과 아울러, 동 오일 쿨러(87)를 상기 방진용 망체(86)의 하부에 대면시킨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88은 설치 브래킷이다.
또한, 방진용 망체(86)의 외표면의 중앙부에는, 지지판체(89)를 통해서 회전 지축(90)을 외측방으로 향해 돌출하게 설치하고, 동 회전 지축(90)에 보스부(91)를 통해서 회전 팬(92)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고, 동 회전 팬(92)은, 상기 냉각 팬(75)에 의해 흡인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서, 사이클론풍의 형성을 촉진함과 아울러, 방진용 망체(86)에 부착된 먼지 등을 긁어 떨어뜨리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사이클론풍 형성체(8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한 내측 프레임 형성편(93)과, 링형상으로 형성한 외측 프레임 형성편(94) 사이의 전방ㆍ측부와 상부에 걸쳐서, 다수개의 사이클론풍 형성용 핀(95)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또한 일정한 경사각을 갖게 해서 끼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외측 프레임 형성편(94)에는 세로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한 개구부(96)를 형성함과 아울러, 동 개구부(96)에 방진용 망체(97)를 펼쳐 설치하고 있 다.
또한, 내측 프레임 형성편(93)의 뒤끝 가장자리부는, 도풍로 형성체(82)의 뒤끝 가장자리부에 피벗체(98)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피벗함과 아울러, 내측 프레임 형성편(93)의 앞끝 가장자리부에 걸림편(99,99)을 부착하는 한편, 도풍로 형성체(82)의 앞끝 가장자리부에 걸림ㆍ연결편(100,100)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걸림ㆍ연결편(100,100)을 걸림편(99,99)에 걸림ㆍ연결함으로써, 사이클론풍 형성체(80)를 폐쇄 상태(도풍로 형성체(82)와 내외측에 중합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한편, 걸림ㆍ연결편(100,100)을 걸림편(99,99)으로부터 걸림ㆍ연결 해제함으로써, 사이클론풍 형성체(80)를 개방 상태(도풍로 형성체(82)와 전후로 병렬한 상태)로 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라디에이터(70)가 대면하는 엔진 룸(54)의 외측벽에는, 도풍로 형성체(82)와 엔진 룸(54)을 연통하는 도풍 도입구부(101)가 배치되어 있고, 동 도풍 도입구부(101)와 상기 방진용 망체(86)는, 도풍로(81)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상호의 중합 면적이 가급적 크게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즉, 도 10에 있어서, W1은, 사이클론풍 형성체(80)의 외측 프레임 형성편(94)에 설치한 방진용 망체(97)의 상하폭, W2는, 도풍로 형성체(82)의 외측벽부(82c)에 설치한 방진용 망체(86)의 상하폭, W3은 도풍 도입구부(101)의 상하폭, W4는, 방진용 망체(86)의 상하폭(W2)과 도풍 도입구부(101)의 상하폭(W3)의 중합 폭이며, 동 중합 폭(W4)을 가급적 크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냉각팬(75)이 회전하면, 사이클론풍 형성체(80)의 방 진용 망체(97) → 도풍로 형성체(82)의 방진용 망체(86) → 도풍로(81) → 도풍 도입구부(101) → 엔진 룸(54) 내로 외기가 도입되어 라디에이터(70)가 냉각된다.
이 때, 사이클론풍 형성체(80)에서는, 인접하는 사이클론풍 형성용 핀(95,95) 사이로부터도 외기가 받아들여짐과 아울러, 회전 팬(92)이 회전되어서, 사이클론풍 형성체(80) 내에서 소용돌이 형상의 사이클론풍이 형성되고, 이러한 사이클론풍에 의해, 비교적 비중이 큰 대경의 먼지를 원심력 작용에 의해 미리 외기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ㆍ제거(제진)할 수 있다.
따라서, 청정화된 외기만을 방진용 망체(86)를 통해서 도풍로(81)에 유입시켜서, 동 도풍로(81)를 통해서 엔진 룸(54) 내에 도입할 수 있어, 방진용 망체(86)의 눈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진용 망체(86)의 보수 관리에 수고를 요하지 않는데다가, 동 방진용 망체의 청소 없음에 의한 연속 작업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방진용 망체(86)의 하부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오일 쿨러(87)가 도풍로 형성체(82)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이클론풍의 풍속이 빨라지는 방진용 망체(86)의 하부의 풍속을 오일 쿨러(87)의 배치에 의해 저감시켜서, 동 방진용 망체(86)의 하부로의 먼지의 부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방진용 망체(86)의 청소 없음에 의한 연속 작업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풍 도입구부(101)와 상기 방진용 망체(86)를, 도풍로(81)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상호의 중합 면적이 가급적 크게 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사이클 론풍 형성체(80) 내에 있어서 청정화된 외기를 방진용 망체(86) → 도풍로(81) → 도풍 도입구부(101) → 엔진 룸(54)으로 바람이 도입할 때에, 도풍로(81)에 있어서의 바람의 압손을 저감할 수 있어서, 바람을 부드럽게 엔진 룸(54) 내에 받아 들일 수 있다.
그 결과, 도풍부(81)의 풍로 폭(W5)을 좁게 할 수 있어서, 방진부(12)를 폭이 좁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기기체의 좌우 폭을 단폭화할 수 있다.
곡립 저장부(13)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탱크(62)와, 동 상부 탱크(62)의 전후부에 각각 늘어뜨려 설치한 슈트(102,10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탱크(62)의 전방벽(62a)은, 흡기 소음기(58)의 후방벽(58a)에 연결 볼트(6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도 12~도 16을 참조하면서 본 기기의 동력전달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E)의 출력축(110)과 미션부(111)의 입력축(112) 사이에 미션 연동기구(113)를 끼워 설치하고, 동 미션부(111)에 설치한 구동축(114)에 주행부(1,1)의 구동륜(1a,1a)을 연동 연결함과 아울러, 동 미션부(111)의 출력축(115)을 예취부(4)와 반송부(5)의 입력축(도시 생략)에 연동 연결하고 있다.
한편, 엔진(E)의 출력축(110)과 전동 케이스(116)의 입력축(117) 사이에 각 작업부 연동기구(118)를 끼워 설치하고, 동 전동 케이스(116)의 제1출력축(119)에 탈곡부 구동기구(120)를 연동 연결함과 아울러, 동 전동 케이스(116)의 제2출력축(121)에 선별부 구동기구(122)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전동 케이스(116)는, 도 13 및 도 1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기어 케이스(123)와, 동 기어 케이스(123)의 좌우측부로부터 각각 좌우 외측방으로 연장한 축 케이스(124,125)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신장시켜 형성하고, 제2풍구(30)의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좌우방향으로 신장시켜 형성한 전동 케이스(116)를 제2풍구(30)의 하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동 제2풍구(30)의 하방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동 전동 케이스(116)에 탈곡부 구동기구(120)와 선별부 구동기구(122)를 연동 연결하고 있으므로, 이들 탈곡부 구동기구(120)와 선별부 구동기구(122)를 정연히 배치할 수 있어서, 이들의 보수 관리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전동 케이스(116)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측의 축 케이스(125) 내에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입력축(126)을 설치하는 한편, 기어 케이스(123) 내에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중간축(127)을 설치하여, 동 중간축(127)의 우측 끝부에 설치한 입력 기어(128)를 상기 입력축(126)의 좌측 끝부에 설치한 출력 기어(129)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기어 케이스(123) 내에는 전후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상기 제1출력축(119)을 설치하고, 동 제1출력축(119)의 기단부에 설치한 입력 기어(130)를, 중간축(127)의 중간부에 설치한 출력 기어(131)에 맞물리게 함과 아울러, 제1출력 축(119)의 선단부(132)가 전방으로 돌출시켜져 있다.
또한, 좌측의 축 케이스(124) 내에는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상기 제2출력축(121)을 설치하고, 동 제2출력축(121)의 우측 끝부에 설치한 입력 기어(133)를 상기 중간축(127)의 좌측 끝부에 설치한 출력 기어(134)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각 작업부 연동기구(118)는, 엔진(E)의 출력축(110)과 전동 케이스(116)의 입력축(126) 사이에 풀리(135,136)를 통해서 전동 벨트(137)를 감고, 동 전동 벨트(137)와 상기 클러치 레버(53) 사이에 텐션 클러치 기구(138)를 끼워 설치하고 있다.
텐션 클러치 기구(138)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룸(54)의 내측벽(139)에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암 지축(140)을 통해서 텐션 암(141)의 기단부를 피벗하고, 동 텐션 암(141)의 선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롤러 지축(142)을 통해서 텐션 롤러(143)를 부착하고, 동 텐션 롤러(143)를 텐션 암(14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전동 벨트(137)의 하측 회전측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이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2)에 설치한 지지기 프레임체(144)에 중간 레버체(145)를 회전 가능하게 피벗하고, 동 중간 레버체(145)와 클러치 레버(53)에 연동 연결한 작동 레버체(146) 사이에 링크(147)와 회전 레버체(148)를 끼워 설치하는 한편, 중간 레버체(145)와 상기 롤러 지축(14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연결 로드(149)를 끼워 설치하고 있다. 150은 클러치 레버 지축이다.
이와 같이 하여, 롤러 지축(142)에 연결 로드(149)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텐 션 롤러(143)를 양쪽 지지 상태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텐션 암(141)과 롤러 지축(142)의 강성이 캔틸레버 지지의 경우까지는 필요하지 않게 되고, 이들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탈곡부 구동기구(12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부(7)의 급동(21)과 처리동(23), 또한, 배출 짚 이송 체인(42)을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선별부 구동기구(122)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별부(8)의 선별체(24), 제2풍구(30), 제1풍구(31), 1번물 회수체(33), 2번물 환원체(35), 또한, 곡간 이송부(6)나 배출 짚 커터(41)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전동 케이스(116)의 좌측의 축 케이스(124) 내에 설치한 제2출력축(121)의 좌측 끝부(155)에는 출력 풀리(156)를 부착하고, 동 출력 풀리(156)와,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제2풍구 지축(157)의 좌측 끝부에 부착한 제2풍구 입력 풀리(158)와,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제1풍구 지축(159)의 좌측 끝부에 부착한 제1풍구 입력 풀리(160)와, 좌우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1번 회수체 지축(161)의 좌측 끝부에 부착한 1번 회수체 입력 풀리(162) 사이에 제1전동 벨트(163)를 감고 있다. 164,165는 제1ㆍ제2텐션 풀리, 166은 텐션 암, 167은 텐션 스프링, 168은 보조 풀리이다.
그리고, 1번 회수체 지축(161)의 좌측 끝부에 부착한 1번 회수체 출력 풀리(169)에 제2ㆍ제3전동 벨트(170,171)를 통해서 2번물 환원체(35), 선별체(24), 곡간 이송부(6), 및, 배출 짚 커터(41)의 각 입력 풀리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선별부 구동기구(122)에 설치한 풍구 풍량 제 어기구(175)의 설명도이며, 동 풍구 풍량 제어기구(175)는, 배출 짚 이송체(40)에 있어서의 배출 짚의 유무에 따라, 제2풍구(30)와 제1풍구(31)의 회전수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제2출력축(121)의 좌측 끝부(155)에 부착한 출력 풀리(156)와, 제2풍구 지축(157)의 좌측 끝부에 부착한 제2풍구 입력 풀리(158)와, 제1풍구 지축(159)의 좌측 끝부에 부착한 제1풍구 입력 풀리(160) 사이에 연동 벨트(176)를 감고, 출력풀리(156)와 제2풍구 입력 풀리(158) 사이에 있어서의 연동 벨트(176)의 부분에 텐션 암(177)을 통해서 텐션 롤러(178)를 접촉이간 가능하게 하고 있다. 179는, 텐션 롤러(178)를 연동 벨트(176)에 압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이다.
그리고, 텐션 암(177)과, 상기 배출 짚 이송체(40)의 전방부의 지지편(44) 사이에는 연동기구(180)를 끼워 설치하고 있고, 동 연동기구(180)는, 텐션 암(177)의 중도부에 압인 와이어(181)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와이어(182)의 일단을 연결하는 한편, 상기 전방부의 지지편(44) 근방에는 암 지축(183)을 배치하고, 동 암 지축(183)에 보스부(184)를 통해서 압인 암(185)을 돌출하게 설치하여, 동 압인 암(185)의 선단부에 상기 이너 와이어(182)의 타단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보스부(184)에 연동 암(186)을 돌출하게 형성하고, 동 연동 암(186)의 선단부에 형성한 긴 구멍(187)을 상기 지지편(44)의 하단부에 돌출하게 형성한 결합 핀(188)에 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텐션 암(177)의 기단부는 보스부(190)를 통해서 암 지축(191)에 부착 되어 있고, 동 보스부(190)에는 텐션 암(177)의 초기 설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용 로드(192)의 기단부를 연이이 설치하고, 동 조절용 로드(192)의 중도부에 설치한 결합편(193)을, 차체 프레임(2)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위치결정편(194)의 소정의 개소에 적절히 결합시킴으로써, 텐션 암(177)의 초기 설정 위치를 조절하여, 동 텐션 암(177)의 선단부에 부착된 텐션 롤러(178)에 의해 긴장되는 연동 벨트(17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풀리(156)로서 분할 풀리를 사용하여, 텐션 롤러(178)에 의한 연동 벨트(176)로의 압압력의 변화에 연동해서 풀리 지름이 변화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짚 이송체(40)에 있어서, 배출 짚 이송 체인(42)과 좁혀누름 로드(43) 사이에 배출 짚(W)이 반입되면, 좁혀누름 로드(43)가 탄성체(45,45)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고, 연동 암(186)과 압인 암(185)이 보스부(184)를 통해서 일체적으로 암 지축(18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너 와이어(182)를 통해서 텐션 암(177)이 인장 스프링(179)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동 텐션 암(177)의 선단부에 부착된 텐션 롤러(178)가 연동 벨트(176)의 긴장력을 푸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출력 풀리(156)의 풀리 지름이 증대된다.
그 결과, 제2풍구(30)와 제1풍구(31)의 회전수가 증대되어서, 각 풍구(30,31)의 풍량이 증대되게 된다. 따라서, 특히, 예취 작업 종료시에 있어서의 손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짚 이송 체인(42)과 좁혀누름 로드(43) 사이에 배출 짚(W)이 반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너 와이어(182)가 당겨지는 일이 없으므로, 텐션 암(177)은 인장 스프링(179)의 인장력에 의해 초기 설정 위치로 유지되어서, 출력 풀리(156)의 풀리 지름은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도 17 중, 195는, 압인 와이어(181)의 일부를 형성하는 아우터 와이어, 196,197은 아우터 와이어 수용편이다.
또한,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풍구 풍량 제어기구(175)의 설명도이며, 동 풍구 풍량 제어기구(175)는, 상기 풍구 풍량 제어기구(175)와 기본적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풍구 풍량 조절 레버(198)에 의해, 제2풍구(30)와 제1풍구(31)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와 같이 하여, 작물 조건 등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히 풍구 풍량 조절 레버(198)를 조작함으로써, 제2풍구(30)와 제1풍구(31)의 회전수, 즉, 풍량을 조절하여, 최적의 풍 선별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풀리(156)로서 분할 풀리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또는 이것에 추가하여 제2풍구 입력 풀리(158)와 제1풍구 입력 풀리(160)의 어느 한쪽 내지는 양쪽에 분할 풀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풍구 입력 풀리(158)와 제1풍구 입력 풀리(160)의 풍량을 각각 제어하여, 소정의 풍 선별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주행부(1)의 유동륜 긴장체(200)를 나타내고 있고, 동 유동륜 긴장체(200)는,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주행 프레임(201)의 후방부에, 좌우방 향으로 신장하는 포크 지지체(202)를 외측방으로 향해 돌출하게 설치하고, 동 포크 지지체(202)에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좌우 1쌍의 포크 가이드 통편(203,203)을 관통상태로 부착하고, 각 포크 가이드 통편(203,203) 속에 유동륜 지지 포크(204,204)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통과시키고, 양 포크(204,204)의 앞끝부 사이에 전방부 긴장 볼트 수용편(205)을 끼워 설치하고, 동 전방부 긴장 볼트 수용편(205)과 상기 포크 지지체(202)에 설치한 통형상의 후방부 긴장 볼트 수용편(215)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긴장 볼트(206)를 끼워 설치하는 한편, 양 포크(204,204)의 뒤끝부 사이에 유동륜 지축(1d)을 통해서 유동륜(1b)을 지지시키고 있다. 219는 이퀄라이저이다.
그리고, 전방부 긴장 볼트 수용편(205)은, 유동륜 지지 포크(204,204)의 앞끝부 사이에 연결핀(209,209)을 통해서 가설상(架設狀)으로 연결한 연결편(210)과, 동 연결편(210)의 후면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연결 볼트(211,211)를 통해서 연결한 긴장 볼트 수용 본편(本片)(212)을 구비하고 있고, 연결편(210)의 중앙부에 간섭 회피 구멍(213)을 형성함과 아울러, 긴장 볼트 수용 본편(212)의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 삽입통과구멍(21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긴장 볼트(206)는, 앞끝부가 볼트 삽입통과구멍(214) 속에 삽입통과되어, 동 앞끝부에 긴장 조절용 너트(216)를 나사 결합하는 한편, 뒤끝부가 통형상의 후방부 긴장 볼트 수용편(215) 속에 삽입통과되어, 동 뒤끝부에 빠짐방지용 너트(217)를 나사 결합하고 있다.
여기서, 긴장 조절용 너트(216)는, 간섭 회피 구멍(213) 속에 있어서 긴장 볼트 수용 본편(212)의 앞면(218)에 접촉시켜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긴장 조절용 너트(216)를 정ㆍ역회전시킴으로써, 유동륜 지지 포크(204,204)를 통해서 유동륜(1b)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 조절하여, 동 유동륜(1b)과 구동륜(1a) 사이에 감은 크롤러(1c)를, 긴장ㆍ이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크롤러(1c)에 이상한 긴장력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연결 볼트(211,211)가 절단되어서, 연결편(210)으로부터 긴장 볼트 수용 본편(212)이 떨어져, 긴장 볼트(206)에는 과잉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용 부품으로서 비교적 고가인 긴장 볼트(20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방진부를 통해서 엔진 룸 내에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도록 한 콤바인에 있어서, 방진부는, 외기를 받아들여서 사이클론풍을 형성함으로써 외기로부터 제진하는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동 사이클론풍 형성체 내에서 제진된 사이클론풍을 엔진 룸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풍로를 형성하는 도풍로 형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이클론풍 형성체에 의해 외기를 받아들여서 사이클론풍을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비중이 큰 대경의 먼지를 원심력 작용에 의해 미리 외기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ㆍ제거(제진)할 수 있다.
따라서, 청정화된 외기만을 방진용 망체를 통해서 도풍로에 유입시켜서, 동 도풍로를 통해서 엔진 룸 내에 도입되게 하면, 방진용 망체의 눈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진용 망체의 보수 관리에 수고를 요하지 않는데다가, 동 방진용 망체의 청소 없음에 의한 연속 작업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2)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도풍로 형성체를 연통하는 연통구부에 방진용 망체를 펼쳐 설치함과 아울러, 동 방진용 망체의 내측방에, 도풍로 형성체와 엔진 룸을 연통하는 도풍 도입구부를 배치하고, 또한, 동 도풍 도입구부와 상기 방진용 망체는, 도풍로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상호의 중합 면적이 가급적 크게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풍 도입구부와 상기 방진용 망체를, 도풍로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상호의 중합 면적이 가급적 크게 되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클론풍 형성체 내에 있어서 청정화된 외기를 방진용 망체 → 도풍로 → 도풍 도입구부 → 엔진 룸으로 바람처럼 도입할 때에, 도풍로에 있어서의 바람의 압손을 저감할 수 있어서, 바람을 부드럽게 엔진 룸 내에 받아 들일 수 있다.
그 결과, 도풍부의 풍로 폭을 좁게 할 수 있어서, 방진부를 폭이 좁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기기체의 좌우 폭을 단폭화할 수 있다.
(3)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도풍로 형성체를 연통하는 연통구부에 방진용 망체를 펼쳐 설치하고, 동 방진용 망체의 하부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오일 쿨러를 도풍로 형성체 내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방진용 망체의 하부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오일 쿨러를 도풍 로 형성체 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클론풍의 풍속이 빨라지는 방진용 망체의 하부의 풍속을 오일 쿨러의 배치에 의해 저감시켜서, 동 방진용 망체의 하부로의 먼지의 부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방진용 망체의 청소 없음에 의한 연속 작업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4)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엔진 룸의 후방에 곡립 저장용의 상부 탱크를 배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 내에 배치한 엔진의 흡기구에 흡기 경로 형성체를 연통 연결하고, 동 흡기 경로 형성체에 흡기 소음기를 설치함과 아울러, 동 흡기 소음기에 상기 상부 탱크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의 흡기구에 연통 연결한 흡기 경로 형성체에 흡기 소음기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흡기 경로 형성체에 외기를 흡입시킬 때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정신적 피로를 삭감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흡기 소음기에 상부 탱크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동 흡기 소음기에 상부 탱크의 지지부재로서의 기능도 겸용시킬 수 있어서, 별도로 지지부재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제조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방진부를 통해서 엔진 룸 내에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도록 한 콤바인에 있어서,
    방진부는, 외기를 받아들여서 사이클론풍을 형성함으로써 외기로부터 제진하는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동 사이클론풍 형성체 내에서 제진된 사이클론풍을 엔진 룸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풍로를 형성하는 도풍로 형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도풍로 형성체를 연통하는 연통구부에 방진용 망체를 펼쳐 설치함과 아울러, 동 방진용 망체의 내측방에, 도풍로 형성체와 엔진 룸을 연통하는 도풍 도입구부를 배치하고, 또한, 동 도풍 도입구부와 상기 방진용 망체는, 도풍로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에 상호의 중합 면적이 가급적 크게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이클론풍 형성체와 도풍로 형성체를 연통하는 연통구부에 방진용 망체를 펼쳐 설치하고, 동 방진용 망체의 하부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오일 쿨러를 도풍로 형성체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엔진 룸의 후방에 곡립 저장용의 상부 탱크를 배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 룸 내에 배치한 엔진의 흡기구에 흡기 경로 형성체를 연통 연결하고, 동 흡기 경로 형성체에 흡기 소음기를 설치함과 아울러, 동 흡기 소음기에 상기 상부 탱크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67011918A 2006-06-16 2003-12-18 콤바인 KR20060111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918A KR20060111578A (ko) 2006-06-16 2003-12-18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918A KR20060111578A (ko) 2006-06-16 2003-12-18 콤바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578A true KR20060111578A (ko) 2006-10-27

Family

ID=3762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918A KR20060111578A (ko) 2006-06-16 2003-12-18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5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9414B (zh) 收割机
JP582858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WO2012111233A1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WO2006011210A1 (ja) コンバイン
WO2017094585A1 (ja) 収穫機
JP2014176342A (ja) コンバイン
KR20060111578A (ko) 콤바인
JP4590564B2 (ja) コンバイン
CN100420365C (zh) 联合收割机
JP2019217793A (ja) コンバイン
WO2020195057A1 (ja) コンバイン
KR20060111577A (ko) 콤바인
JPH106796A (ja) コンバイン
WO1998046064A1 (fr) Dispositif pour moteur
JP4480531B2 (ja) コンバインの冷却構造
JP2011072288A (ja) コンバイン
JP2006204138A (ja) 脱穀装置の副選別風ファン
JP6534954B2 (ja) コンバイン
WO2018016322A1 (ja) コンバイン
JP2019165673A (ja) コンバイン
JP7479969B2 (ja) 作業車両
JP3705209B2 (ja) コンバインの通気構造
JP2014075993A (ja) コンバイン
JP2012092808A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3108911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