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153A -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153A
KR20060111153A KR1020050033574A KR20050033574A KR20060111153A KR 20060111153 A KR20060111153 A KR 20060111153A KR 1020050033574 A KR1020050033574 A KR 1020050033574A KR 20050033574 A KR20050033574 A KR 20050033574A KR 20060111153 A KR20060111153 A KR 20060111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color components
color component
image
cmyk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342B1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42B1/ko
Priority to US11/288,312 priority patent/US20060238782A1/en
Publication of KR2006011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halftone scre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는 영상소스로부터 입력받은 칼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칼라 성분 분리부, 분리된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N-비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프톤 영상을 생성하는 하프토닝 처리부 및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가능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배열한 후, 인쇄하는 인쇄 엔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CMYK 각각의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의 겹침 인쇄(dot-on-dot printing)가 최대한 방지되므로 보다 선명하고 부드러운 색상을 갖는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멀티레벨 하프토닝, CMYK, 겹침 인쇄, 도트, 펄스폭, 펄스 오프셋

Description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The image multitoning apparatus which minimizes dot overlap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N-비트 칼라 멀티레벨 하프토닝 방식에서 펄스폭 변조를 수행하여 멀티레벨을 표현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멀티레벨 칼라 프린팅 방식에서 하나의 픽셀내에 중복 배열되는 도트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인쇄 엔진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다치화 방법의 수행시 하나의 픽셀내에 도트들이 배열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300: 영상 다치화 장치 310: 칼라 성분 분리부
320: 하프토닝 처리부 330: 인쇄 엔진부
340: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 350: 펄스폭 산출부
360: 펄스 오프셋 산출부 370: 엔진 제어부
380: 인쇄부
USP 5689586 : Methods to Print N-tone images with Multi-Leveling Techniques, HP
본 발명은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의 겹침 인쇄(dot-on-dot printing)를 가능한 방지하여 높은 화질을 갖는 출력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영상 다치화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터, 복사기, 이진출력 LCD 등과 같은 이진출력장치에서는 실질적으로 흑과 백의 두 가지 색만으로 다양한 색감을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흑백 디지털 프린터의 경우, 모니터에서 보여지는 흑백영상을 흑과 백의 두 값으로만 표시한다. 이 때, 모니터에서 표시된 다양한 밝기의 흑백영상을 흑백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해서 프린터 또는 PC에서는 입력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요구된다. 즉, 각 픽셀이 가지는 색을 0에서 255 사이의 밝기값으로 나타낸 그레이 스케일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그레이 스케일의 이미지를 이진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여기서, 0(흑색)에서 255(백색) 사 이의 밝기 값을 가지는 영상을 계조영상이라 하며, 이 계조영상을 이진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하프토닝이라 한다.
종래에는 도트의 온(on)/오프(off)로 2계조만을 나타낼 수 있는 이진 하프토닝 기술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2계조 이상의 값을 표현하는 N-비트 칼라 멀티레벨 하프토닝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N-비트 칼라 멀티레벨 하프토닝에서는 2N개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잉크의 드롭 사이즈(drop size)를 조절하여 두 가지 이상의 계조를 표현하며, 레이저 프린터에서는 레이저 펄스 폭(laser pulse width) 또는 파워(power)를 조절하여 두 가지 이상의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종래의 N-비트 칼라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이용한 인쇄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소스로부터 입력된 CMYK 칼라 영상은 8비트로 이루어진 각각의 CMYK 칼라 성분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이 수행된다. C는 사이안(cyan), M은 마젠타(magenta), Y는 옐로우(yellow), B는 블랙(black)을 각각 의미한다. 멀티레벨 하프토닝 수행에 의해 N-비트의 하프톤 영상이 생성되고, N-비트의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펄스폭 및 펄스 오프셋이 산출된다. 이어서, 산출된 펄스 오프셋 및 펄스폭에 따라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가 각 픽셀 내에 배열되고, 인쇄작업이 수행된다.
도 1은 종래의 N-비트 칼라 멀티레벨 하프토닝 방식에서 펄스폭 변조를 수행하여 멀티레벨을 표현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트는 N-비트의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산출된 펄스 오프셋(a) 및 펄스폭(b)에 따라 도트가 배열된다.
도 2는 종래의 멀티레벨 칼라 프린팅 방식에서 하나의 픽셀내에 중복 배열되는 도트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겹쳐서 인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최종 칼라 출력물을 얻기 위해, 각각의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을 서로 겹쳐서 인쇄하게 되면, 칼라 성분 간의 상호 간섭 현상에 의해 출력물이 거칠어(noisy) 보이고, 색상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화질의 열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영상에서 각각의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의 겹침 인쇄(dot-on-dot printing)를 최대한 방지하여, 높은 화질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다치화 장치는 영상소스로부터 입력받은 칼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칼라 성분 분리부; 분리된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N-비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프톤 영상을 생성하는 하프토닝 처리부; 및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가능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배열한 후, 인쇄하는 인쇄 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쇄 엔진부는,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각 픽셀별로 존재하는 CMYK 칼라 성분의 개수를 확인하는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 복수의 하프톤 영상의 비트 수 N에 기초하여 펄스폭을 산출하는 펄스폭 산출부; 칼라 성분의 개수와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을 산출하는 펄스 오프셋 산출부; 및 산출된 펄스폭과 펄스 오프셋에 따라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을 각 픽셀 내에 배열하는 엔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쇄 엔진부는, 각 픽셀 내에 적응적으로 배열된 상기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에 대해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의 판단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적어도 3개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색상의 우선 순위 및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색상의 우선 순위는, (블랙)-M(마젠타)-C(사이안)-Y(옐로우) 및 K(블랙)-C(사이안)-M(마젠타)-Y(옐로우) 중 어느 하나의 순서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의 판단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오직 하나의 칼라 성분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중앙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N은, 1보다 크고 8보다 작은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칼라 성분 분리부 및 상기 하프토닝 처리부는, 화상형성장치 내에서 펌웨어로 구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호스트 기반 프린팅의 경우, 상기 칼라 성분 분리부 및 상기 하프토닝 처리부는, 호스트 내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다치화 방법은 영상소스로부터 입력받은 칼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제1 단계; 분리된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N-비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프톤 영상을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가능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배열한 후, 인쇄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각 픽셀별로 존재하는 CMYK 칼라 성분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의 비트 수 N에 기초하여 펄스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칼라 성분의 개수와 상기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펄스폭과 펄스 오프셋에 따라 상기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을 각 픽셀 내에 배열한 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적어도 3개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색상의 우선 순위 및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 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색상의 우선 순위는,
K(블랙)-M(마젠타)-C(사이안)-Y(옐로우) 및 K(블랙)-C(사이안)-M(마젠타)-Y(옐로우) 중 어느 하나의 순서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 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오직 하나의 칼라 성분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중앙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N은, 1보다 크고 8보다 작은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영상 다치화 장치(300)는 칼라 성분 분리부(310), 하프토닝 처리부(320), 및 인쇄 엔진부(330)를 포함한다. 영상 다치화 장치(300)의 일예로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가 있다. 칼라 성분 분리부(310) 및 하프토닝 처리부(320)는 화상형성장치 내에 펌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으나, 호스트 기반 프린팅의 경우 칼라 성분 분리부(310) 및 하프토닝 수행부(320)는 화상형성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접속된 호스트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칼라 성분 분리부(310)는 영상소스로부터 입력받은 CMYK 칼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칼라 성분을 하프토닝 처리부(320)에 제공한다. 여기서, C는 사이안(cyan), M은 마젠타(magenta), Y는 옐로우(yellow), B는 블랙(black)을 각각 의미한다.
하프토닝 처리부(320)는 분리된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N-비트의 하프톤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하프톤 영상을 인쇄 엔진부(330)에 제공한다. 여기서, N은 1보다 크고 8보다 작은 임의의 정수값이다. 한편, 하프토닝 기반 프린팅의 경우, 하프톤 영상은 호스트 내에서 생성되므로, 하프톤 영상은 프린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 내의 인쇄 엔진부(330)로 전송될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인쇄 엔진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인쇄 엔진부(330)는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340), 펄스폭 산출부(350), 펄스 오프셋 산출부(360), 엔진 제어부(370) 및 인쇄부(380)를 구비한다.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340)는 하프토닝 처리부(32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CMYK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픽셀별로 존재하는 CMYK 칼라 성분의 개수를 확인한다. 이 때,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와, 2개 이하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각각 다르게 도트 배치가 수행될 수 있다.
펄스폭 산출부(350) 및 펄스 오프셋 산출부(360)는 입력되는 멀티레벨 CMYK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펄스폭 및 펄스 오프셋을 산출한다. 펄스폭 산출부(350)는 CMYK 하프톤 영상의 비트 수 N에 기초하여 펄스폭을 산출한다. 펄스 오프셋 산출부(360)는 산출된 펄스폭과 CMYK 칼라 성분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각의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최대한 멀리 떨어질 수 있는 최적의 펄스 오 프셋을 적응적으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하는 이유는 도트들의 겹침 인쇄(dot-on-dot printing)를 최대한 방지하여 보다 선명하고 부드러운 색상을 갖는 출력물을 얻기 위함이다.
엔진 제어부(370)는 각각의 CMYK 하프톤 영상에 대응되는 도트들을 산출된 펄스 오프셋 및 펄스폭에 기초하여 각 픽셀 내에 위치시킨다. 인쇄부(360)는 엔진 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각 픽셀 내에 위치한 각각의 CMYK 하프톤 영상에 대응되는 도트들에 대해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영상소스로부터 칼라 성분 분리부(310)로 CMYK 칼라 영상이 입력된다(S510). 칼라 성분 분리부(310)는 입력 칼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을 추출하여, 각각의 CMYK 칼라 성분 별로 분리한다(S520).
이어서, 하프토닝 처리부(320)는 분리된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N-비트의 하프톤 영상을 생성한다(S530).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340)는 하프토닝 처리부(32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CMYK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픽셀별로 존재하는 CMYK 칼라 성분의 개수를 확인한다(S540).
S540 단계에서, 각각의 픽셀별로 존재하는 CMYK 칼라 성분의 개수가 확인되면, 펄스폭 산출부(350)는 CMYK 하프톤 영상의 비트 수 N에 기초하여 펄스폭을 산 출한다(S550). 예를 들어, CMYK 하프톤 영상의 비트 수가 2인 경우 펄스폭 산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트 수가 2인 경우 22개의 계조([00], [01], [10], [11])를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2진 계조 데이터 [00]을 픽셀 내에 도트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로 가정하면, 2진 계조 데이터 [00]에 대응되는 펄스폭은 0이고, 나머지 2진 계조 데이터 [01], [10], [11]에 대해서만 픽셀 내에 도트가 형성된다. 따라서, 3개의 2진 계조 데이터에 대해서만 픽셀 내에 도트가 형성되므로, 2진 계조 데이터 [11]에 대응되는 도트의 펄스폭을 3b로 가정하면, 2진 계조 [10] 및 2진 계조 [01]에 대응되는 펄스폭은 각각 2b 및 b가 된다.
한편, S540 단계에서 확인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S560), 펄스 오프셋 산출부(360)는 색상이 진한 칼라 성분의 순서와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각의 픽셀 내에서 서로 최대한 겹쳐지지 않도록 펄스 오프셋을 산출한다(S570). 엔진 제어부(370)는 설정된 펄스 오프셋과 펄스폭에 기초하여 각각의 픽셀 내에 도트들을 배열한다(S580).
여기서, 색상이 진한 칼라 성분의 순서란 K-M-C-Y 또는 K-C-M-Y의 순서를 의미한다. CMYK 칼라 성분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K-M-C-Y의 순서에 따른 도트 배열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랙(K) 칼라 성분과 마젠타(M) 칼라 성분에 각각 대응되는 도트들이 최대한 멀리 떨어져 위치되도록 배열한다. 즉, 블랙(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격자 내의 좌측단으로부터 형성되도록 제어되 고, 마젠타(M)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격자 내의 우측단으로부터 형성되도록 제어된다. 이어서,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이안(C) 칼라 성분과 옐로우(Y)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최대한 멀리 떨어져 위치되도록 배열한다. 즉, 사이안(C) 칼라 성분과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격자 내의 좌측단으로부터 형성되도록 제어되고, 옐로우(Y)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격자 내의 우측단으로터 형성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두 개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트들의 중복 방지를 위해 도트들이 각각의 픽셀 내에서 서로 최대한 겹쳐지지 않도록 펄스폭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도트들을 배열한다. 예를 들어,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2개의 칼라 성분인 블랙(K) 칼라 성분과 옐로우(Y)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펄스 오프셋 산출부(360)는 K-M-C-Y의 순서에 기초하여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블랙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가 픽셀 격자 내의 좌측단에 형성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옐로우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가 픽셀 격자 내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두 개의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각의 픽셀 내에서 서로 최대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엔진 제어부(370)는 산출된 펄스 오프셋과 펄스폭에 기초하여 픽셀 내에 도트를 배열한다(S580).
한편,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하나의 칼라 성분만이 존재하는 경우(S565), 도트의 중복을 고려함이 없이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가 픽셀의 중앙에 형성되도록 펄스 오프셋을 산출한다(S575). 이어서, 엔젠 제어부(370)는 산출된 펄스폭과 펄스 오프셋에 따라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가 픽셀 격자의 중앙에 형성되도록 배열된다(S580)
S580단계에서, 펄스폭과 펄스 오프셋에 따라 도트들이 각 픽셀 내의 소정 위치에 적응적으로 형성되면, 인쇄부(380)는 인쇄작업을 수행하여 입력 칼라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을 용지에 출력하게 된다(S59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다치화 방법의 수행시 하나의 픽셀내에 도트들이 배열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2를 비교해보면, 픽셀 내에서 각각의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간의 중첩이 종래보다 훨씬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CMYK 각각의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의 겹침 인쇄(dot-on-dot printing)가 최대한 방지되므로 보다 선명하고 부드러운 색상을 갖는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영상소스로부터 입력받은 칼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칼라 성분 분리부;
    분리된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N-비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프톤 영상을 생성하는 하프토닝 처리부; 및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가능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배열한 후, 인쇄하는 인쇄 엔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엔진부는,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각 픽셀별로 존재하는 CMYK 칼라 성분의 개수를 확인하는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의 비트 수 N에 기초하여 펄스폭을 산출하는 펄스폭 산출부;
    상기 칼라 성분의 개수와 상기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을 산출하는 펄스 오프셋 산출부; 및
    산출된 펄스폭과 펄스 오프셋에 따라 상기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을 각 픽셀 내에 배열하는 엔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픽셀 내에 적응적으로 배열된 상기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에 대해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의 판단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적어도 3개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색상의 우선 순위 및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의 우선 순위는,
    K(블랙)-M(마젠타)-C(사이안)-Y(옐로우) 및 K(블랙)-C(사이안)-M(마젠타)-Y(옐로우) 중 어느 하나의 순서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부의 판단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오직 하나의 칼라 성분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중앙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보다 크고 8보다 작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성분 분리부 및 상기 하프토닝 처리부는,
    화상형성장치 내에서 펌웨어로 구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호스트 기반 프린팅의 경우,
    상기 칼라 성분 분리부 및 상기 하프토닝 처리부는, 호스트 내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10. 영상소스로부터 입력받은 칼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제1 단계;
    분리된 각각의 8비트 CMYK 칼라 성분에 대해 멀티레벨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N-비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하프톤 영상을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가능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배열한 후, 인쇄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에 기초하여 각 픽셀별로 존재하는 CMYK 칼라 성분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프톤 영상의 비트 수 N에 기초하여 펄스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칼라 성분의 개수와 상기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펄스폭과 펄스 오프셋에 따라 상기 CMYK 칼라 성분에 대응하는 도트들을 각 픽셀 내에 배열한 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적어도 3개의 칼라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색상의 우선 순위 및 펄스폭을 고려하여 CMYK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들이 각 픽셀 내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적응적으로 펄스 오프셋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의 우선 순위는,
    K(블랙)-M(마젠타)-C(사이안)-Y(옐로우) 및 K(블랙)-C(사이안)-M(마젠타)-Y(옐로우) 중 어느 하나의 순서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성분 개수 판단 결과,
    4개의 CMYK 칼라 성분 중 오직 하나의 칼라 성분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칼라 성분에 대응되는 도트는 픽셀 중앙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보다 크고 8보다 작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KR1020050033574A 2005-04-22 2005-04-22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74A KR100693342B1 (ko) 2005-04-22 2005-04-22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
US11/288,312 US20060238782A1 (en) 2005-04-22 2005-11-29 Image multitoning apparatus to minimize dot overlap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574A KR100693342B1 (ko) 2005-04-22 2005-04-22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53A true KR20060111153A (ko) 2006-10-26
KR100693342B1 KR100693342B1 (ko) 2007-03-09

Family

ID=3718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574A KR100693342B1 (ko) 2005-04-22 2005-04-22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38782A1 (ko)
KR (1) KR100693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8746B2 (ja) * 2005-11-28 2011-1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吐出タイミング決定方法
WO2016045751A1 (en) 2014-09-26 2016-03-31 Hewlett-Packard Indigo B.V. Reduce merging of adjacent printing dots on a photosensitiv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607A (ja) * 1996-04-10 1997-10-28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8782A1 (en) 2006-10-26
KR100693342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5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correct an image during double-sided printing
US20030090728A1 (en) Tone dependent plane dependent error diffusion halftoning
JP4945361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cpu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20113477A1 (en) Laser print apparatus with dual half tones
EP1503575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or reduction
US2013002162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83551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fine line of high quality
US2011029885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30077102A1 (en) Image data conversion unit
CA2349314C (en) Multi-level semi-vector error diffusion
US20030090686A1 (en) Printer control unit, printer control method, printer control program, medium storing printer control program, printer, and printing method
US8159720B2 (en) Color error diffusion
US7315398B2 (en) Multi-level error diffusion with color image data
KR100693342B1 (ko) 도트의 중첩을 최소화하는 영상 다치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2305288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70009B2 (en) Selection of halftoning technique based on microstructure detection
US10674036B2 (en) Selection of halftoning technique
JP4259254B2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印刷データ作成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データ処理方法
JP2001333288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JP2016046793A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物の生産方法
US1183655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ith generation of correction target value based on print density
JP2004186910A (ja) 誤差拡散階調生成方法、階調画像顕示方法、誤差拡散階調画像顕示方法および階調生成エンコーダ
JP727723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6236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07096B2 (ja) カラー画像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