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010A -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010A
KR20060111010A KR1020050033285A KR20050033285A KR20060111010A KR 20060111010 A KR20060111010 A KR 20060111010A KR 1020050033285 A KR1020050033285 A KR 1020050033285A KR 20050033285 A KR20050033285 A KR 20050033285A KR 20060111010 A KR20060111010 A KR 20060111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se
surveillance camera
camera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010A/ko
Publication of KR2006011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전면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와 결합하여 외관을 구성하고 벽면에 장착을 위한 체결 공이 형성되는 베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50)의 양단에는 벽면 모서리에 장착을 위한 모따기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모따기부(60)에는 모서리 체결공(62)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체결공(62)에는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나사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나사 홈(63)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설치기구 없이 감시장치를 벽면모서리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치과정이 단순해지며 비용면에서도 종래의 감시장치에 비해 저렴해진다. 또한, 감시장치를 모서리에 최대한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통행자들의 눈에 잘 띄지않아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더욱이 감시카메라의 경우 비교적 화각이 좁은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면상의 왜곡현상이 줄어든다.
감시장치, 화각, 렌즈, 거치대

Description

감시장치{supervisory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감시카메라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및 배면도.
도 2a는 벽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종래 감시카메라를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벽체 모서리에 설치되는 종래 감시카메라의 구성을 이루는 베이스의 배면도 및 거치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구성을 이루는 모서리 체결공을 도시한 상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가 벽면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가 평면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케이스 42 : 렌즈구멍
50 : 베이스 52 : 벽면 체결공
54 : 케이블 통로 60 : 모따기부
62 : 모서리 체결공 63 : 나사홈
64 : 체결나사 66 : 벽면
본 발명은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에 장착되어 그 주변을 감시하는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장치는 중요시설물 또는 건물통로 등에 설치되어 시설물 등의 이용자가 누구인지 또는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감시장치의 예로는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카메라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감시센서 등이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감시카메라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감시카메라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2a는 벽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종래 감시카메라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b는 벽체 모서리에 설치되는 종래 감시카메라의 구성을 이루는 베이스의 배면도 및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1)에 설치되는 종래 감시카메라는 카메라의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본체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렌즈구멍(12)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10)와 결합하는 베이스(2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베이스(20)를 벽체(21)에 고정하기 위한 벽체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벽체 체결공(22)을 통해 벽체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베이스(20)에 상기 케이스(10)가 결합되어 상기 감시카메라가 벽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벽체고정 감시카메라는 카메라가 감시해야할 범위가 180°로 넓다. 따라서 상기 범위를 촬영하기 위해서 화각이 넓은 렌즈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화각이 넓은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왜곡(화면상 돋보기를 보고 있는 듯한 화상)이 심하여 양질의 화면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는 감시해야 할 범위가 비교적 좁은 벽체(21)의 모서리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종래 감시카메라를 벽체(21)의 모서리부분에 그대로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별도의 설치기구를 이용하여 벽체(21)의 모서리에 설치해야 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모서리에 설치되는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별도의 설치장치 즉, 거치대(30)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상기 거치대(30)에는 벽체(21)에 부착을 위한 거치대 고정부(31)가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 고정부(31)는 벽체 모서리의 경사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 고정부(31)에는 거치대 고정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 고정부(31)는 상기 거치대(30)를 벽체(21)에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거치대 고정부(31)에는 상기 감시카메라를 지지하는 몸체(33)가 연결되 어 있다. 상기 몸체(33)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되지만 공통적으로 상기 감시카메라를 거치대 고정부(31)와 결합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를 돌출시키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33) 끝에는 카메라 고정부(34)가 형성되어 상기 감시카메라를 고정시킨다. 상기 카메라 고정부(34)는 카메라 고정공(35)이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의 배면과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종래의 벽체 모서리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는 기본적으로 평면벽체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거치대(30)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20)의 배면에 거치대 결합면(36)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 결합면(36)에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 고정공(35)에 대응하는 거치대 결합공(37)이 형성된다.
종래의 감시카메라를 벽체의 모서리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거치대 고정공(32)을 통해 상기 거치대 고정부(31)를 벽면에 나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에 형성된 거치대 결합면(36)과 상기 카메라 고정부(34)를 각각의 상기 거치대 결합공(37)과 상기 카메라 고정공(35)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결합한다. 그런 후에 상기 케이스(10)를 베이스(20)와 결합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카메라를 벽체에 설치할 경우, 상기 카메라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감시해야 하고, 따라서 화각이 넓은 렌즈를 사용해야 한다. 이때, 화각이 넓은 렌즈가 사용되면 화면상 돋보기를 보고 있는 듯한 화면의 왜곡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면의 왜곡현상을 없 애면서도 상대적으로 넓은 감시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카메라를 벽체모서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카메라를 벽면의 모서리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거치대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의 설치가 복잡해지고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별도의 설치기구를 이용하므로 상기 카메라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통행자들의 눈에 띄기 쉬워 통행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설치기구 없이 벽면이나 벽면 모서리에 설치가 가능한 감시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대한 벽면 모서리에 밀착시켜 설치가 가능한 감시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전면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외관을 구성하고 벽면에 장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는 벽면 모서리에 장착을 위한 모따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모따기부에는 모서리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체결공에는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나사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는 별도의 설치기구 없이 감시장치를 벽면 모서리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의 경우 비교적 화각이 좁은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면상의 왜곡현상이 줄어들고 양질의 화면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벽면 모서리에 설치시에도 설치기구가 이용되지 않으므로 설치과정이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감시장치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지 않고, 벽면 모서리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통행자들에게 인식되기 힘들다. 따라서 통행자들은 자신들이 감시당하고 있다는 불쾌감을 갖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구성을 이루는 모서리 체결공을 도시한 상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카메라는 그 전면을 케이스가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40)는 그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 본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구멍(42)이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의 렌즈는 화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렌즈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평면렌즈가 사용된다.
상기 케이스(40)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40)와 결합가능한 베이스(50)가 위치 한다. 상기 베이스(50)는 판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를 따라 테두리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50)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체결공(52)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감시카메라가 평면벽에 설치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50)에는 카메라 본체의 케이블이 밖으로 배출되도록 케이블통로(54)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베이스(50)는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감시카메라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50)의 양 측면에는 양 측면 테두리의 모서리를 잘라낸 형태의 모따기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모따기부(60)는 상기 감시카메라가 설치될 벽면모서리의 각에 따라 그 잘라진 면을 연장하는 가상의 선이 형성하는 각도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각도는 90˚가 된다. 상기 모따기부(60)는 상기 감시카메라를 모서리부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4c에 보이듯이 상기 모따기부(60)에는 상기 베이스(50)를 벽면모서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서리 체결공(62)이 형성되는데, 상기 모서리 체결공(62)의 말단부에는 나사홈(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홈(63)에는 체결나사(64)가 체결된다. 상기 나사홈(63)은 체결나사의 말단부에 대응하여 원뿔 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사홈(63)은 상기 체결나사(64)가 벽면(66)에 고정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64)는 상기 모서리 체결공(62)을 통과하여 벽면(66)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50)를 벽면(66)에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가 벽면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을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가 평면벽에 설치된 모습을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베이스(50)를 벽면(66)에 밀착 시키고 상기 모따기부(60)에 형성된 모서리 체결공(62)에 체결나사(64)를 넣고 돌려 체결한다. 이때, 체결나사(64)를 모서리 체결공(62)에 형성된 나사홈(63)에 끝을 맞추고 체결한다. 상기 나사홈(63)이 체결나사(64)의 체결위치를 안내해 주므로 체결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한다. 한편, 상기 모따기부(60)의 나사홈(63)부분은 그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상기 체결나사(64)를 체결시키는 힘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체결나사(64)가 벽면(66)에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따기부(60)는 상기 벽면(66)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벽면(66)에 최대한 밀착되고 모서리 내부에 인접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64)는 상기 벽면(66)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벽체가 목재 등인 경우 상기 체결나사(64)는 일반적인 나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벽체가 콘크리트인 경우 콘크리트용 못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0)를 벽면(66)에 고정시키고, 카메라 본체가 내장되어 있는 케이스(40)를 상기 베이스(5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감시카메라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벽면에 직접 고정되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시카메라는 모서리부 뿐만 아니라 평면벽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감시카메라를 평면벽에 설치하는 경 우 상기 베이스(50)에 형성된 벽면 체결공(52)에 나사 또는 못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50)를 벽면(66)에 고정한다. 그 이후에 상기 케이스(40)를 상기 베이스(50)에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감시카메라를 평면벽에 설치하면 상기 감시카메라가 감시해야할 범위가 넓어져 사각지역이 넓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평면벽이 아닌 벽면의 코너에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는 별도의 설치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감시장치를 벽면 또는 벽면모서리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장치가 감시해야할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벽면 모서리에 설치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감시카메라의 경우 비교적 화각이 좁은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면상의 왜곡현상이 줄어들고 양질의 화면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는 평면벽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벽면 모서리에 설치시에도 설치기구가 이용되지 않으므로 설치과정이 단순해지고, 비용면에서도 종래의 감시장치에 비해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감시장치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지 않고, 벽면 모서리 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통행자들에게 인식되기 힘들다. 따라서 통행자들은 자신들이 감시당하고 있다는 불쾌감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적어도 전면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외관을 구성하고 벽면에 장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는 벽면 모서리에 장착을 위한 모따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벽면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따기 부에는 모서리 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체결공에는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나사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나사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모따기부의 형태는 상기 모따기부가 이루는 면의 가상의 연장선이 형성하는 각도가 직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KR1020050033285A 2005-04-21 2005-04-21 감시장치 KR20060111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285A KR20060111010A (ko) 2005-04-21 2005-04-21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285A KR20060111010A (ko) 2005-04-21 2005-04-21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010A true KR20060111010A (ko) 2006-10-26

Family

ID=3761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285A KR20060111010A (ko) 2005-04-21 2005-04-21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0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78Y1 (ko) * 2007-12-13 2010-06-28 주식회사 블랙박스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한 감시카메라
KR20170069169A (ko) * 2015-12-10 2017-06-20 엑시스 에이비 감시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78Y1 (ko) * 2007-12-13 2010-06-28 주식회사 블랙박스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한 감시카메라
KR20170069169A (ko) * 2015-12-10 2017-06-20 엑시스 에이비 감시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964B2 (en) Wall plate having internal nose for electrical cable
US8118269B2 (en)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a hinge assembly
US6525790B1 (en) Liquid crystal module mounting structure
US7211798B2 (en) Occupancy wall sensor
US8398316B2 (en) Security camera assembly
US6905103B2 (en) Display apparatus
US20050212958A1 (en) Mini-camera with an adjustable structure
KR20060111010A (ko) 감시장치
CA2672303C (en) Security camera assembly
JP4504732B2 (ja) 監視カメラ用のカメラ取付装置
KR100726424B1 (ko) 감시카메라 고정장치
JP3266874B2 (ja) カウンターの取付け構造
JP2007180771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化粧パネル取付構造
KR101996047B1 (ko) 디스플레이의 설치 높이 조절이 용이한 스마트 미러 조립체
JP3199676B2 (ja) 透光性プレートの取付構造
JP6210361B2 (ja) 照明器具
WO2019028688A1 (zh) 框架组件及显示设备
JP2003262073A (ja) 見切材および見切材の取付構造
JP7187349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設置構造
JP2001067012A (ja) 表示モジュール及びその取付構造
JPH08436Y2 (ja) サニタリールームユニットの壁・水平状パネルの連結部材
KR20160094730A (ko)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 설치용 브라켓트
JP2023141148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の設置構造
JP3186184B2 (ja) 吊金具の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960006729A (ko) 회로기판 지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