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907A -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907A
KR20060110907A KR1020050032674A KR20050032674A KR20060110907A KR 20060110907 A KR20060110907 A KR 20060110907A KR 1020050032674 A KR1020050032674 A KR 1020050032674A KR 20050032674 A KR20050032674 A KR 20050032674A KR 20060110907 A KR20060110907 A KR 2006011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it
keys
display unit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239B1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토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토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토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05003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23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08Configuration, initialisation
    • H04Q3/54516Initialization, software or data download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1Pc I-O input output
    • G05B2219/21109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s I-O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키 및 카드 키와 같은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중인 키의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불필요한 등록 행위를 개선하고 다수의 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키를 등록할 때 각각의 개별 ID를 부여하는 수단과, 상기 ID를 알림 또는 디스플레이부 장치로 키의 ID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수단과, 분실된 키의 ID를 확인하고 등록된 정보를 삭제하는 수단을 제공하므로 키의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은 몰론, 키 입력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LED, 전자키,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Digital door lock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자키를 통해서 원하는 ID를 등록하는 단계를 나타낸 작업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자키를 통해서 원하는 ID를 삭제하는 단계를 나타낸 작업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증단계를 나타낸 작업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러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LED로 연결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러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FND로 연결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러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LCD로 연결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를 RF부로 형성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를 터치키로 형성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를 생체인식부로 형성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디스플레이부 11. 키 입력부
12. 메인 컨트롤러부 13. 전원부
14. 동작버튼 15. 모터구동
16. CPU 17. 메모리부
18. 통신모듈 19. 주변제어부
20. 터치키부
본 발명은 전자키 및 카드 키와 같은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한 디지털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의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불필요한 등록 행위를 개선하고, 다수의 키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최초 키를 등록할 때 각각의 개별 ID를 부여 하고, 상기 ID를 알림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의해 각각의 키의 ID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등록된 어느 한 키를 분실한 경우, 불편하게 분실하지 않은 나머 지 키 전체를 또 다시 등록할 필요 없이 분실한 키의 ID를 확인한 후, 등록된 정보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키를 재차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가 소지하게 되는 다수의 키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디지털 도어 장치들은 다수의 키(지문, 전자키, 무선, 카드 키)로 구분되어 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 사무실 등에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열쇠에 의한 개폐방식, 다이얼에 의한 개폐방식, 그리고 키입력에 의한 개폐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방식 중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키입력에 의한 개폐방식이며, 이는 도어록에 소정의 킷값을 미리 입력한 상태에서 그 입력된 값을 버튼부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 도어가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때, 문이나 원하는 장치에 설치 후 다수의 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어 장치의 특징 메모리에 키를 등록(입력)시켜야 출입이 가능하고, 등록되는 다수의 키는 구분 없이 일괄적으로 한번에 연속으로 등록하게 되는 이유로, 기존의 제품들은 사용 중에 등록된 어느 한 키를 분실하게 되는 경우, 상기 등록된 키의 정보들 중에서 분실된 키의 정보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제품의 키 분실에 따른 해결책은 분실된 키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키를 또 다시 연속하여 등록한 다음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폐단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중인 키의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불필요한 등록 행위를 개선하고 다수의 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잔자키와 카드 키의 개별 관리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 장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키를 등록할 때 각각의 개별 ID를 부여하는 수단과, 상기 ID를 알림 또는 디스플레이부 장치로 키의 ID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수단과, 분실된 키의 ID를 확인하고 등록된 정보를 삭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자키를 통해서 원하는 ID를 등록하는 단계를 나타낸 작업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자키를 통해서 원하는 ID를 삭제하는 단계를나타낸 작업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인증단계를 나타낸 작업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인 컨트롤러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LED로 연결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인 컨트롤러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FND로 연결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서 사용되는 메인 컨트롤러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LCD로 연결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키 입력부를 RF부로 형성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키 입력부를 터치 키로 형성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키 입력부를 생체인식부로 형성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사용하는 키의 분실에 따른 사용자의 불필요한 등록 행위를 개선하고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최초 키를 등록할 때 각각의 개별 ID를 부여하고, 상기 ID를 알림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의해 각각의 키 ID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 후, 등록된 어느 한 키를 분실하더라도 분실하지 않은 나머지를 키 전체를 또 다시 등록 할 필요 없이, 분실된 키의 ID를 확인하고 등록된 정보를 삭제 한 후,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먼저 사용자 자신의 ID를 키 입력부(11)에 입력시키는 수단과,
상기 입력된 키의 정보는 ID 데이터에 입력된 후, 기억 저장하는 메모리 제어 메인 컨트롤러부(12)에 의해 제어되는 수단과,
상기 키 입력부(11)는 터치키 부, RF 카드. 생체인식 부 등으로 각각 구분될 수 있는 수단과,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하여 입력된 ID의 삭제 및 등록은 키를 외부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LED(Light. Emitting. Diode), FND(Flexible. Numer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각각 구분되어 키의 ID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메인 컨트롤러부(12)와 연결되는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ID를 메인 컨트롤러부(12)에 등록시키고자 할 때는 도 4와 같이 등록버튼(미도시됨)을 사용하여 전자 키를 통한 등록 ID를 입력하는 단계와, 키 입력부(11)를 통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부(10) 창에 등록 ID를 표시하는 단계와, LED·부저·스피커로 등록 알림의 단계를 통하여 ID를 메인 컨트롤러부(12)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키를 통한 등록 ID입력은 전자키를 통해서 원하는 등록 ID를 입력하는 구성이며, 또한 키 입력부(11)는 전자키, RF 카드, 터치키 그리고 생체인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상기 키 입력부(11)를 통하여 입력된 ID는 디스플레이부(10) 창에 표시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입력된 ID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삭제버튼(미도시됨)을 사용하여 번호키를 통한 삭제 ID 입력단계와, 상기 ID에 따른 개별 삭제 및 전체 삭제의 단계와, 디스플레이 창에 삭제 ID 부분이 표시되는 단계와, 이를 LED·부저·스피커로 삭제 알림의 단계를 통하여 ID를 삭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키를 통해서 원하는 삭제 ID를 입력하게 되고, 원하는 ID에 따라 개별 삭제를 할 수 있으며, 전체 삭제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12)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10) 창은 FND 또는 LCD가 될 수 있으며, 삭제 결과는 LED, 부저 그리고 스피커로 알려질 수 있다.
상기한 ID인증 부분은 도 6과 같이 삭제버튼(미도시됨)을 사용하여 키 입력부(11)를 통한 사용자 확인단계와, 디스플레이부(10) 창에 인증 유무표시 단계와, 부저&스피커로 인증 알림단계를 통하여 인증을 완료하게 되며, 이때 메인 컨트롤러부(12)와 연결된 키 입력부(11)를 통한 사용자 확인단계에 있어서, 키 입력부는 전자키. RF 카드. 터키키 그리고 생체인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 창에 인증 유무표시의 수단은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 ID를 표시하고, 실패를 하면 에러 표시를 하도록 구성함은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하다. 부저&스피커로 인증을 알리는 수단은 삭제 결과를 LED, 부저 그리고 스피커로 알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 중에 등록된 어느 한 키를 분실하더라도 불편하게 분실하지 않은 나머지 키 전체를 또 다시 등록할 필요없이, 분실된 키의 ID를 확인하고 등록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만이 소유한 자신의 ID(Identificakion)를 식별할 수 있는 개별ID를 부여하며, 상기 부여된 개별 ID는 메인 컨트롤러부(12)를 통하여 키 입력부(11)에 저장하게 되고, 상기 키 입력부(11)는 전자키, RF 카드, 생체인식 등의 수단에 의해 식별되는 신호의 입력으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한 개별ID는 알림(Voice음, 뷰즈음) 또는 디스플레이부(LED, FND, LCD)장치 등으로 각각의 키 ID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12)에 연결되는 것은 당연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 및 동작버튼(14), 기계장 치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15) 또한, 메인 콘트롤러부(12)와 연결되어 신호를 저장,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입력된 ID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에는 먼저 키의 ID를 선택한 후, 삭제시킴과 함께 선택된 키의 ID를 디스플레이부(10) 창에 표시하게 되고, ID 등록시작은 우선 등록 키 ID(순서)를 선택한 후, 사용을 원하는 키 특정 메모리에 입력시키게 됨과 아울러 등록 키의 ID가 디스플레이부(10) 창에 표시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디스플레이부(10)는 LED, FND, LCD로 형성되어 메인 컨트롤러부(12)와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는 전자키, RF 카드, 생체인식으로 형성되어 메인 컨트롤러부(12)와 연결되어 등록된 어느 한 키를 분실하더라도 불편하게 분실하지 않은 나머지 키 전체를 또 다시 등록할 필요 없이 분실된 키의 ID를 확인하고 등록된 정보를 삭제 및 재입력을 할 수 있어 번거러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중에 등록된 어느 한 키를 분실하더라도 불편하게 분실하지 않은 나머지 키 전체를 또 다시 등록할 필요 없이, 분실된 키의 ID를 확인하고 등록된 정보를 삭제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키의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키 입력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통상의 비빌번호 키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에 비빌번호 키를 입력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도어가 개폐되는 도어록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에 부여되는 번호를 등록할 때 개별 ID를 각각 부여하는 수단과,
    상기 각각의 ID는 알림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키의 ID를 사용자가 직접확인할 수 있는 수단과,
    상기 키의 분실이 발생되면 분실된 키의 ID를 확인하고 등록된 정보를 삭제와 함께 분실되지 않은 나머지 키 전체를 또 다시 등록 하지 않아도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터치키 부로 구성하여 분실된 키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직접 삭제함과 아울러 나머지 키 정보는 또 다시 등록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RF 카드로 구성하여 분실된 키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직접 삭제함과 아울러 나머지 키 정보는 또 다시 등록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생체인식부로 구성하여 분실된 키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직접 삭제함과 아울러 나머지 키 정보는 또 다시 등록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ID신호는 LE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ID신호는 FN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ID신호는 LC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KR1020050032674A 2005-04-20 2005-04-20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KR10064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74A KR100646239B1 (ko) 2005-04-20 2005-04-20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74A KR100646239B1 (ko) 2005-04-20 2005-04-20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981U Division KR200390678Y1 (ko) 2005-04-20 2005-04-20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07A true KR20060110907A (ko) 2006-10-26
KR100646239B1 KR100646239B1 (ko) 2006-11-23

Family

ID=3761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74A KR100646239B1 (ko) 2005-04-20 2005-04-20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733B1 (ko) * 2007-07-09 2008-01-21 주식회사 인피러스 복수의 rfid 스펙을 지원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101008765B1 (ko) * 2010-06-17 2011-01-14 김상민 디지털 도어락에 구비되는 rf카드 인식용 인쇄회로패턴
CN102767313A (zh) * 2012-06-29 2012-11-07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屏幕显示的光控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651B2 (ja) * 1985-05-30 1994-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用エピタキシヤル絶縁膜とその製造方法
KR0134000B1 (ko) * 1994-04-19 1998-04-25 하재홍 전자식 도어키와 그 키에 의한 전자식 도어개폐시스템
KR100307665B1 (ko) 1997-05-23 2001-10-19 하재홍 전자정보키시스템
KR100577928B1 (ko) * 2004-04-22 2006-05-10 주식회사 아이레보 전자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잠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733B1 (ko) * 2007-07-09 2008-01-21 주식회사 인피러스 복수의 rfid 스펙을 지원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101008765B1 (ko) * 2010-06-17 2011-01-14 김상민 디지털 도어락에 구비되는 rf카드 인식용 인쇄회로패턴
CN102767313A (zh) * 2012-06-29 2012-11-07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屏幕显示的光控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239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81427U (zh) 一种电子信息锁
CN107143214A (zh) 一种应用于电子锁的智能触屏密码生成装置
CN103765500B (zh) 可编程显示器
JP5380053B2 (ja) ロッカ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925971B1 (ko) 중앙접근제어유닛
KR100646239B1 (ko)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KR101131663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출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90678Y1 (ko)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KR101153945B1 (ko) 출입문 도어락 개폐 시스템
KR100706943B1 (ko) 전자 도어록 장치
US20080134318A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KR19990009306A (ko) 도어 록장치
JP2010126915A (ja) 電子錠装置、ロッカー装置及び電子錠装置の制御方法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KR100411392B1 (ko) 핸드 헬드 프로그래머를 구비한 도어 보안장치
JPH0893288A (ja) 鍵管理装置
KR102546283B1 (ko) 전자 키 보관장치
KR20050029017A (ko)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CN207988699U (zh) 智能门锁
KR100544586B1 (ko) 출입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 락 및 출입 내역 정보를확인하는 방법
JP2010024726A (ja) 錠前制御装置、収納庫、および錠前制御方法
JP2006188888A (ja) メッセージ表示機能付電気錠及び該電気錠を用いた電気錠システム
JP2007063858A (ja) 入館権限情報システム
JP2004225514A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020091465A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라커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