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017A -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017A
KR20050029017A KR1020030065032A KR20030065032A KR20050029017A KR 20050029017 A KR20050029017 A KR 20050029017A KR 1020030065032 A KR1020030065032 A KR 1020030065032A KR 20030065032 A KR20030065032 A KR 20030065032A KR 20050029017 A KR20050029017 A KR 2005002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ingerprint
door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선
심영석
김덕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큐원
Priority to KR102003006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017A/ko
Publication of KR2005002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0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저전력소모마이컴, 지문인식모듈 및 지문센서모듈을 구성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은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고,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에 공급하는 저전력소모마이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공급받은 전원을 지문센서모듈에 공급하는 지문인식모듈; 및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 상기 지문인식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지문인증 후에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도록 하는 지문센서모듈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은 지문인식도어록의 동작시점에만 저전력소모마이컴에 의해 전원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Fingerprint recognition door lock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저전력소모마이컴, 지문인식모듈 및 지문센서모듈을 구성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체나 학교에서 사용하는 출입통제장치 및 그 방법들은 키에 의하여 출입자를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도어록 또는 도어록 자체에 디지털 형식을 취하는 디지털 도어록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록에 신호를 주어 개개인의 출입을 통제한다. 또한, 연구소나 기업체의 부서별 출입자 통제를 위하여 개인정보를 카드에 담아서 카드에 일정한 정보가 코드기에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만 출입을 허가하는 알에프(RF, 이하 RF) 카드식의 출입통제장치 및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문인식록킹장치를 다음과 같이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지문인식록킹장치의 전체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지문인식록킹장치는 전체적으로 외실측 출입벽면의 아웃케이싱(220)에는 지문인식창(70), 지문인식모듈센서(200), 제2표시부(20), 배선연결부(170), 지문인식제어부(210) 및 키패드(30)를 포함하는 리더기(80)로 구성되고, 내실측의 출입벽면 인너케이싱 (230)에 설치한 메모리부(240), 입출력부(260) 및 중앙처리장치(250)를 포함하는 주제어부(100)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출입통제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지문인식록킹장치의 아웃케이싱(220)과 비디오폰(120)을 1대 1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지문인식록킹장치의 아웃케이싱(220)과 비디오폰(120)은 주제어부(100)에 RS-422로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RS-422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의 유효거리는 1.2km까지 가능하다. 상기 아웃케이싱(220)과 비디오폰(120)은 주제어부 (100) 당 총 8개를 동시에 링크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주제어부(100)는 호스트 PC(90)와 연결되는데, 상기 호스트 PC(90)는 도어의 상태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고, 도어를 원격조종할 수 있도록 하며, 출입자 출입현황의 파악과 침입자 발생시 감시기능을 한다. 상기 주제어부(100)와 호스트 PC(90)는 TCP/IP 또는 RS-422로 서로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과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호스트 PC(90) 1대당 주제어부(100)를 최고 32개까지 링크가 가능하며, 실시예로 주제어부(100) 32개를 링크시켰을 때, 지문인식록킹장치의 아웃케이싱 (220)과 비디오폰(120)은 각각 256대의 링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 (100)에는 도어록(110)이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록(110)은 주제어부(100) 한 개당 최대 4개 까지 링크가 가능하다.
도 1과 같이, 상기 지문인식제어부(210)는 키패드(30), 지문인식창(70), 지문인식모듈센서(200), 제2표시부(20) 및 카메라부(180)와 링크된다.
상기 키패드(30)는 아웃케이싱(220)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출입자나 관리자가 기등록된 비밀번호 입력이나 신규 등록시에 사용되는 수단으로써, 1에서 0까지의 숫자판이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관리 시스템이 출입자의 반응을 요구시에 사용하는 엔터(enter)키가 포함된다. 또한, 초인종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콜키(call key) (40)가 설치된다.
상기 지문인식창(70) 및 지문인식모듈센서(200)는 출입자나 관리자가 출입을 위해 미리 등록된 자신의 지문을 인증받거나 신규 지문등록이 가능한 창으로써 호스트 PC(90) 및 주제어부(100)에 스캔된 지문 중 어느 일측의 이랑과 융기부의 특징벡터를 검출하여 신호로 전달한다.
상기 제 2표시부(20)는 키패드(30), 지문인식창 및 지문인식모듈센서(200)에서 등록 또는 인증의 상태를 표출하는 창으로써, 후방에 벡라이트(190)를 설치한 LCD 모니터를 사용한다. 상기 제2표시부(20)는 접근의 허여 또는 불허의 표출과 기타 사용자의 출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아웃케이싱(2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스피커(60)와 마이크(50)는 내실에 위치한 관리자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아웃케이싱(220) 상단에 카메라부(180)가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원을 시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문인식창(70), 지문인식모듈(200), 카메라부(180) 및 키패드(30)에서 입력된 지문벡터와 영상신호, 텍스트 신호는 지문인식제어부(210)로 입력된다. 상기 지문인식제어부(210)는 각각 형태의 신호를 수렴하는 배선연결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배선연결부(170)는 통신부(160) 및 비디오폰(120)과 링크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부(180)의 카메라(10), 스피커(60) 및 마이크(50)와도 직접 링크된다.
상기 비디오폰(120)은 카메라부(180)에서 입력된 출입자의 상태를 영상으로 파악이 가능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폰(120)은 외부의 출입자 상태를 영상으로 표출하는 제 1표시부(140)를 가지고 있으며, 키패드(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표시부(140)는 제 2표시부(20)와 마찬가지로 LCD 방식을 채택한다.
상기 배선연결부(170)는 주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영상신호, 텍스트 신호 및 지문벡터를 전달하는데, 상기 주제어부(100)는 전원부(13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배분하며, 통신부(160)와 연결되어 TCP/IP가 가능하도록 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제어부(100)는 그 자체에 중앙처리 장치, 메모리부 상에 지문인식프로그램, 등록지문 데이터베이스, 출입자관리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내포하고 있으며, 출입 요청자의 지문벡터신호와 텍스트신호 형식의 비밀번호를 자체 식별하여 도어록(110)의 자동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 (100)는 저장된 메모리와 테이터를 호스트 PC(90)에 인가한다.
상기 호스트 PC(90)는 관리자가 실외의 출입요청자의 출입 상태를 실시간 파악하도록하고, 출입인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접근의 허가와 불허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문인식록킹장치는 지문인식모듈은 고성능 CPU가 사용되는 고기능 시스템이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전력소모가 많은 고성능 부품들을 사용해야만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21938호와 제2001-0103187호에서도 지문인식 기능을 가진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저전력소모마이컴을 이용한 전원제어를 통하여 현저하게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문인식도어록에 저전력소모마이컴, 지문인식모듈 및 지문센서모듈을 구성하여 지문인식도어록의 동작시점에 저전력소모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되도록 하는 지문인식도어록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고,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에 공급하는 저전력소모마이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공급받은 전원을 지문센서모듈에 공급하는 지문인식모듈; 및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 상기 지문인식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지문인증 후에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도록 하는 지문센서모듈로 이루어진 지문인식도어록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저전력소모마이컴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입력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는 단계; 및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입력전원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에 공급하고 지문센서모듈이 상기 지문인식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지문인증 후에,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인식도어록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지문인식도어록은 외부전원의 공급 없이 배터리로 구동되는 저전력시스템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문인식모듈은 고성능 CPU가 사용되는 고기능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은 부품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문인식도어록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저전력소모마이컴을 메인 파워 콘트롤러로 사용하여 지문인식이 필요한 경우에만 지문인식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소개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서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 및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로 구분하여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지문인식모듈(1600), 지문센서모듈(1800) 및 모터구동모듈(2000)은 각각 지문인식모듈전원(1500), 지문센서모듈전원(1700) 및 모터구동모듈전원(190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모듈전원들을 제어하는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은 입력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배터리(1000)전원 및 비상전원 (1100)은 입력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지문인증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입력전원으로부터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지문인식모듈(1600)과 지문센서모듈(180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지문인증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의 제어에 의해 모터구동모듈전원(1900)으로부터 모터구동모듈(2000)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가 열리게 된다.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지문인증의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지문인식모듈전원(1500)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1600)을 작동시킨다. 지문인식모듈(1600)은 다시 지문센서모듈전원(1700)을 제어하여 지문센서모듈(1800)을 작동시켜 지문인증을 하게 된다. 지문이 인증되면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의 제어에 의해 모터구동모듈(20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가 열리게 된다.
상기의 경우들에 있어서 절전모드(1300)의 경우 도어록이 동작되지 않을 때에는 전원공급이 되지 않고 지문커버, 키커버, 다이얼버튼, 암호화기구물, 오픈스위치 및 무선리모컨오픈입력 등의 도어록의 동작이 시작될 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약 30μA의 전류가 흘러 전력소모가 현저히 줄어든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만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의 제어에 의해 지문인식모듈 (16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지문센서모듈(1800)이 동작하도록 하고,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또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지문인식모듈(1600)과 지문센서모듈(180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즉, 지문인식도어록의 전체적인 제어는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에서 제어하고,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은 각 모듈이 동작되는 시점에 전원을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한다.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은 8비트로 구성되므로 32비트 또는 16비트로 구성되는 지문인식모듈(1600)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 전류가 적게 흘러 전력의 소모가 크게 줄어든다. 상기 지문인식모듈(1600)에 흐르는 전류는 약 200mA임에 비하여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에 흐르는 전류는 약 20mA로서 저전력소모마이컴(1400)의 지문인식도어록에의 활용은 전력소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은 지문인식도어록의 동작시점에만 저전력소모마이컴에 의해 전원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문인식록킹장치의 전체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출입통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카메라 20: 제2표시부
30: 키패드 40: 콜키
50: 마이크 60: 스피커
70: 지문인식창 80: 리더기
90: 호스트 PC 100: 주제어부
110: 도어록 120: 비디오폰
130: 전원부 140: 제1표시부
150: 배터리 160: 통신부
170: 배선연결부 180: 카메라부
190: 벡라이트 200: 지문인식모듈센서
210: 지문인식제어부 220: 아웃케이싱
230: 인너케이싱 240: 메모리부
250: 중앙처리장치 260: 입출력부
1000: 배터리전원 1100: 비상전원
1200: 메인 전원 1300: 절전모드
1400: 저전력소모마이컴 1500: 지문인식모듈전원
1600: 지문인식모듈 1700: 지문센서모듈전원
1800: 지문센서모듈 1900: 모터구동모듈전원
2000: 모터구동모듈

Claims (4)

  1.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모터구동모듈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지문인식모듈전원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저전력소모마이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지문을 인식하고 지문센서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지문인식모듈; 및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지문을 인증하여 등록된 지문일 경우에만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도록 하는 지문센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은 절전모드 선택시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도어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 입력은 지문커버, 키커버, 다이얼버튼, 암호화기구물, 오픈스위치 및 무선리모컨오픈입력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도어록.
  4.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저전력소모마이컴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모터구동모듈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도어를 열 경우에는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지문인식모듈전원을 제어하여 지문인식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지문센서모듈이 상기 지문인식모듈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지문을 인증하여 등록된 지문일 경우에만 상기 저전력소모마이컴이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구동모듈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도어록의 전원제어방법.
KR1020030065032A 2003-09-19 2003-09-19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050029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32A KR20050029017A (ko) 2003-09-19 2003-09-19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32A KR20050029017A (ko) 2003-09-19 2003-09-19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017A true KR20050029017A (ko) 2005-03-24

Family

ID=3738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032A KR20050029017A (ko) 2003-09-19 2003-09-19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0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49B1 (ko) * 2005-05-03 2006-12-13 (주)대양디앤티 홈네트워크 연동 방범 도어록시스템
CN110544331A (zh) * 2019-08-06 2019-12-06 广州穗通金融服务有限公司 一种电子密码锁通电开锁系统及其方法
KR20210024822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스마트 자물쇠
CN114202828A (zh) * 2021-04-27 2022-03-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锁的控制方法、装置、智能锁和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49B1 (ko) * 2005-05-03 2006-12-13 (주)대양디앤티 홈네트워크 연동 방범 도어록시스템
CN110544331A (zh) * 2019-08-06 2019-12-06 广州穗通金融服务有限公司 一种电子密码锁通电开锁系统及其方法
KR20210024822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스마트 자물쇠
CN114202828A (zh) * 2021-04-27 2022-03-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锁的控制方法、装置、智能锁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CN201681427U (zh) 一种电子信息锁
CN108412315A (zh) 一种智能门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360601B1 (ko) 지문인증과 비밀번호 인증 겸용방식을 채용한 도어록/언록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JP6218671B2 (ja) 自動ドアの電子錠制御システム
CN213365596U (zh) 一种楼宇对讲主机
KR20050029017A (ko) 지문인식도어록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CA23432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door lock operation
JP7009181B2 (ja) 扉制御システム
KR101169442B1 (ko) 스마트폰 기능의 통합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CN210460402U (zh) 一种基于信息交互技术的家用防盗门
KR100476179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KR2003003470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근태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8389305A (zh) 智能门禁系统
KR20110090635A (ko)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KR20080085108A (ko) 근태관리용 출입문 통제장치
Reddy et al. IoT Based Smart Door Lock System
KR100411392B1 (ko) 핸드 헬드 프로그래머를 구비한 도어 보안장치
CN112669506A (zh) 基于生物特征识别的电子门牌装置及门禁管理方法
KR100799837B1 (ko)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
KR20060110907A (ko) 다수의 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장치
KR100431757B1 (ko) 블루투스를 탑재한 pda를 이용한 원격 출입관리 및 제어 방법
JP6917601B1 (ja) 扉開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