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794A -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794A
KR20060110794A KR1020060035169A KR20060035169A KR20060110794A KR 20060110794 A KR20060110794 A KR 20060110794A KR 1020060035169 A KR1020060035169 A KR 1020060035169A KR 20060035169 A KR20060035169 A KR 20060035169A KR 20060110794 A KR20060110794 A KR 20060110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hamber
housing
sound
out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488B1 (ko
Inventor
도모하루 무까사
가즈히또 호리
히로이찌 이시까와
간지 요꼬미조
다꾸야 마끼노
노리까즈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기체의 토출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분류 발생 장치 및 이를 탑재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류 발생 장치(10)는 상부에 직사각형의 구멍(1b)이 개방된 하우징(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의 구멍(1b)의 주위에는 탄성 지지 부재(6)가 장착되고, 이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진동판(3)이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의 상부에는 진동판(3)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5)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의 측면(1a)에는 챔버(11) 내의 공기가 하우징(1)의 외부에 배치된 히트 싱크(20)를 향해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2)이 부착되어 있다. 진동판(3)을 진동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최대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어 인간에게 있어서 들리기 힘든 주파수가 되도록 노즐(2)의 개구의 길이(L), 개구 면적(S), 챔버(11)의 용적(V)이 설정되어 있다
노즐, 챔버, 하우징, 진동판, 액튜에이터, 히트 싱크

Description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JET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와 히트 싱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3은 인간의 청감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8은 도7에 도시한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31, 41, 51, 61, 71, 81, 91, 101, 111 : 하우징
2, 2a, 2b, 12a, 12b, 22 : 노즐
3 : 진동판
10, 30 : 분류 발생 장치
11, 92, 102, 112 : 챔버
11a : 제1 챔버
11b : 제2 챔버
20 : 히트 싱크
31a, 41a, 41b, 51a, 61a, 61b, 71a, 71b, 81a, 81b, 91a, 101a, 111a : 개구
91b, 101b, 111b, 111c : 단부
91b, 101b : 단부
92 : 챔버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23871호 공보(도2)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4760호 공보(도1)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213200호 공보(도1)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3-116961호 공보(도3)
본 발명은 기체의 분류를 발생시키는 분류 발생 장치 및 이 분류 발생 장치 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PC(Personal Computer)의 고성능화에 수반하는 IC(Integrated Circuit) 등의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의 증대가 문제가 되고 있고, 여러가지 방열의 기술이 제안되고, 혹은 제품화되어 있다. 그 방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IC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 핀을 접촉시켜, IC로부터의 열을 핀에 전도시켜 방열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팬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PC의 하우징 내의 따뜻해진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제하여, 주위의 저온의 공기를 발열체 주변으로 도입함으로써 방열하는 방법도 있다. 혹은 방열핀과 팬을 병용함으로써, 방열핀으로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면서, 팬에 의해 방열핀 주위의 따뜻해진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제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팬에 의한 공기의 강제 대류에서는, 방열핀의 하류측에서핀 표면의 온도 경계층이 생성되어, 방열핀으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빼앗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팬의 풍속을 높여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풍속을 높이기 위해 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팬의 베어링 부분으로부터의 소음이나, 팬으로부터의 바람이 발생시키는 풍절음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송풍 수단으로서 팬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온도 경계층을 파괴하여 방열핀으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기로 빠져나가게 하는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진동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3, 4 참조). 이들 장치 중, 특히 특허문헌 3 및 4의 장치는 챔버 내를 공간적으로 개략 이분하는 진동판과, 진동판을 지지하고 챔버에 설치된 탄성체와,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진동판이 상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에는, 챔버의 상부 공간의 부피가 감소하므로, 상부 공간의 압력이 상승한다. 상부 공간은 흡배기구를 통해 외기와 연통하고 있으므로, 상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의해 그 내부 공기의 일부가 외기 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이 때, 진동판을 사이에 두고 상부 공간과 반대측에 있는 하부 공간의 부피는 반대로 증가하므로, 하부 공간의 압력이 하강한다. 하부 공간은 흡배기구를 통해 외기와 연통하고 있으므로, 하부 공간의 압력 감소에 의해 흡배기구 근방에 있는 외기의 일부가 하부 공간 내부에 인입된다. 이와는 반대로, 진동판이 하부 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에는 챔버의 상부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므로, 상부 공간의 압력이 하강한다. 상부 공간은 흡배기구를 통해 외기와 연통하고 있으므로, 상부 공간의 압력 하강에 의해 흡배기구 근방에 있는 외기의 일부가 상부 공간 내부에 인입된다. 한편 이 때, 진동판을 사이에 두고 상부 공간과 반대측에 있는 하부 공간의 체적은 반대로 감소하므로, 하부 공간의 압력은 상승한다. 하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의 일부가 외기 중으로 방출된다. 진동판의 구동은 예를 들어 전자기 구동 방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진동판을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챔버 내의 공기가 외기로 배출되는 동작과, 외기가 챔버 내로 흡기되는 동작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이와 같은 진동판의 주기적인 왕복 운동에 의해 유기되는 공기의 맥류가 방열핀(히트 싱크) 등의 발열체에 내뿜어짐으로써, 방열핀의 표면에 있는 온도 경계층이 효율적으로 파괴되어, 결과적으로 방열핀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23871호 공보(도2)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4760호 공보(도1)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213200호 공보(도1)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3-116961호 공보(도3)
최근 IC의 고클럭화에 의해 발생하는 열량은 증가의 일로를 걷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 발열에 의해 방열핀 부근에 형성되는 온도 경계층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그 IC나 방열핀을 향해 지금까지보다 다량의 공기를 송입해야만 한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4에 기재되어 있는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진동판을 이용하는 공기 배출 방법에서는,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 함으로써 공기의 토출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 할수록 소음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어, 실용적으로는 소음이 신경이 쓰이지 않는 작은 진폭으로 동작시켜야만 한다.
이 소음의 원인의 하나는, 진동판의 왕복 운동에 의해 챔버 내의 기압이 주기적으로 변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음파이다. 이 음파가 챔버의 벽면을 진동시키거나, 혹은 흡배기구를 통해 음파가 외기 중으로 전파함으로써, 외기 중에 진동판의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음파가 방출된다. 따라서 진폭을 크게 할수록 이 소리에 의한 소음이 문제가 된다.
소음의 또 하나의 원인은, 진동판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의 흐트러짐에 의한 기류음이다. 진폭을 크게 할수록 왕복 운동하는 공기의 최대 유속이 커지기 때문에, 챔버 내부이며,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는 구조체(예 를 들어, 구동 수단이나 흡배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류의 흐트러짐, 혹은 흡배기구를 고속으로 통과하는 공기류나 흡배기구 외부의 공기류의 흐트러짐에 의해 발생된 기류음에 의한 소음이 문제가 된다.
진동판의 왕복 운동에 의한 공기 진동이 음파가 되어 발생하는 소음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및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특허문헌 3 및 4의 각각의 제2 페이지 좌측 하부란), 진동의 주파수를 가청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저감시킬 수 있지만, 주파수를 낮출수록 단위 시간당 공기 배출량이 적어지게 된다(공기 배출량은 진동판의 진폭, 유효 단면적 및 주파수의 곱에 비례함). 반대로 가청 영역 외의 높은 주파수에서 진동시키면,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 진동계의 진폭-주파수 특성에 의해 진동판의 진폭이 현저히 저하되어, 단위 시간당 공기 배출량이 역시 적어지게 된다. 한편, 챔버 내부의 공기류의 흐트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음은 진동판의 진동 주파수가 아닌, 진동판의 최대 속도에 의존하므로, 진동의 주파수를 가청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만 하는 수단으로는 억제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의 토출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혹은 냉각 능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분류 발생 장치 및 이를 탑재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는 기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에 연통하여 상기 기체를 포함하는 제1 챔버를 갖고, 상기 진동체를 지지하 여, 상기 진동체가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중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키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진동체가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중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절한 그 주파수를 설정하면, 기체의 토출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진동체가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라 함은, 진동체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제1 챔버 내의 기압이 주기적으로 변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음파이다(이하, 제1 소리라 함). 혹은, 진동체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의 흐름의 흐트러짐에 의한 기류음이다(이하, 제2 소리라 함).
소정의 주파수라 함은, 예를 들어 1 ㎐ 이상이며, 1 ㎑ 미만이다. 혹은, 소정의 주파수라 함은, 6 ㎑ 이상이며 40 ㎑ 미만이다. 1 ㎐보다 작으면, 단위 시간당 기대하는 최저의 기체 토출량을 얻을 수 없다. 또한, 40 ㎑ 이상은 진폭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기체는 예를 들어 공기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질소, 헬륨 가스, 혹은 아르곤 가스, 그 밖의 기체라도 좋다.
구동부의 구동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기 작용, 압전 작용 또는 정전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상기 소정의 주파 수가 되도록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부여된 상기 기체가 상기 제1 개구부에서 토출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 및 상기 제1 챔버의 용적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1 개구부는 상기 방향을 따라 제1 개구 면적이 대략 일정한, 즉 굵기가 거의 일정한 관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속이 C[m/s], 상기 용적이 V[㎥], 상기 개구 면적의 등가원 반경이 r[m], 상기 제1 개구부의 수가 n, 상기 길이가 L[m]인 경우,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1000 등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헬름홀츠의 공명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 미만, 또는 소정의 주파수 이상이 되도록 하우징이 구성되면 좋다.
등가원 반경이라 함은, 개구 면적분의 영역을 형성하는 형상이 원이면 그 반경이고, 원 이외,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면, 그 직사각형분의 면적을 갖는 원으로 그 직사각형을 치환하였을 때의 상기 치환된 원의 반경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에 연통하여 상기 진동체에 대해 상기 제1 챔버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를 포함하는 제2 챔버를 갖고,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거쳐서 교대로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개구부를 거쳐서 교대로 상기 기체가 토출되는 경우, 특히 각 개구부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제2 소리의 위상이 역위상이므로, 각 음파는 상쇄된다. 따라서, 더욱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상기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부여된 상기 기체가 상기 제2 개구부에서 토출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제2 개구부의 길이,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 및 상기 제2 챔버의 용적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표면의 제1 및 제2 개구부 사이에 설치된 구획판을 갖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개구부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에, 서로의 개구부 사이에서 기체가 출입하게 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열체에 내뿜어지는 기체량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의 각 개구 면적의 등가원 반경이 거의 동일한 r[m],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 사이의 거리가 d[m], 상기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의 파장이 λ[m]인 경우, 3r ≤ d < λ/2를 충족시킨다. 거리(d)는 각 개구부의 대략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따라서, 제1 개구부의 모서리부로부터 제2 개구부의 모서리부까지의 거리를 d2라 하면, 상기 식은, r ≤ d2 < λ/2가 된다. 3r ≤ d로 함으로써, 서로의 개구부 사이에서 기체가 출입하게 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 < λ/2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각 개구부로부터 발생한 음파일수록 최대 진폭끼리에서 보강하는 부위가 없어지므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챔버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 단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기체가 유출 및 유입될 때의 기류가 원활해져 제2 소리의 소음 레벨이 저감된다.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마련되고,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 단부를 갖고 있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혹은, 상기 제1 챔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2 단부를 갖고 있으면, 더욱 기류가 원활해지는 것이 예상된다. 하우징이 제2 챔버 및 이에 연통하는 제2 개구부를 갖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노즐을 갖고,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1 노즐의 폭이 좁아지는 제1 경사면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1 개구부로부터 기체가 토출될 때에 노즐 주위의 기체가 휩쓸려 들어가기 쉬워진다. 즉 합성 분류의 기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우징이 제2 챔버 및 이에 연통하는 제2 개구부를 갖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발열체와, 기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에 연통하여 상기 기체를 포함하는 제1 챔버를 갖고, 상기 진동체를 지지하고, 상기 진동체가 진 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중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상기 발열체를 향해 토출시키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전자 기기로서는, 컴퓨터(퍼스널 컴퓨터의 경우, 랩탑형이라도 좋고, 데스크탑형이라도 좋음),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전자 사전, 카메라,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비주얼 기기, 휴대 전화, 게임 기기, 그 밖의 전화 제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발열체로서는, 예를 들어 IC나 저항 등의 전자 부품, 혹은 방열핀(히트 싱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발열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와 히트 싱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분류 발생 장치(10)는 상부에 직사각형의 구멍(1b)이 개방된 하우징(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의 구멍(1b) 주위에는 직사각형의 탄성 지지 부재(6)가 장착되고, 이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진동체로서의 진동판(3)이 지지되어 있다. 진동판(3), 탄성 지지 부재(6) 및 하우징(1)에 의해 챔버(11)가 형성된다. 하우징(1)의 측면(1a)에는 챔버(11) 내의 공기를 하우징(1)의 외부에 배치된 히트 싱크(20)를 향해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2)이 부착되어 있다. 노즐(2)은 하우징(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우징(1)의 상부에는 진동판(3)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5)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의 요크(8)의 내측에 진동판(3a)의 진동 방향(R)에 착자(着磁)된 마그넷(14)이 내장되고, 마그넷(14)에는 예를 들어 원판 형상의 요크(1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마그넷(14), 요크(8 및 18)에 의해 자기 회로가 구성된다. 마그넷(14)과 요크(8) 사이의 공간에는 코일(17)이 권취된 코일 보빈(9)이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액튜에이터(5)는 보이스 코일 모터가 된다. 액튜에이터(5)에는 급전선(16)이 접속되어 있다. 급전선(16)은 커버(4)에 부착된 단자(24)를 거쳐서 예를 들어 구동용 IC 등의 제어 회로(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회로(13)로부터 액튜에이터(5)에 전기 신호가 공급된다.
요크(8)는 하우징(1)의 상부를 덮는 커버(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마그넷(14)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요크(8)로부터 커버(4)로 확산하는 것을 막는 관점에서, 요크(8)와 커버(4)를 다른 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 보빈(9)은 진동판(3)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튜에이터(5)에 의해 진동판(3)을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1)은 예를 들어 수지, 고무,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다. 수지나 고무는 성형으로 제작하기 쉬워 양산에 적합하다. 또한, 수지나 고무의 경우, 소리의 감쇠율도 높아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량화에 대응할 수 있어 저비용이 된다. 금속으로서는, 하우징(1)의 방열을 고려하면, 열전도성이 좋은 구리나 알루미늄이 좋다. 커버(4)의 재료도, 예를 들어 수지, 고무, 금속, 또는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 및 커버(4)의 재료는 각각 같은 것이라도 좋고, 다른 재료라도 좋다. 탄성 지지 부재(6)는 예를 들어 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
진동판(3)은 예를 들어 수지, 종이, 고무,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진동판(3)의 형상은 도시하는 평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스피커에 탑재되는 진동판과 같은 콘 형상이라도 좋다. 혹은 입체적인 형상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류 발생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액튜에이터(5)에 예를 들어 정현파의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판(3)은 정현파 진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챔버(11) 내의 용적이 증감한다. 챔버(11)의 용적 변화에 수반하여, 챔버(11)의 압력이 변화함으로써 노즐(2)로부터 공기의 흐름이 맥류로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진동판(3)이 챔버(11)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하면, 챔버(11)의 압력은 감소한다. 이에 의해 노즐(2)을 거쳐서 하우징(1) 외부의 공기가 챔버(11) 내로 유입한다. 반대로, 진동판(3)이 챔버(11)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하면, 챔버(11)의 압력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챔버(11) 내에 있는 공기가 노즐(2)을 거쳐서 외부로 분출되어, 히트 싱크(20)에 그 공기가 내뿜어진다. 노즐(2)로부터 공기가 분출될 때에 노즐(2) 주위의 기압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주위의 공기가 노즐(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휩쓸려 들어가게 된다. 즉, 이것이 합성 분류이다. 이와 같은 합성 분류가 히트 싱크(20)에 내뿜어짐으로써 히트 싱크(20)를 냉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하우징(1)이, 진동판(3)이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중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절하게 그 주파수를 설정하면, 공기의 토출 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진동판(3)이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라 함은, 진동판(3)의 왕복 운동에 의해 챔버(11) 내의 기압이 주기적으로 변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음파이다(이하, 제1 소리라 함). 제1 소리는 주로, 예를 들어 챔버(11) 내의 기압이 주기적으로 변동함으로써, 하우징(1)이나 커버(4) 등에 그 진동이 전달되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이다. 진동판(3)이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중 다른 하나는, 진동판(3)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의 흐름의 흐트러짐에 의한 기류음이다(이하, 제2 소리라 함). 제2 소리는 주로 노즐(2)로부터 공기가 토출될 때에 발생하는 기류음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제1 소리 및 제2 소리 중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하우징(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음 레벨이라 함은, 음압 레벨을 인간의 청감 특성에 맞추도록 보정한 레벨을 말한다.
도3은 인간의 청감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JIS 규격으로 규정된 등 라우드니스 곡선(A 특성의 것)이고, 20[㎐] 내지 20[㎑]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사람이 동일한 음압 레벨에 노출되었을 때에 어느 정도의 크기로 들리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즉, 1[㎑]의 음파를 기준으로 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가 얼마만큼의 크기로 들리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동일한 음압 레벨이라도, 1[㎑]의 소리에 비해 50[㎐]의 소리는 30[dB] 작게 들리는, 즉「소음 레벨」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압 레벨(Lp)[dB]은 이하의 식 (1)로 정의된 다.
Lp = 20log(p/p0) …식 (1)
(p는 음압 [㎩], p0은 기준 음압[20 μ㎩]임)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상기 최대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의 주파수가 1 [㎐] 이상이고 1[k㎐] 미만으로 하면 된다. 1[㎑] 내지 6[㎑]의 주파수는, 인간에게 있어서 비교적 소음이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1[㎑] 미만으로 하면, 소음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1[㎐]보다 작으면, 단위 시간당 기대한 최저의 기체 토출량을 얻을 수 없다.
혹은 1[㎐] 이상 500[㎐] 미만, 또는 1[㎐] 이상 20[㎐] 미만이어도 좋다. 500[㎐] 미만이면, 도3의 그래프로부터 1[㎑]일 때보다 3[dB] 이상 음압 레벨이 내려가 상당히 소음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20[㎐] 미만은 인간의 가청 범위 외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1[㎑] 내지 6[㎑]의 주파수는, 인간에게 있어서 비교적 소음이 크게 느껴지기 때문에, 6[㎑] 이상이고 40[㎑] 미만이면 된다. 40 ㎑ 이상의 경우, 진폭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혹은, 10[㎑] 이상 40[㎑] 미만, 또는 20[㎑] 이상 40[㎑] 미만이라도 좋다. 10[k㎐] 이상이면, 1[㎑]일 때보다 3[dB] 이상 음압 레벨이 내려가 상당히 소음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20[㎑] 이상은 인간의 가청 범위 외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은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상기한 바와 같은 주파수가 되도록,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2)의 길이(개구의 길이)(L)[m], 그 개구 면적[노즐(2)의 유로 단면적이고, 구체적으로는 노즐(2)의 상기 길이의 방향에는 대략 수직인 면의 면적임)(S)[㎡], 및 챔버(11)의 용적(V)[㎥]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음속이 C[m/s], 상기 개구의 개구면의 반경이 r[m], 개구의 수[노즐(2)의 수]가 n인 경우, 하기의 식 (2) 내지 (7)을 충족시키면 된다.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1000 …식 (2)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500 …식 (3)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20 …식 (4)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6000 …식 (5)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10000 …식 (6)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20000 …식 (7)
즉, 헬름홀츠의 공명 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 미만, 또는 소정의 주파수 이상이 되도록 하우징이 구성되면 좋다. 이들 식 (2) 내지 식 (7)의 우변의 수의 의의는 상기한 이유와 마찬가지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이후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10)의 부재나 기능 등에 대해 같은 것은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30)의 하우징(21) 내부에는 진동판(3) 및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구획되어 제1 챔버(11a) 및 제2 챔버(11b)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1)에는 제1 및 제2 챔버(11a 및 11b)에 각각 연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노즐(2a 및 2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류 발생 장치(30)에서는, 액튜에이터(5)에 예를 들어 정현파의 교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진동판(3)이 진동한다. 진동판(3)이 진동함으로써 각 챔버(11a 및 11b) 내의 압력이 교대로 증감하여, 노즐(2a 및 2b)을 거쳐서 교대로 공기가 출입한다. 즉, 제1 챔버(11a)로부터 노즐(2a)을 거쳐서 하우징(21) 외부로 공기가 토출될 때에는, 외부로부터 노즐(2b)을 거쳐서 제2 챔버(11b)로 공기가 유입한다. 반대로, 제2 챔버(11b)로부터 노즐(2b)을 거쳐서 하우징(21) 외부로 공기가 토출될 때에는, 외부로부터 노즐(2a)을 거쳐서 제1 챔버(11a)로 공기가 유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30)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최대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의 주파수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소음이 억제되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챔버(11a) 및 제2 챔버(11b)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발생하는 제1 소리 또는 제2 소리의 주파수가 상기한 1 ㎐ 이상이며 1[㎑] 미만 등의 주파수 범위에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1 챔버(11a) 및 제2 챔버(11b)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 상기 식 (2) 내지 식 (7)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즐(2a 및 2b)로부터 공기가 분출될 때에, 예를 들어 각 노즐(2a) 및 노즐(2b)로부터 독립적으로 소리가 발생한다. 이 소리는 상기 제1 소리로 종별된다. 그러나, 각 노즐(2a) 및 노즐(2b)에서 발생하는 각 음파는 역위상의 음파이므로 상쇄된다. 이에 의해, 소음이 억제되어 한층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챔버(11a 및 11b)의 용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량도 동일해져 정음화가 향상된다.
도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의 (A) 및 도5의 (B)에 대해, 각각 좌측도가 정면도, 우측도가 측면도이다. 도5의 (A)에 도시하는 하우징(1)에 설치된 복수의 노즐(22)은 그 개구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도5의 (B)에 도시하는 하우징(1)에 설치된 복수의 노즐(32)은 그 개구의 형상이 타원형이다. 이들과 같은 형상의 노즐의 경우, 상기 개구 면적을 고려할 때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면 그 직사각형의 면적과 같은 면적을 갖는 원의 반경(r)을 생각한다.
도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의 (A)에 도시하는 하우징(31)에는 관 형상의 개구(31a)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31a)가 노즐의 기능을 한다. 즉, 노즐 형상의 것이 아닌, 단순히 하우징(31)에 관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만으로도 좋다.
도6의 (B)는 도4에서 도시한 챔버가 2개 있는 하우징을 도시한다. 이 하우징(41)의 2개의 챔버에 각각 개구(41a 및 42b)가 연통되어 있다.
도6의 (C)에 도시하는 하우징(51)은 그 개구(51a)를 형성하는 노즐 부분에 경사면(51b)이 설치되어 있다. 즉, 챔버의 외부를 향해 그 노즐의 도면 중 세로폭 이 좁아지도록 경사면(51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구(51a)로부터 기체가 토출될 때에 노즐 주위의 기체가 휩쓸려 들어가기 쉬워진다. 즉 합성 분류의 기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 중, 세로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아닌, 혹은 이 경사면(51b)에 부가하여 도면 중 가로폭(지면에 수직 방향)의 노즐의 폭이 좁아지는 다른 경사면이 있어도 좋다.
도6의 (D)는 도6의 (B)와 같은 2개의 챔버에 연통하는 개구(61a 및 61b)가 있고, 또한 도6의 (C)와 같은 경사면(61c)이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7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하우징(71)에는 예를 들어 개구(71a) 및 개구(71b)가 각각 복수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71)은 예를 들어 도6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챔버를 내부에 갖고, 이들 각 챔버에 개구(71a 및 71b)가 각각 연통되어 있다.
지금, 각 개구(71a 및 71b)의 개구 면적이 대략 동일하며, 그 등가원 반경을 r이라 한다. 이 경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71a 및 71b) 사이의 거리(d1)[개구(71a 및 71b)의 중심간 거리]는 r의 3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도면 중, d2가 r의 1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구(71a)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때는, 개구(71b)로부터 공기가 하우징(1)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개구(71a와 71b)의 위치가 지나치게 가까운 경우, 개구(71a)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개구(71b)로부터 유입하게 되어, 도시하지 않은 발열체에 내뿜어지는 공기의 양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3r ≤ d1로 함으로써, 그와 같 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각 개구(71a 및 71b)로부터 발생하는 예를 들어 제2 소리의 파장이 λ[m]인 경우, d1 < λ/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개구(71a 및 71b)의 개구면의 중심이 각각의 음원이라 하면, d1 < λ/2의 경우, 각 개구(71a 및 71b)로부터 발생한 음파의 대략 최대 진폭끼리에서 보강하는 부위가 없어지므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매체가 공기인 경우에 음속이 340[m/s] 전후인 경우, 인간의 가청 범위의 소리의 파장은 1.7[㎜] 내지 17[m] 정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하우징(7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우징(81)에 형성된 개구(81a 및 81b) 사이에 구획판(81c)이 부착되어 있다. 이 구획판(81c)은 하우징(81)과 동일한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서로의 개구(81a 및 81b) 사이에서 공기가 출입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81a 및 81b) 사이의 거리는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1배 이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1배보다 좁아도 좋다.
도9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91) 내의 챔버(92)로부터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개구(91a)가 그 챔버(92)측의 단부(91b)에서 상기 챔버(92)를 향해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챔버(92)로부터 공기가 유출 및 유입할 때의 기류가 원활해져, 제2 소리의 소음 레벨이 저감된다.
도9의 (B)에 도시하는 하우징(101)의 개구(101a)에서는, 챔버(102)와는 반대 측 단부, 즉 외부측 단부(101b)가 그 외부측을 향해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기류를 원활하게 하여, 제2 소리의 소음 레벨이 저감된다.
또한, 도9의 (C)에 도시하는 하우징(111)의 개구(111a)는 양단부(111b 및 111c)가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더욱 기류가 원활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1에서 도시한 하우징(1)은 직육면체 형상이지만, 그 밖에 원통 형상이나 삼각 기둥 형상이라도 좋다. 하우징(1)의 형상이 그와 같은 원통 형상, 즉 그 평면 형상이 예를 들어 원인 경우, 진동판(3)도 원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자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에서 도시한 평판 형상의 요크(18)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이다. 그러나, 원이 아니라도 타원이나, 직사각형이라도 좋다. 한편, 진동판(3a)의 형상도 도시에서는 직사각형이지만, 액튜에이터(5)의 평면 형상과 유사한 원형이어도 좋다.
도9의 (A) 내지 도9의 (C)에 있어서, 단부(91b, 101b, 111b 및 111c)는 도면에서는 각각 곡면으로 하였지만, 평면인 경사면인 테이퍼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각 실시 형태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6의 (B)에서 도시한 2개의 챔버의 개구(41a 및 41b)의 단부를 도9의 (A) 내지 (C)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도6의 (C) 또는 도6의 (D)에서 도 시한 하우징(51 또는 61)의 개구(51a) 등을 도9의 (A) 내지 도9의 (C)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혹은, 도4에서 도시한 하우징(1)의 노즐(2a와 2b)의 개구 사이의 거리가 도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d1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의 토출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혹은 냉각 능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5)

  1. 기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에 연통하여 상기 기체를 포함하는 제1 챔버를 갖고, 상기 진동체를 지지하여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중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키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상기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부여된 상기 기체가 상기 제1 개구부에서 토출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 및 상기 제1 챔버의 용적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가,
    1[㎐] 이상 1[㎑] 미만,
    1[㎐] 이상 500[㎐] 미만,
    1[㎐] 이상 20[㎐] 미만,
    6[㎑] 이상 40[㎑] 미만,
    10[㎑] 이상 40[㎑] 미만, 또는,
    20[㎑] 이상 40[㎑] 미만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음속이 C[m/s], 상기 용적이 V[㎥], 상기 개구 면적의 등가원 반경이 r[m], 상기 제1 개구부의 수가 n, 상기 길이가 L[m]인 경우,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100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50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2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600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10000, 또는,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20000
    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에 연통하여 상기 진동체에 대해 상기 제1 챔버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체를 포함하는 제2 챔버를 갖고,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거쳐서 교대로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상기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진동이 부여된 상기 기체가 상기 제2 개구부에서 토출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제2 개구부의 길이,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 및 상기 제2 챔버의 용적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가,
    1[㎐] 이상 1[㎑] 미만,
    1[㎐] 이상 500[㎐] 미만,
    1[㎐] 이상 20[㎐] 미만,
    6[k㎐] 이상 40[㎑] 미만,
    10[㎑] 이상 40[㎑] 미만, 또는,
    20[㎑] 이상 40[㎑] 미만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음속이 C[m/s], 상기 제2 챔버의 용적이 V[㎥],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의 등가원 반경이 r[m], 상기 제2 개구부의 수가 n, 상기 제2 개구부의 길이가 L[m]인 경우,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100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50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2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6000,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10000, 또는,
    {C/(2π)}ㆍ[πr2/{V/(1.2rㆍn1 /2 + L)}]1/2 ≥ 20000
    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음속이 C[m/s], 상기 제1 챔버의 용적이 V1[㎥],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의 등가원 반경이 r1[m], 상기 제1 개구부의 수가 n1,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가 L1[m]인 경우,
    {C/(2π)}ㆍ[πr12/{V1/(1.2r1ㆍn11 /2 + L1)}]1/2 < 1000,
    {C/(2π)}ㆍ[πr12/{V1/(1.2r1ㆍn11 /2 + L1)}]1/2 < 500,
    {C/(2π)}ㆍ[πr12/{V1/(1.2r1ㆍn11 /2 + L1)}]1/2 < 20,
    {C/(2π)}ㆍ[πr12/{V1/(1.2r1ㆍn11 /2 + L1)}]1/2 ≥ 6000,
    {C/(2π)}ㆍ[πr12/{V1/(1.2r1ㆍn11 /2 + L1)}]1/2 ≥ 10000, 또는,
    {C/(2π)}ㆍ[πr12/{V1/(1.2r1ㆍn11 /2 + L1)}]1/2 ≥ 20000
    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음속이 C[m/s], 상기 제2 챔버의 용적이 V2[㎥],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의 등가원 반경이 r2[m], 상기 제2 개구부의 수가 n2, 상기 제2 개구부의 길이가 L2[m]인 경우,
    C/(2π)}ㆍ[πr22/{V2/(1.2r2ㆍn21 /2 + L2)}] 1/2 < 1000,
    {C/(2π)}ㆍ[πr22/{V2/(1.2r2ㆍn21 /2 + L2)}]1/2 < 500,
    {C/(2π)}ㆍ[πr22/{V2/(1.2r2ㆍn21 /2 + L2)}]1/2 < 20,
    {C/(2π)}ㆍ[πr22/{V2/(1.2r2ㆍn21 /2 + L2)}]1/2 ≥ 6000,
    {C/(2π)}ㆍ[πr22/{V2/(1.2r2ㆍn21 /2 + L2)}]1/2 ≥ 10000, 또는,
    {C/(2π)}ㆍ[πr22/{V2/(1.2r2ㆍn21 /2 + L2)}]1/2 ≥ 20000
    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표면의 제1 및 제2 개구부 사이에 설치된 구획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의 각 개구 면적의 등가원 반경이 대략 같은 r[m],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 사이의 거리가 d[m], 상기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의 파장이 λ[m]인 경우,
    3r ≤ d < λ/2
    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챔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측을 향해 상기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챔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측을 향해 상기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노즐을 갖고,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1 노즐의 폭이 좁아지는 제1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챔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챔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챔버측을 향해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챔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챔버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1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1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2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챔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챔버측을 향해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3 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2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4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노즐 을 갖고,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1 노즐의 폭이 좁아지는 제1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노즐을 갖고,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측을 향해 상기 제2 노즐의 폭이 좁아지는 제2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5. 발열체와,
    기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에 연통하여 상기 기체를 포함하는 제1 챔버를 갖고, 상기 진동체를 지지하여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리 중 최대의 소음 레벨을 갖는 소리가 소정의 주파수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상기 발열체를 향해 토출시키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35169A 2005-04-21 2006-04-19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295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3432A JP4747657B2 (ja) 2005-04-21 2005-04-21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5-00123432 2005-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794A true KR20060110794A (ko) 2006-10-25
KR101295488B1 KR101295488B1 (ko) 2013-08-09

Family

ID=3672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169A KR101295488B1 (ko) 2005-04-21 2006-04-19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93709B2 (ko)
EP (1) EP1715566A2 (ko)
JP (1) JP4747657B2 (ko)
KR (1) KR101295488B1 (ko)
CN (1) CN100442487C (ko)
TW (1) TW2007106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6638A1 (en) * 2004-07-07 2006-09-07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using distributed synthetic jet actuators
JP2006310586A (ja) 2005-04-28 2006-11-09 Sony Corp 気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85700A (ko) * 2006-11-30 2009-08-0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맥동 냉각 시스템
US20080137289A1 (en) * 2006-12-08 2008-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embedded environment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975505A1 (en) * 2007-03-26 2008-10-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device
JP2008280917A (ja) * 2007-05-10 2008-11-20 Alps Electric Co Ltd 圧電式気体噴射装置
US20090084866A1 (en) * 2007-10-01 2009-04-02 Nuventix Inc. Vibration balanced synthetic jet ejector
CN101889145B (zh) * 2007-12-07 2013-07-2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低噪声冷却设备
JP5205957B2 (ja) 2007-12-27 2013-06-05 ソニー株式会社 圧電ポンプ、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JP4591521B2 (ja) * 2008-02-18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圧電ポンプを有する電子機器
EP2101351B1 (de) 2008-03-13 2016-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Kühl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Bauteils
RU2011119607A (ru) * 2008-10-17 2012-11-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60758B1 (ko) 2008-11-19 2011-08-31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의 발광소자 패키지의 냉각장치 및 진동발생장치의 헤드램프
CN102388626B (zh) * 2009-04-10 2015-02-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音频驱动器
EP2282335A1 (de) * 2009-08-05 2011-02-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Kühlvorrichtung und Verfahren
CN102245005B (zh) * 2010-05-14 2015-03-25 富瑞精密组件(昆山)有限公司 散热装置及其气流产生器
US20120285667A1 (en) * 2011-05-13 2012-11-15 Lighting Science Group Corporation Sound baffling cooling system for led thermal management and associated methods
CN102358419A (zh) * 2011-07-22 2012-02-2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方波的高效脉冲喷流发生方法及其装置
TWI524840B (zh) 2012-03-30 2016-03-0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散熱模組
TWI475180B (zh) 2012-05-31 2015-03-01 Ind Tech Res Inst 合成噴流裝置
JP2014107362A (ja) * 2012-11-27 2014-06-09 Lenovo Singapore Pte Ltd 電子デバイスの放熱装置および放熱方法
CN103857257B (zh) * 2012-11-28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电子设备散热方法
CN105026050A (zh) 2013-03-14 2015-11-04 通用电气公司 低共振声音合成喷射器结构
CN104219931B (zh) * 2013-05-31 2017-04-0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散热模块
JP6260178B2 (ja) * 2013-10-01 2018-01-17 オムロン株式会社 筐体、および電気機器
TWI539267B (zh) * 2013-12-24 2016-06-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散熱裝置及電子裝置
JP6061054B2 (ja) * 2014-03-07 2017-0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ブロア
CN111204226B (zh) * 2018-02-10 2021-04-02 重庆桴之科科技发展有限公司 电动汽车用传感器装置
CN117299516B (zh) * 2023-11-30 2024-04-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和空调器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0491A (ja) * 1982-02-16 1983-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れ発生装置
JPH02213200A (ja) * 1989-02-14 1990-08-24 Victor Co Of Japan Ltd 熱交換器
JPH03116961A (ja) * 1989-09-29 1991-05-17 Victor Co Of Japan Ltd 放熱装置
JPH03168373A (ja) * 1989-11-24 1991-07-22 Nippon Keiki Seisakusho:Kk 圧電ポンプ制御装置
JPH03222878A (ja) * 1990-01-26 1991-10-01 Mitsubishi Kasei Corp 圧電振動子ポンプ
JP3006361B2 (ja) * 1992-09-30 2000-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ヒ−トシン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およびその電子装置を用いた電子計算機
EP0732513B1 (de) * 1995-03-14 2003-02-05 Sulzer Markets and Technology AG Verfahren zum aktiven Dämpfen globaler Strömungsoszillationen in abgelösten instabilen Strömungen und Vorrichtung zur Anwendung des Verfahrens
US5758823A (en) * 1995-06-12 1998-06-02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nthetic jet actuator and applications thereof
US6123145A (en) 1995-06-12 2000-09-2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nthetic jet actuators for cooling heated bodies and environments
JPH09126128A (ja) * 1995-10-27 1997-05-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ポンプのエンクロージャ
SE514735C2 (sv) * 1998-12-11 2001-04-09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ökande av värmeavgivning
KR20000050679A (ko) * 1999-01-13 2000-08-05 윤종용 전자기기용 방열장치
US6353295B1 (en) * 1999-01-20 2002-03-05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Lamp electronic ballast with a piezoelectric cooling fan
JP2000252669A (ja) * 1999-02-26 2000-09-14 Sony Corp 冷却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339900A (ja) * 2001-05-11 2002-11-27 Sony Corp 圧電ファン
JP3576524B2 (ja) * 2001-11-09 2004-10-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US6588497B1 (en) 2002-04-19 2003-07-0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by synthetic jet ejector channel cooling techniques
JP4380250B2 (ja) * 2002-08-28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熱輸送装置、電子機器装置及び熱輸送装置の製造方法
US6937472B2 (en) * 2003-05-09 2005-08-3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cooling heat generating components within a computer system enclosure
WO2005008348A2 (en) 2003-07-07 2005-01-27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using distributed synthetic jet actu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488B1 (ko) 2013-08-09
CN1855457A (zh) 2006-11-01
JP4747657B2 (ja) 2011-08-17
TW200710638A (en) 2007-03-16
TWI336829B (ko) 2011-02-01
US7793709B2 (en) 2010-09-14
EP1715566A2 (en) 2006-10-25
US20060237171A1 (en) 2006-10-26
JP2006297295A (ja) 2006-11-02
CN100442487C (zh)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488B1 (ko)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US7861767B2 (en) Airflow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1762725B1 (en) Gas je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gas jetting method
EP1529963B1 (en) Jet flow genera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jet flow generating method
KR101219867B1 (ko)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TWI303192B (ko)
JP2005117201A (ja) 電子機器
JP4867324B2 (ja) 放熱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10673A (ja) 噴流発生装置、ヒートシンク、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JP4844236B2 (ja) ノズル、噴流発生装置、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20892A (ja) 振動装置、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5130650B2 (ja) 噴流発生装置
JP2006063900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4900503B2 (ja) 気体噴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09845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