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660A -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660A
KR20060109660A KR1020050031891A KR20050031891A KR20060109660A KR 20060109660 A KR20060109660 A KR 20060109660A KR 1020050031891 A KR1020050031891 A KR 1020050031891A KR 20050031891 A KR20050031891 A KR 20050031891A KR 20060109660 A KR20060109660 A KR 20060109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unit
acceler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391B1 (ko
Inventor
임종순
박지헌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05003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391B1/ko
Priority to US11/911,944 priority patent/US20080306649A1/en
Priority to EP06757482A priority patent/EP1871625A1/en
Priority to CNA2006800129251A priority patent/CN101160221A/zh
Priority to PCT/KR2006/001426 priority patent/WO2006112645A1/en
Publication of KR2006010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2Acceleration; Deceleration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8Speed of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 B60G2600/044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가속도 센서가 포함된 복합 휠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차량의 상태 및 차량의 이상 유무를 자동 판단하는 동시에 바퀴의 거동상황을 정확히 측정하여 차량의 현가 장치를 현재 발명품보다 향상된 제어를 수행가능하게 하고 차량의 이상 유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복합 휠 센서를 구비한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는, 차체가속도 센서, 차체선회속도 센서, 조향휠 각도센서, 브레이킹 센서,휠 속도 센서, 차고 센서, 중력 센서, 트로틀센서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허브 베어링 유니트 및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차량의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센서에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속도 센서를 더 구비한 복합 휠 센서를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에 설치하여 허브 베어링의 속도, 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검출하고 차체의 가속도, 선회속도, 중력, 차고와 조향휠 각도, 브레이킹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입력데이터간의 상호연관 관계를 규명하여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여 현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는, 차체가속도, 차체선회속도, 조향휠 각도센서, 브레이킹 센서,휠 속도 센서, 차고 센서, 중력 센서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허브 베어링 유니트 구비하는 차량의 자가 이상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센서에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속도 센서를 더 구비한 복합 휠 센서를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에 설치하여 허브 베어링의 속도, 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검출하고 차체의 가속도, 선회속도, 중력, 차고와 조향휠 각도, 브레이킹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각각의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의 이상 구동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구동 상태가 판단되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 및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특히 샤시부품의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시부품 자가진단, 능동현가장치, 허브베어링 유니트, 가속도 센서,휠속도센서, 주행안전장치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들{Apparatus of Driving Safety Control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의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휠속도 센서의 구조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허브 베어링 유니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은 종래 기술에 따른 능동현가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복합 휠 센서의 구조도를 나타낸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허브 베어링 유니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휠 센서 41 : 기판
42 : 회로 요소 43 : 휠 속도 센서
44 : 반도체 가속도 센서 45 : 선회속도 센서
100 : 검출부 200 : 제어부
300 : 구동부 600 : 표시부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속도 센서가 포함된 복합 휠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차량의 상태 및 차량의 이상 유무를 자동 판단하여 차량의 현가 장치를 제어하고 차량의 이상 유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샤시부품은 휠,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허브베어링 유니트, 구동축, 조향너클, 스프링 및 쇽 업소바, 링크 및 조인트 그리고 프레임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샤시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 기관의 발생 동력을 피구동축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차량의 진공과 소음 또는 조정성을 조절하도록 된 구동축(1)과, 그 외측에 타이어(2)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1)의 동력에 의해 구동함과 아울러, 차의 상하, 전후방향의 하중과 선회할 때 발생되는 수평, 수직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된 허브베어링유니트(3)와, 상기 구동축(1)과 상기 허브베어링유니트(3)의 이음부 역할을 수행하도록 된 조향너클(4)과, 상기 조향너클(4)에 지지되고 그 외주에 코일 스프링 (5)이 개재되어 차체의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쇽 업소버(6)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지만, 자동차 정지 또는 감속을 위한 브레이크 디스크 및 패드, 차량의 선회시 주행안정성을 높이는 링크류, 구동계 및 차체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휠속도 센서는 차축의 회전수를 감지하게 하여 ABS제어부에 신호를 전달시켜서 브레이킹시 휠의 잠금을 방지하여 차량이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각 바퀴의 브레이킹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휠속도 센서가 예전에는 드라이브샤프트에 조립 장착이 되었지만, 최근에는 드라이브샤프트 보다 조립성 및 이물질부터로 보호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허브베어링 유니트에 휠속도센서를 조립 장착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휠속도 센서의 구조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휠 센서(20)는 기판(21) 상에 각각의 회로 요소(22)들을 구비하고, 그 일측에 휠 속도 센서(23)를 구비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허브 베어링 유니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는 허브(24)와, 허브 일측에 설치된 외륜 플랜지(25)와, 휠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26)를 구비한다.
자동차 샤시부품은 각기 중요한 기능을 하고 그 부분이 파손되거나 이상이 생기면 주행시 승차감이나 주행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부품이 고장났을 때 사전에 운전자에게 알려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자가 진단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 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은 상기한 허브베어링유니트, 쇽 업소버, 구동축, 조향너클, 링크류 등의 구동관련 구성요소 파손에 의한 구동이상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자가진단 시스템이 없어 운전자가 스스로 청각 또는 차체의 진동 등을 통하여 이에 따른 조향성의 이상상태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직감적인 판단은 그 숙련정도에 따라 많은 오차가 있어 매우 부정확함으로, 정확한 이상상태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차량의 샤시 부품중 일부는 안전도 부품으로 어떤 한계상황에서는 이상상태가 확대되어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차 높은 안전도가 요구되는 최근의 기술적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샤시부품의 자가진단 가능은 매우 중요한 핵심요소로 부상되고 있다.
초보적인 단계의 유사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차량의 제어 장치가, 미국특허 US6,695,483에 "센서와 센서를 구비한 롤링 베어링 장치(SENSOR AND ROLLING BEARING APPARATUS WITH SENSOR)" 라는 제목으로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미국특허 US6,695,483호에 따르면, 센서 & 허브베어링 유니트는 가속도 센서 및 온도센서를 내장하여 베어링의 파손 및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자가진단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만 구동계 가속도 및 선회속도 신호를 처리하여 자동차 샤시부품들의 이상진동을 파악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된 것과 같이 샤시부품의 파손이나 고장시 운전자 안전에 치명적일 수 밖에 없으나 사전에 이를 진단하고 확인하는 센서나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한편, 반능동 현가시스템(Semi-Active Suspension System)은 서스펜션을 기존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뎀퍼 양을 조절 가능하게하여 차량의 상하 가속도 및 조향휠속도 등에 따라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크기를 조절하여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차체 선회 및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한편, 능동현가시스템(Active Suspension System)은 공압현가장치에서 압력을 조절하여 차량의 동적거동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의 첨단 안전제어 시스템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능동 또는 반능동 현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능동현가시스템은 휠 속도 센서(311), 차고 센서(312), 조향휠 각도 센서(313), 스로틀 포지션 센서(341), 중력 센서(315), 차체 가속도 센서(316), 차체 선회속도 센서(317), 브레이킹 센서(318)를 이용하여 차체의 상태만을 측정하여 제어부(319)를 통해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 320)를 조절하고 구동계의 가속특성을 제대로 전달받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뎀퍼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허브 베어링에 위치하는 휠 속도 센서에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속도 센서를 추가 부착하고 이들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신호의 상호 연 관관계를 규명하여 능동 현가 제어부를 통해 뎀퍼 엑추에이터 또는 공압식 액티브 서스펜션에 시스템 최적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자가진단 제어부를 통해 표시부로 이상진동이 발생하는 부품에 대한 이상신호를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는, 차체가속도, 차체선회속도, 조향휠 각도센서, 브레이킹 센서,휠 속도 센서, 차고 센서, 중력 센서, 허브 베어링 유니트 및 엑츄에이터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구비하는 차량의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센서에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속도 센서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더 구비한 복합 휠 센서를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에 설치하여 허브 베어링의 속도, 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검출하고 차체의 가속도, 선회속도, 중력, 차고와 조향휠 각도, 브레이킹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신호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여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여 현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는, 차체가속도, 차체선회속도, 조향휠 각도센서, 브레이킹 센서,휠 속도 센서, 차고 센서, 중력 센서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허브 베어링 유니트를 구비하는 차량의 자가 이상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센서에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속도 센서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더 구비한 복합 휠 센서를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에 설치하여 허브 베어링의 속도, 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검출하고 차체의 가속도, 선회속도, 중력, 차고와 조향휠 각도, 브레이킹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각각의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의 이상 구동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구동 상태가 판단되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 및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특히 샤시부품의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합 휠 센서는 1축 센서, 2축 센서 및 3축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복합 휠 센서의 구조도를 나타낸 개략도로,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복합 휠 센서(40)는 기판(41) 상에 각각의 회로 요소(42)들을 구비하고, 그 일측에 휠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휠 속도 센서(43), 허브 베어링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반도체 가속도 센서(44) 및 허브 베어링의 선회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선회속도 센서(45)를 구비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허브 베어링 유니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는 허브(24)와, 허브 일측에 설치된 외륜 플랜지(25)와, 휠 속도를 감지하는 복합 휠 속도 센서(27)를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휠 센서가 구비된 주행 안전 장치는 검출부(100), 제어 유니트(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검출부(100)는 차체 가속도 센서(111), 차체 선회 속도 센서(112), 브레이킹 센서(113), 차고 센서(114), 조향휠 각도 센서(115), 스로틀 포지션 센서(116), 중력 센서(117)와, 복합 휠 센서부(118)를 구비하여 차량 주행시의 변위 데이터를 검출한다. 상기 복합 휠 센서부(118)는 휠 속도 센서(119), 반도체 가속도 센서(120) 및 선회속도 센서(121)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주행시의 변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가속도 센서(170)는 경우에 따라서 x,y,z 3축 중에 한방향만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1축 센서, 두방향의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2축센서, 3방향 가속도 모두 가능한 3축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니트(200)는 제 1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기억부(230) 및 제 2 입출력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입출력부(210)는 상기 검출부(10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상기 기억부(230)는 상기 검출부(10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와 비교될 각각의 기준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 2 입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2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기억부(230)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제 1 입출력부(210)를 통해 입력 받은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기억부(23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측정된 신호의 상호 연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차량의 상태를 판단한다. 이와 동시에 항상 제어부(220)에서의 비교 데이터를 통해 현가 장치의 작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 2 입출력부(240)를 통하여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현가 장치, 즉 엑츄에이터에 해당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휠 센서가 구비된 주행 안전 장치는 검출부(400), 제어 유니트(500) 및 표시부(6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검출부(400)는 중력 센서(411), 차고 센서(412), 차체 가속도 센서(413), 차체 선회속도 센서(414), 브레이킹 센서(415), 조향 휠 각속도 센서(416)와, 복합 휠 센서부(417)를 구비하여 차량 주행시의 변위 데이터를 검출한다. 상기 복합 휠 센서부(417)는 휠 속도 센서(418), 반도체 가속도 센서(419) 및 선회속도 센서(420)로 구성된다. 가속도 센서(440), 선회속도 센서(420)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주행시의 변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가속도 센서(419)는 경우 에 따라서 x,y,z 3축 중에 한방향만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1축 센서, 두방향의 가속도 측정이 가능한 2축센서, 3방향 가속도 모두 가능한 3축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유니트(500)는 제 1 입출력부(510), 제어부(520), 기억부(530) 및 제 2 입출력부(5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입출력부(510)는 상기 검출부(40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제어부(520)에 출력한다. 상기 기억부(530)는 상기 검출부(40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와 비교될 각각의 기준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 2 입출력부(540)는 상기 제어부(52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부(60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기억부(530)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인출하고, 상기 제 1 입출력부(510)를 통해 입력 받은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기억부(53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측정된 신회들의 상호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차량의 이상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520)에서의 비교 결과 차량의 이상 구동 상태가 판단되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입출력부(540)를 통하여 표시부(600)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6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540)를 통해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등(610), 경보음을 발생하는 알람(620) 및 특정 샤시부품 이상상태를 구체적이고 그래픽으로 표현가능한 LCD(Liquid Crystal Display)(630)으로 구비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 1 입출력부(510)는 상기 검출부(400)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제어부(52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기억부(530)에 미리 입력된 각각의 기준 데이터를 인출하여, 상기 제 1 입출력부(510)를 통해 입력 받은 각각의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측정신호들의 상호연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차량의 샤시부품의 이상 상태를 판단한다.
자가진단 기능이 가능한 상기 샤시부품은 허브베어링유니트, 조향너클,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쇼크 옵서버, 스프링, 링크류, 조인트류 및 프레임류 등으로 나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샤시 부품의 이상 상태 판단 결과 차량이 이상 상태가 제어 신호에 따라 표시부(600)의 경고등(610)과 알람(620) 및 LCD(630)를 통해 운전자에게 차량의 이상 구동 상태를 경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는, 휠 속도 측정 센서 뿐만 아니라, 1방향, 2 방향, 3방향 속도 측정이 가능한 반도체 가속도 센서 및 선회속도 센서를 추가시키므로써 샤시 안전 부품들의 결함을 사전에 감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계 특히 허브베어링부에 반도체 가 속도 센서 및 선회가속도 센서를 설치하고 각 센서들로부터 신호를 받아 분석가능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능동현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샤시 안전부품이 파손 또는 결함시 운전자에게 상황을 사전에 알림으로써 일차적으로는 부품손상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품의 적합한 교체시기를 미연에 확인할 수 있게 하여 대형 인명사고의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차체가속도, 차체선회속도, 조향휠 각도센서, 브레이킹 센서,휠 속도 센서, 차고 센서, 중력 센서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허브 베어링 유니트 및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차량의 현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센서(119)에 반도체 가속도 센서(120) 및 선회속도 센서(121)를 더 구비한 복합 휠 센서(118)를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에 설치하여 허브 베어링의 속도, 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검출하고 차체의 가속도, 선회속도, 중력, 차고와 조향휠 각도, 브레이킹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100);
    상기 검출부로(100)부터 검출된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미리 입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측정신호들의 상호 연관관계를 규명하여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여 현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200);
    상기 제어 유니트(20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
  2. 차체가속도, 차체선회속도, 조향휠 각도센서, 브레이킹 센서,휠 속도 센서, 차고 센서, 중력 센서들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및 허브 베어링 유니트를 구비하는 차량의 자가 이상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속도 센서(418)에 반도체 가속도 센서(419) 및 선회속도 센서(420) 를 더 구비한 복합 휠 센서(417)를 상기 허브 베어링 유니트에 설치하여 허브 베어링의 속도, 가속도 및 선회속도를 검출하고 차체의 가속도, 선회속도, 중력, 차고와 조향휠 각도, 브레이킹 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400);
    상기 검출부로(400)부터 검출된 각각의 데이터를 상호간 혹은 미리 입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 및 판단 알고리즘을 통하여 차량의 이상 구동 상태를 판단하고, 이상 구동 상태가 판단되었을 경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니트(500); 및
    상기 제어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샤시 부품의 이상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경고등(610)과 알람(620) 및 이상부품의 그래픽 표시가 가능한 LCD(6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1축 센서, 2축 센서 및 3축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 장치.
KR1020050031891A 2005-04-18 2005-04-18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KR10075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91A KR100755391B1 (ko) 2005-04-18 2005-04-18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US11/911,944 US20080306649A1 (en) 2005-04-18 2006-04-18 Vehicle Driving Safety Control Apparatus
EP06757482A EP1871625A1 (en) 2005-04-18 2006-04-18 Apparatus of driving safety control for automobile
CNA2006800129251A CN101160221A (zh) 2005-04-18 2006-04-18 用于汽车的驱动安全控制设备
PCT/KR2006/001426 WO2006112645A1 (en) 2005-04-18 2006-04-18 Apparatus of driving safety control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91A KR100755391B1 (ko) 2005-04-18 2005-04-18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660A true KR20060109660A (ko) 2006-10-23
KR100755391B1 KR100755391B1 (ko) 2007-09-04

Family

ID=3711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91A KR100755391B1 (ko) 2005-04-18 2005-04-18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306649A1 (ko)
EP (1) EP1871625A1 (ko)
KR (1) KR100755391B1 (ko)
CN (1) CN101160221A (ko)
WO (1) WO200611264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052A (ko) * 2015-11-19 2017-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성능 이상 판단 시스템
KR102198725B1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주행안전부품 자가진단 장치
CN113353008A (zh) * 2021-07-05 2021-09-07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底盘域控制器和具有其的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9861B2 (ja) * 2014-12-23 2020-01-15 ボルボトラ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のタンデムもしくはマルチアクスル駆動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778901B (zh) * 2016-03-15 2021-11-26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动力转向装置的控制装置
KR20170112040A (ko) * 2016-03-30 201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제어현가장치의 전자제어유닛 장착 판별장치 및 그 방법
CN107458457A (zh) * 2017-07-06 2017-12-12 江苏速度智能科技有限公司 自转向控制系统和360度自转向底盘机构及其控制方法
CN109342764A (zh) * 2018-06-25 2019-02-15 西安斯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驾驶运动行为的监测方法和装置
CN111873928A (zh) * 2020-08-11 2020-11-03 李群 一种汽车自动安全驾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749A (en) * 1984-11-30 1987-06-02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JPH0740042B2 (ja) * 1989-04-24 1995-05-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前後加速度センサ異常検出装置
FR2651184B1 (fr) * 1989-08-31 1991-10-25 Bendix France Piece d'appui pour element de suspension.
JP2605882B2 (ja) * 1989-09-04 1997-04-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加速度センサ異常検出装置
DE69205067T2 (de) * 1991-06-07 1996-03-21 Kansei Kk 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Passagiere in einem Kraftfahrzeug oder dergleichen.
JP3070626B2 (ja) * 1991-08-06 2000-07-3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懸架装置
JP2765341B2 (ja) * 1992-02-14 1998-06-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8230512A (ja) * 1995-02-28 1996-09-10 Isuzu Motors Ltd 車両の安全運転警報装置
US7580782B2 (en) * 1995-10-30 2009-08-2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electronic system with crash sensors and occupant protection systems
US5742919A (en) * 1996-04-26 1998-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determining a lateral velocity of a motor vehicle
US6397133B1 (en) * 1999-04-19 2002-05-28 Palmer Safety Systems, Llc Vehicle rollover safety system
DE60139757D1 (de) * 2000-12-01 2009-10-15 Nsk Ltd Wälzlagervorrichtung mit Sensor
JP2003042151A (ja) * 2001-02-22 2003-02-13 Nsk Ltd 転がり軸受装置及びこの軸受装置のセンサ付きリング
JP2004036863A (ja) * 2002-07-08 2004-02-05 Nsk Ltd センサユニット付複列転がり軸受
US6892123B2 (en) * 2002-12-30 2005-05-10 Delphi Technologies, Inc. Unified control of vehicle dynamics using force and moment control
US7388475B2 (en) * 2006-01-19 2008-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ane departure warning and avoidance system with warning modification criteri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052A (ko) * 2015-11-19 2017-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성능 이상 판단 시스템
KR102198725B1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주행안전부품 자가진단 장치
CN113353008A (zh) * 2021-07-05 2021-09-07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底盘域控制器和具有其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391B1 (ko) 2007-09-04
CN101160221A (zh) 2008-04-09
WO2006112645A1 (en) 2006-10-26
US20080306649A1 (en) 2008-12-11
EP1871625A1 (en)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391B1 (ko) 차량의 주행 안전 제어장치
US7191637B2 (en) Method for testing vibration dampers in motor vehicle
RU24606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овреждений элементов ходовой части единиц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US69412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hing roll rate sensor fault
KR100777641B1 (ko)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US20140257627A1 (en) Potential chassis damage identification and notification system
EP1226986B1 (en) Load estimator
JP2001215175A (ja) タイヤに影響する車両状態をモニタ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340922A (ja) 車輪用回転検出装置
ITTO20070869A1 (it) Dispositivo per il monitoraggio e l&#39;analisi della conduzione di un autoveicolo
JP2006300588A (ja) 車両用傾斜角検出装置
EP1736387A2 (en) Wheel-end mounted multipurpose acceleration sensing device
JP2002079941A (ja) 鉄道車両
KR20230161387A (ko) 노면 상태 진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JPH01503258A (ja) 走行中に自動車の振動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KR100694617B1 (ko) 자동차용 샤시부품의 고장진단장치
JP2005065411A (ja) 車載用フライホイール式電力貯蔵装置、及び車両の車体姿勢制御システム
BRPI0507027B1 (pt) dispositivo, método e veículo para mostrar pelo menos um parâmetro relacionado à carga
KR102589021B1 (ko) 차량의 실시간 휠 및 타이어 동밸런스 계측 및 모니터링 시스템
WO2008111691A1 (en) Device for detecting defects of chassis components in a vehicle
KR20210087695A (ko) 휠스피드 센서를 활용한 휠 베어링 고장 진단 방법
CN106274305A (zh) 轮胎平衡的检测方法
JP2014108646A (ja) 1ユニットのみの慣性センサによる走行中の車輌と路面との傾き検出装置及び方法
KR20000001069U (ko) 자동차의 이상구동 검출장치
KR19990048323A (ko) 타이어 공기압 판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