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641B1 -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641B1
KR100777641B1 KR1020050116972A KR20050116972A KR100777641B1 KR 100777641 B1 KR100777641 B1 KR 100777641B1 KR 1020050116972 A KR1020050116972 A KR 1020050116972A KR 20050116972 A KR20050116972 A KR 20050116972A KR 100777641 B1 KR100777641 B1 KR 10077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age
flag
sensor
sig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477A (ko
Inventor
김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11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641B1/ko
Priority to DE602006017025T priority patent/DE602006017025D1/de
Priority to EP06024398A priority patent/EP1792759B1/en
Priority to CNB200610160939XA priority patent/CN100471708C/zh
Priority to US11/565,662 priority patent/US20070129865A1/en
Priority to JP2006326267A priority patent/JP2007153330A/ja
Publication of KR2007005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for failur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8Failure or malfunction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80Detection or control after a system or component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고센서의 신호 고착을 판정하여 차량의 차고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과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 차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차고를 측정하는 복수의 차고센서와, 상기 차량의 차고 조절을 위해 구동되는 차고조절 액츄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차고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고신호에 따라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고 변동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신호 고착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수행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고센서, 신호 고착, ECU, 판정, 변동값

Description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 차고 제어 방법{vehicle height controlling suspension apparatus having signal failure decision function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ECU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의 차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L, 10R : 전륜 측 에어스프링 20L, 20R : 후륜 측 에어스프링
12L, 12R : 전륜 측 차고센서 22L, 22R : 후륜 측 차고센서
30 : ECU 31 : 수신부
32 : 계산부 33 : 의심 flag 설정부
34 : 판정부 35 : 비정상 flag 설정부
36 : 차고 조절 처리부 37 : 알림 처리부
38 : 차속 처리부 40 : 차속 센서
본 발명은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 차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고센서의 신호 고착을 판정하여 차량의 차고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과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 차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에 자동차의 현가 장치는 단순히 차체 지지의 개념만을 갖고 있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차체 중량 및 노면에 대한 차고유지와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개선하고 주행에 적합한 자세로 차량을 유지시켜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쇠력은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 면에서 서로 상반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 감쇠력을 결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근래에까지 현가 장치의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고려한 동적 설계와 주행 역학 해석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노면 조건, 주행 조건, 또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차체의 자세변화를 능동적으로 교정하여 차량의 주행성능, 조종 안정성 그리고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현가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는 위와 같은 맥락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서, 하중 변동량에 따라 그리고 노면 변환에 따라 차체를 일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운전자의 단순 조작에 의한 차고 가변 기능 및/또는 차속의 변환에 따 라 차고가 변환하는 차속 감응 차고변화 기능 등을 갖기도 한다.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 실시 또는 연구중에 있으나, 그 중에서도 차고센서에서 측정된 차고정보를 기초로 하여 에어스프링의 내부 압력 변화를 이용해 차고를 제어하는 공기 현가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기 현가 장치는 적어도 전륜 측 및 후륜 측에 차고센서를 설치하고, 그 차고센서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륜들 각각에 설치된 에어스프링을 구동하여 차량의 차고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고센서를 구비한 차량 현가 장치는 외부 환경에 의해 기구적 또는 전기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차고 센서의 신호가 정상적인 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경우로 판단된 경우 차량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였다. 즉, 차량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경우는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전원 단락, 단선, GND 단락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차량 현가 장치는 전원단락, 단선, GND 단락과 같이 정상적인 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도 정상적인 신호를 출력하지 못하는 상황인 차고센서의 고장으로 인한 신호 고착(고정된 출력) 상태에 대해서는 그 고착 상태의 판정이 어려워, 센서 신호의 고착이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의 차고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 안정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차고 센서의 0V~5V의 전압레벨 중에서 0V~0.5V 구간은 단락 또는 GND 단락인 경우에 출력되고, 0.5V~1.9V 구간은 센서의 신호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출력되고, 1.9V~3.1V 구간은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인 경우에 출력 되고, 3.1V~4.5V 구간도 센서의 신호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출력되며, 4.5V~5V 구간은 단선 또는 전원 단락인 경우에 출력된다.
이러한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0.5V~1.9V, 3.1V~4.5V) 구간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장착된 센서가 차체와 차축의 상대 운동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변위를 벗어난 경우에 나타난다.
이는 센서가 파손되어서 고착되었거나 또는 센서 취부(고장나사)가 풀려서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늘어지거나 또는 센서의 회전 부위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에 의해서 센서값이 정상적인 신호 범위를 벗어난 경우는 쉽게 검출이 가능하지만, 센서신호가 정상적인 범위(1.9V~3.1V)에서 고착되어 변동이 없는 경우는 판단이 용이하지 않다.
즉, 차고센서의 고장에 의해서 차고센서의 출력값이 고정된 것인지와 실제 차고가 그 값을 유지하고 있어서 차고 센서의 출력 값이 고정된 것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차량 현가 장치는 센서신호가 정상적인 범위에서 고착되어 변동이 없는 경우에도 차량의 차고 제어를 수행하여 시스템 과도사용으로 인한 시스템 파손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고 센서의 신호 고착을 판정하여 차량의 차고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과도사용으 로 인한 시스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는 차량의 차고를 측정하는 복수의 차고센서와, 상기 차량의 차고 조절을 위해 구동되는 차고조절 액츄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차고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고신호에 따라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고 변동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신호 고착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수행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CU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차고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고신호를 이용하여 최대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는 계산부와, 상기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의심 flag로 설정하는 의심 flag 설정부와, 상기 의심 flag로 설정된 센서의 수가 전체 센서 대비 절반 이하만큼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를 신호 고착으로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의 판정결과,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비정상 f1ag로 설정하는 비정상 flag 설정부와, 상기 비정상 flag 설정부에 의해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차고 조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ECU는 상기 비정상 flag 설정부에 의해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처리부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고 조절 처리부는 상기 비정상 flag가 소정 횟수만큼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하면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차고 제어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의 차고 제어 방법은 차량의 차고를 측정하는 복수의 차고센서로부터 차고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수신된 차고신호에 따라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차고 변동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신호 고착 여부를 판정하여 차고 제어를 수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단계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차고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고신호를 이용하여 최대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는 계산단계와, 상기 계산단계에 의해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의심 flag로 설정하는 의심 flag 설정단계와, 상기 의심 flag로 설정된 센서의 수가 전체 센서 대비 절반 이하만큼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를 신호 고착으로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판정단계의 판정결과,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비정상 f1ag로 설정하는 비정상 flag 설정단계와, 상기 비정상 flag 설정단계에 의해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차고 조절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비정상 flag 설정단계에 의해 상 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고 조절 처리단계는 상기 비정상 flag가 소정 횟수만큼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하면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차고 제어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 차고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는 차량의 차고를 측정하는 복수의 차고 센서(12L, 12R, 22L, 22R)와, 차량의 차고 조절을 위해 구동되는 차고조절 액츄에이터들(10L, 10R, 20L, 20R)과, 복수의 차고센서(12L, 12R, 22L, 22R)로부터 수신된 차고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수행하는 ECU(30)를 포함한다.
차고 센서는 좌, 우 전륜(FL, FR) 부근에 설치되는 전륜 측 센서들(12L, 12R)과, 좌, 우 후륜(RL, RR) 부근에 설치되는 후륜 측 센서들(22L, 22R)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고 센서들(12L, 12R, 22L, 22R)은 차체와 차축의 상대거리(즉, 차고)의 감지를 위한 것으로, 회전 운동하는 두 개의 레버가 각각 차체와 차축에 장착되어 직선 변위에 대한 두 레버의 상대각을 검출하여 거리를 감지하는 가 장 일반적인 방식의 것을 사용하였다.
액츄에이터들(10L, 10R, 20L, 20R, 이하, '에어 스프링'이라 한다) 또한 전술한 각 차고 센서(12L, 12R, 22L, 22R)들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이러한 에어스프링들은 전륜 좌우측 에어스프링(10L, 10R)과 후륜 좌우측 에어스프링(20L, 20R)으로 이루어진다.
ECU(30)는 차고센서들(12L, 12R, 22L, 22R)로부터 각 차륜들의 위치에서 차고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기초로 차량의 차고 제어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ECU(30)는 차고 센서들 각각에서 얻어진 차고 신호를 기초로 전륜 측 에어스프링(10L, 10R) 및 후륜 측 에어 스프링(20L, 20R)을 각각 제어한다.
이러한 ECU(30)는 소정의 제어값으로 컴프레서(미도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압회로(미도시)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ECU(30)는 복수의 차고 센서(12L, 12R, 22L, 22R)로부터 수신된 차고 신호에 따라 계산된 차고 변동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센서의 신호 고착 여부를 판정하여 차량의 차고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위와 같은 ECU(3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ECU(30)는 센서 신호의 고착에 의해서 센서가 더 이상 센싱을 하지 못하고 고정된 출력을 내는 경우를 판정하여 차량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것으로, 차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와, 수신된 차고 신호에 따라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는 계산부(32)와, 차고 변동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센서의 상태 flag를 의심 flag로 설정하는 의심 flag 설정부(33)와, 신호 고착 상태임을 판정하는 판정부(34)와, 그 판정결과 상태 flag를 비정상 flag로 설정하는 비정상 flag 설정부(35)와,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에어스프링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차고 조절 처리부(36)와, 차고센서의 고장을 알리는 알림 처리부(37)와, 차량이 주행중 인지를 판단하는 차속 처리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현가 장치의 차고 조절 외에, 현가 장치 및 쇽업소버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차량의 다른 시스템(예를 들면, 조향 및/또는 제동 시스템)의 제어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상관이 없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31)는 전륜(FL, FR) 측의 두 차고 센서(12L, 12R) 및 후륜(RL, RR) 측의 두 차고 센서(22L, 22R)로부터 차고 신호를 수신한 후 그 신호들을 계산부(32)로 전송한다.
계산부(32)는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동안 수신부(31)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차고 신호를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최대 차고 변동값을 계산한다.
Figure 112005070587107-pat00001
의심 flag 설정부(33)는 계산부(32)에 의해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의심 flag로 설정한다.
판정부(34)는 의심 flag 설정부(33)에 의해 의심 flag로 설정된 센서의 수가 전체 차고 센서 대비 절반 이하(즉, 4개의 차고 센서 중 2개 이하)이면 해당 센서를 신호 고착 상태로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전륜(FL, FR) 측의 차고 센서(12L)의 상태 flag가 의심 flag로 설정된 경우, 또는 전륜(FL, FR) 측의 차고 센서(12L)의 상태 flag가 의심 flag로 설정되고 후륜(RL, RR) 측의 차고 센서(22L)의 상태 flag가 의심 flag로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해당 센서의 비정상 상태로 판정되면, 비정상 flag 설정부(35)는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비정상 flag로 설정한다.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이와 같이 비정상 flag로 상태 flag가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에어 스프링의 차고 제어를 중지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에어 스프링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해당 센서의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차륜의 에어 스프링의 차고 제어를 중지할 수도 있다.
또한,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해당 센서의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소정 횟수만큼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하면 차량의 차고 제어를 중단한다. 즉,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더 이상 차고 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고 신호에 따라 차고 조절을 수행하지 않는다.
알림 처리부(37)는 해당 센서의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미 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경고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차고 센서가 고장났음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림 처리부(37)는 소정 횟수만큼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과 초기화가 반복된 경우에도 경고등을 통하여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고 센서의 고장을 쉽게 알 수 있다.
차속 처리부(38)는 차량의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차량의 차속이 일정 차속(예를 들면, 30kph)이상인지 여부에 차량이 주행중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차속 센서(40)에 의해 측정된 차속이 일정 차속(예를 들면, 30kph)미만인 경우, 차량이 주행중이 아님으로 판단하며, 이러한 경우는 의심 flag 설정부(33)에 의해 상태 flag가 세 개 또는 네 개 의심 flag로 설정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고 센서의 신호 고착 여부를 판정하여 차량의 차고 제어를 수행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의 차고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의 차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ECU(30)의 차속 처리부(38)는 차량이 주행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 즉, 차량의 차속이 일정 차속(예를 들면, 30kph)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101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중이 아닌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101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ECU(30)의 수신부(31)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차고 센서(12L, 12R, 22L, 22R)로부터 측정된 차고 신호를 수신한다(S102).
다음, ECU(30)의 계산부(32)는 각 센서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수신된 차고 신호에 따라 최대 차고 변동값을 계산한다(S103).
다음, ECU(30)의 의심 flag 설정부(33)는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센서가 적어도 하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이와 같이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센서가 하나도 없는 경우, ECU(30)의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수행한다(S106).
이후,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각 센서의 상태 flag와 카운트 횟수를 초기화 시키고(S108), 상술한 S101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차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이와 같이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센서가 적어도 하나 있는 경우, 의심 flag 설정부(33)는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의심 flag로 설정한다(S107).
다음, ECU(30)의 판정부(34)는 의심 flag 설정부(33)에 의해 설정된 의심 flag를 갖는 센서의 수가 전체 차고 센서 대비 절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09). 즉, 차고 센서가 4개인 경우 2개 이하의 차고 센서의 상태 flag가 의심 flag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정부(34)는 의심 flag를 갖는 센서의 수가 전체 차고 센서 대비 절반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차고 센서를 신호 고착 상태로 판정하고, 의심 flag를 갖는 센서의 수가 세 개 또는 네 개인 경우에는 해당 차고 센서를 고장 상태로 판정한다.
상기 S109 단계의 판단결과, 설정된 의심 flag를 갖는 센서의 수가 전체 차고 센서 대비 절반 이하가 아닌 경우 즉, 세 개 또는 네 개의 차고 센서에 상태 flag가 의심 flag로 설정된 경우, ECU(30)의 차고조절 처리부는 후술하는 S117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차고 제어를 중단한다.
삭제
상기 S109 단계의 판단결과, 설정된 의심 flag를 갖는 센서의 수가 전체 차고 센서 대비 절반 이하인 경우, 즉, 하나 또는 두 개의 차고 센서의 상태 flag가 의심 flag로 설정된 경우, ECU(30)의 비정상 flag 설정부(35)는 판정부(34)에 의해 신호 고착 상태로 판정되어,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비정상 flag로 설정한다(S111).
다음,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일시적으로 중지한다(S112). 이때,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의 액츄에어터의 차고 제어를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다음,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카운트 횟수를 1회 증가시킨다(S113).
다음,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카운트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5).
상기 S115 단계의 판단결과, 카운트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즉, 카운트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하지 않은 경우,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각 센서의 상태 flag를 초기화시키고(S116), 상술한 S101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한다.
상기 S115 단계의 판단결과, 카운트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즉, 카운트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한 경우, 차고 조절 처리부(36)는 알림 처리부(37)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차고 제어를 완전히 중단한다(S117).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트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해당 센서의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하는 경우에 차고 제어를 완전히 중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고 제어의 중지와 차고 제어의 수행을 소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경우에도 차고 제어를 완전히 중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차고를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의 고장을 판정하여 시스템의 과동작을 방지하여 시스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고 센서의 신호 고착을 판정하여 차량의 차고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차고 센서의 고장을 판정함으로써 시스템의 과동작을 방지하여 시스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고 센서의 고장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차고 센서의 고장을 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악의 위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차량의 차고를 측정하는 복수의 차고센서;
    상기 차량의 차고 조절을 위해 구동되는 차고조절 액츄에이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차고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고신호를 이용하여 최대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의심 flag로 설정하는 의심 flag 설정부;
    상기 의심 flag로 설정된 센서의 수가 전체 센서 대비 절반 이하만큼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를 신호 고착으로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판정부의 판정결과,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비정상 f1ag로 설정하는 비정상 flag 설정부; 및
    상기 비정상 flag 설정부에 의해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차고 조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flag 설정부에 의해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고 조절 처리부는
    상기 비정상 flag가 소정 횟수만큼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하면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차고 제어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5. 차량의 차고를 측정하는 복수의 차고센서로부터 차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차고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고신호를 이용하여 최대 차고 변동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최대 차고 변동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의심 flag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의심 flag로 설정된 센서의 수가 전체 센서 대비 절반 이하만큼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를 신호 고착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결과, 해당 센서의 상태 flag를 비정상 f1ag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해당 센서가 장착된 차륜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의 차고 제어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의 차고 제어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태 flag가 비정상 flag로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의 차고 제어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고 제어 중지 단계는
    상기 비정상 flag가 소정 횟수만큼 설정과 초기화를 반복하면 미리 설정된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차고 제어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의 차고 제어 방법.
KR1020050116972A 2005-12-02 2005-12-02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KR10077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972A KR100777641B1 (ko) 2005-12-02 2005-12-02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DE602006017025T DE602006017025D1 (de) 2005-12-02 2006-11-24 Fahrzeugaufhängung mit Höhenverstellungsmöglichkeit
EP06024398A EP1792759B1 (en) 2005-12-02 2006-11-24 Vehicle suspension with height adjustment means
CNB200610160939XA CN100471708C (zh) 2005-12-02 2006-12-01 车辆高度控制悬吊设备及其车辆高度控制方法
US11/565,662 US20070129865A1 (en) 2005-12-02 2006-12-01 Vehicle height controlling suspension apparatus having signal-freeze determining function and vehicle height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326267A JP2007153330A (ja) 2005-12-02 2006-12-01 信号固着判定の機能を有する車高調整用の懸架装置およびその車高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972A KR100777641B1 (ko) 2005-12-02 2005-12-02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477A KR20070057477A (ko) 2007-06-07
KR100777641B1 true KR100777641B1 (ko) 2007-11-21

Family

ID=3783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972A KR100777641B1 (ko) 2005-12-02 2005-12-02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29865A1 (ko)
EP (1) EP1792759B1 (ko)
JP (1) JP2007153330A (ko)
KR (1) KR100777641B1 (ko)
CN (1) CN100471708C (ko)
DE (1) DE60200601702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1718A (ja) * 2004-03-24 2005-10-06 Aisin Seiki Co Ltd 車高調節装置
DE102007051262A1 (de) * 2007-10-26 2009-07-16 Wabco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Einstellung des Horizontal-Niveaus eines Nutzfahrzeuges
US8160774B2 (en) * 2008-10-15 2012-04-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actuator system
US8174377B2 (en) * 2008-11-14 2012-05-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uspension height sensor
US8175770B2 (en) * 2008-11-17 2012-05-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ight sensing system for a vehicular suspension assembly
US8143766B2 (en) * 2009-02-27 2012-03-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arvesting energy from vehicular vibration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US8063498B2 (en) * 2009-02-27 2011-1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arvesting energy from vehicular vibrations
US8253281B2 (en) * 2009-02-27 2012-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incorporated into shock absorber
US8614518B2 (en) * 2009-10-14 2013-1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powered vehicle sensor systems
US8684908B2 (en) * 2010-08-26 2014-04-01 Ethicon, Inc. Centering aid for implantable sling
CN103072441B (zh) * 2011-10-26 2015-05-13 现代摩比斯株式会社 具有故障安全功能的电子控制悬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057378B (zh) * 2013-01-11 2016-08-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车身高度控制装置和方法
DE102013009204A1 (de) * 2013-05-31 2014-12-04 Man Truck & Bus Ag System und Betriebsverfahren zur Niveauregelung eines Fahrerhauses eines Nutzfahrzeugs gegenüber dem Fahrzeugchassis
DE102013110954A1 (de) 2013-10-02 2015-04-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stimmen eines Höhenstands eines Kraftfahrzeugs
CN104833327B (zh) * 2014-12-19 2019-02-2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空气悬架的高度状态的仪表显示方法
JP6453132B2 (ja) * 2015-03-27 2019-01-16 株式会社ショーワ 車高調整装置
JP6609498B2 (ja) * 2016-03-28 2019-11-20 株式会社ショーワ 車高調整装置
JP6622129B2 (ja) * 2016-03-28 2019-12-18 株式会社ショーワ 車高調整装置
CN106427451B (zh) * 2016-09-26 2019-02-05 中国农业大学 农用动力底盘调平系统及其调平方法
DE112018005542B4 (de) * 2017-09-27 2023-08-17 Hitachi Astemo, Ltd. Fahrzeugsteuerungs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0716A (ja) * 1987-12-16 1989-06-23 Tokico Ltd 車高調整装置
JPH03159808A (ja) * 1989-11-17 1991-07-09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車両の車高調整装置
JPH06104405B2 (ja) * 1985-10-12 1994-12-21 日本電装株式会社 車高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302A (ja) * 1983-06-15 1984-12-2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伝送用フアイバ
US4517832A (en) * 1984-01-12 1985-05-21 Ford Motor Company Air suspension system service diagnostics
JPS61261119A (ja) * 1985-05-13 1986-11-19 Nissan Motor Co Ltd 車高調整装置
US4965878A (en) * 1988-11-30 1990-10-23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height control system
JP2751391B2 (ja) * 1989-05-12 1998-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GB9213178D0 (en) * 1992-06-22 1992-08-05 Lotus Car Vehicle suspension system
DE19959658C2 (de) * 1999-12-10 2003-07-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Niveauregelsystem in Kraftfahrzeugen
US6941205B2 (en) * 2002-08-01 2005-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hing roll rate sensor fault
JP2005271718A (ja) * 2004-03-24 2005-10-06 Aisin Seiki Co Ltd 車高調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405B2 (ja) * 1985-10-12 1994-12-21 日本電装株式会社 車高制御装置
JPH01160716A (ja) * 1987-12-16 1989-06-23 Tokico Ltd 車高調整装置
JPH03159808A (ja) * 1989-11-17 1991-07-09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車両の車高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7025D1 (de) 2010-11-04
EP1792759B1 (en) 2010-09-22
EP1792759A2 (en) 2007-06-06
US20070129865A1 (en) 2007-06-07
EP1792759A3 (en) 2007-11-21
CN1974242A (zh) 2007-06-06
JP2007153330A (ja) 2007-06-21
KR20070057477A (ko) 2007-06-07
CN100471708C (zh)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641B1 (ko) 신호 고착 판정 기능을 갖는 차고 조절용 현가 장치 및 그차고 제어 방법
KR100829031B1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및 그 차고 제어 방법
JP2008537521A (ja) 自動車用の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JP2000230822A (ja) 車体と車輪間の距離測定装置
JP4655913B2 (ja) 上下加速度センサの検出値を姿勢補正する車輪上下加速度検出装置
US1065062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bnormalities in a vehicle stabilizer system
US20080306649A1 (en) Vehicle Driving Safety Control Apparatus
JP5370494B2 (ja) 車両制御装置
EP1736387A2 (en) Wheel-end mounted multipurpose acceleration sensing device
KR102273469B1 (ko) 차량의 현가장치 성능 이상 판단 시스템
KR100880110B1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제어 현가장치의 고장 검출 방법
CN113771620A (zh) 车辆负载感测系统及禁止车辆运动的方法
KR101611967B1 (ko) 차량 휠 얼라인먼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7170872A (ja) 車両状態推定装置および車両状態推定方法
KR20170112040A (ko) 전자제어현가장치의 전자제어유닛 장착 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101997323B1 (ko) 차량의 급제동 제어방법
KR100648811B1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드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0824240B1 (ko) 차고 조절용 현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184610A (ja) 加速度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
KR20030072473A (ko) 차량 타이어 휠 축 이상 진단 방법
KR101229444B1 (ko)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용 가속도 센서 및 휠 가속도 센서의고장진단방법
KR101162328B1 (ko) 전자 제어 현가 장치 및 그 차고 제어 방법
KR100444453B1 (ko) 차량의 전자현가장치
KR20040080426A (ko) 차량의 스티어링 센서 고장 진단 방법
KR20030018091A (ko) 자동차 전자제어식 현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