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370A -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 Google Patents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370A
KR20060109370A KR1020050031599A KR20050031599A KR20060109370A KR 20060109370 A KR20060109370 A KR 20060109370A KR 1020050031599 A KR1020050031599 A KR 1020050031599A KR 20050031599 A KR20050031599 A KR 20050031599A KR 20060109370 A KR20060109370 A KR 20060109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continuous
microlen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163B1 (ko
Inventor
황철진
김종선
고영배
허영무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163B1/ko
Priority to PCT/KR2005/002887 priority patent/WO2006109907A1/en
Publication of KR2006010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other areas of environ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1/00Marking of navigation route
    • B63B51/04Marking of navigation route with free-floating fla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8Sinking workpieces into water or soil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3/0018Reflow, i.e. characterized by the step of melting microstructures to form curved surfaces, e.g. manufacturing of moulds and surfaces for transfer 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022/028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submerged, e.g. fitting into ship-borne counterpart with or without rotatable turret, or being releasably connected to moored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63B2231/06Stainless st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의 마이크로렌즈 제조방법에 있어서, 빛이 통과되는 제1 영역과 빛이 통과되지 않는 복수 개의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를 포토레지스트가 코팅된 기판 상에 정렬시켜 노광하는 제1 단계; 상기 노광된 기판을 현상하여 기둥 형태를 가진 다수의 포토레지스트를 얻는 제2 단계; 상기 기둥 형태의 포토레지스트를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만곡시키되, 상기 기둥 형태의 포토레지스트들이 일 방향의 이웃하는 포토레지스트들과 연결되어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을 이룰 때까지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의 포토레지스트가 음각되도록 하는 음각 스탬퍼를 제작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음각 스탬퍼를 금형으로 하여 상기 연속마이크로렌즈가 양각된 도광판을 성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이웃하는 포토레지스터 간에 오버랩 되도록 한 연속마이크로렌즈를 제작시킴으로써,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미세한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용을 줄이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리플로우, 도광판, 마이크로 렌즈

Description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Manufacturing method of continuous microlens using reflow process and it's application to Light Guide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기둥 형상의 포토 레지스트를 제조하는 노광 공정을 보인 공정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원기둥 형상의 포토 레지스트들의 직경 및 간격 특징을 보인 단면도.
도 4a와 도 4b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플로우 공정 후에 직경 및 간격 특징에 따라 변화된 포토레지스트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각 스탬퍼 제조 과정을 보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각 스탬퍼 제조 공정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마스크 22: 제1 영역
23: 제2 영역 31: 기판
32: PR(포토레지스트) 34: 원기둥형상의 PR
36: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의 PR 41: 금속박막
42: 음각 스탬퍼 44: 양각 스탬퍼
본 발명은 초미세패턴 형상가공 기술 및 미세성형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렌즈(micro-lens) 어레이(array) 또는 도광판(Light Guiding Plate: LGP) 등에 사용되는 광 확산 및 시야각 조절을 위한 연속마이크로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 PDP, FED와는 달리 액정표시장치(LCD)에 의한 표시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기 때문에 빛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어두운 곳에서도 액정표시장치(LCD)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패널 전체에 고르게 빛을 전달하는 조광장치로서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배경광원과, 빛을 반사시켜주는 반사판, 도광판, 확산판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광판은 양측면에 광원으로 사용되는 배경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액정표시장치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조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도광판의 전면을 일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프리즘 형태로 제 작하여 이웃하는 프리즘 형태 간에 V형 그루브(groove)가 형성되게 제작하거나, 일정한 크기의 확산 잉크 도트(dot) 형식으로 배열되게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광판 전면을 프리즘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V형 그루브(groove) 패턴 형상을 기계적으로 가공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미세한 V형 그루브 패턴의 제조가 어렵고, 제조 기간이 길고 비용이 비싼 문제가 있다.
또한, 확산 잉크 도트 형식을 사용한다하더라도 확산 잉크 자체의 흡수율과 산란으로 인해 광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학적 차원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장치면과 약 90도를 이루는 높은 출사각의 광이 필요한 반면, 종래 기술의 도광판을 통해서 출사되는 광은 출사각이 도광판 면과 약 30도로 매우 낮기 때문에, 낮은 출사각을 높이기 위하여 높은 가격의 프리즘 필름이나 확산 필름이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사용되는 필름들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턴들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 또한, 기계가공이나 식각을 사용하기 때문에 균일한 형상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의 마이크로렌즈를 제조함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렌즈들이 일 방향(x축 또는 y축)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큰 마이크로 렌즈 즉, 연속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 도록 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작된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속마이크로렌즈의 크기 또는 도광판에서의 배열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작된 도광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광판의 마이크로렌즈 제조방법에 있어서, 빛이 통과되는 제1 영역과 빛이 통과되지 않는 복수 개의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를 포토레지스트가 코팅된 기판 상에 정렬시켜 노광하는 제1 단계; 상기 노광된 기판을 현상하여 기둥 형태를 가진 다수의 포토레지스트를 얻는 제2 단계; 상기 기둥 형태의 포토레지스트를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만곡시키되, 상기 기둥 형태의 포토레지스트들이 일 방향의 이웃하는 포토레지스트들과 연결되어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을 이룰 때까지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의 포토레지스트가 음각되도록 하는 음각 스탬퍼를 제작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음각 스탬퍼를 금형으로 하여 상기 연속마이크로렌즈가 양각된 도광판을 성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노광 공정에 사용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21)를 제조를 한다. 여기서 마스크(21)는 패턴의 정밀도에 따라 필름 마스크나 크롬 마스크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크롬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1㎛ 정도의 정밀도로 마스크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은 마스크(21)는 빛이 통과되는 제1 영역(22)과 빛이 통과되지 않는 복수 개의 제2 영역(2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영역(23)은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론 상기 제2 영역(23)을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 즉, 사각, 오각, 육각 등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스크(21)는 다수의 제2 영역(23)을 동일한 형상, 동일한 직경과 동일한 간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직경과 서로 다른 간격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21)의 제2 영역(23)들은 일 방향의 연장선상에 배열되되, 상기 제2 영역(23)간의 거리는 근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배열과 이웃하는 또 다른 제 2영역들의 배열로부터 적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기둥 형상의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하는 노광 공정을 보인 공정도 이다.
우선, 도 2a와 같이 스핀 코터(Spin Coater; 미도시) 장비를 이용하여 유리 또는 실리콘 웨이퍼 기판(31) 상에 감광제인 PR(Photoresist; 32)를 코팅한다. 이때 사용되는 PR(32)의 종류는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상기 코팅공정이 끝나면, 코팅된 기판(31)을 오븐에 넣고 소프트 베이킹(Soft baking)을 한다. 이때 베이킹 조건은 온도 70~120℃에서 시간은 2~30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프트 베이킹이 끝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1)를 PR 코팅된 기판(31) 상에 얼라인(align) 키(key)에 맞춰서 얼라인시키고, 정해진 시간으로 노광공정을 실시한다.
도 2b에서 R은 해당 마스크(21) 상의 제2 영역(23)의 직경을 나타내는데, 각각의 제2 영역(23)들은 직경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La, Lb는 제2 영역(23) 간의 간격으로 서로 다르다.
그리고 La는 제2 영역(23)의 수평방향 간 간격을 나타내고, Lb는 제2 영역(23)의 수직방향 간의 간격을 나타내는데, La의 간격이 좁고, Lb의 간격이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광공정이 끝나면 현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현상액 온도는 상온에서 디핑(Dipping)하는 방식을 취한다.
상기 현상결과를 도 2c를 통해 살펴보면,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노광에 의해 빛을 통과한 제1 영역(22)의 PR(32)영역은 녹아서 없어지게 되고, 빛을 받지 않은 제2 영역(23)의 PR(32)영역은 남게 된다.
결국, 기판(31)에 남는 것은 빛을 받지 않은 제2 영역(23)의 PR(34)이다. 이때, 상기 PR(34)의 형상은 제2 영역(23)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 형태를 따르게 되고, 노광의 결과로서 원기둥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노광공정에 의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PR(34)은 마스크(21)의 제2 영역(23)들의 패턴과 형상을 따르게 된다.
도 3a는 노광된 기판을 원기둥 형상의 PR(34) 간격이 좁은 부분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노광된 기판을 원기둥 형상의 PR(34) 간격이 넓은 부분으로 절단한 단면도이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원기둥 형상의 PR(34)들은 동일한 높이와 직경을 가지나, 수평/수직방향에 따른 간격(La, Lb)이 서로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현상 작업을 마치면, 핫(Hot) 플레이트(Plate) 장비를 이용해 리플로우(Reflow)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원기둥 형상의 PR(34)을 만곡시킨다.
여기서, 상기 리플로우 공정은 PR(34)에 열을 가하여 상기 감광제(즉, PR)가 열을 받아서 녹아내리게 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때 리플로우 조건은 제조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온도 100~200℃ 사이에 수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플로우 공정 후의 PR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b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플로우 공정 후의 PR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PR(34)을 리플로우 공정에 의해 이웃하는 PR(34)과 오버랩(overlap)되게 하여,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의 PR(36)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버랩(overlap)되는 PR 간에 형성되는 경사각 즉, 그루브(groove)는 마스크(21)의 제작 시에 제2 영역(23)의 직경 또는 이웃하는 제2 영역(23) 간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만약 이웃하는 PR(34) 들이 적정직경과 충분한 근접거리를 확보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PR(34)들은 중첩되지 못하고 그루브(groove)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정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이웃하는 PR(34)들의 간격을 고정한 채 PR(34)의 직경을 점차적으로 크게 해서, 리플로우 공정 후에 이웃하는 PR(34)들 간에 오버랩 되는 면적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 이웃하는 PR(34)들의 직경을 고정한 채 간격을 점차적으로 좁혀서, 리플로우 공정 후에 이웃하는 PR(34)들 간에 오버랩 되는 면적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오버랩 되는 면적이 작게 되면 PR(34)간에 형성된 그루브의 내각(즉 경사각)이 작아지게 되고, 오버랩 되는 면적이 많아지면 그루브의 내각(즉 경사각)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PR(34)의 직경 및 PR(34) 간의 간격에 따라 형성되는 그루브의 내각을 수치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제품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마스크(21)의 제2 영역(23) 및 리플로우공정 시의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함으로서, 원하는 형태의 그루브를 쉽고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되고,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곡률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각 스탬퍼 제조 과정을 보인 공정도 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의 PR(36)이 패턴으로 형성된 기판(31) 상에 금속 박막(41)을 코팅한다.
이때, 상기 금속 박막(41) 코팅은 보통 크롬(Cr) 코팅을 많이 하며, 금(Au)을 추가로 코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박막(41) 코팅이 끝나면, 기판(31)을 도금장비에 장착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켈 전기 도금을 실시한다. 이때 공급되는 전류는 각 스텝에 따라 수 암페어를 흘리며 이에 따른 도금두께는 400~450㎛가 되고(4인치 웨이퍼 기준),니켈 도금된 부분이 스탬퍼(stamper; 42)가 된다.
상기 니켈 전기 도금을 통해 스탬퍼(42)를 만들면, 기판(31)과 스탬퍼(42)를 분리시킨다. 이때 분리된 스탬퍼(42)는 연속마이크로렌즈의 어레이 패턴이 음각으로 전사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스탬퍼(42; 이하 음각 스탬퍼라 함)에는 연속마이크로렌즈 형태의 어레이 패턴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고, 구면 렌즈 형태 간에 의한 그루부가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음각의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을 가진 음각 스탬퍼(42)를 제작하면, 상기 음각 스탬퍼(42)를 금형으로 하여 양각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가진 도광판 또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음각 스탬퍼(42)를 이용하면, 음각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가진 도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양각 스탬퍼를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각 스탬퍼 제조 공정을 보인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음각 스탬퍼(42)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 위에 새로운 니켈 도금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도금공정을 통해서 새로운 니켈도금 영역(44)이 형성되고, 상기 니켈 도금 영역(44)은 음각 스탬퍼(4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음각 스탬퍼(42)와 분리된 새로운 니켈도금 영역(44)은 상기 음각 스탬퍼(42)가 전사된 형태를 가지는 새로운 양각 스탬퍼(44)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새로운 양각 스탬퍼(44)는 연속마이크로렌즈가 양각인데 반해, 비대칭 곡률 마이크로렌즈 간에 의한 그루부가 음각으로 새겨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양각 스탬퍼(44)를 금형으로 하면 음각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가진 도광판(미도시)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3차원적인 연속마이크로렌즈를 만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지름이 같고 한 방향의 거리가 가깝고, 다른 방향의 거리가 넓은 원통형 기둥형상의 포토레지스트를 만들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리플로우 특성을 이용하여 열처리를 통해 각각의 원통형 기둥이 높이와 지름에 따른 특정의 곡률을 가진 렌즈 형상이 되도록 하는 바, 한 방향으로 인접한 렌즈 끼리 합치게 되는 효과를 이용하여 하나의 렌즈이면서 복수 개의 곡률을 갖는 연속마이크로렌즈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이웃하는 포토레지스 터 간에 오버랩 되도록 한 연속마이크로렌즈를 제작시킴으로써,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미세한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제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용을 줄이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플로우되는 포토레지스터의 직경 또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포토레지스터 간의 그루브의 내각을 제작자 임의대로 제조할 수 있어서, 빛의 굴절과 난반사를 조절이 용이한 광학적 성능을 가진 연속마이크로렌즈와 다수개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통하여 도광판 등에 응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도광판의 마이크로렌즈 제조방법에 있어서,
    빛이 통과되는 제1 영역과 빛이 통과되지 않는 복수 개의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진 마스크를 포토레지스트가 코팅된 기판 상에 정렬시켜 노광하는 제1 단계;
    상기 노광된 기판을 현상하여 기둥 형태를 가진 다수의 포토레지스트를 얻는 제2 단계;
    상기 기둥 형태의 포토레지스트를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만곡시키되, 상기 기둥 형태의 포토레지스트들이 일 방향의 이웃하는 포토레지스트들과 연결되어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을 이룰 때까지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연속마이크로렌즈 형상의 포토레지스트가 음각되도록 하는 음각 스탬퍼를 제작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음각 스탬퍼를 금형으로 하여 상기 연속마이크로렌즈가 양각된 도광판을 성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필름 마스크 또는 크롬 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제2 영역들은 일 방향의 연장선상에 배열되되, 상기 제2 영역간의 거리는 근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배열과 이웃하는 또 다른 제 2영역들의 배열로부터 적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제2 영역은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연속마이크로렌즈가 패턴으로 형성된 기판 상에 금속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박막 상에 니켈 전기 도금을 수행하고 상기 니켈 전기 도금한 영역만을 분리시켜 스탬퍼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 코팅은 크롬 코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 코팅은 상기 크롬을 코팅한 후 금을 추가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 스탬퍼를 마스터로 하여, 상기 음각 스탬퍼의 연속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이 양각되도록 한 양각 스탬퍼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양각 스탬퍼를 금형으로 하여 연속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이 음각된 도광판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스탬퍼는 음각 스탬퍼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 위에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 이를 분리시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10. 복수개의 마이크로렌즈가 형성되는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상의 일 방향 연장선상으로 반구형상의 곡률을 갖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렌즈가 정렬되되,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 간에는 중첩부를 갖도록 연속해서 연결되는 연속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하고, 상기 연속마이크로렌즈는 도광판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속마이크로렌즈는 이웃하는 다른 연속마이크로렌즈로부터 적정거리 떨어져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마이크로렌즈를 갖는 도광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속마이크로렌즈들 중 어느 일부는 크기를 달리하거나 배열방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마이크로렌즈를 갖는 도광판.
KR1020050031599A 2005-04-15 2005-04-15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KR100658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599A KR100658163B1 (ko) 2005-04-15 2005-04-15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PCT/KR2005/002887 WO2006109907A1 (en) 2005-04-15 2005-08-31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inuous micro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599A KR100658163B1 (ko) 2005-04-15 2005-04-15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370A true KR20060109370A (ko) 2006-10-20
KR100658163B1 KR100658163B1 (ko) 2006-12-15

Family

ID=3708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599A KR100658163B1 (ko) 2005-04-15 2005-04-15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8163B1 (ko)
WO (1) WO20061099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340A1 (ko) * 2016-03-10 2017-09-14 광주과학기술원 미세 구조를 가지는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22B1 (ko) * 2007-05-07 2010-03-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CN102221156B (zh) * 2010-04-06 2012-11-1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
WO2011138237A1 (en) * 2010-05-07 2011-11-10 Paul Scherrer Institut Fabrication of nanometer and micrometer structures with continuous reliefs
CN108318947A (zh) * 2018-04-08 2018-07-24 中山大学 一种低折射率全介质平面透镜的制作方法
CN111239879A (zh) * 2020-02-18 2020-06-05 中山大学 一种利用单次光刻和热回流实现多台阶衍射微光学元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366A (en) * 1990-10-09 1994-03-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lens array
US5245454A (en) * 1991-12-31 1993-09-14 At&T Bell Laboratories Lcd display with microtextured back reflec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9292504A (ja) * 1996-02-27 1997-11-11 Sharp Corp 反射板及びその作製方法及びその反射板を用い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0380855B1 (ko) * 1999-02-10 2003-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시스템
JP3698144B2 (ja) * 2003-02-07 2005-09-21 ヤマハ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法
JP4243129B2 (ja) 2003-04-18 2009-03-25 Towa株式会社 導光板成形用金型の加工方法
EP1491918A3 (en) * 2003-06-24 2005-01-26 Lg Electronics Inc. Microlens array sheet of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71392B1 (ko) * 2003-12-24 201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581029B1 (ko) * 2004-05-28 2006-05-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다수의 다곡률렌즈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340A1 (ko) * 2016-03-10 2017-09-14 광주과학기술원 미세 구조를 가지는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163B1 (ko) 2006-12-15
WO2006109907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162B1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KR100658164B1 (ko) 비대칭 피라미드 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KR100912361B1 (ko) 도광판,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구비하는 면광원장치
US577663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transmitting plates
KR100658163B1 (ko)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도광판의 연속마이크로렌즈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KR20060096198A (ko) 자외선 경화방법을 이용한 도광판 제조방법
JP2009507669A (ja) レンズ製造方法
CN101273287A (zh) 制造透镜的方法
KR100747001B1 (ko) 점광원을 이용한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8636B1 (ko) 비대칭 다-곡률 마이크로렌즈 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KR100857723B1 (ko) 마이크로 렌즈 패턴 형성방법, 도광판용 코어금형의제조방법 및 코어금형을 이용한 도광판 제조방법
KR100539090B1 (ko) 마이크로 렌즈 제조 방법
TWI297092B (en) Method for forming optical panel, molded optical panel and mold thereof
KR100581029B1 (ko) 반도체 리플로우 공정를 이용한 다수의 다곡률렌즈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광판
KR100537994B1 (ko) 다중층 마이크로 렌즈 제조 방법
KR100317881B1 (ko) 평판조명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홀로그램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0797778B1 (ko) 폴리머 패턴, 금속 스탬퍼 및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형성방법
KR20060096199A (ko) 도광판 제작용 스탬퍼의 제조방법
KR100581688B1 (ko) 동심원 패턴을 가진 렌즈 제조 방법
KR20060118949A (ko)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및 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복제용음각틀의 제작방법
KR100537995B1 (ko) 그레이팅이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 제조 방법
KR100619476B1 (ko) 광확산부와 집광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백라이트유닛용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83361A (ko) 음성 자외선 감광재를 이용한 액정소자 후광장치용 금형제조 방법
KR20040086901A (ko) 자외선 마스크를 이용한 3차원 미세 구조물 제조 방법
KR20100088458A (ko) 도광판 제조를 위한 홀로그램 패턴의 임프린트 공정을 통한금형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