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169A - 순환수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순환수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169A
KR20060109169A KR1020050031485A KR20050031485A KR20060109169A KR 20060109169 A KR20060109169 A KR 20060109169A KR 1020050031485 A KR1020050031485 A KR 1020050031485A KR 20050031485 A KR20050031485 A KR 20050031485A KR 20060109169 A KR20060109169 A KR 20060109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ng water
main body
pipe
storage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903B1 (ko
Inventor
이태하
Original Assignee
이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하 filed Critical 이태하
Priority to KR102005003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90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ing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수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순환수의 저장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를 다수의 저장부로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격부와, 격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본체 내부의 저장부 간을 순환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파이프부재와, 본체의 저장부와 연통되어 순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로와, 본체의 저장부와 연통되어 순환수가 방출되도록 하는 방출관로와, 순환수의 순환을 유도하도록 장착되는 순환펌프를 구비한다.
보일러, 저장탱크, 순환수, 관로, 순환펌프, 격부

Description

순환수 저장탱크{TANK FOR STORING HEAT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 저장탱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파이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순환수 흐름도.
도 4는 도 1의 보일러 작동시 순환수 흐름도.
도 5는 도 1의 보일러 미작동시의 순환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2...순환수 펌프
13...순환수 15...저장부
17...제1관로 19...제2관로
20...격부 22...제3관로
24...제4관로 26...제5관로
30...파이프부재
본 발명은 순환수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순환수를 온도별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일러 미가동 시에 순환수를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순환수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에 사용되는 보일러는 순환수를 가열하여 난방을 실시하고 저장탱크에 순환수를 저장한다.
이러한 종래 저장탱크는 그 내부의 저장공간이 하나로 형성되어,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어 난방 실시후에 저장되는 순환수의 온도는 일정온도 이하의 저온으로 저장됨으로써, 저장된 순환수는 저장온도가 낮아 열에너지의 용도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순환수 저장탱크의 순환수 저장공간을 다수개로 분리하고, 순환수의 저장을 고온/저온으로 분리 저장가능하도록 하여, 순환수 저장탱크 내부의 순환수를 열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순환수 저장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순환수 저장탱크는, 순환수의 저장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다수의 저장부로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격부; 상기 격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부 간을 순환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파이프부재; 상기 본체의 저장부의 일 측과 보일러와 연통 되며, 제1개폐밸브가 장착되어 순환수가 유출입되는 제1관로; 상기 본체의 저장부의 타 측과 보일러와 연통되며, 제2개폐밸브가 장착되어 순환수가 유출입되는 제2관로; 상기 제2관로에 장착되어 순환수의 순환을 유도하도록 하는 순환수 펌프; 상기 제1관로에 분기되며 제3개폐밸브가 장착되어 난방위치로 연장되는 제3관로; 상기 제2관로에 분기되어 상기 난방위치로 연장되는 제4관로; 및 상기 제1관로와 상기 제2관로 간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제4개폐밸브가 장착되는 제5관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부는 상기 본체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저장부로 분할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해당 넓이로 장착되어 상기 저장부 간을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단은 상기 격부의 일 측 저면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격부의 타 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격부의 넓이 방향으로 다수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 저장탱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 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 저장탱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이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순환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 저장탱크(100)는, 순환수의 저장부가 마련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를 다수의 저장부(15)로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격부(20)와, 격부(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본체(10) 내부의 저장부(15a)(15b)(15c) 간을 순환수(13)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파이프부재(30)와, 본체(10)의 저장부(15)의 일 측과 보일러(11)와 연통되며 제1개폐밸브(21)가 장착되어 순환수(13)가 유출입되는 제1관로(17)와, 본체(10)의 저장부(15)의 타 측과 보일러(11)와 연통되며 제2개폐밸브(23)가 장착되어 순환수(13)가 유출입되는 제2관로(19)와, 제2관로(19)에 장착되어 순환수(13)의 순환을 유도하도록 하는 순환수 펌프(12)와, 제1관로(17)에 분기되어 난방위치로 연장되며 제3개폐밸브(25)가 장착되는 제3관로(22)와, 제2관로(19)에 분기되어 상기 난방위치로 연장되는 제4관로(24)와, 제1관로(17)와 제2관로(19) 간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제4개폐밸브(27)가 장착되는 제5관로(26)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보일러(11)를 통해 가열된 순환수(13)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저장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저장부(15)에는 다수개의 격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내부 압력 측정을 위한 압력계(14)가 장착된다.
상기 격부(20)는 본체(10) 내부의 저장부(15)의 수직방향의 해당 넓이로 마련된다. 상기 격부(20)는 본체(10)의 저장부를 다수개의 저장부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격부(20)는 다수개로 장착되어 저장부(15)를 적어도 2개이상의 공간으로 동일 간격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격부(20)는 본체(10)의 저장부(15)를 다수개로 분리되도록 하여, 순환수(13)를 순차적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저장부(15)는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로 분리되며, 이러한 저장부(15)의 분리는 격부(20)의 마련되는 개수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순환수(13)는 저장부(15)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순환수(13)의 저장 온도는 각 저장부 즉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에서 각각 다른 온도를 갖는다. 이러한 순환수(13)의 순차적인 저장을 통해, 순환수(13)는 고온의 순환수와 저온의 순환수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순환수(13)의 온도별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온의 순환수가 저장된 어느 하나의 저장부의 순환수(13)를 난방부로 공급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저장부(15a)로부터 순차적으로 순환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격부(20)에는 각 저장부 간을 순환수(13)가 순환 가능하도록 하는 파이프부재(30)가 장착된다.
상기 파이프부재(30)는 다수개의 격부(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본체(10) 내부의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 간을 순환수(13)가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부재(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격부(20)의 일 측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격부(20)의 타 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 에따라 순환수(13)는 일 측 저장부에서 타 측 저장부로 파이프부재(3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부재(30)는 하나의 격부(20)에 다수개로 장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격부(20)에 3개가 장착되며, 그 장착 개수는 순환수(13)의 순환량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0)에는 제1/제2관로(17)(19)가 연결되어 순환수(13)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관로(17)에는 제1개폐밸브(21)가 장착되어 순환수(13)의 선택적인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2관로(19)에는 제2개폐밸브(23) 및 순환수 펌프(12)가 장착되어 순환수(13)의 선택적인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관로(17)의 제1개폐밸브(21)와 보일러(11) 간에는 제3관로(22)가 분기된다. 이러한 제3관로(22)는 제3개폐밸브(25)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1관로(22)에서 분기되어 난방부(16)로 연결됨으로써, 순환수(13)의 난방부(16)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2관로(19)의 제2개폐밸브(23)와 본체(10) 간에는 제4관로(24)가 분기된다. 즉, 상기 제4관로(24)에는 제2개폐밸브(23)의 선택적인 개폐 유무에 따라 순환수(13)가 선택적으로 난방부(16)로 순환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관로(17)와 제2관로(19) 간에는 제5관로(26)가 연결된다. 상기 제5관로(26)에는 제4개폐밸브(27)가 장착되어 선택적인 순환수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술한 난방부(16)는 난방하고자 하는 비닐하우스 또는 음식점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순환펌프(12)의 구동력으로 순환되어 보일러(11)를 통해 가열되는 순환수(13)는 다수개의 저장부 즉,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에 저장되는 온도를 달리하여 저장된다.
전술한, 상기 순환수(13)의 저장부(15)로의 순환 저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순환펌프(12)가 작동되면, 제2관로(19)에 연통된 제3저장부(15c)에 저장된 순환수(13)의 방출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3저장부(15c)에서 방출된 순환수(13)는 보일러(11)를 통해 적정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일러(11)로 가열된 순환수(13)는 제1관로(17)를 통해 제1저장부(15a)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제3저장부(15c)의 저온 상태의 순환수(13)는 보일러(11)를 통해 적정온도로 가열되어 제1저장부(15a)로 순환 저장된다. 이러한 순환수(13)의 계속적인 순환이 발생되면, 제1저장부(15a)는 일정 시간후에 그 저장용량의 한계점에 도달된다. 그러면, 제1저장부(15a)의 순환수(13)는 파이프부재(30)를 통해 제2저장부(15b)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저장부(15b)에 저장된 순환수(13)는 전술한 동일한 작용으로 제3저장부(15c)로 유입된다. 이러한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 상호간의 순환수(13)의 순환 저장은 순환수(13)의 저장 압력에 따라 순환 저장된다. 또한, 순환수(13)의 방출/유입되는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 간의 압력차이에 따라 용이하게 순환수(13)의 순환저장이 이루어진다. 즉, 순환펌프(12)의 구동력으로 순환수(13)가 최초 방출되는 제3저장부(15c)는 순간적인 진공상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최저의 압력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제3저장부(15c)로 제2저장부(15b)의 순환수(13)가 압력차이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동일한 작용으로 제1저장부(15a)의 순환수(13)는 제2저장부(15b)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이러한 저장부(15)에 장착되는 격부(20)를 다수개로 하면 격부(20)를 통해 분리되는 저장부(15)의 개수는 다수개로 형성 가능하다. 이에따라, 순환수(13)는 그 저장되는 온도를 세분화하여 저 장부(15)에 저장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저장부(15a)의 순환수 온도가 가장 높고, 제2저장부(15b) 및 제3저장부(15c) 순으로 순환수(13)의 저장온도가 결정된다. 이에따라,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순환수(13)는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로 각각 분리되어 저장됨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에 저장탱크(100)의 순환수(13)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제1저장부(15a)의 순환수 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고온의 순환수(13)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에는 순환수의 저장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4)가 장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제2/제3/제4개폐밸브(21)(23)(25)(27)의 선택적인 개폐에 따른 순환수의 흐름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보일러의 작동에 따른 본체의 순환수 공급 및 가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보일러의 미작동에 본체의 순환수를 이용한 난방부의 난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1)의 작동을 통해 본체(10)의 순환수 가열 저장을 설명한다. 우선, 보일러(11)의 작동전에 제1개폐밸브(21) 및 제2개폐밸브(23)를 개방하고, 제3/제4개폐밸브(25)(27)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어서, 보일러(11)의 작동 및 순환수 펌프(12)의 작동을 실시하면, 순환수(13)는 제2관로(19)와 제1관로(17)를 통해 본체(10)와 보일러(11) 간을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수(13)의 순환 가열을 통해 본체(10)의 순환수(13)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 저장이 이루어진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1)의 미작동시에 본체(10)의 가열된 순환수(13)를 통한 난방부(16)의 난방 실시를 설명한다. 우선, 순환수 펌프(12)의 작동 전에, 제1개폐밸브(21) 및 제2개폐밸브(23)를 폐쇄하고, 제3개폐밸브(25) 및 제4개폐밸브(27)를 개방한다. 다음, 순환수 펌프(12)를 작동시키면 본체(10)의 순환수(13)는 제5관로(26)와 보일러(11)를 거쳐 제3관로(22)를 통해 난방부(16)로 유입되어 난방부(16)의 난방 실시후, 제4관로(24) 및 제2관로(19)를 통해 본체(10)로 유입된다. 즉, 본체(10)에 저장된 고온의 순환수(13)를 통해 보일러(11)의 미작동시에도 난방부(16)의 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보일러(11)는 미작동시에도 순환수(13)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중에 보일러(11)의 작동시에도 순환수(13)의 가열과 함께 난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 저장탱크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 저장탱크(100)의 저장된 순환수(13)의 가열을 위해 순환펌프(12) 및 보일러(11)의 가동을 실시한다.
이러한 순환 펌프(12)의 작동이 실시되면, 순환수 저장탱크(100)의 제1저장부(15a)로부터 순환수(13)의 방출이 이루어져 보일러(11)에 의한 순환수(13) 가열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보일러(11)를 통해 가열된 순환수(13)는 제1저장부(15a)로 유입된다. 이러한 순환수 저장탱크(100) 내에서 저장되는 순환수(13)는 순환수 저장탱크(10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 간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즉, 제3저장부(15c)에서 순환수(13)의 방출이 이루어지면, 제3저장부 (15c) 내부는 순간적인 진공상태 또는 압력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3저장부(15c)의 압력하강이 발생되면, 제3저장부(15c)는 제2저장부(15b) 보다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제2저장부(15b)의 순환수(13)가 파이프부재(30)를 통해 제3저장부(15c)로 순환수(13)의 용이한 순환저장이 가능하다. 전술한 동일한 작동으로 제2저장부(15b)에는 제1저장부(15a)의 순환수(13)가 압력차이의 발생으로 용이하게 순환 저장된다. 이러한 순환수 저장탱크(100)에 저장되는 순환수(13)의 저장온도는 제1/제2/제3저장부(15a)(15b)(15c) 순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순환수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순환수(13)를 사용하여 보일러 미가동시에도 열에너지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 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순환수 저장탱크의 내부를 다수개의 저장부로 분리하고, 그 각각의 저장부에 다른 온도의 순환수가 저장되도록 하여, 보일러의 미작동시에 저장탱크에 저장된 높은 온도의 순환수를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순환수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순환수의 저장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다수의 저장부로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격부;
    상기 격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부 간을 순환수가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파이프부재;
    상기 본체의 저장부의 일 측과 보일러와 연통되며, 제1개폐밸브가 장착되어 순환수가 유출입되는 제1관로;
    상기 본체의 저장부의 타 측과 보일러와 연통되며, 제2개폐밸브가 장착되어 순환수가 유출입되는 제2관로;
    상기 제2관로에 장착되어 순환수의 순환을 유도하도록 하는 순환수 펌프;
    상기 제1관로에 분기되며 제3개폐밸브가 장착되어 난방위치로 연장되는 제3관로;
    상기 제2관로에 분기되어 상기 난방위치로 연장되는 제4관로; 및
    상기 제1관로와 상기 제2관로 간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제4개폐밸브가 장착되는 제5관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부는 상기 본체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저장부로 분할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 저장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해당 넓이로 장착되어 상기 저장부 간을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 저장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단은 상기 격부의 일 측 저면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격부의 타 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 저장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격부의 넓이 방향으로 다수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 저장탱크.
KR1020050031485A 2005-04-15 2005-04-15 순환수 저장탱크 KR10065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485A KR100653903B1 (ko) 2005-04-15 2005-04-15 순환수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485A KR100653903B1 (ko) 2005-04-15 2005-04-15 순환수 저장탱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499U Division KR200389438Y1 (ko) 2005-04-15 2005-04-15 순환수 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169A true KR20060109169A (ko) 2006-10-19
KR100653903B1 KR100653903B1 (ko) 2006-12-06

Family

ID=3761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485A KR100653903B1 (ko) 2005-04-15 2005-04-15 순환수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3652A (zh) * 2018-03-25 2018-08-17 佛山光腾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机组高效罐出入水管道优化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3652A (zh) * 2018-03-25 2018-08-17 佛山光腾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机组高效罐出入水管道优化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903B1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006B1 (ko)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EP3199884B1 (en) Hot-water supply and heating system
KR101355124B1 (ko) 예열기능을 구비한 팽창탱크 및 이를 사용한 보일러시스템
KR100653903B1 (ko) 순환수 저장탱크
JP2012026601A (ja) 貯湯タンクおよび貯湯式温水器
KR200389438Y1 (ko) 순환수 저장탱크
JP6410251B2 (ja) 熱融通ユニット
JP2009121301A (ja) リザーブタンク
KR101998358B1 (ko) 스팀 세척기
CN104034033A (zh) 加热系统和具有加热系统的热泵热水器
KR20130030700A (ko) 전기 축열식 히트 펌프 시스템
JP2004251593A (ja) 蓄熱式給湯装置
JP2011145010A (ja) 貯湯式給湯機
JP2011002201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101868671B1 (ko) 식기세척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KR20150134883A (ko) 난방 및 급탕용 온수보일러
KR101386129B1 (ko) 심야전기보일러
KR101487085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JP5361981B2 (ja) 貯湯式給湯器
KR101495741B1 (ko) 역세정을 이용한 해수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CN104828886A (zh) 水系统
CN213578235U (zh) 分离器及具有其的空调器
JP3842413B2 (ja) 顕熱回収装置及び蓄熱タンク
JP2001272112A (ja) 太陽熱温水器
WO2020259546A1 (zh) 用于制冰器的水过滤和回收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