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934A -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934A
KR20060108934A KR1020050030684A KR20050030684A KR20060108934A KR 20060108934 A KR20060108934 A KR 20060108934A KR 1020050030684 A KR1020050030684 A KR 1020050030684A KR 20050030684 A KR20050030684 A KR 20050030684A KR 20060108934 A KR20060108934 A KR 2006010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ginkgolic acid
obesity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291B1 (ko
Inventor
전효곤
이호재
고영희
강수경
장규태
양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29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ginkgolic acid)이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방세포 내 지방 배출을 촉진함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상기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은행 추출물, 징콜릭산(ginkgolic acid), 지방 배출, 비만

Description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ginkgolic aci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도 1은 은행으로부터 징콜릭산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징콜릭산의 수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는 것이다.
도 3은 징콜릭산의 농도별 처리 후 지방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징콜릭산의 농도별 처리 후 세포 내 지방 배출 촉진활성에 의한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ginkgolic acid)이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방세포 내 지방 배출을 촉진함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상기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은행(銀杏)은 이명으로는 압각수(鴨脚樹), 부지갑(不指甲), 영안(靈眼), 은행씨, 은행나무, 으능나무, 은행(銀杏)등으로 불린다.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오히려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은행나무들이 더 크고 많으며, 유효 성분 함량 또한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이는 30 m 가량 되며 잎은 어긋나고 부채 모양이다. 꽃은 암수 각기 딴 그루로 5월의 짧은 가지에서 잎과 함께 피어난다. 수꽃은 밑으로 늘어진 꼬리를 이루며 1∼5개 달린다. 암꽃은 하나의 가지에서 1∼6개가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길이 2 ㎝ 정도의 자루 끝에 2개씩의 배주가 마주 붙고 그 중 1개만 1월에 결실을 하게 된다.
열매는 외종피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며, '비오볼'이라는 독성 물질이 들어 있어서 옻이 오른 것 같은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 은행나무에는 '플라보노이드'라는 살충. 살균 성분이 있어 병들거나 벌레나 해충이 먹는 일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예로부터 그 잎과 열매, 뿌리까지 한방과 민간요법에서 여러 질환에 약물로 쓰여 왔는데, 은행은 백과라고 해서 진해, 거담, 천식, 유정, 자양, 대하증, 임병 등에 쓰이며, 은행잎은 관상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 협심증과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돕기 때문에 고혈압에도 사용된다. 또한, 흉통, 해수, 심계 등에도 쓰인다.
지방세포는 인체 내에 약 200 억 개 이상이 존재하고 있으며 포유류의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지방세포 내에서는 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에 대한 복잡한 조절 기작이 존재하는데, 에너지의 수요보다 공급이 월등히 많은 경우에는 지방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중성지방으로 저장하고 에너지가 고갈되었을 때에는 이를 다시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비만은 상기 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과도한 에너지가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써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체지방 증가 및 비만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런데 종래의 지방분해 촉진물질은 대부분 카페인(caffe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등의 메틸잔틴(methylxanthine)계 물질들로서,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의 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효소인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즈(adenylate cyclase)의 촉진 또는 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의 억제를 통하여 지방 분해 효능을 나타내는 것들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중독성 물질로서 기관지 확장을 유도하거나 월경 전 증후군 현상을 악화시키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본특허 제 2002-138045 호에는 유자, 으름덩굴, 보골지, 카바, 고추나무, 캐러웨이, 구기자 및 목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로 지방전구 세포(pre-adipocyte)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을 통하여 지방전구 세포의 분화 유도를 억제할 수 있고 비만, 당뇨, 피부 주름 등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일본 특허는 유자 등의 천연물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부작용이 적은 기술이었으나, 상기 언급한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이 지방전구세포가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해 가는 과정(adipogenesis)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이나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결과만이 기재되어 있고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이미 성숙한 지방세포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는 중성지방을 분해 및 배출하여 제거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어서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천연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종래의 비만 억제 물질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배출을 도우면서도 안전한 지방 분해 활성 성분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연구 및 검토한 결과,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징콜릭산이 지방전구세포가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해 가는 과정(adipogenesis)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배출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 결과적으로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지방세포에서 지방을 완전히 배출하는 활성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 되는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igure 112005019189007-PAT00001
본 발명은 은행 추출물,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19189007-PAT00002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ginkgolic acid)이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방세포 내 지방 배출을 촉진함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상기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다음 화학식 1의 징콜릭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19189007-PAT00003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추출물 또는 징콜릭산은 지방전구세포가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해 가는 과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배출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즉, 지방 전구세포인 3T3-L1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또한 성숙된 지방세포(adipocyte) 내의 중성지방(triglyceride)을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과 글리세롤(glycerol)로 분해함으로써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추출물 및 징콜릭산이 지방전구세포인 3T3-L1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세포로 분화된 3T3-L1 세포 내의 중성지방을 분해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짐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은행으로부터 분리된 안전하고 독성이 없는 징콜릭산을 섭취하는 경우, 지방세포내의 지방 축적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의 중성지방의 배출 분해가 촉진되어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징콜릭산은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은 은행 추출물 또는 화학식 1의 징콜릭산은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징콜릭산은 은행에서 분리한 것일 수도 있고 통상의 유기 합성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도 있다.
은행에서 징콜릭산을 추출, 분리 및 정제방법은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완숙은행을 메탄올로 추출하고 여과한 후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분획하여 헥산층을 얻는 단계;
3) 상기 용매층을 감압농축하고 헥산 추출액으로 하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활성분획물을 얻는 단계;
4) 상기 활성분획물을 감압 건조하여 아세토나이트릴 수용액으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정제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그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1 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한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제제화 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질환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컨대,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일 투여량은 은행 추출물의 경우에는 1 ~ 5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200 ㎎/㎏이다. 또한, 징콜릭산의 경우에는 0.1 ~ 100 ㎎/㎏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0.4 ~ 50 ㎎/㎏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데, 그 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과 기타 첨가제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또는 치료)에 따라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은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징콜릭산은 전체 식품 조성물의 0.01 ∼ 1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체중 조절 및 비만 예방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의 함량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및 부작용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에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포함된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의 천연 감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0.02 ~ 0.03 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 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은행으로부터 징콜릭산의 분리
은행과피를 메탄올(Methanol)로 침지하여 얻은 메탄올 침출액을 헥산(hexane)과 물층으로 분리하고, 1.3 g의 헥산층을 세파덱스 엘에이치-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활성분획 #24~#28을 얻었다. 600 mg의 활성분획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하여 122 mg의 활성분획 #13~#23을 얻었다. 이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화학식 1과 같으며 분자식은 C22H34O3이다[도 2 참조].
실시예 2 : 실험동물 세포주 및 처리
마우스의 전구지방 세포주 3T3-L1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고, DMEM 배양액, 트립신, FBS(Fetal bovine serum)은 깁코(GibcoTM, Invitrogen corporation)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3 : 징콜릭산의 지방형성 억제작용 확인
5×104/ml의 3T3-L1 섬유아세포를 10% 혈청과 항생제가 포함된 DEME 배지가 있는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 일간 전배양하였다. 그 후 인슐린 2 mmol, 이소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xanthine) 250 mmol 및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10 mmol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이 때 이틀마다 배지를 바꾸어 주었고 분화를 위한 시약과 화학식 1의 징콜릭산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배양하여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5 일 이상 지방세포(adipocytes)로 분화(differentiation)시킨 다음 배지를 버리고 건조시킨 후 10%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용액에서 1 시간 동안 고정한 뒤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지방염색용 시약(oil red O)으로 3 ~ 4 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세척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이소프로필알콜(isoprophyl alcohol)을 이용하여 붉게 염색된 부분을 녹여내어 510 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흡광도 결과는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 징콜릭산의 세포내 지방배출 촉진작용
5×104/ml의 3T3-L1 섬유아세포를 10% 혈청과 항생제가 포함된 DEME 배지가 있는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 일간 전배양하였다. 그 후 인슐린 2 mmol, 이소 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xanthine) 250 mmol 및 덱사메타존(dexamethasone) 10 mmol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이때 이틀마다 배지를 바꾸어 주었고 분화를 유도하는 시약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5 일 이상 지방세포로 분화시킨 다음 10% 혈청과 항생제를 함유하는 배지로 갈아준 후 분리한 징콜릭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지방구동화를 억제하는 반응을 관찰하였다. 16 ~ 18 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건조시킨 후 10%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용액에서 1 시간 동안 고정한 뒤 인산 완충용액(PBS)으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지방염색용 시약(oil red O)으로 3 ~ 4 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세척하여 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소프로필알콜(isoprophyl alcohol)을 이용하여 붉게 염색된 부분을 녹여내어 510 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흡광도 결과는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 독성시험
본 발명의 은행 추출물 또는 징콜릭산에 대하여 독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은행 추출물 및 화학식 1의 징콜릭산 각각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에 용해하고 물로 희석한 후 이를 마우스(군당 10마리)에 각각 10 ㎎/㎏을 투여한 다음 7일간 관찰하였으나 사망하는 쥐는 없었다.
제제예 1 : 시럽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산부가염,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부가염은 실시예에 의한 다른 염으로 대치시킬 수 있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1의 화합물ㆍ염산염 2 g
사카린 0.8 g
당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적량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5 m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은행 추출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3 : 주사액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은행 추출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4 : 음료 제조
은행 추출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에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C, 교미제로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올리고당을 적당량 가하고, 보존제로서 적당량의 나트륨벤조에이트를 가한 후에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0 ㎖로 만들어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타우린이나 마이오 이노시톨, 엽산, 판토텐산 등을 단독으로 혹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은행 추출물 또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징콜릭산은 지방세포 형성과 지방세포내 지방 배출을 촉진하여 부작용 없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므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이는 의약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4)

  1. 은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19189007-PAT00004
  3. 은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4.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 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5019189007-PAT00005
KR1020050030684A 2005-04-13 2005-04-13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84A KR100642291B1 (ko) 2005-04-13 2005-04-13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84A KR100642291B1 (ko) 2005-04-13 2005-04-13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34A true KR20060108934A (ko) 2006-10-18
KR100642291B1 KR100642291B1 (ko) 2006-11-03

Family

ID=3762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684A KR100642291B1 (ko) 2005-04-13 2005-04-13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1066A1 (en) * 2007-06-05 2010-06-17 Merizzi Giulia Federic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appetite, improving tone and mood, with a natural antidepressant activity and with an antiasthenic effect
US20100178371A1 (en) * 2007-06-05 2010-07-15 Merizzi Giulia Federica Composition for supressing appetite, improving tone and mood, with a natural antidepressant activity and with an antiasthenic effect
CN102846678A (zh) * 2012-08-14 2013-01-02 王青 银杏酚酸在减肥中的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1066A1 (en) * 2007-06-05 2010-06-17 Merizzi Giulia Federic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appetite, improving tone and mood, with a natural antidepressant activity and with an antiasthenic effect
US20100178371A1 (en) * 2007-06-05 2010-07-15 Merizzi Giulia Federica Composition for supressing appetite, improving tone and mood, with a natural antidepressant activity and with an antiasthenic effect
CN102846678A (zh) * 2012-08-14 2013-01-02 王青 银杏酚酸在减肥中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291B1 (ko) 200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332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US20110038959A1 (en) Plant-origin 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KR100588469B1 (ko) 생강에서 분리된 쇼가올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834348B1 (ko) 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953143B1 (ko) 오미자 추출물과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1162761B1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2291B1 (ko)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21925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290859B1 (ko) 사포닌과 고순도의 산성다당체를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KR101738206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8055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12006905A (ja) 美肌用組成物
KR101110063B1 (ko) 항암제 조성물
KR20170068217A (ko) 갯질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1766B1 (ko) 동백나무 덖음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103306A (ko) 가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7021A (ko)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