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063B1 - 항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063B1
KR101110063B1 KR1020090050592A KR20090050592A KR101110063B1 KR 101110063 B1 KR101110063 B1 KR 101110063B1 KR 1020090050592 A KR1020090050592 A KR 1020090050592A KR 20090050592 A KR20090050592 A KR 20090050592A KR 101110063 B1 KR101110063 B1 KR 10111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anol
composition
ethyl acetate
extract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808A (ko
Inventor
현창구
김길남
문지영
김민진
이욱재
이남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9005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06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61K47/686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the tumour determinant being from a cell of a blood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꼬마모자반(Sargassum nipponicum Yendo),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바위수염(Myelophycus simplex) 등의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 항암

Description

항암제 조성물{Composition Having a Anti-cancer Activity}
본 발명은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역쇠 추출물, 꼬마모자반 추출물, 바위수염 추출물 등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이란 일반적으로 인체 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주기에 이상이 생겨 세포가 정상적으로 분화하지 않고 성장을 조절할 수 없이 커진 것 중 악성인 것을 말한다.
암은 개시(initiation), 촉진(promotion) 및 진행(progression)의 세 단계를 거쳐 발생하는데, 환경이나 음식물 속에 포함된 발암 물질에 의해 세포 돌연변이가 일어나고 이러한 세포들이 발암 물질의 계속적인 자극을 받으면서 비정상적인 증식을 계속하여 암 조직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의 연구 방법에는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성 물질을 탐색하는 방법, 생체의 면역 능력을 조절하는 물질을 탐색하는 방법,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는 방법, 최근에 주목되고 있는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들은 효소 제제나 백신 등의 생물학적 제제, 화학 합성 의약품, 천연물 유래의 의약품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효소, 백신 등의 생물학적 제제는 실용 단계에 있는 상태는 아니며, 화학 합성 의약품은 암의 종류에 따라 약리작용이 다양하고(Gillman., et al., Maxwell Macmillan. , 18, pp 1202, 1986), 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암 치료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Chung., et al., J. Wonkwang Medical Sci. , 3 , pp 13-34, 1987).
근래에는 세포 배양 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각종 세포를 배양한 후, 여러 독성 물질을 투여함으로써 이들의 세포 독성에 대한 기전을 세포 수준에서 규명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천연물을 이용한 항암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인 해조류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암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29종의 해조류 추출물 중 감태(Ecklonia cava Kjellman)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해조류 추출물이 혈액암 세포주 HL-60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할 때, 본 발명의 혈액암 개선제 조성물은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꼬마모자반(Sargassum nipponicum Yendo),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바위수염(Myelophycus simplex), 애기마디잘록이(Lomentaria hakodatensis Yendo),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붉은까막살(Prionitis cornea), 패(Ishige okamurae Yendo), 진두발(Chondrus ocellatus Holmes), 가는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참갈고리풀(Bonnemaisonia hamifera), 타래서실(Laurencia intricata Lamouroux),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 빈참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 불레기 말(Colpomenia sinuosa), 주름붉은잎(Callophyllis crispata), 바위두둑(Leathesia difformis), 부챗말(Padina arborescens), 그물바구니 (구멍볼레기말)(Hydroclathrus clathratus), 쌍발이서실(Laurensia okamurae), 서실(Chondria crassicaulis),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가는미역실(Scytosiphon gracilis), 주름진두밭(Chondrus crispus), 애기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 까막살(Carpopeltis affinis) 및 톳(Hizikia fusiformis) 중 어느 하나의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해조류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상기 해조류를 메탄올, 증류수,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인 해조류를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해조류를 물, 증류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고 그 고형상의 추출물을 에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 분획한 후 얻어지는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말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해조류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고 그 고형상의 추출물을 에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 분획한 후 얻어지는 에틸 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말한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이다. 여기서 %는 부피 백분율(v/v)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선"이란 혈액암이 가지는 병리적 증상의 개선, 치료 및 그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꼬마모자반(Sargassum nipponicum Yendo),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바위수염(Myelophycus simplex), 애기마디잘록이(Lomentaria hakodatensis Yendo),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주름붉은잎(Callophyllis crispata), 바위두둑(Leathesia difformis), 부챗말(Padina arborescens), 그물바구니 (구멍볼레기말)(Hydroclathrus clathratus), 쌍발이서실(Laurensia okamurae),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가는미역실(Scytosiphon gracilis), 주름진두밭(Chondrus crispus), 애기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 까막살(Carpopeltis affinis) 및 톳(Hizikia fusiformis) 중 어느 하나의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붉은까막살(Prionitis cornea), 패(Ishige okamurae Yendo), 진두 발(Chondrus ocellatus Holmes), 가는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참갈고리풀(Bonnemaisonia hamifera), 타래서실(Laurencia intricata Lamouroux), 감태(Ecklonia cava Kjellman),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 빈참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 또는 서실(Chondria crassicaulis)의 추출물은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이지 않으나,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언급된 해조류 추출물은 모두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대장암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개선의 의미, 해조류 추출물의 의미 및 유효성분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꼬마모자반(Sargassum nipponicum Yendo),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바위수염(Myelophycus simplex), 애기마디잘록이(Lomentaria hakodatensis Yendo), 진두발(Chondrus ocellatus Holmes), 가는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참갈고리풀(Bonnemaisonia hamifera), 타래서실(Laurencia intricata Lamouroux),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 빈참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바위두둑(Leathesia difformis), 부챗말(Padina arborescens), 그물바구니 (구멍볼레기말)(Hydroclathrus clathratus), 쌍발이서실(Laurensia okamurae), 서실(Chondria crassicaulis),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가는미역실(Scytosiphon gracilis), 주름진두밭(Chondrus crispus), 애기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 까막살(Carpopeltis affinis) 및 톳(Hizikia fusiformis) 중 어느 하나의 해조류 추출 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상기 열거한 해조류 모두 피부암 세포인 B16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암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개선의 의미, 해조류 추출물의 의미 및 유효성분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쌍발이서실(Laurensia okamura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암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개선의 의미, 해조류 추출물의 의미 및 유효성분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항암제 조성물(즉 혈액암 개선제 조성물, 대암암 개선제 조성물, 피부암암 개선제 조성물 또는 폐암 개선제 조성물을 말함; 이하 같음)은 그 유효성분인 해조류 추출물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의도하는 항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서, 혈액암, 대장암, 피부암 또는 폐암의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병리적 증상의 발병 억제/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제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암제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물질인 해조류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 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인 해조류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 이외에,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감미제, 사과, 레몬, 감귤 등의 과일이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등의 차류에서 얻어진 풍미제, 카테킨,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등의 생리활성 성분,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등의 미네랄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기능성(예컨대 골다공증 예방 등)을 추가하기 위하여 여러 한약재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추가될 수 있는데, 추가될 수 있는 한약재로서는 두충 추출물, 속단 추출물, 녹용 추출물, 홍화인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별갑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합환피 추출물, 산두근 추출물, 괴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제 조성물은 혈액암, 대장암, 피부암 또는 폐암에 대하여 적응증을 가지며,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조류의 추출물 제조
아래 <표 1> 29종의 각 해조류를 80% 에탄올에 침지시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암농축하여 추출 용매를 제거한 후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그 각 해조류의 고형상의 추출물 3g을 증류수 300 ml와 에틸아세테이트 300 ml에 넣고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분주하여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표 1]
추출에 사용한 해조류
시료번호 시료 학명
JBR163 미역쇠 Petalonia binghamiae
JBR243 꼬마모자반 Sargassum nipponicum Yendo
JBR246 미끈뼈대그물말 Dictyopteris divaricata
JBR256 바위수염 Myelophycus simplex
JBR261 애기마디잘록이 Lomentaria hakodatensis Yendo
JBR267 가시뼈대그물말 Dictyopteris prolifera
JBR268 붉은까막살 Prionitis cornea
JBR270 진두발 Chondrus ocellatus Holmes
JBR271 Ishige okamurae Yendo
JBR272 가는개도박 Grateloupia lanceolata
JBR274 참갈고리풀 Bonnemaisonia hamifera
JBR276 타래서실 Laurencia intricata Lamouroux
JBR278 감태 Ecklonia cava Kjellman
JBR345 고리매 Scytosiphon lomentaria
JBR348 빈참지누아리 Grateloupia filicina
JBR351 불레기말 Colpomenia sinuosa
JBR354 주름붉은잎 Callophyllis crispata
JBR359 바위두둑 Leathesia difformis
JBR368 부챗말 Padina arborescens
JBR374 그물바구니 (구멍볼레기말) Hydroclathrus clathratus
JBR375 쌍발이서실 Laurensia okamurae
JBR376 서실 Chondria crassicaulis
JBR510 참도박 Grateloupia elliptica
JBR511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JBR512 가는미역실 Scytosiphon gracilis
JBR514 주름진두발 Chondrus crispus
JBR518 애기풀가사리 Gloiopeltis furcata
JBR519 까막살 Carpopeltis affinis
JBR538 Hizikia fusiformis
<실시예 2> 실험 재료 및 세포 배양
RPMI-1640,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fetal bovine serum (FBS), phosphate buffer saline (PBS)는 Gibco BRL(Gaithersburg, MD, USA)에서 구입하였고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는 Sigma사(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암 세포주는 혈액암 세포인 HL-60(human promyeocytic leukemia), 대장암 세포인 HT-29(human colon cancer), 피부암 세포인 B-16(murine melanoma) 및 폐암 세포인 A-549(human lung carcinoma)이며, 한국세포주은행(KCLB)으로부터 분양 받아 100 units/mL의 penicillin-streptomycin과 10%의 fetal bovine serum(FBS; GIBCO, Grand Island, NY, USA)이 함유된 RPMI 1640과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계대 배양은 3~4일에 한 번씩 시행하였다.
<실시예 3>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Cytotoxicity) 측정
상기 각 실시예 시료의 암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MTT assay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4종의 암 세포(5.0×104/mL)를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넣고, 시료 농도가 100㎍/mL가 되게 첨가하였다. 이를 3 일간 배양한 다음, MTT 0.4 mg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Plate를 1,000 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고 조심스럽게 배지를 제거한 다음, DMSO 150μL를 가하여 MTT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formazan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Bio-TEK instrumenis. Inc., Winooski Vermont, WI,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세포 증 식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Figure 112009034576750-pat00001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3번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의 데이터를 mean ± standard error (SE) 값으로 나타내었다.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Claims (12)

  1.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꼬마모자반(Sargassum nipponicum Yendo),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바위수염(Myelophycus simplex), 애기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패(Ishige okamurae Yendo), 진두발(Chondrus ocellatus Holmes), 타래서실(Laurencia intricata Lamouroux),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주름붉은잎(Callophyllis crispata), 바위두둑(Leathesia difformis), 부챗말(Padina arborescens), 그물바구니 (구멍볼레기말)(Hydroclathrus clathratus), 서실(Chondria crassicauli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가는미역실(Scytosiphon gracilis), 까막살(Carpopeltis affinis) 및 톳(Hizikia fusiformi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조류를, 메탄올, 증류수,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해조류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암 개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어느 하나의 해조류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고 그 고형상의 추출물을 에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 분획한 후 얻어지는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암 개선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그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암 개선제 조성물.
  4.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꼬마모자반(Sargassum nipponicum Yendo),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바위수염(Myelophycus simplex), 애기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주름붉은잎(Callophyllis crispata), 바위두둑(Leathesia difformis), 부챗말(Padina arborescens), 그물바구니 (구멍볼레기말)(Hydroclathrus clathratu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가는미역실(Scytosiphon gracilis), 까막살(Carpopeltis affinis) 및 톳(Hizikia fusiformi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조류를, 메탄올, 증류수,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해조류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개선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어느 하나의 해조류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고 그 고형상의 추출물을 에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 분획한 후 얻어지는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개선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그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개선제 조성물.
  7. 미역쇠(Petalonia binghamiae), 꼬마모자반(Sargassum nipponicum Yendo),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바위수염(Myelophycus simplex), 애기진두발(Chondrus ocellatus Holmes), 타래서실(Laurencia intricata Lamouroux),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바위두둑(Leathesia difformis), 부챗말(Padina arborescens), 그물바구니 (구멍볼레기말)(Hydroclathrus clathratus), 서실(Chondria crassicauli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가는미역실(Scytosiphon gracilis), 까막살(Carpopeltis affinis) 및 톳(Hizikia fusiformi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조류를, 메탄올, 증류수,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해조류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암 개선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어느 하나의 해조류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제거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고 그 고형상의 추출물을 에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 분획한 후 얻어지는 에틸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피부암 개선제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그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암 개선제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050592A 2009-06-08 2009-06-08 항암제 조성물 KR10111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592A KR101110063B1 (ko) 2009-06-08 2009-06-08 항암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592A KR101110063B1 (ko) 2009-06-08 2009-06-08 항암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08A KR20100131808A (ko) 2010-12-16
KR101110063B1 true KR101110063B1 (ko) 2012-02-15

Family

ID=4350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592A KR101110063B1 (ko) 2009-06-08 2009-06-08 항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92A (ko) * 2015-05-11 2016-11-2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080A (ko) 2019-04-17 2020-10-27 (주)아이엠디팜 라베탈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치성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429A (ko) * 2003-11-11 2005-05-17 대한민국 (소관: 제주대학교) 고리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429A (ko) * 2003-11-11 2005-05-17 대한민국 (소관: 제주대학교) 고리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eun Young Kim, 외 3명, Food Sci. Biotechnol. Vol. 17, No. 5, pp. 1110~1114, 2008
Kil-Nam Kim, 외 4명, J Food Sci Nutr, Vol. 11, pp. 177~183, 200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692A (ko) * 2015-05-11 2016-11-2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25261B1 (ko) 2015-05-11 2017-04-10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808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294B1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EP3075384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KR101953143B1 (ko) 오미자 추출물과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3238A (ko)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1110063B1 (ko) 항암제 조성물
KR101559483B1 (ko)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1736882B1 (ko)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이용한 방사선 방호 또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20190063456A (ko)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EP1693084A1 (en) Alga extract and lipase inhibitor containing the same
KR100642291B1 (ko) 징콜릭산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113330A (ko) 곰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9885B1 (ko) 살리드로사이드 또는 베툴린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KR101900480B1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170068217A (ko) 갯질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4413272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1906302B1 (ko) 홍경천 추출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2018233B1 (ko)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을 이용한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1935471B1 (ko) 괭생이모자반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0831092B1 (ko)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894156B1 (ko) 더덕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