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325A -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325A
KR20060108325A KR1020050030488A KR20050030488A KR20060108325A KR 20060108325 A KR20060108325 A KR 20060108325A KR 1020050030488 A KR1020050030488 A KR 1020050030488A KR 20050030488 A KR20050030488 A KR 20050030488A KR 20060108325 A KR20060108325 A KR 20060108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exterior
tube
fixing ring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7227B1 (ko
Inventor
임종철
장지건
Original Assignee
임종철
장지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철, 장지건 filed Critical 임종철
Priority to KR102005003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22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65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on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도관 및 오폐수관등 각종관이 매설되거나 실내,외등 지면으로 노출된 관들에 지반이 침하되거나 또는 지진등 각종 외력에 의해 관에 영향력이 가해질 경우, 서로 연결된 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으로 연질합성수지 재질의 신축관이 결합되며 이 신축관의 타측에 고정용링이 일체로 결합되여 형성되며 어느한 부분으로 윤활유주입공이 형성된 외관과; 이 외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관의 일측으로 형성된 고정용링에 외부면이 밀착되게 형성되며 중앙으로 여러개의 오링이 결합되고 일측으로 연질합성수지재질의 신축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신축관의 타측으로 상기 외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용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PRESSURE DAMPING DEVICE USING BELLOWS FOR TRANSFER OF LIQUI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
본 발명은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도관 및 오폐수관등 각종관이 매설되거나 실,내외등 지면으로 노출된 관들에 지반이 침하되거나 또는 지진등 각종 외력에 의해 관에 영향력이 가해질 경우, 서로 연결된 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 및 오수관등의 관은 지반을 굴삭하고 지중에 매설하여 시공하며 송유관, 가스관, 전선관및 실내외 배관등 외부로 노출되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매설 및 설치된 각종 관들은 각 기능에 따라서 그 밀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매설 및 설치되는 관을 연결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관의 끝단을 용접하여 결합시키거나 또는 프랜지를 이용하여 볼트로 결합하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관을 용접이나 프랜지를 이용하여 연결된 관을 매설하면 지반위에서 하중이 가해질 경우 관이 하중에 의하여 아래로 밀려 변형되고 이렇게 되면 관의 연결부 및 프랜지 부분에 틈이 벌어지게되어 물이나 오수등이 외부로 누설되며 심지어 지진이나 지반의 약화로 인한 지반침하 및 지반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관이 파손되거나 이탈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점의 대비는 현재까지 대책이 없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지상으로 관을 형성하여도 관의 하중은 매설시와 동일하게 발생되여 매설시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으로 매설되거나 지상으로 설치되는 각종관의 지반침하등의 원인으로 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관과 이 외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관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관의 끝단으로 고정용링이 형성된 연질합성수지재질 의 신축관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여러개의 오링을 형성하여 외관의 내측과 밀착되겨 형성하여 이 오링이 외관의 내벽면을 미끄럼 이동하게 함으로써 지반의 침하나 지진등에 의한 관의 흔들림에도 관이 파손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한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의 특징은, 일측으로 연질합성수지 재질의 신축관이 결합되며 이 신축관의 타측에 고정용링이 일체로 결합되여 형성되며 어느한 부분으로 윤활유주입공이 형성된 외관과; 이 외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관의 일측으로 형성된 고정용링에 외부면이 밀착되게 형성되며 중앙으로 여러개의 오링이 결합되고 일측으로 연질합성수지재질의 신축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신축관의 타측으로 상기 외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용링이 형성되여 지반의 침하등에 의하여 관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외관(10)과 내관(20)으로 형성된 다.
상기 외관(10)의 일측으로는 연질합성수지재질의 신축관(11)이 주름진 상태로 외관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이 신축관(11)의 타측으로는 내관(20)의 외부면에 밀착되는 고정용링(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어느한 부분으로 윤활유 주입구(13)가 볼트(14)로 나사결합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관(20)은 여러개의 합성수지 재질의 오링(23)이 외관의 외부면에 삽입되여 형성되며 내관의 끝단으로 연질합성수지 재질의 주름진 신축관(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신축관(21)의 끝단으로 외관(10)의 내측면으로 밀착되는 고정용링(22)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는 외관(10)의 내측으로 고정용링(22)과 신축관(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면으로 여러개의 오링(23)이 결합된 상태의 내관(20)을 삽입한다. 이때 외관(10)의 내부면으로는 윤활유주입구(13)을 통하여 윤활유를 주입시켜 내부면에 도포되게 혀여 유입되는 오링이 형성된 내관(20)이 원활하게 미끄럼삽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는 외관(10)의 내측으로 내관(20)의 고정용링(22)이 밀착되고 일측으로 신축관(21)이 형성되고 내관(20)의 일측으로 외부면이 외관(10)에 결합된 신축관(11)의 고정용링(12)이 내관(20)의 외부면을 밀착하여 형성되여 외관(10)의 내측으로 여러개의 오링(23)이 형성된 유동홈(30)을 형성하며 이 유동홈(30) 부분의 외관 내부면과 내관의 외부면으로는 윤활유가 발라져 오링이 원활하게 미끄러지며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항상 내관과 외관은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용링(12, 22)에 의하여 유동홈(30)내부의 윤활유는 외부로 유출이 안되게 형성하여 수도나 오수에 윤활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외관의 내면과 내관의 외면으로는 오링(23)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미끄럼부재(60)를 형성하여 내관과 외관을 금속재질의 관으로 형성시에도 오링이 마찰없이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원활이 이동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를 금속재질이 아닌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할 경우 외관의 내면과 내관의 외면으로 강성강화부재(미도시)를 형성하고 미끄럼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관을 합성수지로 형성하여도 관이 외력에 의한 변형없이 항상 원형을 유지함으로써 내부의 오링이 원활히 작용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내부의 윤활류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신축이음장치를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한 후 각각의 외관(10, 10')을 용접등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형성되는 관의 지름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걸림턱(10a)이 일체로 형성된 외관(10)의 내부로, 여러개의 오링(40)이 삽입되고 일측으로 고정링(20a)이 일체로 형성된 내관(20)이 삽입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신축이음장치를 연결하여 도 5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한 후 양측의 내관(20, 20')의 내측으로 일측이 내관(20, 20')의 내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내관의 내면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보조관(50)을 형성하고 양측의 외관을 결합하여 형성하여 신축이음장치를 형성한다.
상기의 신축이음장치는 외관(10, 10')과 내관(20, 20')에 형성된 걸림턱(10a)과 고정링(20a)에 의하여 내관과 외관이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내관의 내측으로 보조관(50)을 형성하여 내관이 진동 및 침하에 의하여 벌어져도 내부의 수도나 오수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각종관을 매설 및 시공하면 관이 매설된 지반에 상부를 통해서 하중이 가해져 지반이 침하되거나 또는 지진등 각종 외력에 의해 관에 영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서로 연결된 관이 상호 이탈되는 것을 외관과 내관이 서로 오링에 의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변형되면서 외력을 흡수함으로써 관 및 구조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일측으로 연질합성수지 재질의 신축관(11)이 결합되며 이 신축관(11)의 타측에 고정용링(12)이 일체로 결합되여 형성되며 어느한 부분으로 윤활유주입공(13)이 형성된 외관(10)과; 이 외관(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관(10)의 일측으로 형성된 고정용링(12)에 외부면이 밀착되게 형성되며 중앙으로 여러개의 오링(23)이 결합되고 일측으로 연질합성수지재질의 신축관(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신축관(21)의 타측으로 상기 외관(10)의 내면에 밀착되는 고정용링(22)이 형성되는 내관(20)을 결합하여 형성하여 지반의 침하등에 의하여 관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관과 외관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외관(10)의 내면으로 걸림턱(10a)을 형성하고, 내관(20)의 내부면으로 보조관(50)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외부면에 고정링(20a)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외관(10)의 내면과 내관(20)의 외면으로 미끄럼부재(6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KR1020050030488A 2005-04-12 2005-04-12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KR10065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488A KR100657227B1 (ko) 2005-04-12 2005-04-12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488A KR100657227B1 (ko) 2005-04-12 2005-04-12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325A true KR20060108325A (ko) 2006-10-17
KR100657227B1 KR100657227B1 (ko) 2006-12-14

Family

ID=3762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488A KR100657227B1 (ko) 2005-04-12 2005-04-12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3755A (zh) * 2020-11-26 2021-03-12 江西爱森德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抗震结构的管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189B1 (ko) 2012-01-20 2014-06-27 안석환 교량 배수관용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5388A (ja) 1983-02-25 1984-09-04 Meiji Seika Kaisha Ltd 3−ハロメチル−「でるた」↑2−セフエム誘導体の製造法
US5354104A (en) 1993-01-15 1994-10-11 Techlam Flexible coupling for pipework
JPH10141565A (ja) * 1996-11-13 1998-05-29 Tokyo Rasenkan Seisakusho:Kk ベローズ形伸縮管継手
JPH10231972A (ja) 1997-02-19 1998-09-02 Suiken Technol:Kk 免震用配管工法及び免震用配管構造
JPH10281369A (ja) * 1997-04-08 1998-10-23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伸縮揺動管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3755A (zh) * 2020-11-26 2021-03-12 江西爱森德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抗震结构的管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227B1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576A (en) Connector and coupling means
US7404872B2 (en) PVC seismic coup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883550B2 (en) Flexible pipe joint
RU2652856C2 (ru)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ы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290291B1 (ko) 현장 여건에 따른 신축 이음이 조절되는 배수관 이음 구조
KR101318774B1 (ko) 신축가동관
KR100657227B1 (ko) 실린더형 신축이음장치
ES2904912T3 (es) Sistema de bloqueo positivo para juntas restringidas de tuberías y accesorios de fundición de hierro dúctil
RU2564156C2 (ru) Фиттинг с фланцам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
JP2001330185A (ja) 耐震継手ならびに耐震管路
KR101842650B1 (ko) 내진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관 파이프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JPH11148582A (ja) プラスチック管継手
KR102177099B1 (ko)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KR20200029162A (ko)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JP3514563B2 (ja) 耐震流体配管システム
GB2349188A (en) Connection for corrugated or ribbed pipes
KR200411384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KR20070100205A (ko) 배관 파이프 수축, 팽창을 조율하는 파이프 연결구 시스템
JP4781238B2 (ja) 離脱防止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1337A (en) Expansion or telescopic joint for pipes containing fluid under pressure
JP3421002B2 (ja) 金属管の連結構造
JPH0261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