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192A -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192A
KR20060108192A KR1020050030397A KR20050030397A KR20060108192A KR 20060108192 A KR20060108192 A KR 20060108192A KR 1020050030397 A KR1020050030397 A KR 1020050030397A KR 20050030397 A KR20050030397 A KR 20050030397A KR 20060108192 A KR20060108192 A KR 20060108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t air
agricultural products
storage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231B1 (ko
Inventor
김도열
Original Assignee
김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열 filed Critical 김도열
Priority to KR102005003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23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8Thin layer-, drum- or roller-drying or by contact with a hot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및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추가루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저장통내에 투입하여 열풍건조및 지속적인 저장통회전에 의한 저장수단으로 농산물이 완전건조되고 농산물끼리 서로 달라붙지 않는등 농산물을 고품질로 저장공급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대형저장통(10)이 상하회전되게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정역회전되게한 구성과,
상기 저장통(10)의 투입부(30)에 위치한 측벽원주면(24)중앙에 이송스크류(34)가 구비된 투입관(32)이 관통되게 설치되어 투입관(32)일측의 호퍼(36)및 열풍공급관(38)으로 공급되는 농산물및 열풍이 저장통(10)내로 투입되게한 구성과,
상기 저장통(10)의 배출부(40)에 위치한 측벽원주면(24')에 원호상으로 다수의 통공(42)이 형성되어 각각의 개폐판(44)으로 개폐시키되 저장통(10)외부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상,하측개폐구(50)(50')로 통공(42)이 개폐되어 열풍및 농산물을 외부배출할수 있게한 구성과,
상기 저장통(10)의 원통부분내벽에 다수의 이송돌기(26)가 설치되어 투입부(30)및 배출부(40)방향으로 농산물을 이송시키고 중심축선상으로 직립된 적재돌편(28)이 설치되어 농산물을 상하회전낙하되록한 구성을 포함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및 저장장치이다.
저장통, 회전, 건조, 저장, 배출, 개폐판

Description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Products drying and storag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통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판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장통배출부및 개폐구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장통 배출부의 통공개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구 후진이동상태에서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구 전진이동상태에서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통 12 : 고정후레임
14 : 받침로울 16 : 축부
18 : 베어링 20 : 회전축
22 : 모터 22a : 벨트
24,24' : 측벽원주면 26 : 이송돌기
28 : 적재돌편 30 : 투입부
32 : 투입관 32a : 하부출구
34 : 이송스크류 36 : 호퍼
38 : 열풍공급관 39 : 온풍기
40 : 배출부 42 : 통공
44 : 개폐판 44a : 연결편
46 : 축핀 48 : 스프링
50,50' : 개폐구 52 : 나사이동대
54 : 접촉이송롤러 56 : 작동핸들
60 : 보온커버통 62 : 배기구
64 : 반출부
본 발명은 농산물 건조및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추가루등과 같은 각종 농산물을 저장통내에 투입하여 열풍건조및 지속적인 저장통회전에 의한 저장수단으로 농산물이 완전건조되고 농산물끼리 서로 달라붙지 않는등 농산물을 고품질로 저장공급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농산물중에서 고추가루 같은 경우에 고추가루를 저장보관하기 위해서는 분쇄된 고추가루를 별도의 건조장치에서 건조하고 이를 대형저장통(탱크)로 이루어진 저장장치에 투입하여 저장보관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는 각각의 건조장치및 저장장치를 구비해야 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작업공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저장장치에 담겨진 고추가루는 시간이 경과되면서 고추가루가 달라붙는 등 고추가루 품질저하를 초래하는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대형저장통을 상하회전되게 횡설시키고 저장통 일측의 투입공급부를 통해 농산물및 열풍이 유입되는 구성으로 저장통내에 담겨지는 농산물이 상하로 분산회전되면서 열풍으로 건조시키게 되며 저장통배출부 방향의 측벽 원주면에 원호상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각각의 개폐판이 설치된 구성으로 저장통의 상하회전에 따라 상측부분에 놓여지는 개폐판은 개방되어 열풍을 배출시키게 되고 하측부분에 놓여지는 개폐판은 저장보관시에는 차단시키고 배출시에는 개방되어 배출되게한 구성으로 농산물의 건조및 저장과 배출을 효율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대형저장통(10)이 고정후레임(12)이 하부받침로울(14)에 받쳐져서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저장통(10)양측벽의 축부(16)는 베어링(18)으로 상하회전되게 고정설치되며 저장통(10)일측의 회전축(20)은 모터(22)와 벨트(22a)로 연결되어 정역회전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장통(10)일측의 투입부(30)에 위치한 측벽원주면(24)중앙에 이송스크류(34)가 구비된 투입관(32)이 관통상태로 고정설치되어 저장통(10)외부로 돌출된 투입관(32)에 농산물이 담겨지는 호퍼(36)와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공급관(38)이 각각 연결설치되어지되 열풍공급관(38)은 온풍기(39)등으로 이루어진 열풍공급수단으로 부터 열풍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저장통(10)내의 투입관(32)단부에 하부출구(32a)가 형성되어 농산물 및 열풍이 저장통(10)내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장통(10)의 투입부(30)와 대향된 반대편에 위치하는 배출부(40)의 측벽원주면(24')에는 원호상으로 다수의 통공(42)이 형성되어 그 통공(42)을 개폐시키는 개폐판(44)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개폐판(44)은 저장통(10)외부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시킨 상,하측개폐구(50)(50')에 의해 열풍및 농산물을 배출하는 통공(42)을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44)은 일측에 절곡된 연결편(44a)이 형성되어 축핀(46)으로 연결되고 스프링(48)으로 연결편(44a)을 외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수단으로 개폐판(44)의 통공(42)차단이 이루어지며 연결편(44a)의 내향압지상태에 의해 개폐판(44)의 통공(42)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하측 개폐구(50)(50')는 나사이동대(52)선단에 접촉이송롤러(54)가 설치되고 작동핸들(56)에 의해 접촉이송롤러(54)를 전,후진이동시키되 접촉이송롤러(54)의 전진이동으로 이와 대향된 위치의 개폐판연결편(44a)내향압지되게 하여 개페판(44)의 통공(42)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측개폐구(50)는 접촉이송롤러(54)가 항상전진이동시킨 상태로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이와 대향된 위치로 놓여지는 상측부분의 개폐판(44)의 연결편(44a)을 내향압지되게 함으로서 저장통(10)에 유입된 열풍이 통공(42)을 통해 배기구(62)로 배출되도록 되어있고 하측개폐구(50')는 2개가 각각 구비되어 이와 대향된 위치에 놓여지는 하측부분의 개폐판(44)2개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하되 농산물을 저장통(10)내에 저장보관하는 동안에는 하측개폐구(50')의 접촉이송롤러(54)를 후진이동상태로 하여 통공(42)이 차단되게 함으로서 농산물 배출이 되지 않게 하고 저장통(10)내의 농산물을 배출하게 될때는 하측개폐구(50')의 접촉이송롤러(54)를 전진이동상태로 하여 하측부분에 위치하는 이와 대향된 개폐판(44)으로 통공(42)을 개방시켜 저장통(10)내의 농산물이 통공(42)을 통해 배출되어 이송스크류가 구비된 반출부(64)를 통해 외부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저장통(10)의 원통부분내벽은 다수의 이송돌기(26)가 약 45도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장통(10)의 정역회전상태에 따라 이송돌기(26)에 의해 농산물이 투입부(30) 및 배출부(40)방향으로 이송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저장통(10)원통부분내벽의 4등분지점에 중심축선상으로 직립된 농산물 적재돌편(28)이 각각 설치되어 적재돌편(28)에 농산물이 저장통(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음 낙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저장통(10)은 농산물의 투입, 건조, 저장보관시에는 최대한 저속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배출시에는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이송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저장통(10)의 외주방향에는 일정간극을 두고 보온커버통(60)이 고정설치되어 저장통(10)의 보온기능및 외부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고추가루와 같은 농산물을 건조및 저장하기 위해 호퍼(36)에 담겨지는 농산물이 저장통(10)의 투입부(30)에 설치된 투입관(32)의 이송스크류(34)를 통해 투입관(32)의 하부출구(32a)를 거쳐 저장통(10)내로 낙하투입하게 됨과 아울러 열풍공급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열풍은 열풍공급관(38)을 통해 투입관(32)으로 유입되어 농산물과 마찬가지로 하부출구(32a)를 거쳐 저장통(10)내에 보내져서 저장통(10)내에 투입된 농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관(32)으로 부터 농산물과 열풍이 함께 저장통(10)내에 투입되어 열풍에 의해 농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될때 저장통(10)내에 담겨진 농산물은 저장통(1)의 상하회전에 따라 저장통(10)내벽에 형성된 적재돌편(28)에 농산물이 담겨져서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음 하향낙하되어 분산되는 작용에 의해 농산물끼리 서로 달라붙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저장통(10)내에서 농산물이 건조및 낙하분산되는 작용으로 농산물 저장이 이루어지는 동안 저장통(10)은 저속회전이 지속적으로 행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통(10)의 회전방향은 도1의 우측원주면방향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저장통(1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저장통(10)내벽의 이송돌기(26)에 의해 농산물이 투입부(좌측)(30)방향으로 이송되고 시간반대방향으로 저장통(1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농산물이 배출부(우측)(40)방향으로 이송되어지므로 저장통(10)은 어느정도의 시차를 두고 정역회전되어 좌우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투입관(32)을 통해 저장통(10)으로 유입된 열풍은 저장통(10)의 상하회전에 따라 저장통(10)의 배출부 (40)방향에 있는 측벽원주면(24')에 원호상으로 다수 배치되어 개폐판(44)으로 차단된 통공(42)이 상하회전되면서 상측부분에 놓여지는 통공(42)은 상측개폐구(50)에 의해 개폐판(44)이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그 상측부분의 개방된 통공(42)을 통해 열풍이 배기구(62)로 배출된다.
그리고 저장통(10)배출부방향의 하측부분에 위치하는 개폐구(50')의 접촉이송롤러(54)는 후진이동시켜 개폐판(44)에 의해 통공(42)차단상태가 되게 함으로서 농산물이 배출되지 않고 저장보관할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통(10)내에 건조, 저장된 농산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될때는 저장통(1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고속회전시켜 이송돌기(26)에 의해 농산물이 배출부(40)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측개폐구(50')의 접속이송롤러(54)를 전진이동시켜 하측부분의 통공(42)을 차단하고 있는 개폐판(44)의 연결편(44a)을 가압하는 수단으로 하측방향으로 놓여지는 통공(42)이 연속적으로 개방되게 함으로서 그 통공(42)을 통해 농산물이 반출부(64)를 거쳐 외부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내에서 다향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농산물 건조및 저장장치는 저장통내에 농산물과 열풍이 함께 투입되어 농산물의 열풍건조가 이루어지고 저장통의 상하회전에 따라 농산물 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졌다가 낙하분산되는 수단으로 농산물이 서로 엉켜붙는 것을 방지하는 등 저장통내에서 농산물건조와 저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성과 설치공간을 줄일수 있게 되며 장기간 저장상태에서는 농산물의 품질저하를 방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통이 상하회전할때에도 열풍건조및 농산물 배출을 수행할수 있게 되므로 농산물의 건조,저장, 배출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대형저장통(10)이 상하회전되게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정역회전되게한 구성과,
    상기 저장통(10)의 투입부(30)에 위치한 측벽원주면(24)중앙에 이송스크류(34)가 구비된 투입관(32)이 관통되게 설치되어 투입관(32)일측의 호퍼(36)및 열풍공급관(38)으로 공급되는 농산물및 열풍이 저장통(10)내로 투입되게한 구성과,
    상기 저장통(10)의 배출부(40)에 위치한 측벽원주면(24')에 원호상으로 다수의 통공(42)이 형성되어 각각의 개폐판(44)으로 개폐시키되 저장통(10)외부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상,하측개폐구(50)(50')로 통공(42)이 개폐되어 열풍및 농산물을 외부배출할수 있게한 구성과,
    상기 저장통(10)의 원통부분내벽에 다수의 이송돌기(26)가 설치되어 투입부(30)및 배출부(40)방향으로 농산물을 이송시키고 중심축선상으로 직립된 적재돌편(28)이 설치되어 농산물을 상하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4)은 일측에 절곡된 연결편(44a)이 형성되어 축핀(46)으로 연결되고 연결편(44a)이 축핀(48)으로 외향탄지되어 개폐판(44)의 통공(42)차단상태가 이루어지고 연결편(44a)의 내향압지상태에 의해 개페판(44)의 통공(42)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및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측개폐구(50)(50')는 나사이송대(52)선단에 접촉이송롤러(54)가 설치되고 작동핸들(56)에 의해 접촉이송롤러(54)를 전,후진 이동시키되 접촉이송롤러(54)의 전진이동으로 개폐판(44)의 연결편(44a)을 내향압지시킬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및 저장장치
KR1020050030397A 2005-04-12 2005-04-12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 KR100681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97A KR100681231B1 (ko) 2005-04-12 2005-04-12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97A KR100681231B1 (ko) 2005-04-12 2005-04-12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192A true KR20060108192A (ko) 2006-10-17
KR100681231B1 KR100681231B1 (ko) 2007-02-09

Family

ID=3762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397A KR100681231B1 (ko) 2005-04-12 2005-04-12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55B1 (ko) 2011-06-27 2013-04-16 정재호 고추가루 살균 건조장치
KR102465754B1 (ko) 2022-03-10 2022-11-10 유현옥 융염을 이용한 발효 건조실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598Y1 (ko) * 1986-11-22 1990-06-22 농촌진흥청 농업 기술연구소 회전식 곡물저장 건조장치
KR920008351B1 (ko) * 1990-06-27 1992-09-26 삼호물산 주식회사 생선살 라면 제조 방법
KR920010165B1 (ko) * 1990-12-18 1992-11-19 정명환 곡물 건조기
KR100388580B1 (ko) * 2000-02-15 2003-06-25 이동기 곡물 및 수산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231B1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299B1 (ko) 건조장치
KR100967433B1 (ko) 톱밥 건조 장치
US20060123657A1 (en) Drying device for powder material
CN106440726A (zh) 一种化工料条烘干机
KR100681231B1 (ko) 농산물건조 및 저장장치
KR200455426Y1 (ko) 식료품 건조기
CN111609688B (zh) 一种蔬菜干燥用防碳化装置
KR20140100649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101347938B1 (ko) 고춧가루 및 곡물 건조 장치
KR100874347B1 (ko) 건조기
MXPA02003564A (es) Dehidratador intermitente de fango.
CN207351078U (zh) 一种多层式钢网传送烘干机
JP2006007025A (ja) 乾燥機
US1043158A (en) Drier for grains or seeds.
CN107940972B (zh) 一种热喷饲料烘干机
CN211782477U (zh) 一种工业化工用粉末烘干机
CN112985017A (zh) 一种农产品用烘干装置
CN115823837A (zh) 一种食品加工用翻动干燥设备
CN219117624U (zh) 一种茧丝绸生产用烘茧机
CN206724621U (zh) 一种用于饲料颗粒用新型烘干机
CN216080868U (zh) 一种高速升温的闪蒸干燥机
CN218410546U (zh) 一种谷物烘干装置
KR100400819B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CN116358270B (zh) 一种多层旋转盘式干燥机
KR200256263Y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