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839A -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침적 프레스 - Google Patents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침적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839A
KR20060107839A KR1020067013298A KR20067013298A KR20060107839A KR 20060107839 A KR20060107839 A KR 20060107839A KR 1020067013298 A KR1020067013298 A KR 1020067013298A KR 20067013298 A KR20067013298 A KR 20067013298A KR 20060107839 A KR20060107839 A KR 2006010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ress
compressible
cu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173B1 (ko
Inventor
토마스 비. 하버스톡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비. 하버스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비. 하버스톡 filed Critical 토마스 비. 하버스톡
Publication of KR2006010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프레스 조립체는 쉽게 처분가능한 적층가능 컵과 함께 사용되도록 적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는 필터를 포함한다. 방사상 탄성 압축가능한지지부는 필터와 컵의 내부 사이에 형성된 밀봉을 형성한다. 탈부착가능 로드는 지지부에 장착된다. 지지부는 컵의 모든 반경을 수용하도록 사용된다. 사용자가 로드 아래로 누를 때, 프레스 조립체는 용기의 바닥으로 아래쪽으로 눌러진다. 밀봉은 용기의 내부 표면 상에 계속해서 유지되고 압력을 고정하여, 가압된 액체가 필터를 통과하고, 침적 물질이 가두어진다.

Description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침적 프레스{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본 발명은 음료수 침적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층가능하고 일회용 컵에 적응가능한 커피 및 차를 제조하는 프레스형 침적(infusion)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체 물질의 요소(essence)는 침적으로서 알려진 프로세스를 통해 액체를 넣을 수 있으며, 고체 물질은 충분한 시간 기간 동안 액체에 위치되고, 그 요소는 고체 물질로부터 액체로 통과한다. 잘 알려진 침적 공정에서, 향기, 칼라 및 종종 카페인을 포함하는 커피의 요소는 가열된 물에 넣어진다. 커피에서 카페인이 제거될 때 카페인은 액체에 넣어지기 위해 실질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것이다. 상기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퍼콜레이터(percolator) 및 드립 유형(drip type)의 커피 메이커를 포함하는 종래의 많은 커피 메이커가 존재한다. 그러한 커피 메이커에서, 온수는 중력을 이용하여 커피 찌꺼기에 통과된다. 잘 알려진 품질의 커피 음료는 그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다. 퍼콜레이터에서, 물은 계속해서 가열되고, 커피 찌꺼기에 반복적으로 통과된다. 더욱이, 종래의 티 백(tea bag)과 유사한 커피 백도 또한 도입되며, 커피 찌꺼 기의 필터 백은 스트링을 이용하여 온수 컵에 담겨진다.
커피 찌꺼기는 퍼콜레이터, 드립 및 백 침적 접근법 각각에서 함께 유지된다. 종래의 드립형 커피 메이커에서, 커피 찌꺼기는 깔때기형 필터 및 적절한 크기의 필터 하우징에 유지된다. 온수는 커피 찌꺼기에 부어져서, 커피 찌꺼기에 한번에 통과된다. 에스프레소 기계에서 다른 잘 알려진 공정에서, 가열된 물 및/또는 스트림은 침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압축된 커피 찌꺼기에 들어가게 된다.
종종,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큰 커피잔이 만들어지고, 그런 후에 소비자에게 분배하고 소비자에 의한 소비를 준비하기 위해 고온으로 유지된다. 공교롭게도, 조리된 커피에 열을 계속 가하는 것은 커피를 태울 수 있어서, 커피 향기 및 욕구를 저하시킨다. 또한, 단열 잔에서 만들어지고 저장된 커피는 그 향기를 급속히 저하시킨다. 조리되고 저장된 커피의 저하에 대한 정밀한 메커니즘이 잘 알려져 있지 않더라도, 그 저하가 산화에 의해서와 같은 화학 반응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신선한 커피가 '오래된' 커피보다 향기가 더 뛰어나다는 것이 인식되고 용인된다.
차, 허브차, 약물, 화학 조제물 및 다른 액체는 침적을 이용하여 또한 생산될 수 있다. 티 백은 티를 침적하기 위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차를 즐기는 사람들 중 일부는, 자연산 차(loose tea)가 티 백보다 더 뛰어난 차 음료를 제공한다는 것을 오랫동안 믿어왔다. 한가지 이론은, 온수가 차의 모든 표면에 자유롭게 제한되지 않는 접근으로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제조자가 음료를 담그는 동안 용기 내에서 자연산 차를 저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잔 바닥에 있는 자연산 차와 연관된 세척 문제에 대한 티 백의 상당한 편리함으로 인해, 티 백의 이용은 일반적으로 용인되고 바람직하다. 그렇더라도, 침적이 커피, 차, 허브, 약물, 또는 화학 약품 뿐 아니라 다른 물질에 대해 물 및/또는 다른 액체로의 침적이 발생할 수 있어서, 관계없는 세부사항을 갖는 다음 논의를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하는 것을 피하며, 본 명세서의 나머지는 다른 음료 및 침적이 구상되더라도 커피만을 언급한다는 것이 인식된다.
프레스 또는 소위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는 뛰어난 커피 침적을 하는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피 프레스를 도시한다. 용기(100)는 음료를 담기 위해 제공된다. 커피 찌꺼기 또는 차(102)의 치수가 온수(104)와 함께 용기(100)에 제공된다. 제조자는 원하는 대로 발생하는 침적량을 더 잘 촉진시키기 위해 침적 공정 동안 온수(104)를 저을 수 있다. 일단 원하는 정도의 침적이 달성되었으면, 제조자는 침적 공정을 느리게 하거나 중단시키기 위해 프레스 조립체(106)를 작동시킨다.
침적 공정을 중단시키기 위해, 종래의 프레스 조립체(106)는 침적된 액체 커피로부터 분리된 커피 찌꺼기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조자는 프레스 조립체(106)를 용기(100) 바닥까지 누른다. 이러한 동작은 프레스 조립체와 용기(100)의 바닥 사이에 커피 찌꺼기(102')를 가둔다(도 2). 그 후에, 침적된 커피 음료(104')는, 음료를 즐기는 것을 떨어지게 하는 어떠한 커피 찌꺼기(102 또는 102')도 음료에 존재하지 않고도 용기(100)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프레스 조립체(106)는 필터 스크린(108)을 포함한다. 필터 스크린(108)은 커 피 찌꺼기를 제외한 물을 쉽게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프레스 조립체(106)는, 물 또는 액체가 통과하도록 하지만 커피 찌꺼기가 필터 위에서 분배될 음료로 새는 것을 막도록 크기를 갖는 개구부를 갖는 필터 스크린(108)을 포함한다. 프렌치 프레스에서의 종래의 필터는 침적된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작은 애퍼처를 갖는 휘어지고 유연한 스크린으로 형성된다. 종래에, 필터 스크린(108)은, 필터 스크린(108)이 용기(100)의 내부 표면과 실제적으로 밀접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용기(100)의 개구부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크다. 일반적으로, 필터 스크린(108)의 에지는 말려 올려져 있다. 프레싱 플레이트(110)는 필터 스크린(108) 위에 장착된다. 프레싱 플레이트(110)는 필터 스크린(108)을 액체에 노출시키기 위해 복수의 애퍼쳐를 포함한다. 코일형 압력 스프링(112)은 프레싱 플레이트(110)의 외부 및 그 주변에, 그리고 필터 스크린(108)의 말려 올려진 에지에 인접하고 에지 내에 주변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듯이, 압력 스프링(112)은 필터 스크린(108) 상에 외부 압력을 가하여, 필터 스크린(108)을 용기(100)의 내부 벽에 대해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러한 압력은 커피 찌꺼기가 필터 스크린을 지나 새어들지 못하게 한다. 일단 침적의 적절한 레벨이 발생하였으면, 사용자는 이 때 플런저 로드(plunger rod)(114)를 이용하여 프레스 조립체를 누른다. 대부분의 프레스 조립체는 사용자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뚜껑이 로드(114)로부터 제거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용기 뚜껑(116) 및 로드 단부(118)를 또한 포함한다.
종래의 커피 프레스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 반경이 상부 개구부로부터 기저 부까지 일정하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프레스 조립체(106)가 용기(100)의 상부로부터 프레스 조립체를 가로질러 프레스 조립체가 용기(100)의 바닥에 도달할 때까지 용기(100)의 내부 벽과 맞물리도록 한다. 프레스 조립체(106)가 아래로 눌러질 때, 액체의 압력은 필터 스크린(108) 아래에서 더 커진다. 증가한 압력은 침적된 액체가, 프레스 조립체(106) 아래에 커피 찌꺼기(102)를 남기고 용기(100)의 바닥에 대해 가두는 필터 스크린을 통과하도록 한다. 용기(100)의 반경이 일정하지 않고 증가하여, 심지어 용기의 팽창 또는 용기(100)의 측면벽에서의 몇몇 다른 결함으로 인해서와 같이 프레스 조립체(106)와 용기(100) 사이의 틈을 일시적으로 야기하는 경우에, 가압된 액체는 프레스 조립체(106) 위의 영역으로 새어들고 틈에 빠르게 통과하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거의 매번 발생할 때마다, 틈은 커피 찌꺼기가 프레스 조립체(106) 아래로부터 틈을 통과하여 새어들도록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틈을 통과하는 액체는 심한 비교적 고속의 스트림을 형성한다. 일단 이것이 일어나면, 불행하게도 사용자는 그 안에 포함된 바람직하지 않은 커피 찌꺼기를 갖는 커피를 마시게 된다. 커피 찌꺼기를 함유하는 커피 음료를 마시는 것은 불쾌하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로 제조된 커피 및 차가 다른 기술로 제조된 그러한 음료보다 더 뛰어나다는 것이 용인된다. 그러나, 프레스로 제조된 뛰어난 음료에도 불구하고, 침적 공정은 단지 얻어진 한정된 용인을 갖는다. 이러한 한정된 용인에 대한 한 가지 이유는 프레스의 세척을 둘러싸는 어려움 및 필요성에 관련된다. 프레스로 제조된 커피잔의 완료시, 프레스 요소는 용기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이 때, 찌꺼기는 용기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찌꺼기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소실되는 상당한 찌꺼기를 초래하는 성가신 동작이다.
다른 이유는 단일 서빙 크기의 프레스 컵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컵은 사용자가 프레스 음료의 단일 서빙을 제조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공교롭게도, 이후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컵의 반경이 상부 개구부로부터 바닥까지 일정해야 하기 때문에, 단일 서빙 크기의 프레스 컵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자기(porcelain)로 만들어져서, 경제적으로 쉽게 처분할 수 없다. 이것은 그러한 컵이 여러 이유로 인해 적합하지 않게 한다. 먼저, 컵 및 프레스 조립체는, 각 컵이 준비되고 분배된 후에 가두어진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완전히 세척되어야 한다. 프레스 용기를 세척하는 공정은, 프레스 조립체의 이용을 중지하여 커피 찌꺼기가 세척 공정 이전에 제거되는 것을 필요로 하므로 성가시다. 일반적으로, 찌꺼기가 싱크대나 배수관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위가 필요하다. 배수관에 너무 많은 커피 찌꺼기로 인해, 싱크대 또는 배수관은 막힐 수 있다. 두 번째로, 그러한 단일 크기의 프레스 컵이 쉽게 처분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레스된 커피의 '일회용(to go)' 컵을 구매할 수 없다. 이것은 프레스된 커피가 일반적으로 심지어 '나가 있을 때에도(on the go)' 양조된(brewed) 또는 드립된(dripped) 커피보다 향기에서 매우 더 뛰어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특히 일회용 컵에서 음료수를 판매하기 위한 음료수의 쉬운 처분을 수반하는 많은 응용의 경우, 각 컵(3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보다 개구부에서 더 넓은 반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각 컵(300)의 반경의 치수는 선 형으로 변화하여 개구부로부터 바닥까지 감소한다. 그러한 컵(300)은 직각 원형의 원뿔 절두체(right circular conical frustum)로서 수학적으로 한정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원뿔 절두체 형태는 사용자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통상의 방식으로 편리한 적층으로 함께 컵을 포개도록 한다. 도 3의 컵은 일반적으로 많은 커피 레스토랑에서 발견된 공통적으로 이용가능한 종이컵을 보여준다. 이들 컵(300) 각각은 종이 측면벽(302)으로 형성된다. 측면벽은 원뿔형으로 형성되고, 접착제로 밀봉된다. 립(304)은 측면벽(302)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종이의 말려진 가장자리에 의해 컵(3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립(304)은 부분적으로 말려질 수 있거나 작은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308)은 각 종이컵(300)에 접착제로 부착된다. 도 3의 컵은 단지 예시적이다. 일반적으로 원뿔 절두체 형태를 갖는 다양한 컵 구성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포개는 것(nesting)을 이용하여 다수의 컵이 비교적 적은 공간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컵을 포갤 수 있는 능력이 없었다면, 음료수 판매자가 좁은 장소에서 바로 옆에서 충분한 컵의 재고를 경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쉽게 처분가능한 컵을 이용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종래의 프레스 조립체가 컵의 변하는 반경으로 인해 원뿔 절두체 컵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 쉽게 명백해진다. 프레스 조립체(106)가 바닥 근처에 컵의 반경을 맞추도록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면, 프레스 조립체(106)는 상부 영역에서 컵의 내부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프레스 조립체(106) 아래에 커피 찌꺼기를 유지하는데 실패한다. 마찬가지로, 프레스 조립체가 컵(300)의 상부에 있는 개구부 근처에 컵 의 반경을 맞추도록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면, 프레스 조립체는 컵(300)의 바닥에 눌러질 수 없다. 프레스 조립체가 컵의 바닥에 도달할 수 없다면, 음료는 사용자에 의한 소비에 대해 이용할 수 없다. 각 상황은 용인될 수 없다. 적어도 이들 실패로 인해, 지금까지 단일 크기의 쉽게 처분가능한 원뿔 절두체 컵에 대한 프레스 조립체를 도입할 수 없다.
프레스 조립체가 크기가 변하는 반경을 갖는 컵 또는 용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프레스 조립체가 컵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바닥으로 선형으로 감소하는 반경을 갖는 컵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추가로 필요하다. 더욱이, 쉽게 처분가능한 원뿔 절두체 컵에 사용하기 위한 프레스 조립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적층가능 쉽게 처분가능한 커피 컵과 같이 원뿔 절두체 형태를 갖는 용기와 함께 사용되도록 적응된 프레스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는 쉽게 압축가능한 지지부에 사용된 프레싱 부재 및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는 개방형 셀 폼(open cell foam)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폼은, 물 또는 다른 액체가 커피 찌꺼기가 통과할 수 없는 입자가 아닌 폼을 통과할 수 있도록 크기를 갖는 애퍼처를 포함한다. 입자가 새지 않는 밀봉(particle tight seal)은 필터 및 컵의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방사상 압축가능한 프레싱 부재는, 프레싱 플레이트가 컵의 상부로부터 바닥으로 컵의 내부 표면과 그리고 반경 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밀접하게 접촉 상태로 유지하는데 충분한 반경 범위를 갖도록 크기를 갖는다. 푸싱 로드는 사용자가 프레싱 플레이트를 컵의 바닥에 밀어 넣도록 하기 위해 프레싱 부재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푸싱 로드는 분리되지만, 프레싱 플레이트에 부착가능하다.
사용자는 적층가능한 쉽게 처분가능한 컵과 같이 원뿔 절두체 용기 내의 커피와 같은 침적 물질의 수단을 위치시키고, 음료가 원하는 양으로 침적하도록 한다. 침적 공정의 결과의 예측시, 사용자는 프레스 조립체를 용기의 개방 상부 단부에 삽입함으로써 프레스 조립체를 설치한다. 많은 환경에서, 사용자는 침적 공정을 개선시키고 및/또는 급속히 진행시키기 위해 음료를 젓기로 결정하고; 그러한 환경에서, 프레스 조립체의 설치는 지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방사상 탄성 압축가능 밀봉은 개구부에 알맞게 맞추어질 것이다. 사용자가 로드 아래를 누를 때, 프레스 조립체는 용기의 바닥 아래로 밀어 들어간다. 프레싱 부재의 반경은 다양한 반경의 컵을 수용하도록 변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싱 부재는 필터가 용기의 내부 표면상에서 연속적이고 견고한 압축을 유지하도록 하여, 가압된 액체는 필터를 통과하고, 침적 물질은 가두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여러 선택적인 개선을 구상한다. 방사상 압축가능 프레싱 플레이트는 폼 필터와 맞물리고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작은 후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 로드는 선적용 판지(shipping carton) 내에서 다수의 필터 조립체의 더 효과적인 포장을 제공하기 위해 마찰 또는 스냅형 핏(snap fit)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컵 리드는 플런저 로드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구멍을 포함할 수 있어서, 프레싱 조립체는 컵 내에 장착될 뿐 아니라, 커피 찌꺼기를 컵 바닥으로 누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침적 공정 동안, 컵 리드는 사용자 및 그 소지품을 보호하기 위해 적소에 안전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는 프레스 조립체를 배치할 때 사용자에게 개선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T-형 단면을 갖는 확장된 평평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 로드의 길이는, 일단 프레스 조립체가 전개되면 상부가 컵 리드와 거의 동일 평면에 있도록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선적용 판지 내에 포장된 복수의 프레스 조립체는 다양한 컵 크기를 수용하도록 플런저 로드 크기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런저 로드는 다양한 컵 크기를 수용하도록 미리 결정된 길이로 플런저의 파손을 개선하기 위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파손-개선 특징 각각은 대응하는 일련의 T-형 헤드 바로 위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 조립체는 원형 폼 필터를 포함한다. 폼 필터의 직경은 컵의 상부 내부 반경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갖는다. 폼 필터는, 컵의 더 낮은 내부 반경 내에 맞추도록 쉽게 압축하도록 충분히 압축가능하다. 폼 필터는, 적절한 필터링 특성을 제공하고 커피 찌꺼기가 프레스 조립체 위의 음료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만큼 충분히 두껍다. 그러나, 폼 필터는 컵에서 소비되는 상당한 체적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한 얇게 만들어진다. 방사상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는 컵의 내부 표면과 밀접히 접촉하는 상태로 폼 필터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폼 필터에 장착된다. 로드는 사용자가 필터 조립체를 컵의 바닥에 밀어 넣도록 방사상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여러 대안적인 실시예를 구상한다.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폼 필터는 방사상 압축가능한 프레싱 플레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컵의 내부와 적절히 접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두껍거나 단단하다. 일반적으로, 폼-전용 프레스 조립체는, 플런저 로드에 평행하기보다는 컵의 반경을 따라 안쪽으로 더 쉽게 압축하도록, 이방성 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압축가능한 탄성 고리형 링은 컵의 내부와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링은 중앙의 주요 애퍼쳐를 포함한다. 주요 애퍼쳐는 종이 또는 스크린으로 만들어진 종래의 필터로 커버된다. 방사상 탄성 압축가능한 밀봉 사이의 밀봉이 어떠한 입자도 프레스 조립체에 의해 통과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넉넉한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프레스 조립체가 용기의 바닥으로 이동할 때, 액체 및 침적 물질은 방사상 탄성 압축가능한 밀봉과 용기의 측면벽 사이에 통과하지 않는다. 오히려, 액체는 필터를 통과한다. 따라서, 모든 커피 찌꺼기와 같은 고체 입자는 프레스 조립체 아래에 가두어진다.
이러한 대안의 한가지 버전에서, 고리형 링은 폼 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폼 링은 필요할 뿐 아니라 필터로서 작용할 수 있다. 폼 링은 외부 반경 및 내부 반경을 갖는다; 주요 애퍼처는 내부 반경 내에 형성된다. 폼 링은 0 또는 약간 방사상 압축 하에 용기의 개구부 내에 맞추어지도록 크기를 갖는다.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프레싱 플레이트는 폼 링의 상부 표면에 장착된다. 프레싱 플레이트는 내부 반경보다 더 크고 폼 링의 외부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갖도록 크기를 갖는다. 더욱이, 프레싱 플레이트의 반경은 프레싱 플레이트가 용기의 바닥 내에 쉽게 맞추어지도록 충분히 작다. 프레싱 플레이트는 푸싱 로드를 마찰에 의해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크기를 갖는 컵 형태 수용기를 또한 포함한다. 프레싱 플레이트는 접착제에 의해 폼 링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드는, 프레스 조립체가 용기 내에 완전히 눌러진 후에 용기로부터 약간 나오게 유지하도록 크기 및 길이로 되어 있다.
필터 스크린 또는 필터 종이는 폼 링을 통해 애퍼처를 커버하도록 장착된다. 필터는 폼 링에 접착성있게 부착될 수 있다. 필터는 폼 링의 하부 표면에 장착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폼 링과 프레싱 플레이트 사이에 폼 링의 상부 표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싱 플레이트에 의해 폼 링 상의 압력은 폼 링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필터를 단단히 고정하여, 침적 물질의 어떠한 새어 나옴도 방지한다.
링, 프레싱 플레이트, 및 필터가 제조 동안 사전-조립될 것이 예측된다. 이것은 이들 프레싱 하위-조립체 중 몇몇이 서로에 대해 단단히 적층되도록 한다. 프레스 조립체의 전개시, 사용자는 프레싱 로드를 수용기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버전에서, 링은 기계적으로 압축가능하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는, 조립체가 내부 반경 및 외부 반경을 갖는 링에 형성되도록 서로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여러 개의 관절식 리프 요소(articulated leaf element)를 구상한다. 리프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때, 외부 반경은 변한다. 폼 필터 또는 종이 필터와 같은 필터 요소는 링의 내부 개구부를 커버한다. 로드는 컵의 바닥에 밀어 넣기 위한 조립체에 결합된다.
도 1은 상승된 전개되지 않은 조건에서 프레스 조립체를 갖는 종래의 커피 프레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하강된 전개 조건에서 프레스 조립체를 갖는 도 1의 종래의 커피 프레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음료 컵의 적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음료 컵의 사시도에 대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컵과 프레스 조립체의 맞물림 전에 음료 컵의 단면에 대해,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프레스 조립체가 컵과 맞물릴 때 음료 컵의 단면에 대해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프레스 조립체가 컵의 바닥에 전개될 때 음료 컵의 단면에 대해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프레스 조립체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프레스 조립체에 대한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프레스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프레스 졸비체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음료 컵의 사시도에 대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로드의 횡단면도.
도 14는 프레스 조립체가 컵과 맞물릴 때 음료 컵의 단면에 대해 도 1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5는 프레스 조립체가 컵의 바닥에 전개될 때 음료 컵의 단면에 대해 도 12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적인 평면도.
도 17은 포장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요소가 하나를 초과하는 도면 또는 실시예 중에 동일한 경우, 혼란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은 주로 커피 또는 차 침적 음료를 만드는데 사용하기 위한 프레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레스 조립체는, 임의의 커피 판매점 또는 레스토랑에서 발견된 것과 같이 원뿔 절두체 컵의 내부 벽과 밀접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상적으로, 프레스 조립체는, 커피 한잔을 제조하고 서빙하는 비용에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추가하는 동안, 쉽게 처분가능한 아이템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편리하도록 충분히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더 뛰어난 커피 한 잔을 팔려고 하는 커피 음료의 판매자가 프레스된 커피 한 잔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이 예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잔의 커피를 제조하는 빠르고 편리한 방법이 제공되어, 더 많은 일단의 커피는 커피가 바람직하지 않게 저하되도록 준비되거나 저장될 필요가 없다.
종래의 영리용 커피 판매는 원뿔 절두체 형태를 갖는 쉽게 처분가능한 컵에서 발생한다. 사용중에, 본 발명의 쉽게 처분가능한 프레스 조립체는 또한 처분가 능하게 사용된다. 특히, 판매자는 커피 찌꺼기의 한 그릇을 쉽게 처분가능한 컵에 넣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쉽게 처분가능한 원뿔 절두체일 것이다. 판매자는 이 후 커피 찌꺼기의 요소가 액체에 침적하도록 컵에 온수를 부어 넣는다. 쉽게 처분가능한 프레스 조립체는 컵의 상부에 맞물릴 것이다. 충분한 침적이 사용자의 입맛에 맞도록 하는데 적절한 시간 기간 후에, 프레스 조립체에 장착된 로드는 프레스 조립체를 밀어 눌러, 이에 따라 커피 찌꺼기를 컵의 하부에 누르도록 이용되고, 음료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사용자가 통상적인 종류이지만, 음료가 침적되는 동안 컵의 상부 쪽으로 로드를 수용하도록 위치한 홀을 갖는 리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프레스 조립체가 컵 또는 프레스 조립체 상에 위치하기 전에, 그리고 침적 공전 이전 또는 이후에 크림, 우유 또는 프리마를 액체에 넣을 수 있다.
도 4는 음료 컵(404)의 사시도에 대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필터 막(400)은 음료로부터 커피 찌꺼기를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필터 막(400)은 임의의 편리한 유형일 수 있지만, 종이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막(400)은 압축가능한 구조(402)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압축가능한 구조(402)는 폐쇄 셀 또는 개방 셀 폼과 같은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폼은 이방성 폼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압축하는 것보다 더 쉽게 방사상으로 압축된다. 폼은 링으로 절단되거나 형성되어, 필터 막(400)은 액체에 직접 접근한다. 폼은 컵(404)의 내부 표면과 완전히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푸싱 조립체(406)는 프레싱 플레이트(408) 및 로드(410)를 포함한다. 프레싱 플레이트(408)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컵(404)의 가장 작은 내부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갖는다. 로드(410)는, 사용자로 하여금 프레스 조립체를 컵의 바닥에 완전히 밀착하도록 하지만, 일단 사용자를 찌르거나 음료를 마시는 것에 간섭하도록 전개되면 오랜 보호 상태가 되도록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로드(410)는 리드가 이용되는 경우 컵(404)의 상부, 또는 리드의 상부 표면(도 7에서 414)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크기를 갖는다. 이상적으로, 프레싱 플레이트(408) 및 로드(41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사출 성형된다. 프레싱 플레이트(408) 및 로드(410)는, 프레싱 플레이트(408)에 형성되거나 단일 성형된 부분으로 통합하여 형성된 애퍼처에 로드(410)를 맞도록 함으로써 결합되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싱 조립체(406)는, 접착제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 폼 압축가능한 구조(402)를 관통하고 맞물리기 위해 프레싱 플레이트(408)의 바닥 표면에 형성된 바브(barb)(412)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는 침적 공정 동안 커피 찌꺼기(102) 및 온수(104)를 포함하는 컵을 도시한다. 프레스 조립체는 컵(404)으로 이동되지만 이 컵과 맞물리지 않는다. 도 6은, 프레스 조립체가 컵(404)과 맞물릴 때 음료 컵의 단면에 대해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압축가능한 구조(402)를 수동으로 압축하는 한편, 프레스 조립체를 컵(404)에 삽입한다. 침적 공정의 완료 이후에,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조립체를 컵의 바닥에 밀어 누르도록 로드(410)를 밀어 누른다. 커피 찌꺼기는 컵의 바닥에 밀어 눌러지고, 프레스 조립체 아래 그리고 압축가능한 부재(402)의 링 내에 유지된다. 도 7은 컵(404)에 장착된 리드(414)를 갖는 구성을 도시한다. 리드(414)는 로드(410)를 수용하도록 제 1 애 퍼처를 포함한다. 리드(414)는, 사용자가 리드 및 프레스 조립체 모두가 적소에 위치하는 동안 음료를 마시도록 제 2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프레스 조립체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복수의 겹쳐진 리프(1100)는 힌지 액스(hinge axe)(1102)에 대해 서로에 장착된다. 조립체는 내부 반경 및 외부 반경을 갖는 내부 개구부를 구비한 링에 형성된다. 리프(1100)가 힌지 액스(1102)에 대해 안쪽으로 회전할 때, 조립체의 외부 반경은 감소한다. 각 리프(1100)의 외부 에지의 형태는, 조립체의 외부 원주가 원뿔 절두체 컵의 내부와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적절히 굴곡진다. 종이 필터(미도시)는 커피를 필터링하기 위해 내부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접착성있게 부착될 수 있다. 프레싱 조립체 및 로드(미도시)는 도 8의 조립체를 컵의 바닥에 밀어 누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레싱 조립체는 힌지 액스(1102) 중 적어도 3개에 부착된다.
도 9는 음료 컵(404)의 사시도에 대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압축가능한 필터 부재(800)는 음료로부터 커피 찌꺼기를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필터 부재(800)는 폐쇄 셀 또는 개방 셀 폼과 같은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폼은 이방성 폼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압축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방사상 압축된다. 필터 부재(800)는 컵(404)의 내부 표면과 완전히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푸싱 조립체가 제공된다. 푸싱 조립체는 도 4에서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푸싱 조립체와 동일할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만약 동일하면, 푸싱 조립체(406)는 프레싱 플레이트(408) 및 로드(410)를 포함한다. 프레싱 플레이트(408) 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컵(404)의 가장 작은 내부 반경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갖는다. 로드(410)는, 사용자로 하여금 프레스 조립체를 컵의 바닥에 완전히 밀착하도록 하지만, 일단 사용자를 찌르거나 음료를 마시는 것에 방해되도록 전개되면 오랜 보호 상태가 되도록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로드(410)는 리드가 이용되는 경우 컵(404)의 상부, 또는 리드의 상부 표면(도 7에서 414)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크기를 갖는다. 이상적으로, 프레싱 플레이트(408) 및 로드(41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사출 성형된다. 프레싱 플레이트(408) 및 로드(410)는, 프레싱 플레이트(408)에 형성되거나 단일 성형된 부분으로 통합하여 형성된 애퍼처에 로드(410)를 맞도록 함으로써 결합되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푸싱 조립체(406)는, 접착제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 폼 압축가능한 구조(402)를 관통하고 맞물리기 위해 프레싱 플레이트(408)의 바닥 표면에 형성된 바브(barb)(412)로 조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프레싱 플레이트(900)를 도시한다. 프레싱 플레이트(900)는 점선(902)으로 도시된 큰 상부 반경 및 점선(904)으로 도시된 작은 하부 반경을 갖는 원뿔 절두체 컵 내에 맞춰지고 압축하도록 적응된다. 중심 애퍼처(906)는 로드를 수용하도록 적응된다(도 11). 내부 링(908)은 중심 애퍼처(906)를 둘러싼다. 복수의 암(910)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선 방식으로 내부 링(908)으로부터 연장한다. 나선 형태는 임의의 일반적인 나선 형태이다. 도 10의 실시예에는 4개의 암(910)이 도시된다. 이러한 암의 수는 단지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더 적거나 더 많은 암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암(9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10의 도면에 수직 치수에서 더 두꺼울 수 있다. 이것은 암이 도 10의 도면에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지만, 도면에 수직으로 비교적 단단해질 수 있다. 압축가능한 필터 부재와 맞물리기 위한 바브(1204: 도 12)는 도면의 평면으로 연장하고, 도 12의 아래에 도시된다. 바람직하게, 프레싱 플레이트(900)의 모든 요소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통합하여 형성된다.
도 11은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버전을 도시한다. 아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프레싱 플레이트(900 및 1000)는 압축가능한 필터 부재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 부재는 또한 유연하다. 특정 환경에서 암(910) 사이의 공간은 필터 부재가 암(910) 사이의 컵에 위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원하는 필터(도 10)에 대한 휨 편향 및 지지 양에 따라, 안정화 링(912)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레싱 플레이트(900 및 1000)를 컵의 상부에 삽입하기 위해 암(910)을 수동으로 압축한다. 암(910)은 쉽게 휘어지는데 충분히 얇고 유연하고, 물질의 탄성 복구력이 컵의 내부 표면쪽으로 위로 암(910)을 누를 정도로 충분히 탄성적이다. 로드(미도시)가 프레싱 플레이트(900)를 컵의 바닥쪽으로 전개하는데 이용될 때, 암(910)은 서로 점차 겹치고, 프레싱 플레이트의 외부 반경은 감소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필터 부재는 컵(404)의 상부 반경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갖는 폼 필터(1200)이다. 바람직하게, 폼 필터(1200)의 반경은 컵(404)의 상부 반경보다 1/4인치(0.64cm) 내지 1/2인 치(1.27cm) 사이의 반경을 가질 것이다. 폼 필터(1200)는 개방 셀 또는 폐쇄 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폼 필터(1200)에 형성된 틈은 충분히 커서, 액체가 폼 필터(1200)를 통과하지만, 커피 찌꺼기와 같은 입자는 통과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종이 필터와 같은 필터 막은 사용되지 않는다.
압축가능한 프레싱 플레이트(1202)(도 10에서 900 또는 도 11에서 1000)는 프레싱 플레이트(1202)로 통합하여 형성되는 바브(1204)를 이용하여 폼 필터(1200)에 부착하도록 적응된다. 바브(1204)는 암(910)(도 10 및 11) 또는 안정화 링(912)(도 11) 또는 둘 모두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의 도면이 동작시 프레싱 플레이트(1202)와 폼 필터(1200) 사이에 바브(1204)의 길이의 갭을 도시하지만, 바브(1204)는 폼 필터(1200)에 관통하고, 갭은 몇몇 경우에 0으로 감소한다. 폼 필터(1200)에 장착된 프레싱 플레이트(1202)는 압축가능한 필터 조립체(1201)이다.
로드(1206)는 프레싱 플레이트(1202)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드(1206)는 프레싱 플레이트(1202)로부터 분리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프레싱 플레이트는 로드(1206)를 수용하도록 소켓(1208)(도 10 및 11에서 906에 대응함)을 포함한다. 로드(1206)는 소켓(1208)과 맞물리도록 적응된 돌출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에서, 로드(1206) 및 프레싱 플레이트(1202)는 단일 유닛으로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드(1206)와 압축가능한 필터 조립체(1201)의 결합은 프레스 조립체(1203)이다. 로드(1206) 및 프레싱 플레이트(1202)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1206)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 손가락을 위해 더 편안한 푸싱 표면을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말단부에서 T-형 확장부(12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 일단 프레스 조립체(1203)가 컵(404)에 장착되면, 리드(1214)는 프레스 조립체(1203)에 걸쳐 컵(404)에 장착된다. 애퍼처(1216)는 로드(1206)를 수용하도록 리드(1214)의 중심에 형성되거나 절단된다. 프레스 조립체(1203)가 컵(404)의 바닥에 전개될 때, 확장부(1212)는 애퍼처(1216)를 실질적으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확장부(1212)는, 전개된 프레스 조립체(1203)가 적소에 위치하는 동안 사용자가 음료를 편안하게 마시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리드(1214)에 충분히 밀접한 레벨로 눌러진다.
이상적으로, 압축가능한 필터 조립체(1201)에서 가능한 압축량은 다양한 크기의 컵(400)을 수용할 수 있다. 큰 컵을 수용하는 로드(1206)가 작은 컵에 대해 리드(1214)를 지나 확장하는 것이 명백하다. 다양한 크기의 로드(1206)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3은 다수의 크기의 컵에 적응가능한 로드(1406)를 도시한다. 로드(1406)는 소켓(1208)(도 12)과 짝을 이루도록 돌출부(1410)를 포함한다. 로드(1406)는 또한 로드의 말단부에 확장부(1412)를 포함한다. 로드(1406)는 또한 하나 이상의 선택가능한 확장부(1420)를 포함한다. 각 선택가능한 확장부(1420)로부터 로드(1406)의 말단부쪽으로, 로드는 얇은 영역(1430)을 갖는다. 각 얇은 영역(1430)은 로드가 전체로서 사용되도록 충분히 두껍다. 각 얇은 영역(1430)은 사용자가 로드를 쉽게 파손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얇다. 바람직하게, 각 선택가능한 확장부(1420)의 중심부는, 로드가 얇은 영역(1430) 중 하나에서 파손되는 경우, 파 손 이후에 남아있는 플라스틱의 임의의 날카로운 부분이 로드(1406)의 새로운 말단부에 남아있는 선택가능한 확장부(1420)의 표면 아래에 안전하게 있도록 눌러진다.
도 14는 컵(404)에 장착된 프레싱 조립체(1203)를 도시한다. 필터 부재(1200)(도 12)는 프레싱 플레이트(1202)와 컵(404)의 내부 표면 사이에 눌러진다. 필터 부재(1200)는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플레이트(1202) 주위에 둘러싸인다. 도 14에서, 리드(1214)는 적소에 장착된다. 도 15는, 일단 프레싱 조립체(1203)가 컵의 바닥에 전개되면 컵(404)과 프레싱 조립체(1203)를 도시한다. 로드(1206)의 상부는 리드(1214)와 실질적으로 일치하여, 음료는 편리하고 안락하게 소비될 수 있다.
도 16은 필터 부재(1200)가 그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컵(404) 내의 겹쳐진 암(910)의 부분적인 확대도를 도시한다. 암(910)이 서로 미끄러질 때, 각 암(910)의 팁의 프로파일이 구멍이 뚫려져서 필터 부재(1200)를 찢도록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 팁의 리딩 에지(leading edge)의 프로파일은 암(910)의 두께를 적절히 보상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필터 부재(1200)에서 폼의 특성은 밀도, 마찰 다공성 등과 같은 인자를 포함한다. 더욱이, 다른 암에 대해 하나의 암(910)의 팁의 겹침, 또는 제조 변동으로 인한 암(910)의 불균일한 휨으로 인해, 프로파일에서의 임의의 불규칙함은 필터 부재(1200)에 의해 유리하게 채워질 것이다.
로드(1206) 및 프레싱 조립체(1201)는 선적용 디바이스의 포장을 수용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 층되고, 하나가 다른 것 위에 놓이는 다수의 압축가능한 필터 조립체(1201)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판지 컨테이너(1400)를 도시한다. 컨테이너(1400)는 대응하는 수의 로드(1206) 및/또는 로드(1406)를 고정하기 위해 격리 저장 벽(140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300)는 판지 컨테이너의 일반적인 방식으로 리드로 작용하도록 접혀진 플랩(1304)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컨테이너(1300)는 제거가능한 리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206) 및 압축가능한 필터 조립체(1201)가 분리될 때, 선적 밀도는 개선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하고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의 선택은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읽은 후에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을 검토하여, 특정한 변화 및 변형이 명백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료수 침적 분야,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층가능하고 일회용 컵에 적응가능한 커피 및 차를 제조하는 프레스형 침적(infusion) 시스템 등에 이용된다.

Claims (20)

  1. 용기의 인접 말단부에서의 개구부 및 폐쇄 말단부를 갖는 용기에서 침적된(infused) 용기로부터 침적 물질을 분리시키는 프레스 필터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는 치수를 갖는 단면을 갖고, 상기 치수는, 상기 용기가 복수의 치수를 갖도록 상기 개구부로부터 종방향 거리로 변화하는, 프레스 필터에 있어서,
    a. 침적 물질이 아닌 침적된 액체를 통과시키도록 크기를 갖고, 복수의 치수 각각에 대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압축가능한 필터 막과;
    b. 상기 압축가능한 필터 막을 용기를 통해 상기 인접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말단부로 누르기 위해 구성된 플런저(plunger) 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필터는 압축가능한 링에 장착된 필터 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요소는 필터 종이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가능한 링은 폼(foam) 링을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한 필터 막은 폼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폼 부재는 이방성 폼을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폼 부재는 상기 종방향 거리를 따르기 보다 더 쉽게 방사상으로 압축하는, 프레스 필터.
  7. 용기의 인접 말단부에서의 개구부 및 폐쇄 말단부를 갖는 용기에서 침적된 용기로부터 침적 물질을 분리시키는 프레스 필터 조립체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는 치수를 갖는 단면을 갖고, 상기 치수는, 상기 용기가 복수의 치수를 갖도록 상기 개구부로부터 종방향 거리로 변화하는, 프레스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a. 상기 개구부를 적어도 스패닝(span)하도록 크기를 갖고, 상기 침적 물질이 아닌 침적된 액체를 통과시키도록 크기를 갖는 구멍을 갖는, 유연한 압축가능한 필터 막과;
    b. 상기 필터 막을 상기 용기의 내부 표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방사상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와;
    c. 상기 필터 지지부 및 필터 막을 상기 용기를 통해 인접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말단부로 누르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필터 지지부에 결합된 플런저 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실질적으로 원뿔 절두체(conical frustum)를 포함하는 음료 컵인, 프레스 필터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가 상기 플런저 요소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애퍼처를 포함하도록 상기 컵을 위한 리드(lid)를 더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조립체.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막은 폼을 포함하는, 프레스 필터 조립체.
  11. 원뿔 절두체의 형태를 갖는 컵에서 침적된 액체로부터 침적 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로서, 상기 컵은 상기 용기의 인접 단부에서 제 1 반경을 갖는 개구부, 및 제 2 반경을 갖는 폐쇄 말단부를 갖고, 상기 제 1 반경은 제 2 반경보다 더 큰,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에 있어서,
    a. 상기 개구부를 적어도 스패닝하도록 크기를 갖고, 상기 침적 물질이 아닌 침적된 액체를 통과시키도록 크기를 갖는 구멍을 갖는, 유연한 압축가능한 필터 부재와;
    b. 상기 필터 부재를 상기 용기의 내부 표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방사상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로서, 상기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는 내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암을 구비하고, 각각 나선을 형성하도록 휘어지는, 방사상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와;
    c. 상기 필터 지지부 및 필터 부재를 상기 용기를 통해 인접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말단부로 누르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필터 지지부에 결합된 플런저 요소를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압축가능한 필터 부재는 폐쇄 셀 폼(closed cell foam)을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압축가능한 필터 부재는 개방 셀 폼을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요소는 상기 컵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길이의 크기를 갖는 로드를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요소는 컵 크기에 따라 선택가능한 요소의 집합인,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요소는 다양한 컵 크기에 적응하도록 특징을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7. 제 11항에 있어서, 리드가 상기 컵의 인접 단부에 장착될 때 상기 플런저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애퍼처를 갖는 리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요소는 이렇게 장착된 리드의 상부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길이의 크기를 갖는 로드인,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다양한 컵 크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크기를 포함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요소는 상기 방사상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요소는 상기 방사상 압축가능한 필터 지지부로 통합하여 형성되는, 압축가능한 침적 프레스.
KR1020067013298A 2003-12-30 2004-12-17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주입 프레스 KR101173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8,416 2003-12-30
US10/748,416 US7389720B2 (en) 2003-12-30 2003-12-30 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PCT/US2004/042872 WO2005065226A2 (en) 2003-12-30 2004-12-17 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39A true KR20060107839A (ko) 2006-10-16
KR101173173B1 KR101173173B1 (ko) 2012-08-13

Family

ID=3470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298A KR101173173B1 (ko) 2003-12-30 2004-12-17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주입 프레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389720B2 (ko)
EP (1) EP1699324B1 (ko)
JP (1) JP4589339B2 (ko)
KR (1) KR101173173B1 (ko)
CN (1) CN100581423C (ko)
AT (1) ATE449554T1 (ko)
BR (1) BRPI0418320B1 (ko)
DE (1) DE602004024334D1 (ko)
WO (1) WO200506522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336B1 (ko) 2021-06-16 2022-02-08 최성구 휴대용 커피추출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9720B2 (en) * 2003-12-30 2008-06-24 Haverstock Thomas B 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US10589907B2 (en) 2006-04-12 2020-03-17 Volo Brands Llc Disposable lid having spout with filter for beverage container
SE531098C2 (sv) * 2007-05-25 2008-12-16 Onecafe Internat Ab Dryckinfusionsarrangemang för engångsbruk samt användning av densamma
US7337705B1 (en) * 2007-06-08 2008-03-04 Laura Catena Press and sip device
US8402888B2 (en) 2008-05-07 2013-03-26 Smartcup, Inc. Disposable beverage press
WO2009137668A2 (en) * 2008-05-07 2009-11-12 Jeff Brian Baccetti Disposable beverage press
US8286547B1 (en) 2008-05-23 2012-10-16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Automated french press-like quality producing, high volume, automated, electric beverage maker
US8074561B2 (en) * 2008-06-24 2011-12-13 Pio Galbis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french or coffee press
US20100089252A1 (en) * 2008-10-15 2010-04-15 Kwang Suk Hong Food Container with presser support disk fitted with retractable pressing pins
CN102316772A (zh) * 2009-01-16 2012-01-11 阿罗马威咖啡有限公司 一次性原豆咖啡冲泡装置
CN101836820B (zh) * 2009-03-20 2011-12-28 远东科技大学 控制咖啡因的调理方法
US20100275785A1 (en) * 2009-04-29 2010-11-04 Michael Weissman Automatic french press
US20100294135A1 (en) * 2009-05-22 2010-11-25 Michael Weissman Automatic French Press
DK2451715T3 (en) 2009-07-06 2014-03-10 Huhtamaeki Oyj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up and a plurality of cups
EP2451716B1 (en) * 2009-07-06 2013-12-25 Huhtamäki Oyj Cardboard container
US8313644B2 (en) * 2010-01-13 2012-11-20 OZOlab Bottle with an integrated filtration assembly that is manually operated using a plunger
FR2964089B1 (fr) * 2010-08-26 2014-01-10 Airlessystem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US8808552B2 (en) * 2010-12-16 2014-08-19 Zenpure (Hangzhou) Co., Ltd. Stackable filter cup apparatus and method
US9510705B2 (en) * 2011-04-13 2016-12-06 Patrick J. Rolfes Pre-packaged beverage brewer press
JP6087614B2 (ja) * 2012-12-18 2017-03-01 富士フィルター工業株式会社 コーヒー抽出器
USD750429S1 (en) * 2014-01-29 2016-03-01 Sistema Plastics Limited Strain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9439531B1 (en) * 2015-06-15 2016-09-13 Alan J. Bornt Method of using a portable beverage brewing machine
CN105433799A (zh) * 2015-11-18 2016-03-30 苏州信利昌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纸质咖啡过滤器
CN105455685B (zh) * 2015-12-24 2017-12-22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一种改进型多功能搅拌棒
CN105942890B (zh) * 2016-07-07 2018-09-28 东莞亲亲我实业有限公司 搅拌杯
US10820739B2 (en) * 2016-10-24 2020-11-03 Toby Matthew Eisenberg French coffee press
WO2018148925A1 (zh) * 2017-02-17 2018-08-23 上海思乐得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可替换立体型滤纸的法压壶滤压器组装置
US11638891B2 (en) * 2017-05-23 2023-05-02 Kohler Co. Water filter system
CN108013753A (zh) * 2018-01-16 2018-05-11 张毅蔚 手压腔及水壶
US10865034B2 (en) 2018-08-29 2020-12-15 Daniel Beasley Container assembly with dispenser
CN210114864U (zh) * 2018-10-16 2020-02-28 曲俊峰 流体过滤设备
US20200383513A1 (en) * 2019-06-04 2020-12-10 Toddy, Llc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system and method for cupping
US20210228015A1 (en) * 2020-01-26 2021-07-29 Richard Westcott Beverage Infusion Press
CN212326102U (zh) * 2020-04-14 2021-01-12 浙江久康电器有限公司 一种压汁器
US11825979B2 (en) 2020-08-20 2023-11-28 Savepods Inc. Single serve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US11707153B2 (en) 2021-02-21 2023-07-25 Todd Ewing Liquid filtering press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262A (en) * 1898-04-18 1900-01-30 Mortimer Stuart Sarles Lifter and strainer.
US2204158A (en) * 1938-06-03 1940-06-11 Harry P Serio Percolator strainer basket for coffeepots
GB519595A (en) * 1938-09-27 1940-04-01 Charles Edward Green Improved filter for filtering coffee or other infusions or liquids
DE1813330C3 (de) * 1968-12-07 1978-06-01 Demag Ag, 4100 Duisburg Einrichtung zum fortlaufenden Messen der Temperatur an Metallsträngen, insbesondere beim Stranggießen von Stahl
US3678486A (en) * 1969-10-16 1972-07-18 Goodyear Tire & Rubber Monitoring system
GB1421620A (en) * 1973-06-12 1976-01-21 Ferranti Ltd Inertial navigation apparatus
US4004462A (en) * 1974-06-07 1977-01-2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Temperature transducer
US3903395A (en) * 1974-06-12 1975-09-02 Gen Electric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3935318A (en) * 1974-10-12 1976-01-27 Sergio Mihailide Disposable apparatus for brew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JPS5913052B2 (ja) * 1975-07-25 1984-03-27 日本電気株式会社 基準電圧源回路
DE2933874C2 (de) * 1978-08-24 1986-07-17 Hochiki Corp., Tokio/Tokyo Fühlvorrichtung zur Wahrnehmung von Temperaturunterschieden zwischen zwei Punkten
US4317054A (en) * 1980-02-07 1982-02-23 Mostek Corporation Bandgap voltage reference employing sub-surface current using a standard CMOS process
DE3126629A1 (de) * 1981-07-06 1983-01-20 Maxs Ag, Sachseln Kaffeebereiter
US4643981A (en) * 1983-11-09 1987-02-17 Akzo N.V. Pressure filtration system
CH661600A5 (fr) * 1985-01-17 1987-07-31 Centre Electron Horloger Source de tension de reference.
FR2599638B1 (fr) * 1986-06-05 1988-08-19 Monnet Bertrand Procede et dispositif individuel de filtration de liquide
US5228114A (en) * 1990-10-30 1993-07-13 Tokyo Electron Sagami Limited Heat-treating apparatus with batch scheme having improved heat controlling capability
WO1995000825A1 (en) * 1993-06-22 1995-01-05 Honeywell Inc. Dual matching current sink total temperature circuit
US5441752A (en) * 1993-12-10 1995-08-15 Sandin; Sonja A. Infusion bag device
GB9411268D0 (en) * 1994-06-06 1994-07-27 Brasilia Uk Ltd Filter apparatus
US5461968A (en) * 1994-09-02 1995-10-31 Portman; Jill Brewing pot
IT227713Y1 (it) * 1994-11-22 1997-12-15 Frabosk Casalinghi Spa Bricco per latte con dispositivo schiumatore per l'ottenimento di cappuccini e simili
US5635233A (en) * 1995-01-09 1997-06-03 Levinson; Melvin L. Methods for preparing a coffee, tea and milk beverage
US5618570A (en) * 1995-09-25 1997-04-08 Banks; Stephen H.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or the like
US5780087A (en) * 1996-09-23 1998-07-14 Brady; Frank A. Apparatus and method for frothing liquids
USD401466S (en) * 1996-10-23 1998-11-24 Pi-Design Ag Cappuccino maker
SG80573A1 (en) * 1997-06-02 2001-05-22 Motorola Inc Integrated temperature sensor
US5887510A (en) * 1997-08-06 1999-03-30 Porter; Mark D. Device for making coffee
US5982221A (en) * 1997-08-13 1999-11-09 Analog Devices, Inc. Switched current temperature sensor circuit with compounded ΔVBE
US5867012A (en) * 1997-08-14 1999-02-02 Analog Devices, Inc. Switching bandgap reference circuit with compounded ΔV.sub.βΕ
US6038963A (en) * 1997-09-11 2000-03-21 Fort James Corporation Disposable beverage brewing system
US6242262B1 (en) * 1997-10-24 2001-06-0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ing catalyst libraries
US6231909B1 (en) * 1998-02-04 2001-05-15 Melvin L. Levinson Fat-homogenizer, beverage-frother, kitchen appliance to prepare coffee, tea, milk, egg, soy, and rice foodstuff
US5943946A (en) * 1998-09-29 1999-08-31 Chen; Uei-Tsai Infusing device for a beverage
US6252209B1 (en) * 1999-01-21 2001-06-26 Andigilog, Inc. Adaptive temperature control circuit with PWM output
US6411158B1 (en) * 1999-09-03 2002-06-25 Conexant Systems, Inc. Bandgap reference voltage with low noise sensitivity
GB0011541D0 (en) * 2000-05-12 2000-06-28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Generation of a voltage proportional to temperature with a negative variation
US6423223B1 (en) * 2000-08-31 2002-07-23 Donald A. Northcut Multi-element, reverse osmosis, liquid filter system with flushing and filtering circuits
US6521124B2 (en) * 2000-08-31 2003-02-18 Donald A. Northcut Reverse osmosis liquid filter system with ultraviolet filtration
US6466081B1 (en) * 2000-11-08 2002-10-15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Temperature stable CMOS device
USD463946S1 (en) * 2000-11-22 2002-10-08 Sy-Ying Yeh Bubble producing glass
US6362612B1 (en) * 2001-01-23 2002-03-26 Larry L. Harris Bandgap voltage reference circuit
JP3669307B2 (ja) * 2001-08-03 2005-07-06 ソニー株式会社 起動回路
US6797304B2 (en) * 2001-09-13 2004-09-28 Bonjour, Incorporated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US6797160B2 (en) * 2001-10-15 2004-09-28 I-Chung Huang Percolating steeper
JP3721119B2 (ja) * 2001-11-08 2005-11-30 株式会社東芝 温度センサ
JP2004146576A (ja) * 2002-10-24 2004-05-20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温度測定回路
US7857510B2 (en) * 2003-11-08 2010-12-28 Carl F Liepold Temperature sensing circuit
US7010440B1 (en) * 2003-11-25 2006-03-07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 measuring circuit for determining temperature from a PN junction temperature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ing circuit comprising the measuring circuit and a PN junction
US7389720B2 (en) * 2003-12-30 2008-06-24 Haverstock Thomas B Coffee infusion press for stackable cups
US7030584B1 (en) * 2004-09-27 2006-04-18 Andigilog, Inc. Controller arrangement
US7064510B2 (en) * 2004-11-10 2006-06-20 Andigilog, Inc. Controller arrangement with automatic power down
US7276867B2 (en) * 2004-11-10 2007-10-02 Andigilog, Inc. Controller arrangement with adaptive non-overlapping commutation
US7237951B2 (en) * 2005-03-31 2007-07-03 Andigilog, Inc. Substrate based temperature sensing
US7688054B2 (en) * 2006-06-02 2010-03-30 David Cave Bandgap circuit with temperature correction
US7482797B2 (en) * 2006-06-02 2009-01-27 Dolpan Audio, Llc Trimmable bandgap circuit
US7468873B2 (en) * 2006-07-11 2008-12-23 Dolpan Audio, Llc Over-voltage protected semiconductor device
US7592677B2 (en) * 2006-07-11 2009-09-22 David Cave Over-voltage protecte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US7576396B2 (en) * 2006-07-25 2009-08-18 Dolpan Audio, Llc Synchronous substrate injection clamp
CA119282S (en) * 2006-08-15 2007-12-13 Pi Design Ag Vessel for liquids
US8004337B2 (en) * 2007-01-30 2011-08-23 Dolpan Audio, Llc Digital delay circuit
US7710055B2 (en) * 2007-04-27 2010-05-04 Robert Alan Brannen DC motor variable kick-start
US7538505B2 (en) * 2007-05-01 2009-05-26 Alberkrack Jade H Noise suppresion suppression for hall sensor arrangements
USD626621S1 (en) * 2009-10-02 2010-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 treat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336B1 (ko) 2021-06-16 2022-02-08 최성구 휴대용 커피추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45237A1 (en) 2008-10-09
EP1699324A4 (en) 2007-01-10
DE602004024334D1 (de) 2010-01-07
JP4589339B2 (ja) 2010-12-01
KR101173173B1 (ko) 2012-08-13
CN1921786A (zh) 2007-02-28
EP1699324A2 (en) 2006-09-13
US7389720B2 (en) 2008-06-24
JP2007516786A (ja) 2007-06-28
BRPI0418320B1 (pt) 2015-07-14
US20050139091A1 (en) 2005-06-30
EP1699324B1 (en) 2009-11-25
WO2005065226A2 (en) 2005-07-21
BRPI0418320A (pt) 2007-05-02
US8893610B2 (en) 2014-11-25
CN100581423C (zh) 2010-01-20
ATE449554T1 (de) 2009-12-15
WO2005065226A3 (en)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173B1 (ko)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주입 프레스
KR101496868B1 (ko) 일회용 음료 프레스
US8221813B2 (en) Single-serve permeable beverage filt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6076450A (en) Fresh beverage brew cup lid
EP1580144B1 (en) Integrated cartridg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late substance
CA2622933C (en) Integrated cartridge containing a substance for extracting a beverage
US6038963A (en) Disposable beverage brewing system
US6007853A (en) Disposable beverage infuser
US20090229472A1 (en)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US5952028A (en) Disposable beverage insufer and method of making a beverage using the infuser
US4921712A (en) Automatic low volume beverage brewing system
US70325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coffee and espresso beverages
US9756974B2 (en) Beverage cartridge replacement for single-serving beverage brewers
US8012523B2 (en)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EP2863776B1 (en) Coffee machine
EP1576912A2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and filter basket assembly
US2005010968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ltering
EP06157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preparation
WO2008154496A2 (en) Disposable cup lid
US11109707B2 (en) Portable beverage press mug and methods
US6726946B1 (en) Method of infusing a drink
WO2016011418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