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156A -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156A
KR20060107156A KR20050029191A KR20050029191A KR20060107156A KR 20060107156 A KR20060107156 A KR 20060107156A KR 20050029191 A KR20050029191 A KR 20050029191A KR 20050029191 A KR20050029191 A KR 20050029191A KR 20060107156 A KR20060107156 A KR 2006010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ynchronous
frame
size
asynchronous fram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헌
윤종호
김상호
오윤제
고준호
최희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2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7156A/ko
Priority to JP2006106251A priority patent/JP2006295930A/ja
Priority to US11/399,867 priority patent/US20060230147A1/en
Publication of KR2006010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cold-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hang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더넷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Residential 이더넷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Residential 이더넷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Residential 이더넷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전송 사이클 간에 엄격한 동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비동기 프레임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Residential 이더넷에서 비동기(Asynchronou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와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에 삽입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큰 경우,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을 그대로 비운채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에 맞게 분할하여 삽입하고 분할된 나머지 비동기 데이터는 다음 전송 사이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Residential 이더넷 등에 이용됨.
Residential 이더넷, 동기 프레임, 비동기 프레임, IFG

Description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Asynchronous Frame Transmitting Method for Strict Guarantee of Super Frame's Start in Residential Ethernet}
도 1 은 통상의 Residential 이더넷에서의 전송 사이클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2 는 Residential 이더넷에 있어서 비동기 프레임에 의해 동기가 맞지 않게 되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 예시도.
도 3 은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엄격한 동기를 위한 홀드 방법에 따른 전송 사이클의 예시도.
도 4 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엄격한 동기를 위한 분할(Segmentation) 방법에 따른 전송 사이클의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Residential 이더넷에서 비동기 프레임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이더넷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Residential 이더넷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Residential 이더넷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더넷(Ethernet)은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된 근거리통신망 기술이다. 이제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있지만, 이더넷은 원래 제록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제록스와 DEC 그리고 인텔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종래의 이더넷은 IEEE 802.3에서 규정된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쟁적으로 액세스하기 때문에, IFG(Inter Frame Gap)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위 서비스 프레임의 종류에 상관없이 발생 순서대로 전송을 한다. 즉, 이더넷은 서로 다른 여러 단말 사이에 또는 여러 사용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익숙하게 접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다.
이러한 이더넷은 전송 시간 지연에 민감한 동영상이나 음성전달에 적합하지 않은 기술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기존의 이더넷을 이용하여 영상/음성과 같은 동기화 데이터(Synchronous data)를 전송하고자 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논의 되어지 고 있는데, 이와 같이 논의되고 있는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이더넷을 Residential 이더넷이라 한다.
Residential 이더넷에서는 프레임 전송은 사이클 단위로 이루어 진다. 일반적으로 125us을 한 사이클로 정의한다. 한 사이클은 동기식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구간과 비동기식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간으로 나뉘어 전송이 된다. 동기식 프레임은 고정길이의 이더넷 프레임이고, 비동기식 프레임은 가변길이의 이더넷 프레임이다.
현재 Residential Ethernet은 슈퍼프레임의 비동기 구간에 비동기식 프레임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전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의 동기식 프레임의 개수는 최대 16개로 제한한다. 이 경우, 비동기 구간 동안 최대 2153 바이트가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통상의 Residential 이더넷에서의 전송 사이클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논의되고 있는 통상의 Residential 이더넷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사이클을 125usec 단위의 1 사이클(10)로 구성하며, 각각의 사이클에는 비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Async 프레임부(110) 및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Sync 프레임부(100)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Sync 프레임부(100)는 전송 사이클에서 가장 우선권을 가진 부분으로 현재 논의 중인 안에 따르면 각각 738 바이트로 구성된 서브 동기화 프레임(101, 102, 103)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비동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Async 프레임부(110)는 해당 영역에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서브 비동기 프레임들(111, 112, 113)이 포함된다.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Residential 이더넷은 사이클 단위로 전송이 되기 때문에 정확한 사이클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서브 비동기 프레임은 가변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정확한 사이클을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
도 2 는 Residential 이더넷에 있어서 비동기 프레임에 의해 동기가 맞지 않게 되는 경우를 예시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각각의 사이클(21, 22, 23)에는 동기화 프레임(201, 202, 203, 207, 208, 209, 212, 213)들과 비동기 프레임(204, 205, 206, 210, 211)들을 각각 포함되어 전송된다.
Residential 이더넷의 데이터 전송은 각각의 사이클(21, 22, 23)의 시작에 동기를 맞추어 동기화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도 2에서는 N 사이클(21)의 비동기 프레임 206에 의해 사이클의 동기를 훼손하게 된다. 그에 따라 N+1 사이클(22)에서는 시작시 Δt1(214)의 지연이 발생되고 N+2 사이클(23)에서는 Δt2(215)의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즉, 비동기 프레임은 가변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모든 사이클에서 비동기 프레임들을 사이클 크기에 맞게 정확히 삽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동기를 만드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슈퍼프레임의 시작이 지연되는 현상은 비동기 트래픽의 부하가 클수록 빈번하게 발생하며, 전송하는 비동기식 프레임의 길이가 길 때 지연 시간이 더 길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Residential 이더넷에서는 비동기 구간에서 전송 중인 비동기식 프레임에 의해 다음 슈퍼프레임의 시작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최악의 경우에는 그 사이클의 지연시간이 최대 1518 바이트의 전송 시간동안 지연될 수도 있다. 특히 이렇게 지연되는 경우, 다음 슈퍼프레임의 동기 구간이 축소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Residential 이더넷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전송 사이클 간에 엄격한 동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송되는 비동기 프레임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Residential 이더넷에서 비동기(Asynchronou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와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 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에 삽입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큰 경우,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을 그대로 비운채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에 맞게 분할하여 삽입하고 분할된 나머지 비동기 데이터는 다음 전송 사이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엄격한 동기를 위한 홀드 방법에 따른 전송 사이클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각각의 사이클(31, 32, 33)에는 동기화 프레 임(301, 302, 303, 306, 307, 308, 310, 311, 312)들과 비동기 프레임(304, 305, 309, 313)들을 각각 포함되어 전송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송 사이클과는 달리 각각의 사이클의 사이클 시작의 동기가 정확히 맞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동기 프레임의 전송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N 사이클(31)의 경우를 보면, 비동기 프레임(305)의 전송이 이루어진 후 N 사이클(31)에는 여분의 전송 영역이 남아 있으나 이 영역은 N+1 사이클의 첫번째 비동기 프레임(309)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해당 영역을 남기고 전송할 순서의 비동기 프레임(309)을 다음 사이클에 전송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엄격한 동기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홀드 방법에서는 전송할 비동기 프레임(A)의 크기와 해당 전송 사이클 내의 남은 비동기 프레임 전송 영역(B)의 크기를 비교하여 전송할 비동기 프레임(A)의 크기가 더 크면 해당 사이클은 해당 영역(B)을 비우고 전송을 하고, 보내지 못한 비동기 프레임(A)는 다음 사이클에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엄격한 동기를 위한 분할(Segmentation) 방법에 따른 전송 사이클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각각의 사이클(41, 42, 43)에는 동기화 프레임(401, 402, 403, 407, 408, 409, 412, 413, 414)들과 비동기 프레임(404, 405, 406, 410, 411, 415)들을 각각 포함되어 전송된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전송 사이클과는 달리 각각의 사이클의 사이클 시작의 동기가 정확히 맞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동기 프레임의 전송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N 사이클(41)의 경우를 보면, 비동기 프레임(405)의 전송이 이루어진 후 N 사이클(41)에는 여분의 전송 영역이 남아 있으나 이 영역은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비동기 프레임(406+410)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비동기 프레임을 분할하여 각각 나누어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엄격한 동기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펴보면, 제 N 사이클(41)에서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비어있는 비동기 프레임 영역의 길이가 L1이라고 하고, 전송을 위해 입력하려는 비동기 데이터의 길이가 L2라고 가정할 때, L1의 길이와 L2의 길이가 같거나 L1의 길이가 길다면 전송을 위해 입력하려는 비동기 데이터를 비어있는 비동기 프레임 영역에 입력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L2의 길이가 길다면, L2의 길이를 가지는 비동기 데이터를 비어있는 비동기 프레임 영역의 길이인 L1의 길이로 분할하여 비동기 프레임1/2(406)로 제 N 사이클(41)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비동기 프레임1/2(406)는 프리앰블(431), DA(432), SA(433), E 타입(434), 분할 제어(435) 및 FSC(4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나머지 "L2-L1"의 길이를 가지는 부분은 다음 사이클(N+1)(42)의 첫번째 비동기 프레임2/2(410)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그런데, 이때 비동기 프레임2/2(410)에는 단순히 "L2-L1"의 길이를 가지는 남겨진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비동기 프레임1/2(406)과 같이 프리앰블(441), DA(442), SA(443), E 타입 (444), 분할 제어(445) 및 FSC(4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Residential 이더넷에서 비동기 프레임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esidential 이더넷에서 비동기 프레임은 8바이트로 구성되어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알려 주는 프리앰블(Preamble) 필드(51), 6바이트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전송되어야 할 목적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표시하는 목적지 주소(DA : Destination Address) 필드(52), 6바이트로 구성되어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의 MAC 주소를 표시하는 소스 주소(SA : Source Address) 필드(53), 2바이트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어떤 프로토콜 타입인지를 표시하는 E 타입(Ethernet Type) 필드(54), 2바이트로 구성되어 프레임이 분할되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할 제어(Fragmentation Control) 필드(55),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싣기 위한 데이터 필드(56) 및 4바이트로 구성되어 데이터 통신에서 정보를 프레임 별로 나누어 전송할 때 각 프레임의 끝에 오류 검출을 위한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57)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할 제어 필드(55)는 프레임이 분할되어 전송됨을 표시하기 위한 1비트의 More 플래그(551)와 수신측에서 분할된 프레임의 재조립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전송되는 15 비트의 시퀀스(Sequence)(552)를 포함한다. 즉, 동일한 시퀀스(sequence)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들을 모아서 수신측의 MAC에서 재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동기 프레임의 구조에서 분할된 프레임에 대한 새로운 E 타입(54)은 "0x8889"로 설정하고, 분할된 프레임의 마지막 영역을 제외한 프레임들은 모두 More 플래그를 "1"로 설정하여 전송하고, 마지막 프레임의 경우에만 More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다. 이와같은 설정값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의 운용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을 분할할 경우, 분할된 나머지 프레임의 영역(410)에 대해서는 분할 되기 이전의 프레임(406)에 부착된 이더넷 헤더와 분할 정보 2바이트를 재사용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비동기 프레임을 홀드하는 방법과 분할하는 방법을 결합하고, 결합된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임계치를 두어 두 가지 방법 중에 한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와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를 비교한다(61).
그리고, 비교 결과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62), 비동기 데이터를 해당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에 삽입하여(68) 전송한다(69).
한편, 비교 결과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큰 경우(62),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기설정된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63).
여기서 기설정된 소정의 임계값은 프레임 분할의 효과가 있기 위한 영역 이상이 남아있어야 프레임 분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남아 있는 프레임이 비동기 프레임의 헤더 부분을 구성하기에도 부족한 크기라면 분할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임계값을 48바이트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48바이트라 함은 비동기 프레임의 헤더 영역인 프리앰블(51), DA(52), SA(53), E 타입(54)를 합한 22바이트와 분할 제어를 위해 추가된 분할 제어 필드의 2바이트와 이더넷에서 프레임 간의 영역 구분을 위한 IFG(Inter Frame Gap)의 24바이트를 고려한 값이다.
그리고 확인 결과(63) 소정의 임계값에 미치지 못하는 전송 공간의 크기(L1)인 경우에는, 홀드 방법을 사용하여 비어 있는 전송 공간을 그대로 비워둔 채 전송한다(67).
그리고, 확인 결과(63)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전송 공간의 크기(L1)인 경우에는, 분할 방법을 사용한다.
그 분할 방법에 따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비동기 데이터를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에 맞게 분할한다(64). 그리고,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에 맞게 분할된 비동기 데이터를 해당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에 삽입하고 More 플래그를 설정한다(65).
그리고, 전송하고자 하는 비동기 데이터 중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에 맞게 분할된 비동기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비동기 데이터(L2-L1)는 다음 전송 사이클의 비동기 프레임부의 최초 비동기 프레임으로 삽입하여 전송한다(6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Residential Ethernet을 구현함에 있어 길이가 고정된 슈퍼프레임 안에서 대역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일정한 임계치를 두고 홀드 방법과 분할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비동기 프레임의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슈퍼프레임의 시작 지연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분할 방법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분할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MAC의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홀드 방법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대역폭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Residential 이더넷에서 비동기(Asynchronou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와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에 삽입하는 제 2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의 크기(L2)가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보다 큰 경우,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을 그대로 비운채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송하고자하는 비동기 데이터를 상기 비동기 프레임부의 비어있는 전송 공간의 크기(L1)에 맞게 분할하여 삽입하고 분할된 나머지 비동기 데이터는 다음 전송 사이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프레임은,
    상기 비동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알려 주는 프리앰블(Preamble) 필드;
    상기 비동기 프레임이 전송되어야 할 목적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표시하는 목적지 주소(DA : Destination Address) 필드;
    상기 비동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의 MAC 주소를 표시하는 소스 주소(SA : Source Address) 필드;
    상기 비동기 프레임이 어떤 프로토콜 타입인지를 표시하는 E 타입(Ethernet Type) 필드;
    상기 비동기 프레임이 분할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분할 제어(Fragmentation Control) 필드;
    상기 비동기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싣기 위한 데이터 필드; 및
    데이터 통신에서 정보를 프레임 별로 나누어 전송할 때 각 프레임의 끝에 오류 검출을 위한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제어 필드는,
    상기 비동기 프레임이 분할되어 전송됨을 표시하기 위한 More 플래그; 및
    수신측에서 상기 분할된 프레임의 재조립을 위한 값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송되는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임계값은,
    상기 비동기 프레임의 상기 프리앰블(Preamble) 필드, 상기 목적지 주소(DA : Destination Address) 필드, 상기 소스 주소(SA : Source Address) 필드, 상기 E 타입(Ethernet Type) 필드, 상기 분할 제어(Fragmentation Control) 필드를 위한 데이터 영역과 프레임간의 충돌 방지를 위한 IFG(Inter Frame Gap) 영역을 합한 값 이상의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분할된 나머지 비동기 데이터에 따른 프레임은,
    상기 분할된 비동기 프레임의 헤더 정보 및 분할 제어 정보를 그대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Residential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 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KR20050029191A 2005-04-07 2005-04-07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KR20060107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9191A KR20060107156A (ko) 2005-04-07 2005-04-07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JP2006106251A JP2006295930A (ja) 2005-04-07 2006-04-07 レジデンシャルイーサネットにおけるスーパーフレームの開始を保証するための非同期フレーム伝送方法
US11/399,867 US20060230147A1 (en) 2005-04-07 2006-04-07 Asynchronous frame transmission method for strictly ensuring beginning of super frame in residential eth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9191A KR20060107156A (ko) 2005-04-07 2005-04-07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156A true KR20060107156A (ko) 2006-10-13

Family

ID=3708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9191A KR20060107156A (ko) 2005-04-07 2005-04-07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30147A1 (ko)
JP (1) JP2006295930A (ko)
KR (1) KR20060107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969A (ko) * 2011-11-03 2014-07-29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시간 민감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7950B (zh) 2011-05-05 2015-08-21 Ind Tech Res Inst 網路傳輸裝置及其頻寬管理方法
JP5853737B2 (ja) * 2012-02-03 2016-02-09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装置、中継装置制御方法、及び、中継装置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969A (ko) * 2011-11-03 2014-07-29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시간 민감 데이터의 송신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95930A (ja) 2006-10-26
US20060230147A1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1803B2 (ja) 同期式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システムにおける時間臨界の情報伝送方法
JP4790289B2 (ja) 非同期ネットワークでパケット送達時間を保証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EP1596547A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d processing a frame in synchronous ethernet
US11522801B2 (en) Reducing packet delay variation of time-sensitive packets
CN113366805A (zh) 报文调度方法、调度器、网络设备和网络系统
KR101119300B1 (ko) 슈퍼 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히 지키는 레지덴셜 이더넷 노드장치 및 그 프레임 처리 방법
KR100575989B1 (ko) 동기화 이더넷에서의 비동기 데이터의 분할 전송 방법 및그 방법에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
KR101085677B1 (ko)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수퍼 프레임의 시작에 대한 주기적동기 방법
KR101131264B1 (ko) 레지덴셜 이더넷 시스템에서 서브 프레임을 이용한 수퍼프레임 구성 방법
KR20060107156A (ko) 레지덴셜 이더넷에서 슈퍼프레임의 시작을 엄격하게보장하기 위한 비동기 프레임 전송 방법
JP2008124967A (ja) イーサoamスイッチ装置
US20020150057A1 (en) Stuffing filter mechanism for data transmission signals
KR101035766B1 (ko) 레지덴셜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동기 데이터 구성 방법
US20070014279A1 (en) Residential ethernet switching device for sub frame-based switching
JP2006262474A (ja) レジデンシャル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システムにおける等時性データと非同期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スーパーフレームの構成方法
US20070025385A1 (en) Residential ethernet node device for transmitting synchronous data using counter and synchronous data transmitting method thereof
WO2002087170A1 (en) Ethernet based tdm switch
US20230388252A1 (en) Providing high assurance of end-to-end cpri circuit in a high jitter packet based fronthaul network
WO2021073570A1 (zh) 通信方法、装置及系统
KR101085644B1 (ko) 동기화 이더넷을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 계층 구성 방법
KR100744333B1 (ko) 무선 레지던셜 이더넷 노드 장치 및 그 동기 데이터 전송방법
US774241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gap packets to create a bandwidth buffer over which packets can be sent to reduce or eliminate overflow conditions
Kwok et al. On transparent bridging of CSMA/CD networks
US73245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hannelized and unchannelized data within a signal
KR20060034449A (ko) 엄격한 동기를 위한 프레임 전송 장치 및 그 프레임 전송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