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759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759A
KR20060105759A KR1020067010180A KR20067010180A KR20060105759A KR 20060105759 A KR20060105759 A KR 20060105759A KR 1020067010180 A KR1020067010180 A KR 1020067010180A KR 20067010180 A KR20067010180 A KR 20067010180A KR 20060105759 A KR20060105759 A KR 20060105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retardation
retardation plate
crystal layer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689B1 (ko
Inventor
겐지 나까오
가즈히로 니시야마
미쯔따까 오끼따
다이이찌 스즈끼
시게스미 아라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0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02F1/1395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OCB]- cells or PI-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7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4Number of plates greater than or equal to 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시야각 및 고속 응답의 실현이 가능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기술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 소자(40A, 40B)는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1 위상차판(42A, 42B)과 제2 위상차판(44A, 44B)을 구비한다. 각 파장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ㆍd)을 소정 파장(λ)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λㆍd)으로 규격화한 값을 Δn/Δnλ로 하였을 때, 소정 파장 이외의 파장의 광에 대해 제1 위상차판(42A, 42B)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은 액정층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작고, 제2 위상차판(44A, 44B)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은 액정층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학 보상 소자, 어레이 기판, 대향 기판, 능동 소자, 절연 기판, 배향막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UNI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시야각 및 고속 응답의 실현이 가능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기술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각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N)형 액정 표시 장치는 광학적으로 플러스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액정 분자가 한 쌍의 기판 사이에서 약 90°비틀림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TN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분자의 비틀림 배열을 제어함으로써 액정층으로 입사한 광의 선광성을 조절하고 있다. 이 TN형 액정 표시 장치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지만, 그 시야각은 좁고 또한 응답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특히 TV 화상 등의 동화상 표시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시야각을 확대 가능한 동시에 응답 속도를 개선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로서 OCB형 액정 표시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이 OCB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보유 지지된 액정층은 벤드 배열할 수 있는 액정 분자를 포함 하고 있다. 이 OCB형 액정 표시 장치는 TN형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 속도가 한층 개선되고, 또한 액정 분자의 배열 상태에 의해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의 복굴절의 영향을 광학적으로 자체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시야각이 넓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복굴절성을 제어하는 동시에 편광판과의 조합에 의해, 예를 들어 고전압 인가시에 광을 차단하여 흑색을 표시하고, 저전압 인가시에 광을 투과하여 백색을 표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흑색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대다수의 액정 분자는 고전압 인가에 의해 전계 방향을 따라 배열하지만(즉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 배열함), 기판 근방의 액정 분자는 배향막과의 상호 작용으로 법선 방향으로 배열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은 소정 방향으로 위상차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영향에 의해, 화면의 정면 방향(즉 기판의 법선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 흑색 화상을 표시하였을 때의 투과율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어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OCB형 액정 표시 장치에, 예를 들어 일축성의 위상차판을 조립함으로써 흑색 화상을 표시하였을 때의 액정층의 위상차를 보상하여 투과율을 충분히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화면의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충분히 투과율이 낮은 흑색 화상을 표시하거나 혹은 계조 특성을 보상하는 수법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19786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배 열한 광학적으로 마이너스의 광학 이방체를 갖는 위상차판을 조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종래의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서는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착색이 발생하는 등의 과제가 있다. 이 착색은 어떤 색(파장광)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흑색 화상을 표시하였을 때에 배향막의 러빙 방향(액정 배향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청색 착색이 현저하게 인식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시야각을 확대 가능한 동시에 응답 속도를 개선 가능하고, 게다가 표시 품위가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보유 지지하여 구성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한 소정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광학 보상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에 인가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에 의한 복굴절량을 변화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보상 소자는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적어도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을 갖고,
각 파장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ㆍd)[단, nx 및 ny를 면내의 주굴절률로 하고 nz를 두께 방향의 주굴절률로 하였을 때, Δn = (nx + ny)/2 - nz이고, d는 두께로 함]을 소정 파장(λ)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λㆍd)으로 규격화한 값을 Δn/Δnλ로 하였을 때,
소정 파장 이외의 파장의 광에 대해, 상기 제1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은 상기 액정층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작고, 상기 제2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은 상기 액정층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OCB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광학 보상 소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2에 도시한 광학 보상 소자를 구성하는 각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과 액정 배향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액정층에 발생하는 리터데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도4에 도시한 액정층에 발생하는 리터데이션의 광학적 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도2에 도시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각 광학 부재에 의한 리터데이션량(Δnㆍd)의 파장 분산 특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각 광학 부재에 의한 리터데이션량(Δnㆍd)의 파장 분산 특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각 광학 부재에 의한 리터데이션량(Δnㆍd)의 파장 분산 특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특히 표시 모드로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를 채용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OCB형 액정 표시 장치는 한 쌍의 기판, 즉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 사이에 액정층(30)을 보유 지지하여 구성된 액정 패 널(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 패널(1)은, 예를 들어 투과형이고, 도시하지 않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백라이트광을 어레이 기판(10)측으로부터 대향 기판(20)측으로 투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10)은 유리 등의 절연 기판(11)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어레이 기판(10)은 절연 기판(11)의 한쪽의 주면에 능동 소자(12), 화소 전극(13), 배향막(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능동 소자(12)는 화소마다 배치되고, TFT(Thin Film Transistor)와 MIM(Metal Insulated Metal)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3)은 각 화소에 배치된 능동 소자(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13)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등의 광투과성을 갖는 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14)은 절연 기판(11)의 주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대향 기판(20)은 유리 등의 절연 기판(21)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 기판(20)은 절연 기판(21)의 한쪽의 주면에 대향 전극(22), 배향막(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대향 전극(22)은, 예를 들어 ITO 등의 광투과성을 갖는 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23)은 절연 기판(21)의 주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컬러 표시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1)은 복수색,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의 색 화소를 갖고 있다. 즉, 적색 화소는 주로 적색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적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녹색 화소는 주로 녹색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녹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청색 화소는 주 로 청색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컬러 필터는 어레이 기판(10) 또는 대향 기판(20)의 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은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를 거쳐서 서로 소정의 갭을 유지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액정층(30)은 이들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 사이의 갭에 봉입된 액정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액정층(30)은 그것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31)가 플러스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동시에 광학적으로 플러스의 일축성을 갖는 재료를 선택 가능하다.
이러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30)에 전압을 인가한 소정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액정층(30)의 리터데이션을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광학 보상 소자(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학 보상 소자(40)는,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의 어레이 기판(10)측에 있어서의 외면 및 대향 기판(20)측에 있어서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1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A)는 편광판(41A) 및 복수의 위상차판(42A, 43A)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대향 기판(2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B)는 편광판(41B) 및 복수의 위상차판(42B, 43B)을 갖고 있다. 위상차판(42A, 42B)은, 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위상차)을 갖는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위상차판(43A, 43B)은, 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위상차)을 갖는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향막(14, 23)은 병렬 배향 처리되어 있다(즉 도면 중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러빙 처리되어 있음). 이에 의해, 액정 분 자(31)의 광축의 정사영(액정 배향 방향)은 도면 중 화살표 A와 평행하게 된다. 화상을 표시 가능한 상태, 즉 소정의 바이어스를 인가한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3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A로 규정되는 액정층(30)의 단면 내에 있어서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 사이에 있어서 벤드 배열된다.
이때, 편광판(41A)은 그 투과축이 도면 중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41B)은 그 투과축이 도면 중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편광판(41A, 41B)의 각각의 투과축은 액정 배향 방향(A)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고, 게다가 서로 직교한다. 이와 같이, 2개의 편광판의 투과축이 서로 직교하는 배치는 크로스니콜(crossednicol)이라 불리고, 이들 사이에 있는 물체의 복굴절량(리터데이션량)이 실효적으로 0이면 광은 투과하지 않고(투과율이 제로), 흑색 화상이 표시된다.
OCB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벤드 배열한 액정 분자에 대해 높은 전압을 인가해도 모든 액정 분자가 기판의 법선 방향을 따라 배열되지 않고, 액정층의 리터데이션량이 완전히 제로가 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액정 패널(1)에 있어서, 화소 전극(13)과 대향 전극(22) 사이에 4.5 V의 전위차를 부여한 경우, 액정층(30)이 갖는 리터데이션량은 60 ㎚였다.
그래서, 광학 보상 소자(40)는 어느 특정한 전압 인가 상태(예를 들어 고전압을 인가하여 흑색 화상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화면을 정면으로부터 관찰하였을 때에 영향을 미치는 액정층(30)의 리터데이션을 상쇄하는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러한 위상차판의 광축은, 액정층(30)에 있어서 리터 데이션을 발생하는 방향, 즉 액정 배향 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D)으로 평행하게 되고, 방향(D)에 리터데이션을 갖고 있다. 이것이「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3A, 43B)에 상당한다. 또한, 여기서는, 정면 방향이라 함은 면내의 X방향 및 Y방향으로 규정되는 것이고, 액정 패널(1)에 있어서는 그 주면에 상당한다. 액정층이나 위상차판 등의 각 광학 부재의 굴절률은 면내의 주굴절률(nx, ny)만을 고려하는 것은 아니고, 각 광학 부재를 면내에 정사영하였을 때의 주굴절률(nx, ny, nz) 전부를 고려한 것이다.
이에 의해, 액정층(30)이 갖는 정면 방향에서의 리터데이션을 상쇄할 수 있고, 액정층(30)과 위상차판(43A, 43B)을 복합하여 리터데이션량이 실효적으로 제로가 되는 상태를 형성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정면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충분히 투과율을 저감시킨 흑색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인가 전압에 의해 액정층(30)이 갖는 리터데이션량을 조정하고, 위상차판(43A, 43B)이 갖는 리터데이션량과 균형이 잡힌 표시 상태가 흑색 표시 상태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OCB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그 정면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흑색 화상의 표시 품위는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3A, 43B)을 이용한 전술한 바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개선 가능하다. 그러나, 광학 보상 소자(40)에 포함되는 위상차판의 조정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특징 중 하나로서 광시야각인 것을 들 수 있지만,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이면 반드시 시야각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광시야각화는 액정층과 위상차판의 리터데이션을 조정하고, 각각의 균형을 잡음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광시야각의 특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특히 흑색 화상의 시야각 특성이 중요하다. 이것은, 영상으로서 흑색 화상의 흑도 품질(guality of blackness) 상태가 영상의 선예도(sharpness)나 콘트라스트감 등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흑색 화상을 표시하였을 때에, 광시야각화를 실현하는, 즉 어떠한 각도에서 보아도 충분히 투과율을 저감시킨 흑색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광학 보상을 고려한다.
OCB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흑색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액정층(30)에 비교적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액정 분자(31)는 전계 방향으로 배열한다(기판의 법선 방향으로 직립함). 액정 분자(3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자의 긴 축방향의 주굴절률(nz)이 타방향의 주굴절률(nx, ny)보다도 큰 플러스의 일축성의 광학 특성을 갖는 분자이다. 여기서는, 액정 분자(31)에 대해 편의상 긴 축방향(두께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이것에 직교하는 면내 방향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하였다.
액정 분자(31)가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 직립한 상태에서는, 화면을 정면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 주굴절률의 분포가 등방적이기 때문에[즉 면내의 주굴절률이 등가(nx = ny)임] 리터데이션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 액정 분자(31)의 주굴절률(nz)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어(nx, ny < nz) 화면을 관찰하는 방향에 따른 리터데이션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액정층(30)을 통과한 광의 일부가 크로스니콜 편광판(41A, 41B)을 투과한다. 즉, 충분히 투과율을 저감시킬 수 없어 흑색 화상을 표시할 수 없다.
그래서, 광학 보상 소자(40)는 액정 분자(31)와는 역의 광학 특성(예를 들어 마이너스의 일축성)을 갖는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러한 위상차판은 그 두께 방향의 주굴절률(nz)이 상대적으로 작고, 면내의 주굴절률(nx, ny)이 상대적으로 크다(nx, ny > nz). 이것이「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2A, 42B)에 상당한다. 또한, 여기서는, 두께 방향은 면내의 X방향 및 Y방향에 부가하여 이들에 직교하는 Z방향으로 규정되는 것이다. 액정층이나 위상차판 등의 각 광학 부재의 굴절률은 3차원적으로 주굴절률(nx, ny, nz) 전부를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위상차판(42A, 42B)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흑색 표시 상태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액정층(30)에서의 리터데이션의 발생을 상쇄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을 정면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는 액정 분자(31)도 이 위상차판(42A)[또는(42B)]도 주굴절률의 분포가 등방적이기 때문에[즉 면내의 주굴절률이 등가(nx = ny)임] 리터데이션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는, 발생하는 액정 분자(31)의 리터데이션과 이 위상차판(42A)[또는(42B)]이 발생하는 리터데이션이 직교한다. 즉, 액정 분자(31)에 있어서의 주굴절률의 분포는 nx, ny < nz가 되고, 액정층(30)에 있어서는 두께 방향의 주굴절률(nz)의 영향이 지배적인 리터데이션이 발생한다. 한편, 위상차판(42A)[또는(42B)]에 있어서의 주굴절률의 분포는 nx, ny > nz가 되고, 위상차판에 있어서는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면내의 주굴절률(nx, ny)의 영향이 지배 적인 리터데이션이 발생한다.
이들 액정층 및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량의 절대치를 대략 등가로 함으로써 서로의 리터데이션을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액정층(30)이 갖는 두께 방향에서의 리터데이션을 상쇄할 수 있고, 액정층(30)과 위상차판(42A, 42B)을 복합하여 리터데이션량이 실효적으로 제로가 되는 상태를 형성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라도 충분히 투과율을 저감시킨 흑색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리터데이션량을 편의적으로 Rth = Δn × d로 하고, Δn = ((nx + ny)/2 - nz)라 정의한다. 여기서, d는 액정층이나 위상차판의 두께이다.
이와 같이, 액정층에 비교적 고전압을 인가하여 흑색 화상을 표시한 경우, 정면 방향에서 발생하는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으로 상쇄하는 동시에, 경사 방향에서 발생하는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으로 상쇄하는 것이 OCB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시야각화의 기본적인 사고 방식이다.
여기서,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3A, 43B)은 광학적으로 마이너스의 일축성을 갖는 광학 이방체 예를 들어 디스코틱 액정 분자를 위상차판의 두께 방향으로 하이브리드 배열시킨 필름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2A, 42B)은 이축성 필름이라도 상관없다. 요컨대, 디스코틱 액정 분자를 하이브리드 배열한 필름이나 이축성 필름은 정면 방향에도 두께 방향에도 리터데이션을 갖는 필름이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2A, 42B)으로서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위상차판(42A, 42B) 자체를 편광판(41A, 41B)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겸용할 수 있어 광학 보상 소자의 박형화 및 저비용화 등에 유효하다.
지금까지는, 단일의 파장으로 생각해 왔다. 통상, 휘도를 중시하기 때문에 550 ㎚ 부근의 녹색 파장에서의 특성이 최량이 되도록 리터데이션을 조정해 왔다. 그러나, 액정층도 위상차판도 각각의 주굴절률(nx, ny, nz)이 파장 의존성을 갖고 있다.
도6은 액정층 및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 및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의 각각의 리터데이션량(Δnㆍd)의 파장 분산 특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횡축을 파장(㎚)으로 하고, 종축을 각 파장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ㆍd)을 소정 파장의 광, 즉 λ = 550 ㎚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λㆍd)으로 규격화한 값(Δn/Δnλ)으로 하고 있고, 값(Δn/Δnλ)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실선(L1)은 액정층에 대응하고, 일점쇄선(L2)은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에 대응하고, 파선(L3)은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파장 550 ㎚에서는 적절한 광학 보상이 행해졌다고 해도, 파장이 다르면 적절한 조정이 되지 않고 착색 등의 과제가 발생한다. 특히,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에서는 550 ㎚보다 단파장측에 있어서, 액정층의 파장 분산 특성과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의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 충분히 상쇄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특히 액정 배향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비스듬히 화면을 관찰하였을 때에 청색 착색이 인식된다. 또한, 여기서는,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으로서 TAC 필름을 이용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액정층 및 두께 방향에 리더테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의 파장 분산 특성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광학 보상 소자는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위상차판(즉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광학 보상 소자를 구비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의 어레이 기판(10)측 외면 및 대향 기판(20)측 외면에 각각 광학 보상 소자(40A, 40B)를 구비하고 있다.
어레이 기판(1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A)는 편광판(41A),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2A),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1 위상차판(43A) 및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2 위상차판(44A)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대향 기판(2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B)는 편광판(41B),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2B),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1 위상차판(43B) 및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2 위상차판(44B)을 갖고 있다. 또한, 액정 배향 방향 에 대한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 및 각종 위상차판의 광축 방향은 도2 및 도3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다.
제1 위상차판(43A, 43B)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TAC 필름이다. 이러한 제1 위상차판(42A, 42B)은 도6의 L3로 나타낸 바와 같은 파장 분산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소정 파장(550 ㎚)보다 단파장의 광에 대해 제1 위상차판(42A, 42B)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은 액정층(30)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작다.
이 경우, 제2 위상차판(44A, 44B)으로서는, 액정층(30) 및 제1 위상차판(42A, 42B)의 파장 분산 특성의 차이를 보상하는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것이 선택된다. 즉, 소정 파장(550 ㎚)보다 단파장의 광에 대해, 제2 위상차판(44A, 44B)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이 액정층(30)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큰 것이 요구된다. 즉, 이러한 제2 위상차판은 제1 위상차판의 파장 분산 특성과 액정층의 파장 분산 특성의 차이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2 위상차판(44A, 44B)으로서는, 그 두께 방향의 주굴절률(nz)이 상대적으로 작고, 면내의 주굴절률(nx, ny)이 상대적으로 크도록(nx, ny 〉nz) 마이너스의 일축성을 갖는 광학 이방체 예를 들어 디스코틱 액정 분자를 두께 방향(법선 방향)으로 배열한 위상차판 등이 적용 가능하다.
도8은 액정층,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의 각각의 리터데이션량(Δnㆍd)의 파장 분산 특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도 도6과 마찬가지로, 각 파 장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ㆍd)을 소정 파장의 광, 즉 λ = 550 ㎚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λㆍd)으로 규격화하고 있고, 값(Δn/Δnλ)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실선(L1)은 액정층에 대응하고, 파선(L3)은 제1 위상차판에 대응하고, 파선(L4)은 제2 위상차판에 대응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파장보다 단파장측에 있어서는, 제1 위상차판의 파장 분산 특성은 액정층의 파장 분산 특성보다도 작고, 또한 제2 위상차판의 파장 분산 특성은 액정층의 파장 분산 특성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파장 400 ㎚ 내지 700 ㎚까지의 가시광 파장 범위(혹은 소정 파장 550 ㎚보다 단파장측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값(Δn/Δnλ)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는 제1 위상차판의 쪽이 액정층보다 작고, 또한 제2 위상차판의 쪽이 액정층보다 크다. 또한 다르게 말하면, 파장 400 ㎚ 내지 700 ㎚까지의 가시광 파장 범위(혹은 소정 파장 550 ㎚보다 단파장측의 파장 범위)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 특성 곡선의 경사는 제1 위상차판의 쪽이 액정층보다 작고, 또한 제2 위상차판의 쪽이 액정층보다 크다.
즉, 액정층에 있어서의 값(Δn/Δnλ)의 파장 분산 특성에 대해 작은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제1 위상차판과, 액정층에 있어서의 값(Δn/Δnλ)의 파장 분산 특성에 대해 큰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제2 위상차판을 조합하고,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의 종합적인 파장 분산 특성을 액정층의 파장 분산 특성과 거의 등가로 한다. 이에 의해,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액정층에 발생하는 리터데이션을 상쇄할 수 있는 동시에 액정층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의 파장 분산 특성을 보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면을 정면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 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라도 액정 패널의 투과율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착색이 적은 흑색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시야각 특성 및 표시 품위가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학 보상 소자(40)는, 예를 들어 편광판,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1 위상차판 및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광학 소자에,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파장 분산 특성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제2 위상차판을 부가함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학 보상 소자(40)는 광학 소자의 표면에,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2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하는 재료를 도포하거나 제2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하는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즉, 광학 보상 소자는 제2 위상차판을 가장 액정 패널측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학 보상 소자는 편광판 등과 함께 제2 위상차판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광학 소자의 표면에 제1 위상차판을 구비해도 좋고, 이 경우 제1 위상차판을 가장 액정 패널측에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광학 보상 소자를 제조하는 것은 제조 프로세스의 간소화, 제조 비용의 저감화, 또한 광학 보상 소자의 저비용화 등을 초래하여 제조 프로세스상 매우 유효하다.
또한, 제2 위상차판(또는 제1 위상차판)은, 동일 파장의 광에 대해 제1 위상차판(또는 제2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량과 액정층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량의 차와 거의 동등한 리터데이션량을 형성하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터데이션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광학 부재의 두께(d)에 의존한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를 구성하는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복수의 위상차판에 대해, 각각의 두께의 조합을 조정함으로써 액정층의 리터데이션량을 상쇄하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8에 도시한 예와 같이 액정층에 있어서의 값(Δn/Δnλ)의 파장 분산 특성에 대해, 비교적 차가 작은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제1 위상차판의 두께는 비교적 얇게 설정하고, 또한 비교적 차가 큰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제2 위상차판의 두께는 비교적 두껍게 설정하면 좋다. 여기서는, 제2 위상차판의 두께는 제1 위상차판의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상차판(42A, 42B)의 두께를 100 ㎛로 한 데 반해, 제2 위상차판(44A, 44B)의 두께를 제1 위상차판의 2배에 상당하는 200 ㎛로 하는 것이 적합했다.
(제2 실시 형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액정 패널(1)의 어레이 기판(10)측 외면 및 대향 기판(20)측 외면에 각각 광학 보상 소자(40A, 4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다.
어레이 기판(1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A)는 편광판(41A), 제1 위상차판(42A),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3A) 및 제2 위상차판(44A)을 갖고 있다. 한편, 대향 기판(2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B)는 편광판(41B), 제1 위상차판(42B) 및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3B)을 갖고 있고, 제2 위상차판에 상당하는 것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위상차판(또는 제1 위상차판)은 동일 파장의 광에 대해 제1 위상차판(또는 제2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량과 액정층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량의 차와 거의 동등한 리터데이션량을 형성하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학 보상 소자를 구성하는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복수의 위상차판에 대해, 각각의 두께의 조합으로 액정층의 리터데이션량을 상쇄하도록 최적화하면 좋다. 즉,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2개의 제1 위상차판(42A, 42B)에 의한 종합적인 파장 분산 특성을 하나의 제2 위상차판(44A)에 의한 파장 분산 특성으로 상쇄하고, 그 결과로서 남은 파장 분산 특성이 액정층(30)에 의한 파장 분산 특성과 거의 일치하고 있으면 좋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을 적용한 경우, 제1 위상차판(42A, 42B)의 두께를 100 ㎛로 한 데 반해, 제2 위상차판(44A)의 두께를 제1 위상차판의 4배에 상당하는 400 ㎛로 하는 것이 적합했다.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에 부가하여 한쪽의 광학 보상 소자에만 제2 위상차판을 설치하면 좋고, 광학 부재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 삭감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액정 패널(1)의 어레이 기판(10)측 외면 및 대향 기판(20)측 외면에 각각 광학 보상 소자(40A, 4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어레이 기판(1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A)는 편광판(41A), 제1 위상차판(42A) 및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3A)을 갖고 있다. 한편, 대향 기판(2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B)는 편광판(41B), 제2 위상차판(44B) 및 정면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2 위상차판(43B)을 갖고 있다.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을 적용한 경우, 제1 위상차판(42A)의 두께를 200 ㎛로 한 데 반해, 제2 위상차판(44B)의 두께를 제1 위상차판의 2배에 상당하는 400 ㎛로 하는 것이 적합했다.
이러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에 부가하여 한쪽의 광학 보상 소자에만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을 설치하면 좋고, 광학 부재의 수를 더 줄일 수 있어 비용 삭감이 가능해진 다.
이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하는 각각의 광학 부재는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한 후 광학 보상 소자에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즉, 제1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하는 광학 부재는 어레이 기판(1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A) 및 대향 기판측의 광학 보상 소자(40B) 중 적어도 한쪽에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마찬가지로, 제2 위상차판으로서 기능하는 광학 부재는 어레이 기판(10)측의 광학 보상 소자(40A) 및 대향 기판측의 광학 보상 소자(40B) 중 적어도 한쪽에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이들 각 광학 부재의 두께의 조합을 최적화함으로써, 광시야각에서 양호한 표시 품위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제4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착색의 과제에 대해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복수의 위상차판을 조합함으로써 대처해 왔지만, 다른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즉, 서로 다른 색 화소의 각각이 갖는 액정층의 두께가 다른 멀티갭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한 액정 패널(1)은 멀티갭 구조를 이루고 있는 예이다. 즉, 액정 패널(1)은 복수색의 색 화소로서 적색 화소(PXR), 녹색 화소(PXG) 및 청색 화소(PXB)를 갖고 있다. 녹색 화소(PXG)는 대향 기판(20)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녹색 컬러 필터(CFG)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적색 화소(PXR)는 대향 기판(20)에 녹색 컬러 필터(CFG)보다 얇은 적색 컬러 필터(CFR)를 구비하고 있 다. 또한, 청색 화소(PXB)는 대향 기판(20)에 녹색 컬러 필터(CFG)에 녹색 컬러 필터(CFG)보다 두꺼운 청색 필터(CFB)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을 평행하게 접합하였을 때에 녹색 화소(PXG)에 소정 갭이 형성되는 한편, 적색 화소(PXR)에 녹색 화소(PXG)보다 큰 갭이 형성되는 동시에 청색 화소(PXB)에 녹색 화소(PXG)보다 작은 갭이 형성된다. 즉, 적색 화소(PXR)가 갖는 액정층(30)의 두께는 녹색 화소(PXG)가 갖는 액정층(30)의 두께보다 크고, 또한 청색 화소(PXB)가 갖는 액정층(30)의 두께는 녹색 화소(PXG)가 갖는 액정층(30)의 두께보다 작은 멀티갭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화소에 있어서의 액정층(30)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액정층(30)에 의한 실효적인 리터데이션량(Rth)을 조정할 수 있어 착색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학 보상 소자(40A, 40B)와 멀티갭 구조의 액정 패널(1)을 조합한 경우, 각 색 화소에서의 액정층(30) 및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42A, 42B)의 각각에 의한 리더테이션량(Δnㆍd)의 파장 분산 특성은, 예를 들어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도 도6과 마찬가지로, 각 파장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ㆍd)을 소정 파장의 광, 즉 λ = 550 ㎚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λㆍd)으로 규격화하고 있고, 값(Δn/Δnλ)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실선(L1)은 액정층에 대응하고, 파선(L3)은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위상차판에 대응한다.
또한, 여기서 적용한 액정 패널(1)에서는, 녹색 화소(PXG)의 액정층(30)의 두께에 대해 청색 화소(PXB)의 액정층(30)의 두께를 0.3 ㎛ 얇게 형성하고, 적색 화소(PXR)의 액정층(30)의 두께를 0.05 ㎛ 두껍게 형성하였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갭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각 색 화소의 액정층에 의한 파장 분산 특성은, 특히 각각의 색의 중심 파장(450 ㎚, 550 ㎚, 650 ㎚) 부근에서 충분히 보상되고 있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광학 보상 소자와, 여기서 설명한 멀티갭 구조의 액정 패널을 조합함으로써 광시야각에서 양호한 표시 품위를 더 실현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이라도, 완전한 광학 보상이 불가능한 경우 등 특성을 미세 조정하기 위해 상술한 멀티갭 구조를 채용하는 것은 유효하다.
즉,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으로서 최적의 재료로서는 큰 선택지가 없기 때문에, 이들 위상차판에서 미세 조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광학 보상 소자와 멀티갭 구조의 액정 패널을 조합하는 경우, 녹색 화소(PXG)의 액정층(30)의 두께에 대해 청색 화소(PXB)의 액정층(30)의 두께를 0.1 ㎛ 얇게 형성하고, 적색 화소(PXR)의 액정층(30)의 두께를 녹색 화소(PCG)와 동등한 두께로 하였을 때 흑색 화상의 표시 품위가 양호했다. 또한, 이 조건에서는 색 순도의 악화도 없어 양호한 표시 품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걸친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은 PC(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마이너스의 일축성 필름이라도 좋고, 마이너스의 일축성을 갖는 광학 이방체(예를 들어 디스코틱 액정 분자)를 위상차판의 두께 방향에 배열한 필름이라도 좋고, 또한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위상차를 갖게 한 필름과 겸용한 이축성 필름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을 확대 가능한 동시에 응답 속도를 개선 가능하고, 게다가 표시 품위가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보유 지지하여 구성된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한 소정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광학 보상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에 인가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액정층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에 의한 복굴절량을 변화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광학 보상 소자는 두께 방향에 리터데이션을 갖는 적어도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을 갖고,
    각 파장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ㆍd)[단, nx 및 ny를 면내의 주굴절률로 하고 nz를 두께 방향의 주굴절률로 하였을 때, Δn = (nx + ny)/2 - nz이고, d는 두께로 함]을 소정 파장(λ)의 광에 대한 리터데이션량(Δnλㆍd)으로 규격화한 값을 Δn/Δnλ로 하였을 때,
    소정 파장 이외의 파장의 광에 대해, 상기 제1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은 상기 액정층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작고, 상기 제2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은 상기 액정층에 있어서의 규격화된 값(Δn/Δnλ)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분자는 표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있어서 벤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보상 소자는 상기 제1 위상차판 또는 상기 제2 위상차판을 가장 상기 액정 패널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판은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의 기판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차판은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의 기판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은 복수색의 색 화소를 갖고, 서로 다른 색의 상기 색 화소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가 다른 멀티갭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상차판은 동일 파장의 광에 대해 상기 제1 위상차판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량과 상기 액정층에 있어서의 리터데이션량의 차와 대략 동등한 리터데이션량을 형성하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판 및 제2 위상차판은 마이너스의 일축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판 및 상기 제2 위상차판은 마이너스의 일축성을 갖는 광학 이방체를 두께 방향으로 배열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판 및 상기 제2 위상차판은 이축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7010180A 2003-11-28 2004-11-18 액정 표시 장치 KR100763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0844A JP4421272B2 (ja) 2003-11-28 2003-11-28 液晶表示装置
JPJP-P-2003-00400844 2003-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759A true KR20060105759A (ko) 2006-10-11
KR100763689B1 KR100763689B1 (ko) 2007-10-04

Family

ID=3463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180A KR100763689B1 (ko) 2003-11-28 2004-11-18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21283A1 (ko)
JP (1) JP4421272B2 (ko)
KR (1) KR100763689B1 (ko)
CN (1) CN100401166C (ko)
TW (1) TWI266927B (ko)
WO (1) WO2005052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3336A (ja) * 2006-01-31 2007-09-1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8225083A (ja) * 2007-03-13 2008-09-2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EP2136247B1 (en) * 2007-03-15 2014-07-0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161614B1 (en) * 2007-07-03 2013-10-2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CN102472921B (zh) * 2009-09-08 2014-12-17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TWI494664B (zh) * 2013-05-14 2015-08-01 Au Optronics Corp 顯示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0235A (en) * 1991-02-04 1992-09-22 Honeywell Inc. Apparatus for improving the angle of view in a liquid crystal display
JPH0784252A (ja) *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3056997B2 (ja) * 1996-02-19 2000-06-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カラー液晶デイスプレー装置
TW412656B (en) * 1996-04-26 2000-11-2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6295113B1 (en) * 1998-12-16 2001-09-25 Picvue Electronics, Ltd. Twisted nematic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JP3596756B2 (ja) * 1999-08-06 2004-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U2001295943A1 (en) * 2000-10-17 2002-04-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producing method
JP2003279729A (ja) * 2002-03-20 2003-10-02 Konica Corp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光学補償フィルム
JP2004212468A (ja) * 2002-12-27 2004-07-29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補償素子及び単板式カラー液晶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689B1 (ko) 2007-10-04
TW200517723A (en) 2005-06-01
CN1886693A (zh) 2006-12-27
JP2005164759A (ja) 2005-06-23
TWI266927B (en) 2006-11-21
CN100401166C (zh) 2008-07-09
US20060221283A1 (en) 2006-10-05
JP4421272B2 (ja) 2010-02-24
WO2005052679A1 (ja)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680B2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JP4476293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096310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14935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2952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ultilayer phase plate
KR20040061343A (ko) 오. 씨. 비 모드 액정표시장치
US7443473B2 (en) Optical compensation polarizing film achieving a higher viewing angle
US2006022128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079115A (ja) 偏光板対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80297712A9 (en) IPS-LCD device having optical compensation films
US7868977B2 (en) Transmissive OCB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optical compensation elements
US2011030480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5544844B2 (ja) 液晶表示素子
JP4686164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066598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4325795A (ja) 液晶表示装置
KR100789681B1 (ko) 향상된 시야각 특성을 가지는 lcd 장치
JP2009223350A (ja) 液晶表示装置
JPH072805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25003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43449A (ko) 오. 씨. 비 모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826

Effective date: 200810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