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496A - 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 Google Patents

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496A
KR20060105496A KR1020060027990A KR20060027990A KR20060105496A KR 20060105496 A KR20060105496 A KR 20060105496A KR 1020060027990 A KR1020060027990 A KR 1020060027990A KR 20060027990 A KR20060027990 A KR 20060027990A KR 20060105496 A KR20060105496 A KR 2006010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sewing data
target point
dat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4497B1 (en
Inventor
유우이치 스케가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4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6Physical exchange of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의 편집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킨다.Improve the efficiency of editing work on the sewing data editing device.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표시수단(2)과,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 대상이 되는 봉제 데이터(M1)와 또 하나의 봉제 데이터(M2)의 각 목표점을 동시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과, 편집 대상이 되는 목표점의 선택입력을 수행하는 선택입력수단(3)과, 또 하나의 봉제 데이터(M2)에 대해, 선택된 목표점(P3)과 운침의 순번에 대해 대응관계에 있는 목표점(P4)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과,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각 봉제 데이터(M1, M2)의 목표점 중에서, 대응특정수단으로 특정된 목표점(P4)을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과 구별할 수 있는 표시로 하는 식별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display means 2 for displaying the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the display control mean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each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M1 and another sewing data M2 to be edited, and the editing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means 3 which performs the selection input of the target point to be made, and the target point P4 which ha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target point P3 and the order of clouding with respect to another sewing data M2. Identification means for displaying the target point P4 specified as the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visually distinguishable from other target points among the target points of the sewing data M1 and M2 displayed by the specifying means and the display means. Doing.

Description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Sewing data editing device {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도 1은 발명의 실시형태인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 및 재봉기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전체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entire hardware including a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and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는 봉제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2의 (A)는 1계층째의 봉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B)는 2계층째의 봉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sewing data, in which Fig. 2A shows sewing data of the first layer, and Fig. 2B shows sewing data of the second layer.

도 3은 하나의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일련의 운침(運針)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ies of clouding states made based on one piece of sewing data.

도 4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도 5는 하나의 봉제 데이터만을 취급하여 신규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의 데이터 입력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ata input screen in the case of performing a new input by handling only one piece of sewing data.

도 6은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 하나의 봉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displaying one piece of sewing data on an operation screen of a plurality of pieces of sewing data.

도 7은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sewing data on an operation screen of a plurality of sewing data.

도 8은 묘화표시(描畵表示)와 함께, 각 봉제 데이터의 설정내용을 리스트로 표시하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in which a setting content of each sewing data is displayed in a list together with a drawing display.

도 9는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as a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도 10은 다른 종류의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고 있는 표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in which two pieces of sewing data of different types are displayed simultaneous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모니터(표시수단) 3 : 선택입력수단(마우스)2: Monitor (display means) 3: Selection input means (mouse)

4 : 컴퓨터 10 :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4: computer 10: sewing data editing device

41 : CPU 44 : HD 장치41: CPU 44: HD device

100 :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 F : 플래시 메모리100: sewing machine to attach a button F: flash memory

M1, M2 : 봉제 데이터 P1 ~ P6 : 목표점M1, M2: Sewing data P1 to P6: Target point

F1 ~ F5 : 요소(블록)F1 ~ F5: Element (Block)

본 발명은, 재봉기에 이용되는 봉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for editing sewing data used in a sewing machine.

종래, 예컨대 자동 재봉기에 있어서는, 바늘낙하점과 각 바늘낙하점간의 천이동량으로 이루어진 봉제 데이터에 의해 재봉기와 천이송수단을 제어하도록 하였었다. 이러한 봉제 데이터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는, 하나의 봉제 데이터중에 무수히 설정된 바느질이나 예비이송 등의 목표점을 묘화로 표시하고, 마우스 등의 외부입력장치에 의해 그 중 임의의 목표점을 지정하는 동시 에, 편집(이동, 추가, 삭제)을 실행하였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in an automatic sewing machine, the sewing machine and the cloth transfer means are controlled by sewing data composed of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needle between the needle dropping point and each needle dropping point.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used to create such sewing data displays a number of target points, such as stitching and preliminary transfer, which are set in one piece of sewing data by drawing, and designates an arbitrary target point by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At the same time, editing (move, add, delete) was performed.

그리고, 이러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에서는, 하나의 표시화면에 하나의 봉제 데이터만을 표시하였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In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only one sewing data is displayed on one display screen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32601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326014

그러나, 예컨대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 등은, 버튼과 천을 별개로 유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재봉바늘을 각 버튼구멍에 차례대로 삽입통과시키면서 천의 소정 부분에 바늘을 낙하시켜 버튼을 부착하는 바느질을 실시하기 위해, 버튼구멍과 천을 각각 별개로 이동시켜 바느질하기 때문에, 버튼용 봉제 데이터와 천용 봉제 데이터가 별개로 제공되어 있다.However, for example, a sewing machine for attaching a button maintains the button and the fabric separately, and determines the moving position individually, so that the needle is dropp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abric while the sewing needle is inserted through each button hole in turn. In order to perform the sewing to attach, the buttonhole and the cloth are moved separately to sew, so that sewing data for buttons and sewing data for cloth are provided separately.

이들 봉제 데이터중에는, 동일한 바늘낙하 타이밍에서, 버튼의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점과 천의 위치를 결정하는 목표점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서로 관련되는 목표점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These sewing data often include target points associated with each other, such as when the target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button and the target poin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loth are set at the same needle drop timing.

그리고, 2개의 봉제 데이터에 서로 관련이 깊은 목표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에 대해 편집을 실시하면, 다른쪽의 봉제 데이터에 관련이 있는 목표점에 대해서도 편집을 실시할 필요가 생긴다.And when the target poi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wo sewing data are set, when editing the target point of one sewing data, it is necessary to also edit the target point which is related to the other sewing data. Occurs.

그러나, 종래의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는, 하나의 화면내에 하나의 봉제 데이터를 표시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별개로 편집해야만 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since only one sewing data can be displayed in one screen, the two sewing data had to be edited separately.

이로 인해, 한쪽의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에 대해 이동·삭제 등의 편집을 실시하면, 다른 쪽의 봉제 테이터에서의 관련이 있는 목표점을, 운침(運針)의 순번 등으로 부터 찾아낸 다음에 이동·삭제 등의 편집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간단히 상호 바늘낙하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정확한 위치 맞춤이 곤란해지는 동시에, 편집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For this reason, when editing, such as moving or deleting, the target point of one piece of sewing data is found, the related target point in the other sewing data is found from the order of rolling, and then moved or deleted. There is a problem that editing must be performe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needle drop can not be accurately grasped, accurate alignment is difficult, and the editing operation is complicated.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관련된 다른 종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작업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smoothly and accurately performing editing work of different kinds of sewing data related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피봉제물과 재봉바늘을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봉제를 수행하는 재봉기에서 이용되며, 운침을 행하는 복수의 목표점의 각 위치 및 운침의 순번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편집 또는 신규입력을 행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입력장치로서,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 또는 신규입력의 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함께 적어도 또 하나의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각각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제어수단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선택입력수단과,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운침의 순번에 대해 대응관계에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과, 대응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식별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is used in a sewing machine that performs sewing by relatively positioning a sewing object and a sewing needle, and edits or newly inputs to sewing data indicating each position of a plurality of target points to perform a needle and the order of a needle. A sewing data editing input devic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sewing operation,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pecific information of a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and at least one sewing reference for the display means together with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o be edited or newly inputted. Display control mean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with respect to the data, selection input means for selecting or inputting one of the target points of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arget points of the selected sewing target sewing data, and sounding Specify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that corresponds to the sequence number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rresponding specifying means and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and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other target point.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 는 동시에, 대응특정수단은,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첫회의 운침으로부터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nd the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ha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target point of the selected sewing object to be edited or input coincides with the order from the first movement. The structure which specifies a corresponding target point is employ | adopted.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봉제 데이터는, 복수의 목표점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며, 대응특정수단은,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순번 및 상기 블록내에서의 운침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nd the sewing data is configured by dividing a plurality of target points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d the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includes editing target sewing data selected or inputted. A configuration for specifying a corresponding target point in which the order of the blocks to which the target points belong to and the order of the movements in the block correspond to each other is adopted.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식별표시수단은,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특정정보를 다른 블록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and the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adopt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block to which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belongs is distinguishable from the specific information of another block. have.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은,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묘화로 표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display control means includes at least one of edit target sewing data and reference sewing data for the display means. The structure which displays the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by drawing is employ | adopted.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은,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display control means includes at least one of edit target sewing data and reference sewing data for the display means. In this case,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in a list is adopted.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봉제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is an editing object among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sewing data and a plurality of sew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data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the sewing data to be edited is adopted.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진 2 이상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서로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각 봉제 데이터에 기록하는 관련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is associated with each other for two or more pieces of sewing data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by display control means. A configuration is provided which has associated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ata is to the sewing data.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식별표시수단에 의한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Invention of Claim 9 has the structure similar to invention of any one of Claims 1-3, and employ | adopts the structure which can switch the execution presence or absence of identification display by an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by setting. .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표시제어수단은, 표시수단에 의한,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의 표시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display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splay means executes display of specif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The structure which can be switched by a setting is employ | adopted.

(실시형태)Embodiment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 및 재봉기(10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전체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ntire hardware including a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and a sew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는, 재봉기(100)의 봉제시의 동작제어에 사용되는 봉제 데이터를 신규로 작성하거나, 혹은 기존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수정 등의 편집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is for creating new sewing data used for the operation control at the time of sewing of the sewing machine 100, or for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such as correction on existing sewing data.

(재봉기)(Sewing machine)

재봉기(100)는,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로서,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여 재봉바늘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천위치결정수단과, 피봉제물인 버튼을 유지하여 재봉바늘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버튼위치 결정수단과, 재봉기 모터에 의해 재봉바늘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기구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sewing machine 100 is a sewing machine to which a button is attached, and the cloth positioning means for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needle by maintaining the cloth to be sewing, and to determine the position relative to the sewing needle by holding the button as the sewing object. And a button positioning means, a shank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ewing needle up and down by the sewing machine motor,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그리고, 재봉기(100)의 제어수단은, 재봉바늘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천위치결정수단을 구동시켜 재봉바늘에 대해 임의로 천을 위치 결정하여 바늘낙하를 실시하는 바느질의 동작제어와, 재봉바늘의 상방대기상태에서 천위치결정수단을 구동시켜 바늘낙하를 동반하지 않고 천의 이동만을 수행하는 예비이송의 동작을 제어한다.And, the control means of the sewing machine 100, driving the cloth positioning mean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ewing need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wing to drop the needle by randomly positioning the cloth relative to the sewing needle, and the upper side of the sewing needle The cloth positioning means is driven in the standby stat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eliminary feed which performs only the movement of the cloth without accompanying the needle drop.

또한, 마찬가지로 재봉기(100)의 제어수단은, 재봉바늘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버튼위치 결정수단을 구동시켜 재봉바늘에 대해 버튼을 위치결정하여 임의의 바늘통과구멍에 바늘을 낙하시키는 바느질의 동작제어와, 재봉바늘의 상방대기상태에서 버튼위치 결정수단을 구동시켜 바늘낙하를 동반하지 않고 버튼의 이동만을 수행하는 예비이송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of the sewing machine 100 drives the button positioning means in synchronism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ewing needle to position the butt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needle,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ewing to drop the needle into an arbitrary needle passing hole. And, by operating the button positioning means in the upper standby state of the sewing needl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reliminary transfer to perform only the movement of the button without accompanying the needle drop.

상술한 바와 같이, 재봉기(100)에서는 피봉제물로서의 천 및 버튼의 각각에 대해 재봉바늘의 이동을 위치결정하는 동작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봉제시에는 천에 대한 재봉바늘의 위치결정용 봉제 데이터와, 버튼에 대한 재봉바늘의 위치결정용 봉제 데이터가 각각 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wing machine 100, the operation control for positioning the movement of the sewing needl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cloth and the button as the sewing object is made, so that the sewing data for positioning the sewing needle with respect to the cloth during sewing , Sewing data for positioning of the sewing needle for the button is required.

(봉제 데이터)(Sewing data)

도 2는 봉제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하나의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일련의 운침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sewing data, and 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ies of driving states made based on one sewing data.

하나의 봉제 데이터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봉제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운침의 목표점을 복수의 요소(블록)로 구분하고 있다. 즉, 봉제 데이터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각 목표점에 운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면, 그 봉제에 필요한 전체 운침이 복수의 블록으로서의 요소(F1 ~ F5)로 구분되며, 각 요소(F1 ~ F5)에 속하는 운침의 목표점은 요소의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one sewing data is shown in Fig. 2A, the target points of the plurality of clouds made by the sewing data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lements (blocks). That is, assuming that the sewing data is made to each target point shown in FIG. 3 by the sewing data, all the rollings required for the sewing are divided into the elements F1 to F5 as a plurality of blocks, and belonging to each of the elements F1 to F5. The goal of is to be managed in units of elements.

그리고, 봉제 데이터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요소마다 상기 요소의 종류(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와, 상기 요소의 총 바늘수(총 목표점수)와, 각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과, 봉제 데이터가 데이터의 기록을 어드레스로 관리하는 기억장치(메모리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는 경우에서 다음과 같은 요소의 기억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sewing data includes the type of the element (sewing or preliminary transfer), the total number of needles (total target score) of the element,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movement to the target point and the sewing data are recorded in a storage device (memory or hard disk) which manages recording of data as an address, the storage addresses of the following elements are stored.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의 설정은, 요소 단위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목표점마다 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가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of the sewing or the preliminary feed is made in element uni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set separately for each target point.

또한, 상술한 각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은, 요소내에서의 기록의 순번에 따라 봉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재봉기(100)의 제어수단이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요소내에서 운침을 실행하는 순번으로 이동량의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각 목표점의 순번을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means of the sewing machine 100 performs processing so that the sewing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recording in the element, the amount of movement to the target point in each of the above mentioned impregnations is the order of executing the rhyme in the element. By recording the data of the movement amount, the order of each target point can be specified.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Sewing data editing device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속하는 목표점의 편집 또는 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이나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화면이나 편집화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예컨대, 목표점의 위치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의 컬러 CRT인 모니터(2)와, 모니터(2)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조작하여 각종 입력을 수행하는 마우스(3)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속하는 목표점의 편집 또는 입력에서의 연산이나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4)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includes a keyboard 1 for inputting a command or a numerical value for editing or inputting a target point belonging to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and a new value of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he monitor 2, which is a color CRT as th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input screen, the edit screen,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for exampl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to be edited, and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monitor 2, The mouse 3 which performs various input by operation, and the computer 4 which perform arithmetic and a process in the editing or input of the target point which belong to editing object sewing data are provided.

도 4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컴퓨터(4)의 주요한 하드웨어 구성에 언급하여 더욱 설명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Further explana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main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computer 4.

컴퓨터(4)는,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이나 편집에 관한 후술하는 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 또는 처리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 ROM(42)과,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각 처리를 실행하는 CPU(41)와, CPU(41)의 각종 처리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43)과, 각종 처리 데이터, 봉제 데이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주전원의 절단시에도 계속해서 기억하는 HD(하드디스크) 장치(44)와, 다른 편집장치나 재봉기(100)와의 사이에서 봉제 데이터의 교환을 실시하는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F)의 R/W(판독기입) 장치(45)와, HD 장치(44)와 R/W 장치(45)와 키보드(1)와 마우스(3)와 모니터(2)의 각각에 대해 CPU(41)를 접속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The computer 4 includes a ROM 42 in which a process program or process data for executing each process described below relating to new input and editing of sewing data is written, and a CPU which executes each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ss program ( 41, a RAM 43 for storing various processing data of the CPU 41, an HD (hard disk) device 44 for continuously storing various processing data, sewing data or various programs even when the main power is cut off; The R / W (read) device 45 of the nonvolatile flash memory F for exchanging sewing data between another editing device or the sewing machine 100, the HD device 44 and the R / W device ( 45 and an interface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CPU 41 to the keyboard 1, the mouse 3, and the monitor 2, respectively.

또한, 상기 RAM(43)에는, 여러가지의 작업메모리나 카운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처리시의 작업영역으로서도 사용된다.The RAM 43 is provided with various work memories, counters, and the like, and is also used as a work area during processing.

또한, 상기 HD 장치(44) 및 플래시 메모리(F)는, 복수의 봉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 기능한다.The HD device 44 and the flash memory F also function as 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wing data.

(데이터 입력작업)(Data entry)

도 5는 하나의 봉제 데이터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서 신규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의 데이터 입력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에 의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입력작업을 설명한다.Fig. 5 shows an example of a data input screen when a new input is performed with one piece of sewing data as editable sewing data. The following describes the input operation of the sewing object to be edited.

데이터 입력화면은, 주로 화면의 상단 및 좌측단을 따라 집중적으로 배치된 각종 명령 및 스위치그룹(CS)과, 화면의 상단 및 좌측단 이외의 거의 전체 영역을 차지하는 운침의 위치가 되는 목표점 및 운침의 궤적을 묘화표시하는 묘화화면(DP)으로 구성되어 있다. 묘화화면(DP)에는, 재봉기의 봉제가능범위를 표시하는 봉제가능범위 표시선(D1), 1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교점이 사용되는 재봉기의 절대좌표원점이 되는 좌표위치 표시선(D2, D3)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화면의 구성은, 화면 데이터로서 하드디스크(HD) 장치(44)에 기억되어 있으며, ROM(42)내의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을 CPU(41)가 실행함으로써 모니터(2)로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봉제가능범위 표시선(D1)내에 표시되는 봉제형상의 위치는 실제 재봉기의 봉제범위에 대한 좌표위치에 상당한다.The data input screen mainly includes various commands and switch groups CS arranged intensively along the top and left edges of the screen, and the target point and the fingertips that serve as positions of the fingers that occupy almost the entire area other than the top and left edges of the screen. It consists of the drawing screen DP which draws and displays a trace. In the drawing screen DP, the sewing possible range display line D1 indicating the sewing possible range of the sewing machine, the one-dot chain line, and the coordinate position display lines D2 and D3 serving as the absolute coordinate origin of the sewing machine where the intersection is used are displayed. I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input screen is stored in the hard disk (HD) device 44 as screen data, and the CPU 41 executes the data input program in the ROM 42 so that the display on the monitor 2 can be performed. It is. Therefore, the sewing shape position displayed in the sewing possible range display line D1 corresponds to the coordin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range of the actual sewing machine.

또한, CPU(41)는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마우스(3)의 이동입력조작에 따라 데이터 입력화면상에서 포인터(도시생략)의 표시위치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동시에, 포인터가 각종 스위치 중 어느 것에 위치결정되어, 마우스(3)의 좌측 버튼에 의해 선택이 결정되면, 상기 선택된 스위치에 할당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를 실시한다.In addition, the CPU 41 performs a process of mov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ointer (not shown) on the data input screen by the data input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input operation of the mouse 3, and the pointer is moved to any of various switches. Is positioned, and when the selection is determined by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3, a process of executing the command assigned to the selected switch is executed.

또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시에는, 묘화화면(DP)내에 마우스(3)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를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하고, 마우스(3)의 좌측 버튼에 의한 결정입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형상점(形狀點)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time of new input of the sewing object to be edited, the position is determined by moving the pointer in the drawing screen DP by the operation of the mouse 3, and an arbitrary input is determined by the decision input by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3. A shape point can be set in a position.

이러한 형상점이란, 예컨대 2개의 형상점을 입력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부분을 따라 운침을 실시하게 하거나, 혹은 형상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운침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운침의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점을 말한다.Such a shape point is a point for determining the trajectory of a cloud, for example, by inputting two shape points to perform a roughening along a part connecting them, or to perform a roughening along a circular arc centered on the contouring point. Say

형상점에 대해 어떠한 궤적을 그릴지는, 화면 좌측단의 스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꺽은선이나 원호, 원, 스플라인(spline)의 형상이 선택되어, 각 형상점의 위치가 지정되면, CPU(4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선분을 따라 미리 설정된 피치로 분할된 점을 연산하여 바늘낙하점으로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Which trajectory is drawn for the shape point is determin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switch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a broken line, an arc, a circle, and a spline is selected by operation of the said mouse, and the position of each shape point is specified, CPU41 will follow the line segment selected by the predetermined program. The point divided by the preset pitch is calculated and displayed as a needle drop point.

예컨대, 도 5의 데이터 입력화면으로 설명하면, 화면 좌측단의 스위치그룹 중에서 꺽은선 입력스위치(W1)를 선택하여, 화면상에서 원하는 선분(L1)의 점(P1, P2)의 위치로 마우스(3)의 포인터를 이동시켜 마우스(3)의 좌측 버튼을 클릭하면, 각 위치(P1, P2)의 스케일상의 좌표가 판독되고, 선분(L1)의 형상점으로서 취해져 화면상에 표시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data input screen of FIG. 5, the user may select the broken line input switch W1 from the switch group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move the mouse 3 to the position of the point P1 or P2 of the desired line segment L1 on the screen. When the pointer of () is moved and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3 is clicked, the coordinates on the scales of the respective positions P1 and P2 are read and taken as the shape points of the line segment L1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입력된 선분(L1)은 지정 피치로 분할 연산된 점이 흑점으로 표시되어, 운침위치(바늘낙하위치)로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경우, 운침위치의 위치정보가, 좌표내에서의 점배치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이러한 묘화표시에서는, 각 목표점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점형상의 표시를 실시하는 동시에, 봉제의 순번에 따라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 선분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인 봉제의 순번정보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the input line segment L1 is displayed as a black dot at a point calculated by dividing at a predetermined pitch, and displayed as a moving needle position (needle drop position). That is, in this case,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leeping position is displayed by the point arrangement in the coordinates. In addition, in this drawing display, while displaying the point shape which show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the line segment which connects each point according to the order of sewing is displayed, and each line segment is sewing which is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Sequence number information is shown.

또한, 형상점을 차례대로 입력하여, 어느 하나의 형상점에서 마우스(3)의 우측 버튼이 입력되면, 그 형상점까지가 상술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요소의 구획으로서 기억된다.When the shape point is sequentially input and the right button of the mouse 3 is input at any one of the shape points, up to the shape point is stored as the division of the element of the sewing object sewing data described above.

즉, 상기 각 조작에 의해, 형상점을 차례대로 입력함으로써 분할 연산하여 구해진 각 목표점의 상호간의 이동량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각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으로서 차례대로 RAM(43)에 기록되어, 마우스(3)의 우측 버튼의 입력에 의해 다음의 요소로 전환된다.That is, the movement amounts of the respective target points obtained by the division calculation by sequentially inputting the shape points by the respective operations described above are recorded in the RAM 43 in order as the movement amounts to the target points in each movement of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he next element is switched by input of the right button of the mouse 3.

또한, 상기 각 형상점을 입력하기 전에, 미리 스위치그룹 중에서 바느질의 입력인지 예비이송의 입력인지를 선택해 둠으로써, 각 요소마다 그 종류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중에 기록된다.In addition, before inputting each of the shape points, by selecting whether the sewing input or the preliminary feed is input from the switch group in advance, the type is recorded in the sewing target sewing data for each element.

그리고, 최종적으로 확정 스위치를 입력함으로써, 일련의 입력이 봉제 데이터로서 확정되어,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에 기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각 요소마다 분할 연산되어 구해진 각 운침위치의 총수가 구해지며, 편집대 상 봉제 데이터중에 각 요소마다의 총 바늘수로서 기록된다. 또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가,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에 기입될 때에는, 각 요소의 선두가 되는 데이터의 기입 어드레스가 이전 요소의 데이터중에 기록된다.Then, by finally inputting the confirmation switch, a series of inputs are determined as sewing data and written in the HD device 44 or the flash memory F. FIG. At this time, the total number of each sleeping position obtained by dividing operation for each element is obtained, and is recorded as the total number of needles for each element in the sewing data for editing. When the sewing target sewing data is written to the HD device 44 or the flash memory F, the write address of the data at the head of each element is recorded in the data of the previous element.

또한, 이미 확정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각 운침의 목표점에 이동, 삭제, 추가 등의 편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editing such as moving, deleting, adding, etc. to the target point of each movement, in which the input of the already-confirmed sewing target sewing data is completed.

더욱이, 편집 대상을 목표점 단위로 할지 요소 단위로 할지의 선택도 가능해진다. 즉, 이동, 삭제, 추가 등의 편집작업을 목표점 단위와 요소 단위로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edit the object in units of target points or in units of elements. In other words, editing operations such as moving, deleting, and adding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target points and elements.

편집작업에 있어서, 이동을 행하는 경우, 착안하는 목표점을 마우스(3)로 지정(드래그)하여, 이동할 위치를 마우스(3)의 이동조작으로 입력(드롭)함으로써 착안하는 목표점을 새로운 지정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시에 CPU(41)는,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이동된 새로운 지정점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봉제 데이터중의 운침에서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의 값을 갱신한다.In the editing operation, when moving, the target point of interest is designated (drag) by the mouse 3, and the target point of interest is moved to a new designated point by inputting (dropping) the position to be moved by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mouse 3. Can be. At the time of such an operation, the CPU 41 updates, by the processing program, the value of the amount of movement from the stitching in the sewing data to the target point ba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new designated point moved.

편집작업에 있어서, 삭제를 행하는 경우, 착안하는 목표점을 마우스(3)의 좌측을 클릭함으로써 지정하고, 다음으로 마우스(3)를 조작하여 스위치그룹중에서 삭제를 입력함으로써 착안하는 목표점을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시에 CPU(41)는,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삭제된 목표점에 대해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의 값을 삭제하고 갱신한다. 또한, 요소내의 바늘수의 값을 가산하여 갱신한다.In the editing operation, when the target point of interest is designated by clicking the left side of the mouse 3, the target point of interest can be deleted by inputting the deletion from the switch group by operating the mouse 3 next. At the time of such an operation, the CPU 41 deletes and updates the value of the movement amount to the target point in th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deleted target point by the processing program.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number of needles in the element is added and updated.

편집작업에 있어서, 추가를 행하는 경우, 추가하는 목표점의 하나 이전의 목 표점을 마우스(3)로 지정하고, 추가하는 목표점의 설정위치를 마우스(3)를 이동조작하여 입력함으로써, 새로운 목표점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시에 CPU(41)는,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추가된 목표점에 대해 운침에서의 목표점으로의 이동량의 값을 삽입하여 갱신한다. 또한, 요소내의 바늘수의 값을 감산하여 갱신한다.In the editing operation, a new target point is added by designating with the mouse 3 one target point of the target point to be added and moving and inputting the setting position of the target point to be added. can do. At the time of such an operation, the CPU 41 inserts and updates the value of the movement amount to the target point on the fly with respect to the added target point by the processing program. Furthermore, the value of the number of needles in the element is subtracted and updated.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에서의 각종 처리)(Various processing in editing of multiple sewing data)

도 6 및 도 7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및 참조용 봉제 데이터로 이루어진 복수 봉제 데이터 조작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버튼 봉착 봉제에서의 재봉바늘을 버튼에 상대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와 버튼 봉착 봉제에서의 재봉바늘을 천에 상대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를 모두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여 설명한다.6 and 7 show a display example of a plurality of sewing data operation screens composed of editing target sewing data and reference sewing data. Here, the sewing data for positioning the sewing needle in button sewing sewing relative to the button and the sewing data for positioning the sewing needle in button sewing sewing relative to the fabric will be described on the same screen.

도 6은 버튼의 버튼 구멍에 바늘을 낙하하기 위한 운침 표시 데이터(M1)의 표시예이며, 도 7은 버튼의 버튼 구멍에 바늘을 낙하하기 위한 운침표시(M1)와 천에 바늘을 낙하하기 위한 운침표시(M)를 동시에 표시하는 예이다. 또, 운침표시(M1, M2)는 봉제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편의상 봉제 데이터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편집을 수행하는 한쪽을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 하고, 편집을 수행하지 않는 다른쪽을 참조용 봉제 데이터로 한다. 또한, 표시화면상에는, 버튼의 외주형상을 인지하기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 버튼 표시선(BD)과, 그 버튼상에서 바늘낙하가 이루어지는 버튼구멍 형상을 인지하기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 버튼구멍 표시선(BH)이 표시된다.Fig. 6 is a display example of the needle indication data M1 for dropping the needle into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and Fig. 7 shows the needle indication M1 for dropping the needle into the button hole of the button and the needle for dropping the needle into the fabric. This is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sound indication (M)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the indications of the stitches M1 and M2 correspond to the sewing data, they will be described as sewing data for convenience. In addition, one side to edit is used as sewing object sewing data, and the other side not to perform editing is referred to as sewing data for reference. In addition, on the display screen, a button display line BD indicated by a dotted line for recogniz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and a button hole display line BH indicated by a dotted line for recognizing the button hole shape on which the needle falls on the button are displayed. .

2개의 봉제 데이터에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로부터 판독된 2개의 봉제 데이터를 각각 1계층째와 2계층째에 할당한다.When editing the two pieces of sewing data, the CPU 41 stores the two pieces of sewing data read out from the HD device 44 or the flash memory F by the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respectively, on the first and second layers. Assign to the hierarchy.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는, 전술한 데이터 입력화면의 화면구성에 더하여 2개의 봉제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한 명령이 할당된 복수의 스위치가 표시된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가 표시된다. 이러한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에는, 각 계층 중 어느 하나의 봉제 데이터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서 선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편집대상 윈도우(W2)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서 선택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를 또 한쪽의 계층의 봉제 데이터로 전환하는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와, 묘화표시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의 위치를 소정위치에 맞추는 위치 맞춤 스위치(W4)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2개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2개의 봉제 데이터의 동시표시상태에서 착안 목표점과 대응관계에 있는 목표점의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전환하는 관계점 표시 스위치(W6)가 표시된다.O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plurality of sewing data, in addition to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ata input screen described above, a layer operation dialog LD is displayed in which a plurality of switches to which commands for handling two sewing data are assigned are displayed. In this layer operation dialog LD, an editing object window W2 indicating which sewing data of each layer is selected as the editing object sewing data, and sewing data selected as the editing object sewing data are selected from the other. Edit sewing switch W3 for switching to hierarchical sewing data, positioning switch W4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wing data displayed on the draw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ewing sewing data for reference and sewing data for reference. Switch between the display of the two-layer simultaneous display switch (W5)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data and the execution of the identification display of the target poi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oint of interest in the simultaneous display state of the two sewing data of the editable sewing data and the reference sewing data. Relation point display switch W6 is displayed.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의 처리)(Editing multiple sewing data: processing as data selection means)

복수의 봉제 데이터 조작화면의 표시상태에서는, 마우스(3)의 클릭 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봉제 데이터의 판독 명령이 선택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임의의 하나째의 봉제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한다. 이러한 봉제 데이터는 1계층째에 할당된다.In the display state of the plurality of sewing data operation screens, if a command for reading sewing data (not shown) is selected by clicking operation of the mouse 3, the CPU 41 causes the HD device 44 to respond to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Alternatively, any one piece of sewing data is read out of a plurality of pieces of sewing data stored in the flash memory F. FIG. This sewing data is assigned to the first layer.

더욱이, 1계층째에 임의의 봉제 데이터가 할당된 상태에서,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가 마우스(3)의 조작에 의해 입력(클릭)되면, CPU(41)는 HD 장치(44) 또는 플래시 메모리(F)로부터 임의의 봉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봉제 데이터의 판독에 한하지 않고, 신규의 봉제 데이터의 입력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CPU(41)는 판독된 봉제 데이터 혹은 신규입력이 이루어진 봉제 데이터를 2계층째의 봉제 데이터에 할당하는 처리를 실행한다.Further, when arbitrary sewing data is assigned to the first layer, when the editing object changeover switch W3 is input (clicked) by the operation of the mouse 3, the CPU 41 causes the HD device 44 or flash to be executed. Arbitrary sewing data can be read from the memory F. FIG. Moreover, not only reading the existing sewing data but also inputting new sewing data is possible. The CPU 41 then executes a process of assigning the read sewing data or the sewing data on which the new input has been made to the sewing data on the second layer.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선택 데이터의 전환처리)(Editing multiple sewing data: Switching processing of selected data)

각 계층에 봉제 데이터가 할당된 상태에서,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가 입력되면, CPU(41)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로부터 또 한쪽의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로 전환하는 동시에, 편집대상 윈도우(W2)의 계층번호를 1에서 2 또는 2에서 1로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When sewing data changeover switch W3 is input while sewing data is assigned to each layer, the CPU 41 switches from the currently displayed sewing data to drawing display of another piece of sewing data and at the same time edits the window.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layer number (W2) from 1 to 2 or 2 to 1 is executed.

즉, CPU(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계층에 봉제 데이터를 할당하는 처리를 거쳐, 2개 중 어느 한쪽 계층의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으로서 기능한다.In other words, the CPU 41 performs a process of allocating sewing data to two layers as described above, and then selects sewing data of any one of the two layers to be edi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ewing data. It functions as a "data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the sewing data to be edited.

또, 이러한 경우, 데이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참조용 봉제 데이터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각각을 다른 표시색으로 표시하는 등 하여,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editing object sewing data and the reference sewing data are identified by displaying each of them in a different display color so that the sewing object sewing data selected by the data selecting mean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sewing data for reference. It is desirable to display it so that it can be done.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선택 데이터의 표시제어수단으로서의 처리)(Editing a plurality of sewing data: processing as display control means of selected data)

각 계층에 봉제 데이터가 할당된 상태에서,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가 입력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계층의 봉제 데이터(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각 목표점을 표시하는 묘화표시에 덧붙여, 편집대상으로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계층의 봉제 데이터(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각 목표점의 묘화표시를 함께동시에 수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In a state where sewing data is assigned to each layer, when the two-layer simultaneous display switch W5 is input by operation of a mouse, the CPU 41 executes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and the editing object switch switch W3 is executed. Drawing display of each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reference sewing data) of the layer not selected as an editing target, in addition to the drawing display which displays each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editing object sewing data) of the layer selected by Execute a process to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또, 이러한 2개의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는, 원점위치를 같게 하는 동시에 표시배율을 일치시킨 상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rawing display of these two sewing data is made in the state which made the origin position the same, and made the display magnification coincide, About these, a setting can be changed by operation of a mouse.

즉, CPU(41)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 모두에 대해 동시에 각각의 목표점을 묘화 표시시킴으로써, 각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위치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That is, the CPU 41 draws and displays each target point at the same time for both the sewing target sewing data and the reference sewing data, so as to function as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the specific information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of each data. do.

또한, 각 계층의 봉제 데이터를 쌍방표시상태에서,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가 입력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편집대상으로서 선택되어 있던 계층의 봉제 데이터만의 묘화표시상태로 돌아가, 또 한쪽 계층의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를 중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sewing data of each layer is displayed in both the display states and the two-layer simultaneous display switch W5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mouse, the CPU 41 is selected as an editing object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The process returns to the drawing display state of only the sewing data of the existing layer and stops the drawing display of the sewing data of another layer.

즉,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에 의해,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의 동시 표시의 실행 유무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two-layer simultaneous display switch W5 can switch whether or not the simultaneous display between the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and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is performed.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Editing multiple sewing data: processing as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또한, 각 계층의 봉제 데이터를 쌍방표시상태에서,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 관계점 표시 스위치(W6)가 입력되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관계점 표시 모드의 ON과 OFF를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sewing point display switch W6 is inputted by operation of a mouse in the sewing data of each layer in both the display states, the CPU 41 turns on the relation point display mode by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The processing to switch between and OFF is executed.

이러한 관계점 표시 모드란, 편집대상으로 되어 있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이동, 삭제, 추가, 신규입력 중 어느 하나의 대상으로서 「선택입력수단」으로서의 마우스(3)에 의해 지정된 목표점과 대응관계에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의 특정정보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드이다.This relationship point display mode corresponds to a target point designated by the mouse 3 as a "selection input means" as one of the movement, deletion, addition, and new input of the editing object sewing data to be edited. In this mode,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visually identified from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other target point.

즉, 관계점 표시 모드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대상으로 되어 있는 버튼위치결정용의 봉제 데이터(M1;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임의의 목표점(P3)에 대해 마우스(3)의 조작에 의해 포인터(K)를 위치결정하여 좌측 클릭이 이루어지면, CPU(41)는 그 목표점(P3)을 편집작업대상으로서 인식한다.That is, in the relation point display mode, as shown in Fig. 7, the mouse 3 is moved to an arbitrary target point P3 of sewing data M1 (editing sewing data) for button positioning to be edited. When the pointer K is positioned and left clicked by the operation, the CPU 41 recognizes the target point P3 as the editing work object.

더욱이,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봉제 데이터(M1)를 참조하여 목표점(P3)이 전체중에서 몇번째로 봉제가 이루어지는 목표점인지를 구하는 동시에, 봉제 데이터(M2)를 참조하여 같은 번호의 목표점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Further, by executing the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the CPU 41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target points P3 is the target point of sewing in the whole with reference to the sewing data M1, and also refers to the sewing data M2. The processing as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for identifying the target point of the same number is executed.

또, CPU(41)는 목표점(P3)의 순번을 카운트할 경우에, 예비이송을 카운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예비이송은, 통상적으로 봉제의 개시로부터 복수의 목표점까지에 대해 이루어지며, 그 이후에는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목표점(P3)의 순번의 카운트는, 최초로 바느질이 이루어지는 목표점을 선두로 하여 이루 어진다.In addition, when counting the order of the target point P3, the CPU 41 does not include the preliminary feed in the count. The preliminary transfer is usually performed from the start of sewing to a plurality of target points, and since it is often not performed afterwards, the sequence count of the target point P3 is achieved starting with the target point at which sewing is first performed. It is broken.

여기서, 상술한 대응특정수단으로서의 처리에 대해,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봉제 데이터(M1, M2)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한다.Here, the processing as the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sewing data M1 and M2 is referred to FIG.

우선, 1계층째의 봉제 데이터(M1)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인 경우에, CPU(41)는 1계층째의 봉제 데이터(M1)를 참조한다(단계 S1).First, when the sewing data M1 of the first layer is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he CPU 41 refers to the sewing data M1 of the first layer (step S1).

다음으로, CPU(41)는 봉제 데이터(M1)의 제 1 요소의 제 1 이동량 데이터로부터 순서대로 그 요소의 종류를 참조한다. 그리고, 바느질이 아닌 예비이송의 경우에는(단계 S2: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으로 진행시키고(단계 S3), 또 단계 S2로 되돌아가, 그 요소의 종류를 확인한다.Next, the CPU 41 refers to the type of the element in order from the first movement amount data of the first element of the sewing data M1. Then, in the case of preliminary conveyance other than sewing (step S2: NO), the object to be referred is advanced to the next movement amount (step S3),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S2 again to confirm the type of the element.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요소 단위에서 종류(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는 똑같이 동일하므로, 제 1 요소가 예비이송인 경우에는, 제 1 요소의 전체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단계 S2와 S3의 처리가 반복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ype (sewing or preliminary feed) is usually the same in element units, when the first element is preliminary feed, the processes of steps S2 and S3 are performed for the entire movement amount data of the first element. Is repeated.

그리고, 제 1 요소로부터 차례대로 각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요소의 종류가 판정되어,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요소의 종류가 바느질로 된 경우에는(단계 S2 : YES), 현재 편집 대상으로 되어 있는 목표점(P3)까지의 바늘수를 카운트하는 지정 바늘수 카운터를 0으로 리셋한다(단계 S4).If the type of the element is determined for each movement amount data in turn from the first element, and the type of the element of the movement amount data currently referred to is stitched (step S2: YES), the target point currently being edited The designated needle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needles up to (P3) is reset to zero (step S4).

다음으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가 현재 편집 대상이 되는 목표점(P3)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목표점(P3)이 아닌 경우에는(단계 S5 : 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 데이터로 진행시키고, 지정바늘수 카운터에 1 을 가산하여(단계 S6), 단계 S5로 되돌아간다.Next, the CPU 41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amount data currently being referred to is the target point P3 to be edited at present, and if it is not the target point P3 (step S5: NO), the target object to be referred to is determined. It advances to the next movement amount data, adds 1 to the designation needle counter (step S6), and returns to step S5.

또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가 목표점(P3)일 때에는(단계 S5 : YES), 현재의 바늘수 카운터의 값을 봉제 데이터(M1)에서의 목표점(P3)의 운침의 순번으로 특정하여, 상기 카운트값을 RAM(43)에 기억한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amount data currently referred to is the target point P3 (step S5: YES), the CPU 41 changes the value of the current needle counter to the target point P3 in the sewing data M1. The order is specified in order, and the count value is stored in the RAM 43.

다음으로, CPU(41)는 2계층째의 봉제 데이터(M2; 참조용 봉제 데이터)를 참조한다(단계 S7).Next, the CPU 41 refers to the sewing data M2 (reference sewing data) in the second layer (step S7).

CPU(41)는 봉제 데이터(M2)의 제 2 요소의 제 1 이동량 데이터로부터 차례대로 그 요소의 종류를 참조한다. 그리고, 바느질이 아닌 예비이송의 경우에는(단계 S8: 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으로 진행시키고(단계 S9), 또 단계 S8로 되돌아가, 그 요소의 종류를 확인한다.The CPU 41 sequentially refers to the type of the element from the first movement amount data of the second element of the sewing data M2. Then, in the case of preliminary conveyance other than sewing (step S8: NO), the object to be referred is advanced to the next moving amount (step S9),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S8 again to confirm the type of the element.

또, 봉제 데이터(M2)에 대해서도, 통상적으로 요소 단위에서 종류(바느질인지 예비이송인지)는 똑같이 동일하므로, 제 1 요소가 예비이송인 경우에는, 제 1 요소의 전체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단계 S8과 S9의 처리가 반복된다. Also for the sewing data M2, the type (sewing or preliminary feeding) is usually the same in the element unit, and therefore, when the first element is preliminary feeding, the step S8 and the total movement amount data of the first element are the same. The process of S9 is repeated.

그리고, 제 1 요소로부터 차례대로 각 이동량 데이터에 대해 요소의 종류가 판정되어,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요소의 종류가 바느질로 된 경우에는(단계 S8 : YES), 목표점(P4)까지의 바늘수를 카운트하는 대응 바늘수 카운터를 0으로 리셋한다(단계 S10).If the type of the element is determined for each movement amount data in turn from the first element, and the type of the element of the movement amount data currently referred to is stitched (step S8: YES), the needle to the target point P4 is used. The corresponding needle count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is reset to zero (step S10).

다음으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바늘수 카운트값이 목표점(P3)의 바늘수 카운트값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단계 S11: NO), 참조하는 대상을 다음의 이동량 데이터로 진행시키고, 대응 바늘수 카운터에 1을 가산하여(단계 S12),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Next, the CPU 41 judges whether the needle count value of the movement amount data currently being referred to matches the needle count value of the target point P3, and when it does not match (step S11: NO), refer to it. The target object is advanced to the next movement amount data, 1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needle count counter (step S12),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

또한, CPU(41)는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의 바늘수 카운트값이 목표점(P3)의 바늘수 카운트값과 일치할 때에는(단계 S11: YES), 현재 참조하고 있는 이동량 데이터가 나타낸 목표점이 편집대상의 목표점(P3)과 대응관계에 있는 대응 목표점(P4)인 것으로 특정한다.Further, when the needle count value of the movement amount data currently referred to matches the needle count value of the target point P3 (step S11: YES), the CPU 41 edits the target point indicated by the movement amount data currently referred to. It is specified that it is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P4 which ha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point P3 of the target.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Editing of multiple sewing data: processing as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편집작업대상이 되는 목표점(P3)의 표시를 다른 목표점과 구분할 수 있는 표시, 예컨대, 다른 목표점의 색채를 흑점으로 표시하고, 목표점(P3)을 적색의 점(도 7에서는 흰색을 뺀 점)으로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By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the CPU 41 displays a display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display of the target point P3 to be edited from another target point, for example, the color of another target point as a black point, and the target point P3. Control is displayed as a red dot (dots minus white in FIG. 7).

또한, CPU(41)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목표점(P3)과 봉제의 순번이 일치하는 봉제 데이터(M2)의 대응 목표점(P4)에 대해서도, 다른 목표점과 구별할 수 있는 표시, 즉 다른 목표점의 색채를 흑점으로 표시하고, 대응 목표점(P4)을 적색의 점(도 7에서는 흰색을 뺀 점)으로 표시하는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제어를 실행한다.In addition, the CPU 41 executes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gram so that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P4 of the sewing data M2 in which the target point P3 and the sewing sequence coincide with each other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arget points, that is, The control as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which displays the color of another target point by the black point,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P4 by the red point (the point which subtracted white in FIG. 7) is performed.

또, 대응 목표점(P4)의 순번을 카운트하는 경우에도, 예비이송을 카운트에 포함하지 않도록 하여, 최초로 바느질이 이루어지는 목표점을 선두로 해서 실시된다.Moreover, also when counting the sequenc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P4, it does so that preliminary feed is not included in a count, and it implements as the head of the target point to which sewing is performed first.

또, 각 계층의 봉제 데이터(M1, M2)의 쌍방표시상태에서 한쪽의 봉제 데이터(M1)에 대해 이루어지는 편집작업은, 도 5의 데이터 입력화면에서 이루어지는 편집 작업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실행된다.The editing operation performed on one piece of sewing data M1 in both display states of sewing data M1 and M2 of each layer is executed by the same process as the editing operation made on the data input screen of FIG.

또한, 상술한 대응특정수단과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편집작업만이 아니라,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작업시에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as the corresponding specifying means and the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can be executed not only in the editing operation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but also in the new input operation of the sewing data.

즉, 관련된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묘화표시를 수행하고, 이것을 배경으로 하면서, 신규의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대해, 목표점을 하나씩 입력하거나, 혹은 도 5에서 설명한 형상점을 하나씩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작업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이룬다. 그리고, 이 때, CPU(41)는 가장 신규로 입력된 목표점에 대해, 그 봉제의 순번을 산출하고, 동시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같은 순번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여, 상기 대응 목표점에 대해 구별색채표시를 실행한다.That is, the drawing display of the relevant reference sewing data is performed, and this is set as the background, and the target points are input one by one for the new editing object sewing data, or the shape points described in FIG. 5 are input one by one. This input operation accomplishes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in FIG. At this time, the CPU 41 calculates the order of sewing for the newest input target point, specifies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s of the same order for the reference sewing data for which simultaneous display is made, and performs the correspondence. Perform distinctive color marking on the target point.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관련기록수단으로서의 처리)(Editing a plurality of sewing data: processing as related recording means)

또한, CPU(41)는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에 설치된 「데이터의 관련을 보존한다」의 체크란이 마우스(3)의 좌측 클릭 조작에 의해 ON의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동시에 표시된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편집작업 종료후에, 각각의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상호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덧붙여 기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상호 관련정보는, 예컨대 각 데이터의 봉제의 실질적인 기억내용에 영향이 없는 영역에 부기된다.Further, the CPU 41 performs predetermined processing when the check box of "Save data association" provided in the layer operation dialog LD is set to the ON state by the left-click operation of the mouse 3. The program executes a process of adding and wri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wo pieces of sewing data M1 and M2 are simultaneously related to each of the sewing data M1 and M2 after the editing operation is finished. Such correlation information is appended to, for example, an area which does not affect the actual storage contents of sewing of each data.

즉, CPU(41)는, 「관련기록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PU 41 functions as "associated recording means".

이에 따라, 각 봉제 데이터(M1, M2)를 포함하는 복수의 봉제 데이터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태에서, 재봉기(100)에서 봉제 데이터(M1, M2)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쪽을 판독시키면, 상호 관련정보에 의해 다른쪽도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sewing data M1 and M2 are used in the sewing machine 100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sewing data including each sewing data M1 and M2 ar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 mutual information makes it easy to read the other side, so that data can be easily selected.

또한, 봉제 데이터의 봉제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시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sewing data when sewing, and even when editing is performed again, the data can be easily selected.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편집: 리스트 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Editing a plurality of sewing data: processing as list display means)

도 6 및 도 7에서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참조용 봉제 데이터인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의 쌍방을 묘화에 의해 표시하였으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묘화표시로 바꾸거나, 혹은 묘화표시와 함께 각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데이터의 설정내용을 문자에 의해 열기하여 리스트(도표)로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한쪽의 봉제 데이터만을 리스트로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In FIG. 6 and FIG. 7, both of the sewing data to be edited and the two sewing data M1 and M2 which are the reference sewing data are displayed by drawing. However, as shown in FIG. 8, in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FIG. In addition to the drawing display, or with the drawing display, a function of opening the setting contents of the data for each sewing data M1 and M2 by text and displaying them in a list (diagram) is provided. In addition, only one piece of sewing data can be displayed in a list.

이러한 리스트 표시는, 봉제 데이터에 설정된 각 요소의 순번과 각 요소내의 목표점의 이동량의 순번에 따라, 전체 목표점의 위치정보가 일렬로 표시된다. 즉, 이러한 리스트 표시에 의해, 봉제 데이터의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인 위치정보와 봉제의 순번정보가 표시된다.In this list display,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all target points is displayed in a line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each element set in the sewing data and the order of the movement amount of the target point in each element. That is, by the list display, positional information and ordering information of sewing, which are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are displayed.

그리고, 편집시에는, CPU(41)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M1)의 리스트 표시에 있어서, 편집 대상으로 되어 있는 목표점(P3)의 이동량 표시의 근방에 식별 마킹을 표시하는 표시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현재 편집중인 목표점이 다른 것과 구별된다.At the time of editing, the CPU 41 executes display control for displaying the identification marking in the vicinity of the movement amount display of the target point P3 to be edited in the list display of the sewing target sewing data M1. Thus, the target point currently being edited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또한, CPU(41)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M2)의 리스트 표시에 있어서, 대응특정수단으로 특정된 대응 목표점(P4)의 이동량 표시의 근방에 식별 마킹을 표시하는 표시제어를 실행한다. 즉, CPU(41)는 묘화표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스트 표시에 대해서도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In addition, in the list display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M2, the CPU 41 executes display control for displaying the identification marking in the vicinity of the movement amount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P4 specified by the corresponding specifying means. That is, the CPU 41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display, but also executes the processing as the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for the list display.

이와 같이, 봉제 데이터의 편집장치(10)는 각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각 목표점과 봉제의 순번을 수치정보의 나열로 이루어진 리스트 표시에서의 표시도 하기 때문에,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순번으로 배열된 상태로 표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목표점의 순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also displays each target point and sewing sequence in a list display of numerical information for each sewing data, so that the state of sewing in sewing can be numerically understood.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is performed in a state arranged in sequenc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order of a predetermined target point, and to smoothly and quickly perform a new input or editing operation of sewing data.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Embodiment)

이상과 같이, CPU(41)는 봉제 데이터(M1)에서 편집이 이루어지고 있는 목표점(P3)의 운침의 순번과 동등한 목표점(P4)을 봉제 데이터(M2)중에서 특정한다. 그리고, CPU(41)가 상기 목표점(P4)을 목표점(P3)과 함께, 다른 목표점과 다른 색채로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편집작업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목표점에 관련있는 다른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쌍방의 목표점에 대해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라도, 번잡한 확인작업을 필요없게 하여 원활하고 신속하게 편집 또는 신규입력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PU 41 specifies, from the sewing data M2, the target point P4 which is equivalent to the order of the rolling of the target point P3 that is being edited in the sewing data M1. Then, the CPU 41 executes a control for displaying the target point P4 with the target point P3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other target point, so that the target point of other sewing data related to the target point that is being edited in the editing operation. Can be quickly recognized, and even if it is necessary to work on both target points,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quickly edit or newly input work by eliminating complicated check work.

또한, 복수의 봉제 데이터의 조작화면에서는, 레이어 조작 다이얼로그(LD)에 편집대상 전환스위치(W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편집대상인 목표점(P3) 에 관련있는 것으로서 구별색채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목표점(P4)에 대해서도 편집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 신속하게 목표점(P4)으로의 편집작업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2개의 봉제 데이터의 사이에서의 관련있는 목표점에 대해, 병행하여 편집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편집작업의 더 나은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plurality of sewing data, since the edit target switching switch W3 is provided in the layer operation dialog LD, the distinct color display is performed as related to the target point P3 currently being edited. If it is necessary to edit the target point P4 as well, it is possible to quickly switch to the edit operation to the target point P4, and the editing work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related target point between the two sewing data. Thi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editing work.

또한, 상기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에 대해 각 목표점을 묘화로 표시하기 때문에, 실제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since each target point is displayed by drawing for two pieces of sewing data M1 and M2,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driving state in actual sewing, and to input new data of the sewing data. Or, editing can be done more smoothly and quickly.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HD 장치(44)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봉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필요하게 되는 봉제 데이터를 준비하는 작업이 장치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해지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since arbitrary sewing data can b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wing data stored in the HD device 44, the job of preparing the sewing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is acquired from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This can be easier tha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ew input or editing of sewing data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ckly.

또한, 플래시 메모리(F)를 봉제 데이터의 기억수단으로 하는 경우에는, 장치 외부에 대한 봉제 데이터의 송수신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ash memory F is used as a storage means for sewing data, there is an advantage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ewing data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can be facilitated.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양계층 동시 표시 스위치(W5)에 의해, 편집 또는 신규입력의 대상이 되는 봉제 데이터 이외의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을 동시에 표시하지 않는 선택도 가능하기 때문에, 동시 표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단독의 봉제 데이터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can select not to simultaneously display the target points of sewing data other than sewing data to be edited or newly input by the two-layer simultaneous display switch W5, If the display is unnecessary, only the sewing data can be grasped alone, and new input or editing of the sewing data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ckly.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관계점 표시 스위치(W6)에 의해, 대응관계에 있는 목표점의 구별표시를 하지 않는 선택도 가능하기 때문에, 구별표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작업대상의 목표점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the relation point display switch W6 allows selection not to distinguish the target points i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Therefore, when the distinction display is not necessary, only the target points of the work targets are used. In addition, new input or editing of sewing data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ckly.

(기타)(Etc)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봉제 데이터(M1, M2) 밖에 선택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편집대상이 아닌 봉제 데이터를 보다 많이 선택하여, 더욱 많은 것을 동시에 표시해도 된다.Moreover, although the case where only two sewing data M1 and M2 was selected in the said embodiment was illustrated, you may select more sewing data which is not an editing object, and display more more simultaneously.

또한, 목표점(P3, P4)을 다른 목표점으로부터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색채의 변경이나 마킹 첨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한 어떠한 방법이라도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method for making it possible to distinguish the target points P3 and P4 from other target points is not limited to color change or marking,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any visually discernible method.

또한,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의 편집작업 설명에 있어서, 버튼을 부착하는 재봉기에 사용되는 봉제 데이터(M1, M2)를 예시하였는데, 봉제의 종류는 버튼을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종류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복수로 동시에 표시하여, 대응 표시를 실행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editing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sewing data M1 and M2 used for the sewing machine which attaches a button was illustrated, The kind of sewing is not limited to attaching a button, but all kinds A plurality of pieces of sewing data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and corresponding display may be performed.

예컨대, 도 10에서는 2개 모양의 바느질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고 있는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봉제 대상의 목표점(P5)에 대해, CPU(41)는 구별색채표시를 실행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목표점(P6)에 대해 구별색채표시를 실행한다.For example, FIG. 10 shows a display example in which two pieces of sewing data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the case where these sewing data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the CPU 41 executes distinct color display for the target point P5 to be sewn, and performs distinct color display for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P6.

또한, 편집작업의 목표점의 지시입력에는 마우스(3)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 었는데, 편집대상으로 하는 목표점을 인접하는 다른 목표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입력스위치(W7; 도 10 참조)에 의해 지시입력을 수행하여도 된다.In addition, an example in which a mouse 3 is used for the instruction input of the target point of the editing operation is shown. The instruction input is input by a movement input switch W7 (see FIG. 10) for moving the target point to be edited to another adjacent target point.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10)에서는, CPU(41)가 대응특정수단과 식별표시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편집대상의 목표점에 대한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여, 상기 대응 목표점을 식별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처리를 대신하여 혹은 이러한 처리에 병행하여,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요소(블록) 전체의 목표점을 식별표시하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ewing data editing apparatus 10, when the CPU 41 performs the processing as the corresponding specifying means and the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for the target point of the editing target of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is identified and identified, and instead of or in parallel with such a process, a process of identifying and displaying the target point of the entire element (block) to which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belongs is performed.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봉제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고,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에 대해 그 목표점의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하면,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의 특정정보가 다른 목표점과 구별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displays a plurality of sewing data at the same time and selects or inputs one of the target points for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so that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arget points. Is displayed.

이에 따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편집 또는 입력되는 목표점에 대응하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쌍방의 목표점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라도, 번잡한 인식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원활하고 신속하게 편집 또는 신규입력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edited or input target point of the edited sewing data can be quickly recognized, and even if it is necessary to perform work on both target points, complicated recognition work is require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the need for smooth and quick editing or new input.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선택 또는 입력되는 목표점에 오름차순에서의 순번이 일치하는 목표점 또는 내림차순에서의 순번이 일치하는 목표점을 대응 목표점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a target point in which the order in the ascending order or the descending order coincides with the target point in which the sewing target sewing data is selected or input is set as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이에 따라, 2개의 봉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순번이 일치하는 목표점에 대한 관련있는 봉제를 수행하는 재봉기의 봉제 데이터를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로 하여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ewing data of the sewing machine that performs the relevant sewing on the target point where the sequence numbers coincide using the two sewing data as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new input or editing operation is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ckly. It becomes possible to carry out.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각 목표점을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하는 봉제 데이터라도, 대응 관계에 있는 목표점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even with sewing data for dividing each target point into a plurality of blocks,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s can be identified.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특정정보를 다른 블록과 식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4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specific information of a block to which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belongs, from another block.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묘화로 표시하기 때문에, 실제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displays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by drawing about at least one of the sewing data to be edited or the reference sewing data, so that the state of operation of the sewing data can be easily understood. New input or editing can be done more smoothly and quickly.

또, 여기서 말하는 목표점의 특정정보란 그 위치정보이며, 묘화표시(描畵表示)란 좌표평면상에서 목표점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here is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drawing display refers to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target point in a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기 때문에, 봉제에서의 운침상태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순번으로 배열된 상태로 표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목표점의 순번을 파악하기 쉽고,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displays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in a lis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sewing data to be edited or the reference sewing data, so that the state of driving in sewing can be grasped numerically and sequentially. Since the display is arranged in an arranged state, it is easy to grasp the order of a predetermined target point,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quickly perform a new input or editing operation of sewing data.

또, 여기서 말하는 목표점의 특정정보란 그 위치정보이며, 리스트 표시란 봉제 데이터에서의 좌표평면상에서 목표점의 위치를,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를 열 기(列記)하여 표시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here is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list display means the position of a target point on the coordinate plane in sewing data by open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which shows positional information.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로부터 임의의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필요하게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준비하는 작업이 장치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에 비해 용이해지며,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편집 또는 입력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can select any editing object sewing data from a plurality of pieces of sew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so that when the job of preparing the editing object sewing data required for the job is acquired from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It is easier to compare,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quickly edit or input a target point of reference sewing data.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진 2 이상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서로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각 봉제 데이터에 기록되기 때문에, 각 봉제 데이터를 봉제에 이용할 때에는, 다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서로 관련되는 봉제 데이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sin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is recorded in each piece of sewing data for two or more pieces of sewing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t the same time, when each piece of sewing data is used for sewing, a plurality of pieces of sewing data are used. Sewing data related to each other can be easily identified.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식별표시수단에 의한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식별표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작업대상의 목표점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9, since the execution of the identification display by the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can be switched by setting, when the identification mark is unnecessary, only the target point of the work target can be grasped, and new input or editing of the sewing data is possible. This will make your work smoother and faster.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서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의 표시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봉제 데이터의 신규입력 또는 편집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0 can be switched by setting whether or not to display or not display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in the reference sewing data,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Only the target sewing data can be grasped, and new input or editing of the sewing data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quickly.

Claims (10)

피봉제물과 재봉바늘을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봉제를 수행하는 재봉기에 이용되며, 운침을 행하는 복수의 목표점의 각 위치 및 운침의 순번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에 대하여 편집 또는 신규입력을 행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로서,It is used for sewing machine to perform sewing by positioning relative to sewing object and sewing needle, and it is sewing data editing device which edits or inputs new sewing data which shows each position of plural target points and the order of the stitches , 상기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pecific information of a target point of the sewing data; 상기 표시수단에 대해, 편집 또는 신규입력의 대상이 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와 함께 적어도 또 하나의 참조용 봉제 데이터에 대해 각각의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제어수단과,Display control means for causing said display means to simultaneously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for at least another reference sewing data together with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o be edited or newly input;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선택입력수단과,Selection input means for selecting or inputting one of the target points of the sewing object sewing data; 상기 선택 또는 입력되는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운침의 순번에 대해 대응관계에 있는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대응특정수단과,Corresponding specifying means for specifying a target point of the selected sewing object to be edited or inputted, and a corresponding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order of movement; 상기 대응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시각적으로 다른 목표점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식별표시수단을 구비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for visually distinguishing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from the specific information of another target poi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응특정수단은,The corresponding specific means, 상기 선택 또는 입력되는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과, 첫회의 운 침으로부터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상기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in which the target point of the edited sewing data to be selected or input and the sequence number from the first oper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봉제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목표점이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The sewing data is configured by dividing the plurality of target points into a plurality of blocks, 상기 대응특정수단은, 상기 선택 또는 입력되는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순번 및 상기 블록내에서의 운침의 순번이 일치하는 관계에 있는 상기 대응 목표점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the corresponding specifying means specifies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in which the order of the block to which the target point of the edited sewing data to be selected or input belongs and the order of the movements in the block correspond to each other. Data edit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식별표시수단은, 상기 대응 목표점이 소속되는 블록의 특정정보를 다른 블록의 특정정보와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the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displays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block to which the corresponding target point belongs is distinguishable from the specific information of another block.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대해,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상기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묘화(描畵)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the display control means displays the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by drawing on at least one of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and the reference sewing data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eans. Devic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대해,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 또는 상기 참조용 봉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 목표점의 특정정보를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the display control means displays the specific information of each target point in a list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eans for at least one of the sewing target sewing data and the reference sewing data.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봉제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the sewing data;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데이터중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상기 편집대상 봉제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a data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the editing target sewing data to be edi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ew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진 2 이상의 봉제 데이터에 대해, 서로 관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각 봉제 데이터에 기록하는 관련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said recording control means comprising associated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for said two or more pieces of sewing data simultaneously displayed on said display means.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식별표시수단에 의한 식별표시의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the setting data can be switched by setting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display is executed by said identification display means.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상기 참조용 봉제 데이터의 목표점의 특정정보의 표시 실행 유무를 설정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 데이터 편집장치.And the display control means allows the display means to switch whether or not to display or not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of a target point of the reference sewing data by setting.
KR1020060027990A 2005-03-29 2006-03-28 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KR1011944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4477 2005-03-29
JP2005094477A JP4514633B2 (en) 2005-03-29 2005-03-29 Sewing data edi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496A true KR20060105496A (en) 2006-10-11
KR101194497B1 KR101194497B1 (en) 2012-10-24

Family

ID=3705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990A KR101194497B1 (en) 2005-03-29 2006-03-28 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14633B2 (en)
KR (1) KR101194497B1 (en)
DE (1) DE1020060142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8482B2 (en) * 2009-12-03 2014-03-12 Juki株式会社 Sewing machine, sewing data edi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data editing program for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970B2 (en) * 1987-05-19 1997-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Sewing machine with display
JPH07116366A (en) * 1993-10-28 1995-05-09 Brother Ind Ltd Embroidery data display device
JP4425999B2 (en) * 1997-09-03 2010-03-03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Embroidery data creation device with selection designation confirmation display function
JP2000107479A (en) * 1998-09-30 2000-04-18 Juki Corp System for creating embroidery data
JP2000262784A (en) * 1999-03-12 2000-09-26 Brother Ind Ltd Embroidery data editt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embroidery data editting process program
JP4146074B2 (en) * 2000-11-28 2008-09-03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Fail analysis device
JP2003126575A (en) * 2001-10-22 2003-05-07 Juki Corp Display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2003326014A (en) * 2002-05-13 2003-11-18 Juki Corp Stitching data generating device and stitching data generating program
JP4093420B2 (en) 2004-08-09 2008-06-04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Embroidery sewing machine that can display sewing patte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14202A1 (en) 2006-10-19
JP2006271646A (en) 2006-10-12
JP4514633B2 (en) 2010-07-28
KR101194497B1 (en)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523B2 (en) Machining program editing assist apparatus
US10295987B2 (en) Machining program editing assist apparatus
US20230418526A1 (en) Display control device, machine tool,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5009176A (en) Sewing data forming method and device for sewing machine
KR101194497B1 (en) 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JPH10113483A (en) Method and device of editing embroidery data
JP3615777B2 (en) Single stitch data processing device for embroidery
US9194068B2 (en) Sewing machi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control program
JPH10108987A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sewing data
JP4644524B2 (en) Sewing data edit display device
JP2000027055A (en) Design device
JP3239292B2 (en) Figure specification control method for figure editing system
JPS60204077A (en) Graphic selection control system
JP3653109B2 (en) Graphic processing device
JPH09120308A (en) Tool path plotting method
WO202303309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JP2008108206A (en) Marking device and marking method
JP2003303002A (en) Device and program for displaying sequence circuit
EP0418643A2 (en) Apparatus for creating stitching data for automatic sewing machines
JPH03277395A (en) Embroidery data processor
JPH04126186A (en) Embroidery data display device
JP2000057362A (en) Device for inputting image processing position, image processor, device for displaying image processing state, method for inputting image processing position and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computer
JPH07303776A (en) Sewing data generator for automatic sewing machine
JPH07178269A (en) Method for setting character size of automatic embroidery sewing machine
JPH0592852U (en) Imag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