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499A -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499A
KR20060103499A KR1020067006508A KR20067006508A KR20060103499A KR 20060103499 A KR20060103499 A KR 20060103499A KR 1020067006508 A KR1020067006508 A KR 1020067006508A KR 20067006508 A KR20067006508 A KR 20067006508A KR 20060103499 A KR20060103499 A KR 20060103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ircuit
input current
supply circuit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127B1 (ko
Inventor
요시유키 우노
아키오 니시다
히로시 타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10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7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mprising a passive stage to generate a rectified sinusoidal voltage and a controlled switching element in series between such stage and the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교류전원(AC)에 접속된 주전원(主電源) 회로(11)와 부전원(副電源) 회로(14)를 구비한다. 주전원 회로(11)는 전파정류 회로(D1)와 일반적으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에 상당하는 입력전류 제어회로(12)를 구비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2)는 회로전류 검지수단인 저항(R1)과, 저항(R1)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해서 스위치 소자(Q1)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3)를 구비한다. 그리고, 부전원 회로(14)의 제2의 정류회로인 다이오드(D3)에 흐르는 전류가 저항(R1)을 통해서 교류전원에 되돌아가도록 접속한다.
전원장치, 주전원 회로, 부전원 회로, 저항, 다이오드, 인덕턴스 소자

Description

전원장치{POWER SUPPLY UNIT}
본 발명은 전원장치, 특히 고조파 전류억제나 역률개선을 목적으로 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용의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기기에 있어서는, 그 전원에 고조파 전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고조파 전류억제 기능을 갖는 회로는 동시에 역률개선 기능을 갖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종래예에 나타난 전원장치와 같이 역률개선 회로라 불리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예를 들면 텔레비전과 같은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를 구비한 기기에 있어서는, 스탠바이 시도 대기용 회로(예를 들면 리모컨으로부터의 전원 온 신호만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회로)는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단, 약간의 전력 소비밖에 없는 대기용 회로를 위해서 전원장치 전체를 동작시키는 것은 매우 효율이 나쁘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대기 시의 전력손실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대응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특허문헌 1의 종래예의 스위칭 전원회로에 있어서는, 스탠바이 시에는 동작하지 않는 주전원(主電源) 회로와, 스탠바이 시도 포함해서 항상 약간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동작하는 부전원 회로를 구비하고, 주전원 회로와 부전원 회로를 모두 교류전원에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종래예의 스위칭 전원회로에서는, 전력공급 능력이 큰 주전원 회로에서는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도 커지기 때문에 약간 회로구성이 복잡해져도 상관없으므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를 구비하고, 반대로 전력공급 능력이 작은 부전원 회로에서는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가 적으므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를 구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18842호 공보
그런데, 텔레비전과 같은 기기에 있어서는, 다양한 출력전압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으며, 애써 구비하고 있는 부전원 회로의 출력을 스탠바이 시에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용도로도 사용하고자 하는 요망도 있다. 실제, 스탠바이 시에 필요한 전압은 예를 들면 간단한 디지탈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5V나 +3.3V인 경우가 많은데, 이 +5V나 +3.3V라고 하는 전압은 그 외에도 다양한 용도가 있다. 그 때문에, 대기 시의 전력 소비량이 아니라 통상의 동작 시의 전력 소비량에 적합하도록 전원장치의 설계를 행한다. 이 경우, 부전원 회로의 전력공급 능력에는 상당한 여유를 갖고 설계되게 된다.
단,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종래예의 경우는 부전원 회로가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부전원 회로의 전력 공급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고조파 전류의 발생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대로는 본말전도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와 동등한 회로를 구비한 주전원 회로에 더해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또한 부전원 회로로부터 그 나름의 전력공급을 행하면서도 전체로서 고조파 전류의 억제를 도모하고, 동시에 역률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전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에 있어서 고조파 전류가 억제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회로전류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 흐르는 전류에 있어서 고조파 전류가 억제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회로전류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전원 회로는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1의 정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전원 회로는 상기 교류전원에 접속된 제2의 정류회로와 상기 제2의 정류회로의 출력에 접속된 평활회로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제1의 정류회로 사이에 스위치를 구비해도 좋다.
혹은, 상기 주전원 회로는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1의 정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전원 회로는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출력에 접속된 역류방지용 다이오드와 상기 역류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에 접속된 평활회로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가 부스트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스트 컨버터가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한쪽의 출력단자에 일단(一端)이 접속된 인덕턴스 소자와, 상기 인덕턴스 소자의 타단과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인덕턴스 소자의 타단과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다른쪽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 소자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다른쪽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평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가 플라이백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가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한쪽의 출력단자에 1차 권선의 일단이 접속된 트랜스포머와, 상기 1차 권선의 타단과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다른쪽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 소자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일단과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2차 권선의 타단 사이에 접속된 평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 혹은 역률개선 회로라 불리는 회로를 구비한 주전원 회로 외에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 혹은 역률개선 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부전원 회로를 구비하고, 게다가 부전원 회로로부터 부하전류를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입력전류 제어회로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도록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원장치 전체로서 입력전류를 거의 정현파 형상으로 해서 고조파 전류의 발생의 억제를 도모하며, 동시에 역률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한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주전원 회로만을 구비한다고 가정한 경우의 각부의 전압, 혹은 전류의 개략의 파형 이미지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각부의 전압, 혹은 전류의 개략의 파형 이미지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입력전압과 입력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입력전압과 입력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50, 60 : 전원장치 11, 41, 61 : 주전원 회로
12, 42, 62 : 입력전류 제어회로 13, 63 : 제어회로
14, 21, 64 : 부전원 회로 AC : 교류전원
SW : 스위치
D1 : 전파정류 회로(제1의 정류회로) C1 : 노이즈 제거용의 커패시터
L1 : 인덕턴스 소자 D2 : 다이오드
Q1 : 스위치 소자
R1, R2 : 저항(회로전류 검지수단) C2 : 평활용 커패시터
D3, D4 : 다이오드(제2의 정류회로 혹은 역류방지용 다이오드)
C3 : 평활용 커패시터(평활회로) T1 : 트랜스포머
N1 : 1차 권선 N2 : 2차 권선
(실시예 1)
도 1에,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한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전원장치(10)는 주전원 회로(11)와 부전원 회로(14)를 구비한다. 주전원 회로(11)는 스위치(SW)를 통해서 교류전원(AC)에 접속되어 있다. 부전원 회로(14)는 스위치(SW)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교류전원(AC)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발명의 포인트가 아니므로 기재는 생략하고 있으나, 주전원 회로(11)와 부전원 회로(14)의 출력측에는 필요에 따라서 각각 다른 DC-DC 컨버터 등의 전원회로가 접속되어, 원하는 출력전압이 얻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 접속되는 전원회로를 포함해서 주전원 회로, 부전원 회로라 칭해도 좋다.
스위치(SW)는 주전원 회로(11) 그것을 온, 오프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 시에 오프됨으로써 부전원 회로에만 전류가 공급되게 되어, 대기 시의 전력손실의 저감 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위치(SW)를 구비하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스위치(SW)의 존재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수적이지 않으며, 스위치(SW)를 구비하지 않고 주전원 회로(11)가 교류전원(AC)에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우선, 부전원 회로(14)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주전원 회로(11)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전원 회로(11)는 제1의 정류회로인 전파정류(全波整流) 회로(D1), 노이즈 제거용의 커패시터(C1), 입력전류 제어회로(12)를 구비한다. 전파정류 회로(D1)의 한쪽의 입력단자는 스위치(SW)를 통해서 교류전원(AC)의 일단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입력단자는 교류전원(AC)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전파정류 회로(D1)의 2개의 출력단자는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2)의 출력은 주전원 회로(11)의 출력이 되고 있다. 그리고, 전파정류 회로(D1)의 2개의 출력단자 사이에는 노이즈 제거용의 커패시터(C1)가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의 용량은 60Hz의 교류전원의 평활에 사용되는 것에 비해서 충분히 작은 것이며, 실질적으로 교류전원 주파수의 변동에 대한 평활의 기능은 없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2)는 일반적으로는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 혹은 역률개선 회로라 칭해지는 것으로, 인덕턴스 소자(L1), 다이오드(D2), 스위치 소자(Q1), 저항(R1), 평활용의 커패시터(C2), 및 제어회로(13)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2)는 기본적으로는 부스트 컨버터(승압 초퍼 회로)이며, 인덕턴스 소자(L1)의 일단이 전파정류 회로(D1)의 한쪽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다이오드(D2) 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2)의 음극은 주전원 회로(11)의 1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인덕턴스 소자(L1)의 타단, 즉 다이오드(D2)와의 접속점은 스위치 소자(Q1)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Q1)의 타단은 주전원 회로(11)의 다른 1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저항(R1)을 통해서 전파정류 회로(D1)의 다른쪽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오드(D2)의 음극과 스위치 소자(Q1)의 타단 사이에는 평활용의 커패시터(C2)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Q1)는 제어회로(13)에 의해 온, 오프를 제어받는다. 제어회로(13)는 인덕턴스 소자(L1)의 일단(a점)에 접속되어 있으며, 입력전압을 검지한다. 또한, 제어회로(13)는 저항(R1)의 양단(전파정류 회로(D1)측으로부터 b점 및 c점)에 접속되어 있으며, 저항(R1)의 양단의 전위를 검지하고, 그 차이에 기초해서 저항(R1)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한다. 또한, 제어회로(13)는 다이오드(D2)의 음극(d점)에도 접속되어 있으며, 입력전류 제어회로(12)의 출력전압을 검지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어회로(13)는 예를 들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의 UC1854나 페어차일드사의 ML4821과 같이 고조파 전류억제용 혹은 역률개선용으로서 IC화되어 있는 것도 많으며, 일반적인 제어회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전원 회로(11)만을 구비한다고 가정한 경우의 전원장치(1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전원장치(10)의 각부의 전압, 혹은 전류의 개략의 파형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의 파형에 비해서 대폭으로 간략화하고 있다.
주전원 회로(11)에 있어서, 교류전원의 전압이 도 2에 Va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현파라고 하면, 전파정류 회로(D1)의 출력에는 평활용의 커패시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는, 전파정류 회로(D1)에 의해 전파 정류된 도 2에 V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압이 거의 그대로 인가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 있어서는, 제어회로(13)가 교류전원의 주파수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에서 스위치 소자(Q1)의 스위칭을 행한다.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나 60Hz라고 하면, 스위치 소자(Q1)의 스위칭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약 60kHz가 된다. 이것에 의해, 인덕턴스 소자(L1)에는 스위칭할 때마다, 그 일단의 전압에 대응한 전류가 흐르고, 다이오드(D2)의 음극에는 승압된 전압이 출력되어, 평활(平滑)된다. 이 경우, 입력전류 제어회로(12)의 입력전류는 거시적으로는 도 2에 I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입력전압(Va)에 거의 비례한 정현파의 절대값 형상의 전류가 된다. 그 때문에, 전파정류 회로(D1)로 흘러들어가는 전류, 즉 주전원 회로(11)의 입력전류는 도 2에 Ia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한 정현파 형상의 전류가 된다. 그 결과,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고, 동시에 역률이 개선된다.
한편, 미시적으로는 스위치 소자(Q1)의 스위칭 주기에 대응한 전류값의 미세한 상하 변동이 있다. 이 전류값의 상하 변동은 노이즈 제거용의 커패시터(C1)에 의해 다소는 평활되지만, 완전히는 없어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어회로(13)의 동작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회로(13)는 약 60kHz의 발진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스위치 소자(Q1)는 이 발진회로가 출력하는 신호에 동기(同期)해서 턴 온(turn on)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스위치 소자(Q1)가 온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인덕턴스 소자 (L1)와 스위치 소자(Q1)를 전류가 흐르고, 시간과 함께 증가한다. 제어회로(13)는 입력전류 제어회로(12)의 입력전압, 및 저항(R1)을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고 있다. 이 경우의 저항(R1)을 흐르는 전류는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와 동등하고,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는 주전원 회로(11)의 입력전류이므로, 제어회로(13)는 주전원 회로(11)의 입력전류를 검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저항(R1)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로전류 검지수단이 되고 있다.
저항(R1)을 흐르는 전류는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와 동등하기 때문에, 스위치 소자(Q1)가 온인 동안은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게 증가한다. 저항(R1)을 흐르는 전류가 그 시점에서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한 값(이후, 이것을 전류의 설정값이라 부른다)에 이르면 제어회로(13)는 스위치 소자(Q1)를 오프한다.
전류의 설정값은 입력전압에 비례한 값이기 때문에, 교류전원의 전압의 위상의 관계에서, 예를 들면 입력전압이 낮은 시점에서는 전류의 설정값은 낮아지고, 반대로 입력전압이 높은 시점에서는 전류의 설정값도 높아진다. 또한, 이 설정값은 주전원 회로(11)의 출력전류에 의존해서 상하한다. 즉, 출력전류가 작을 때(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가벼울 때)에는 설정값은 낮아지고, 반대로 출력전류의 평균값이 클 때(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무거울 때)에는 그것에 대응해서 설정값은 높아진다. 이 제어는 제어회로(13)가 입력전류 제어회로(12)의 출력전압을 검지하고, 이것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전류의 설정값을 상하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스위치 소자(Q1)가 오프하면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고, 그것에 맞춰서 저항(R1)을 흐르는 전류도 감소한다.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는 그대로이면 최종적으로는 제로가 되지만, 스위치 소자(Q1)는 일정 주기로 턴 온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로가 되기 전에 제어회로(13)에 의해 스위치 소자(Q1)가 턴 온한다. 스위치 소자(Q1)를 온하면 다시 인덕턴스 소자(L1) 및 저항(R1)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상술한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가 제로로는 되지 않는 전류 연속형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인덕턴스 소자(L1)를 흐르는 전류가 일단 제로가 되고, 그것을 트리거로 해서 스위치 소자가 턴 온하여 다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전류 임계형이나, 전류가 제로가 된 후도 전류가 제로인 기간이 잠시 계속되고 나서 스위치 소자가 턴 온하여 다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전류 불연속형이더라도 상관없는 것으로, 고조파 전류억제 및 역률개선에 관한 실질적인 동작에 차이는 없다. 또한, 주전원 회로(11)의 부하의 상태에 따라서는 이들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회로(13)로 스위치 소자(Q1)의 스위칭을 행함으로써,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의 입력전류는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의 입력전류는 즉 전파정류 회로(D1)에 입력되는 교류전원으로부터의 전류이므로, 이것에 의해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역률이 개선된다.
다음으로, 부전원 회로(14)를 구비한 경우의 전원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전원 장치(14)는 반파 정류형의 제2의 정류회로인 다이오드(D3)와 평활회로인 커패시터(C3)를 구비한다. 다이오드(D3)의 양극은 교류전원(AC)의 일단에 접속 되어 있으며, 음극은 부전원 회로(14)의 1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평활용의 커패시터(C3)의 일단은 다이오드(D3)의 음극에 접속되고, 타단은 부전원 회로(14)의 다른 1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3)의 타단은 종래기술이라면 교류전원(AC)의 타단에도 접속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전원 회로(11)의 스위치 소자(Q1)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커패시터(C3)의 타단은 주전원 회로(11)의 저항(R1)과 전파정류 회로(D1)를 통해서 교류전원(AC)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게 된다.
한편, 부전원 회로(14)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접속으로 함으로써 제2의 정류회로인 다이오드(D3) 뿐만 아니라 주전원 회로(11)의 전파정류 회로(D1)의 일부도 부전원 회로(14)의 정류회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전원 회로(14)를 포함하는 전원장치(1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도 도 2와 마찬가지로 전원장치(10)의 각부의 전압, 혹은 전류의 개략의 파형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의 파형에 비해서 대폭으로 간략화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Vac 및 Va로 나타내는 전압 파형은 도 2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부전원 회로(14)는 반파 정류형의 제2의 정류회로와 평활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에 상당하는 회로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교류전원(AC)으로부터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전류는 교류 주파수의 1주기 중의 어느 쪽인가의 반주기이며, 게다가 교류전압의 진폭이 클 때에 한정되고, 흐르는 전류는 도 3에 Id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펄스 형상이 된다. 펄스의 높이는 부전원 회로(14)의 출력전류가 클수록 높아진다.
그러나, 부전원 회로(14)로부터 교류전원(AC)측으로 되돌아가는 전류는 입력전류 제어회로(12)의 저항(R1)을 통해서 흐른다. 즉, 저항(R1)에는, 교류전원(AC)으로부터 주전원 회로(11)로 흘러들어가는 입력전류와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입력전류를 합계한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입력전류 제어회로(12)는 이 합계의 전류가 입력전압(Va)에 거의 비례한 값이 되도록 스위치 소자(Q1)의 스위칭을 행한다. 그 때문에, 교류전원(AC)으로부터 주전원 회로(11)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와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전류(Id3)의 합계가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의 입력전압(Va)에 거의 비례하게 되어,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며, 동시에 역률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교류전원(AC)으로부터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전류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에는 부전원 회로(14)가 존재하지 않을 때와 거의 동일한 파형이 된다. 즉, 입력전류 제어회로(12)가 주전원 회로(11)만을 위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교류전원(AC)으로부터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전류가 존재하는 기간에는, 도 3에 Ia로 나타내는 파형과 같이, 결과적으로 그때만 교류전원(AC)으로부터 주전원 회로(11)로 흘러들어가는 전류가 감소하도록 입력전류 제어회로(12)가 동작한다. 이 경우, 입력전류 제어회로(12)는 주전원 회로(11)만을 위한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로서는 기능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주전원 회로(11)의 입력전류와 부전원 회로(14)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입력전압(Va)에 거의 비례한 정현파의 절대값 형상의 전류가 된다. 그 때문에, 교류전원(AC)으로부터 전원장치(10)로 흘러들어가는 전류는 도 3에 Ia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한 정현파 형상의 전류가 된다. 그 결과,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고, 동시에 역률이 개선된다.
한편, 도 3에 Ia로 나타내는 파형과 같이, 주전원 회로(11)의 입력전류가 일시적이라고는 하지만 단순히 감소할 뿐이라면 주전원 회로(11)의 출력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Q1)를 오프시키는 조건이 되는 입력전압에 비례한 전류값(설정값) 그것이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부전원 회로(14)에의 입력전류가 없는 기간의 주전원 회로(11)의 입력전류가 증가하며, 교류전원의 1주기 전체로서 주전원 회로(11)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총합에 변화는 없어지기 때문에, 주전원 회로(11)의 출력전류가 부족한 일은 없다.
(실시예 2)
도 4에,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혹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전원장치(20)에 있어서는, 다이오드(D3)의 음극과 교류전원(AC)의 타단 사이에, 다이오드(D3)와 음극끼리가 접속되도록 해서 다이오드(D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D3)와 다이오드(D4)에 의해 전파 정류형의 제2의 정류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제2의 정류회로와 평활회로인 커패시터(C3)에 의해 부전 원 회로(21)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부전원 회로(21)가 구비하는 제2의 정류회로가 전파 정류형으로 되어 있는 점 이외는 도 1에 나타낸 전원장치(10)와의 차이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20)에 있어서는, 교류전원 주파수의 1주기 중의 2개의 반주기의 양방에서 입력전압의 진폭이 클 때에만 부전원 회로(21)로 전류가 흘러들어간다. 그리고, 전원장치(10)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게 교류전원(AC)으로부터 주전원 회로(11)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와 부전원 회로(21)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합계의 값이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원장치(20)에는 전체로서 교류전원(AC)의 전압에 비례한 입력전류가 흘러들어가게 되어,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며, 동시에 역률이 개선된다.
(실시예 3)
도 5에,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혹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전원장치(30)에 있어서는, 주전원 회로(11)를 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교류전원(AC)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부전원 회로(14)의 다이오드(D3)의 양극을 전파정류 회로(D1)의 한쪽의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즉, 부전원 회로(14)에서는 전파정류 회로(D1)에 의해 전파 정류된 후의 맥류의 전압을 다이오드(D3)를 통과시킨 후에, 커패시터(C3)로 평활함으로써 출력을 얻고 있다. 부전원 회로(14)의 회로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전원장치(10)에 있어서의 그것과 동일하지 만, 다이오드(D3)는 정류용이 아니라, 커패시터(C3)에 충전(充電)된 전압에 의해 전파정류 회로(D1)를 향해서 반대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30)에 있어서는, 교류전원 주파수의 1주기 중의 2개의 반주기의 양방에서 입력전압의 진폭이 클 때에만 부전원 회로(14)로 전류가 흘러들어가지만, 전원장치(10이나 20)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게 교류전원(AC)으로부터 주전원 회로(11)로 흘러들어가는 입력전류와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입력전류 제어회로(12)에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원장치(30)에는 교류전원(AC)의 전압에 거의 비례한 입력전류가 흘러들어가게 되어,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며, 동시에 역률이 개선된다.
도 6에, 전원장치(30)에 있어서 실제로 측정한 입력전압과 입력전류의 관계를, 주전원 회로(11)의 부하가 무거울 때(a)와 가벼울 때(b)로 나눠서 나타낸다.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무겁다고 하는 것은 부하전류가 크다고 하는 것으로, 종래의 회로라면 전입력 전류에 차지하는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비율이 작아 고조파 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가볍다고 하는 것은 부하전류가 작다고 하는 것으로, 전입력 전류에 차지하는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비율이 커서 상대적으로 고조파 전류가 발생하기 쉬운 것을 의미한다. 한편, 비교를 위해서 도 7에, 부전원 회로(31)의 평활용의 커패시터(C3)의 타단을 전파정류 회로(D1)의 다른쪽 출력단자에 접속한 것에 대해서도 입력전압과 입력전류의 관계를, 주전원 회로(11)의 부하가 무거울 때(a)와 가벼울 때(b)로 나눠서 나 타낸다. 이 회로는 기본적으로 부전원 회로를 직접 교류전원에 접속하고, 그 정류회로를 전파 정류형으로 한 것과 동일해지며, 종래의 회로와 동일한 동작이 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우선 종래의 회로에서는,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무거우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칭 전원회로의 입력전류는 입력전압의 정현파에 대응한 전류파형이 된다. 전류파형의 정점에 돌출한 부분은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에 의한 것이다. 한편,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가 교류전원의 주파수의 약 1000배이고, 게다가 노이즈 제거용의 커패시터에 의해 스위칭 주파수의 성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평활되기 때문에, 전류파형의 미세한 상하 진동은 상당히 억압되어 있으며, 도시된 파형으로서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가벼워져서 상대적으로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가 증가하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가 감소한 결과로서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에 기인하는 전류파형의 정점의 돌출이 강조된다. 이 경우,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무거운 경우에 비해서 고조파 전류가 증가하고, 또한 역률이 악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원장치(30)의 경우에는,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무거우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칭 전원회로의 입력전류는 입력전압의 정현파에 대응한 전류파형이 된다. 전류파형의 정점에 돌출한 부분은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에 의한 것이지만, 도 6(a)와 비교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에 기인하는 전류파형의 정점의 돌출이 작다. 즉,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무거운 상태 라도 고조파 전류를 억압하고, 역률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가벼워져서 상대적으로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가 증가하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가 감소한 결과로서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에 기인하는 전류파형의 정점의 돌출이 강조된다. 그러나, 도 7(b)와 비교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파형의 정점의 돌출이 작다. 즉, 주전원 회로의 부하가 가벼운 상태라도 고조파 전류를 억압하고, 역률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장치(30)에 있어서는, 종래의 회로에 비해서 고조파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역률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전원장치(20)에 있어서는, 부전원 회로의 제2의 정류회로가 전파 정류형이 되는 점에서 전원장치(30)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하지만 실제의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전원장치(10)에 있어서는, 부전원 회로의 제2의 정류회로가 반파 정류형으로 되어 있다. 전원장치(30)와는 달리 교류전원의 반주기마다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것도 도시는 생략하지만 교류전원의 반주기에 대해서는 전원장치(30)와 동일한 파형이 되고, 나머지 반주기에 대해서는 부전원 회로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류파형은 전압파형에 거의 비례한 정현파 형상이 된다.
(실시예 4)
도 8에,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혹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낸 전원장치(40)에 있어서는, 전원장치(10)에 있어서의 인덕턴스 소자(L1)를 대신해서 트랜스포머(T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1차 권선(N1)이 전원장치(10)에 있어서 인덕턴스 소자(L1)가 있었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장치(10)에 있어서의 다이오드(D2)와 평활용의 커패시터(C2)는 트랜스포머(T1)의 2차 권선(N2)에 접속되어 있으며, 2차측의 정류평활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도 트랜스포머(T1), 스위치 소자(Q1), 저항(R1), 다이오드(D2), 평활용의 커패시터(C2), 및 제어회로(13)로 입력전류 제어회로(42)가 구성된다. 이 입력전류 제어회로(42)는 기본적으로는 1차 권선(N1)에 전류가 흐를 때에 트랜스포머(T1)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1차 권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2차 권선에 전류가 흘러서 저장된 에너지를 꺼내는 플라이백 컨버터이다. 그리고, 그것에 제1의 정류회로인 전파정류 회로(D1)와 노이즈 제거용의 커패시터(C1)를 더함으로써 주전원 회로(41)가 구성된다.
한편, 제어회로(13)는 다이오드(D2)의 음극인 점 d와도 접속되어 있으며 출력전압의 검출을 행하고 있다. 단, 양자는 트랜스포머(T1)의 1차측과 2차측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어떠한 형태로 절연을 취한 후에 접속되게 된다.
이것 이외의 점은 전원장치(10)와 동일하며, 부전원 회로(14)의 구성도, 커패시터(C3)의 타단이 스위치 소자(Q1)의 타단에 접속됨으로써, 커패시터(C3)의 타단이 주전원 회로(41)의 저항(R1)과 전파정류 회로(D1)를 통해서 교류전원(AC)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40)에 있어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42)가 플라이백 컨버터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 이외는 전원장치(10)와 동일하다. 즉, 만일 부전원 회로(14)가 없는 경우에는 입력전류 제어회로(42)가 주전원 회로(41)의 고조파 전류억제 회로로서 기능하고, 교류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류를 거의 정현파 형상으로 해서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부전원 회로(14)가 존재해서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전류가 있는 경우에는, 교류전원으로부터 주전원 회로(41)를 위해서 흘러들어가는 전류와 부전원 회로(14)를 위해서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합계가 거의 정현파 형상이 되도록 주전원 회로(41)의 입력전류가 제어된다. 그 결과,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며, 동시에 역률이 개선된다.
(실시예 5)
도 9에,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도 8과 동일 혹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전원장치(50)에 있어서는, 주전원 회로(41)를 스위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교류전원(AC)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부전원 회로(14)의 다이오드(D3)의 양극을 전파정류 회로(D1)의 한쪽의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즉, 전파정류 회로(D1)에 의해 전파 정류된 후의 교류전원 전압을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지는 제2의 정류회로로 정류하고, 커패시터(C3)로 평활함으로써 부전원 회로(14)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50)에 있어서도, 교류전원 주파수의 1주기 중의 2개의 반주기의 양방에서 입력전압의 진폭이 클 때에만 부전원 회로(14)로 전류가 흘러들어가지만, 전원장치(40)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게 교류전원(AC)으로부터 주전원 회로(41)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와 부전원 회로(14)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입력전류 제어회로(42)에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전원장치(50)에는 교류전원(AC)의 전압에 거의 비례한 전류가 흘러들어가게 되어, 고조파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고, 동시에 역률이 개선된다.
(실시예 6)
도 10에, 본 발명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혹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전원장치(60)에 있어서는, 주전원 회로(61)에 포함되는 입력전류 제어회로(62)에 있어서, 전원장치(10)에 있어서의 제어회로(13)를 대신해서 제어회로(6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회로(63)는 제어회로(13)의 구성에 더해서 2개의 입력단자가 증설되어 있다. 이 점 이외는 전원장치(10)의 주전원 회로(11)와 동일하다.
또한, 전원장치(60)에 있어서는, 부전원 회로(64)를 교류전원(AC)에 직접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부전원 회로(64)는 다이오드(D3)로 이루어지는 제2의 정류회로와 평활용의 커패시터(C3) 외에 저항(R2)을 구비하고 있다. 저항(R2)은 커패시터(C3)의 타단과 교류전원(AC)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저항(R2)에 는 다이오드(D3)를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전류, 즉 부전원 회로(64)의 입력전류가 흐르고, 그 양단(점 e 및 점 f)에는 흐르는 전류에 대응한 전압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양단의 전압이 각각 제어회로(63)의 증설된 2개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제어회로(63)에는 저항(R2)의 양단의 전압이 입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회로(63)는 교류전원(AC)으로부터 부전원 회로(64)에의 입력전류의 크기를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63)는 저항(R1)에 흐르는 전류뿐만 아니라 저항(R2)에 흐르는 전류도 검지하고, 양자의 합계에 기초해서 스위치 소자(Q1)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원장치(10)에 있어서의 제어회로(13)와 동일한 제어가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부전원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고, 그것과 주전원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합계값에 기초해서 주전원 회로의 전류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면 고조파 전류억제 및 역률개선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로전류 검지수단으로서 저항을 이용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커런트 코일(current coil)과 같은 다른 수단이어도 상관없는 것이다.

Claims (11)

  1.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主電源) 회로 및 부전원(副電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에 있어서 고조파 전류가 억제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2.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3.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회로전류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 흐르는 전류에 있어서 고조파 전류가 억제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4. 교류전원에 접속된 주전원 회로 및 부전원 회로를 가지며,
    상기 주전원 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회로전류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는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와 상기 부전원 회로의 입력전류의 합계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상기 회로전류 검지수단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의 입력전압에 거의 비례하도록 상기 주전원 회로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는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1의 정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전원 회로는 상기 교류전원에 접속된 제2의 정류회로와 상기 제2의 정류회로의 출력에 접속된 평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제1의 정류회로 사이에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회로는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 사이에 접속된 제1의 정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전원 회로는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출력에 접속된 역류방지용 다이오드와 상기 역류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에 접속된 평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가 부스트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 컨버터가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한쪽의 출력단자에 일단(一端)이 접속된 인덕턴스 소자와, 상기 인덕턴스 소자의 타단과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인덕턴스 소자의 타단과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다른쪽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 소자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다른쪽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평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0.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류 제어회로가 플라이백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컨버터가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한쪽의 출 력단자에 1차 권선의 일단이 접속된 트랜스포머와, 상기 1차 권선의 타단과 상기 제1의 정류회로의 다른쪽 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 소자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의 일단과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주전원 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2차 권선의 타단 사이에 접속된 평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KR1020067006508A 2005-02-15 2005-05-17 전원장치 KR100758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8230A JP3750690B1 (ja) 2005-02-15 2005-02-15 電源装置
JPJP-P-2005-00038230 2005-02-15
PCT/JP2005/008926 WO2006087827A1 (ja) 2005-02-15 2005-05-17 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499A true KR20060103499A (ko) 2006-10-02
KR100758127B1 KR100758127B1 (ko) 2007-09-13

Family

ID=3611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508A KR100758127B1 (ko) 2005-02-15 2005-05-17 전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9139B2 (ko)
EP (1) EP1868285A1 (ko)
JP (1) JP3750690B1 (ko)
KR (1) KR100758127B1 (ko)
CN (1) CN1954483B (ko)
WO (1) WO2006087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5989B2 (en) * 2007-09-04 2011-01-25 Lycoming Engines, A Division Of Avco Corporation Power source for aircraft engine controller systems
US8102165B2 (en) * 2008-07-17 2012-01-24 Fsp Technology Inc. Means of eliminating electrolytic capacitor as the energy storage component in the single phase AD/DC two-stage converter
EP2362531B1 (en) 2008-09-01 2014-11-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verter circuit, and motor drive controller equipped with converter circuit,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and induction cooking heater
JP4724248B1 (ja) * 2010-03-15 2011-07-13 株式会社ナナオ 電源装置
KR101141416B1 (ko) * 2010-08-18 2012-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시스템 효율을 개선한 전원 장치
JP5080665B2 (ja) * 2011-02-24 2012-11-21 株式会社ナナオ 電源装置
JP5811329B2 (ja) * 2011-07-08 2015-11-1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
KR20130090122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전원 장치
WO2013187269A1 (ja) * 2012-06-11 2013-1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853889B2 (ja) 2012-07-11 2016-02-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受電機器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
WO2014196424A1 (ja) * 2013-06-05 2014-12-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6150086B2 (ja) * 2016-03-23 2017-06-2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力率改善回路及び電源装置
US10753335B2 (en) 2018-03-22 2020-08-25 Continental Motors, Inc. Engine ignition timing and power supply system
CN109660134A (zh) * 2018-12-21 2019-04-19 佛山市汉立电子科技有限公司 电源电路及输入限制电阻确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167A (ja) 1990-04-25 1992-01-13 Sharp Corp 電子機器搭載型電源回路
JPH06121523A (ja) 1992-02-26 1994-04-28 Fuji Xerox Co Ltd 位相制御回路と直流安定化電源回路とを並設した機器の高調波抑制回路
JPH08191569A (ja) 1995-01-09 1996-07-23 Fuji Xerox Co Ltd 電源装置
JP3463675B2 (ja) 2001-06-29 2003-11-05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127B1 (ko) 2007-09-13
CN1954483B (zh) 2010-12-01
JP3750690B1 (ja) 2006-03-01
JP2006230057A (ja) 2006-08-31
EP1868285A1 (en) 2007-12-19
WO2006087827A1 (ja) 2006-08-24
US7719139B2 (en) 2010-05-18
US20090200870A1 (en) 2009-08-13
CN1954483A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127B1 (ko) 전원장치
US10355605B1 (en) Adjustable frequency curve for flyback converter at green mode
US7453248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JP505639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6067730A (ja) 力率改善回路
KR100806774B1 (ko) Ac/dc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ac/dc 변환 방법
JP2006094696A (ja) 力率補正回路及びその出力電圧制御方法
KR101858059B1 (ko) 스위치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역률 보상기 및 그 구동 방법
JP574656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1062043A (ja) 力率改善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led照明器具
US11509238B2 (en) AC/DC power supply, rectifier circuit and control method
KR20080004704A (ko) 비씨엠모드로 동작하는 단일전력단 역률개선 회로
JP5424031B2 (ja) 力率改善回路
KR20120002408A (ko) 직류전원장치
JP4857812B2 (ja) 電源システム
JP5222587B2 (ja) 力率改善回路
EP0665632B1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KR100420964B1 (ko)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JP2023058933A (ja) 電源回路
KR101444602B1 (ko) 정류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JP465010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オーディオアンプシステム
JP2003319655A (ja) 電源回路
JP4455121B2 (ja) 電源回路
JP6173888B2 (ja) 負荷駆動装置
JP20051681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